KR20100083024A -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024A
KR20100083024A KR1020090002376A KR20090002376A KR20100083024A KR 20100083024 A KR20100083024 A KR 20100083024A KR 1020090002376 A KR1020090002376 A KR 1020090002376A KR 20090002376 A KR20090002376 A KR 20090002376A KR 20100083024 A KR20100083024 A KR 2010008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uni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883B1 (ko
Inventor
안언기
Original Assignee
엠로그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로그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로그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8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the own vehicle, e.g. a local storage device, digital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는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부, 제1 차량이 제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 및 평균 운행 점수, 최대 운행 점수,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하는 운행 점수 제공부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주행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사고 발생 시 또는 급 발진, 급 가속, 급 감속 등의 상황에서 그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차량 모니터링, 차량 관제, 위치 정보

Description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Server, Apparatus and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수단의 발달로 국내에만 천만 대 이상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차량이 늘어남에 따라 크고 작은 교통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종래 이러한 교통 사고 발생시에 사고 원인 규명 등이 어려워 다툼이 생기는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교통 사고 발생 시 그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또한, 실제 교통사고 상황이 아니더라도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급 발진, 급 가속, 급 감속 등의 상황에서도 그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물류 업체나 운송 업체 등 많은 차량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업 분야 도 그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많은 차량의 관리를 할 경우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서, 실제 자동차가 어디에서 운행되고 있는지 알 수 없었고, 운전자가 어떤 운전 습관이 있는지 알 수 없으며,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사고 경위를 알기 어려운 등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관리자가 이러한 정보를 총괄적으로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많은 수의 차량을 관리하는 경우 여러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그룹화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교통사고 발생 시 또는 급 발진, 급 가속, 급 감속 등의 상황에서 그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관리자가 편리하게 차량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차량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그룹 관리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용 구역을 벗어난 차량에 관한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모니터링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는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부, 제1 차량이 제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 및 평균 운행 점수, 최대 운행 점수,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하는 운행 점수 제공부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주행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부, 추출된 주행 정보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정보 전송부, 차량의 주행 영상을 추출하는 주행 영상 추출부,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영상 전송부 및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받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모니 터링 서버는 차량의 위치 정보가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벗어날 경우 알람 메시지를 차량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차량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부, 추출된 주행 정보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정보 전송부, 차량의 주행 영상을 추출하는 주행 영상 추출부,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영상 전송부 및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받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모니터링 서버는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부, 제1 차량이 제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 및 평균 운행 점수, 최대 운행 점수,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하는 운행 점수 제공부 및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주행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사고 발생 시 또는 급 발진, 급 가속, 급 감속 등의 상황에서 그 주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관리자가 편리하게 차량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차량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그룹 관리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허용 구역을 벗어난 차량에 관한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사용자 또는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는 제1 차량 내지 제4 차량(101 내지 104)과 통신망 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 차량 내지 제4 차량(101 내지 104)에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수집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달된다.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는 차량(101 내지 104)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정보를 전달받아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차량이 네 대인 시스템이 제시되었으나, 차량의 대수는 제한이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는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210), 위치 정보 수신부(220), 위치 정보 표시부(230), 상세 정보 표시부(240), 알람 발생부(250), 운행 점수 제공부(260) 및 주행 영상 제공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210)는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 정보를 관리한다.
표 1은 차량 그룹 정보를 예시한 표이다.
차량 그룹 제1 차량(101) 제2 차량(102) 제3 차량(103) 제4 차량(104)
A 차량 그룹
(110)
O O X X
B 차량 그룹
(120)
X X O O
표 1을 참조하면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A 차량 그룹(110)과 B 차량 그룹(120)이 있고, 제1 차량(101) 및 제2 차량(102)은 A 차량 그룹(110)에, 제3 차량(103) 및 제4 차량(104)은 B 차량 그룹(120)에 속한다. 실제 시스템에서는 차량 그룹의 수나 차량의 수에 제한이 없으며, 하나의 차량이 복수의 차량 그룹에 속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특정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이 하나도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실제 차량 그룹 정보의 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거나 배열, 맵(map), 리스트(list) 등의 자료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그룹 정보의 관리 방법은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그룹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그룹을 생성하거나 소멸시키고, 특정 차량이 특정 차량 그룹에 속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차량 그룹은 계층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차량 그룹은 A-1, A-2, A-3 차량 그룹의 부모 차량 그룹이 될 수 있고 A-1, A-2, A-3 차량 그룹은 A 차량 그룹의 자식 차량 그룹이 될 수 있다. A-1, A-2, A-3 차량 그룹 또는 그 후손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은 모두 A 차량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 그룹 계층화 구조는 트리(tree)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트리 자료구조를 이용한 계층화 구조 구현은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제1 차량(101)으로부터 제1 차량(101)의 주행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차량(101)은 주행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자동차의 위치와 주행 방식에 관한 포괄적 정보를 말한다.
제1 차량(101)이 추출하는 주행 정보는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기타 측위 방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속도정보의 경우 차량 바퀴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거나, 위치 정보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 가능하다.
또한, 주행 정보는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벤트의 종류는 좌회전, 우회전, 급 감속, 급 가속, 접촉사고, 법규위반(과속, 신호위반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량(101)이 추출하는 주행 정보는 급 가속, 급 감속, 사고 발생 정보, 좌회전, 우회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자동차의 핸들,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에 부착된 센서나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서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구성이나 정보 수집 방법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이와 같이 추출된 제1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한다. 주행 정보는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3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그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서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표시부(230)의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위치 추적 버튼(311), 실시간 위치 확인 버튼(312) 및 그룹별 보기 버튼(313)을 차례로 선택하여 그룹별 보기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도 3의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차량은 크게 총괄사업부 차량 그룹과 기술연구소 차량 그룹 및 경영지원실 차량 그룹의 세 차량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총괄 사업부 차량 그룹은 영업본부 차량 그룹, 마케팅본부 차량 그룹 및 생산관리본부 차량 그룹의 자식 차량 그룹을 가진다. 그리고 기술연구소 차량 그룹은 S/W팀 차량 그룹 및 H/W팀 차량 그룹의 자식 차량 그룹을 가진다.
지도 표시 영역(330)에는 도로나 주요 건물 등을 표시한 지도상에 관리 대상 차량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차량 그룹별로 차량 표시 색상 또는 모양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영업본부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은 빨간색 원으로, 마케팅본부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은 주황색 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을 표시하는 색상이나 모양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를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을 지도상에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경영지원실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은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경영지원실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은 표시되지 않았다.
차량 그룹은 계층적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윈도우 탐색기의 폴더 도구 모음과 비슷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차량 그룹을 나타내는 영역(321 내지 324)을 선택하고 그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을 표시하는 색상을 설정하고 그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총괄사업부 차량 그룹의 경우 녹색이 지정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총괄사업부 차량 그룹에 속하지만 그 자식 차량 그룹(영업본부 차량 그룹, 마케팅본부 차량 그룹, 생산관리본부 차량 그룹) 중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차량만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총괄사업부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 중 색상이 지정되지 않은 자식 차량 그룹(생산관리본부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도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한눈에 얻을 수 있으며, 특정 차량 그룹만을 표시되도록 하여 지나치게 많은 차량이 표시되어 관리가 어려워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위치 정보 표시부(230)는 위치 정보 수신부(220)가 수신한 각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210)의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 정보 표시부(2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상세 정보 표시부(240)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치추적 버튼(311), 실시간 위치 확인 버튼(312) 및 전체 보기 버튼(314)을 선택하여 도 4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의 지도 표시 영역(330)에서 차량 상세를 보기 원하는 제5 차량을 나타내는 원(350)을 선택하여 상세 정보 표시 영역(340)에 제5 차량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그룹, 차량번호, 운전자, 연락처, 총 이동거리, 금일 이벤트(Event), M-Score, 이달 이동거리, 이달 이벤트(Event), 평균M-Score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나, 본 특허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되는 상세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될 수도 있다. 그룹, 차량 번호, 운전자, 연락처 등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총 이동 거리, 이달 이동 거리나 금일 이벤트, 이달 이벤트의 정보는 차량에 포함된 주행 정보 추출 장치에 의하여 추출되어 차량 모니터링 서버에 전달 수 있다. 총 이동 거리 및 이달 이동 거리는 차량 바퀴의 센서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M-Score는 차량 운행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운행 점수 제공부(26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알람 발생부(250)는 특정 차량이 그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그룹 허용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각 차량 그룹에 대하여 사용자는 그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타원형, 원형, 직사각형, 자유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그룹의 허용구역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지도에서 직접 선택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중심 위치와 반지름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각 차량 그룹은 그룹별로 서로 다른 허용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는 편리하게 다수의 차량에 대한 허용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는 모든 차량 그룹이 같은 허용 구력(360)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에서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360)은 타원형으로 표시되었다. 이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벗어난 차량(370)에 대하여 알람 발생부(250)는 알람을 발생한다. 알람의 발생 방식은 소리, 이메일 발송, sms 발송 등의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을 벗어난 차량은 깜박거림(blink)으로 표시하여 알람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는 적절하지 못한 위치에 있는 차량에 대해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운행 점수 제공부(2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 및 평균 운행 점수, 최대 운행 점수,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한다.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는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개별 운행 점수) = 100-((이벤트 횟수)/(운행 거리)*100)
제1 차량(101)이 100km를 가는 동안 20번의 이벤트가 있었다면 위 수학식 1에 따라 80점의 개별 운행 점수를 얻게 된다.
여기서 이벤트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접촉 사고, 급 감속, 급 가속 등 나쁜 운전 습관을 나타내는 이벤트만을 포함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운행 점수 산정 방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개별 운행 점수를 토대로 그룹별 평균, 최대,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월, 년 등)을 기준으로 운행 점수를 산정하여 그 기간에 대하여 개별 운행 점수 및 그룹별 평균, 최대,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차량에 대해 일정 기간(월, 년 등)을 기준으로 운행 점수를 산정하여 기간별 운행 점수 및 전체 기간에 대한 평균, 최대,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운행 점수 정보 중 일부를 표로 나타내면 표 2와 같다.
순위 차량번호 운전자 M-Score
1 서울3라1234 장동건 98점
2 서울4라1234 배용준 96점
3 서울5라1234 최진영 91점
4 서울6라1234 김봉남 90점
5 서울7라1234 배철수 88점
6 서울8라1234 서태지 87점
7 서울9라1234 이승엽 86점
8 서울10라1234 유재석 82점
중략
최고 서울1라1234 홍길동 98점
최저 서울2가1234 주정민 54점
평균 89.84점
표 2에 표시된 차량은 동일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이다.
이와 같은 운행 점수 정보 제공을 사용자는 용이하게 그룹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영상 제공부(270)는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차량은 주행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즉, 각 차량의 일정 부분 (앞, 뒤 등)에 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으며, 촬영된 영상은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되거나 차량 내부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영상 제공부(270)의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주행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차량(380)을 선택하여 주행 영상 표시 영역(390)에 주행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은 항상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메뉴 선택 등)에만 전달되면 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는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하거나 차량 내부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이벤트는 사고 발생 등의 경우로 사용자가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항상 주행 영상을 촬영하고 있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주행 영상은 지워버릴 수 있다. 다만, 사고 발생 등 이벤트가 발생하면 지우지 않고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이전부터 이벤트 발생 후 일정 시간까지의 영상은 영구적으로 보관하거나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 사고 발생시에 자동으로 주행 영상을 저장 또는 전달하여 사고 발생 원인을 용이하게 규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의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와 정보를 주고받는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는 주행 정보 추출부, 주행 정보 전송부, 주행 영상 추출부, 주행 영상 전송부, 알람 출력부 및 위치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정보 추출부(71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자동차의 위치와 주행 방식에 관한 포괄적 정보를 말한다.
주행 정보 추출부(710)가 추출하는 주행 정보는 위치 정보, 속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기타 측위 방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속도정보의 경우 차량 바퀴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거나, 위치 정보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 가능하다.
또한, 주행 정보는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벤트의 종류는 좌회전, 우회전, 급 감속, 급 가속, 접촉사고, 법규위반(과속, 신호위반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정보 추출부(710)가 추출하는 주행 정보는 급 가속, 급 감속, 사고 발생 정보, 좌회전, 우회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자동차의 핸들,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에 부착된 센서나 충격 감지 센서를 통해서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구성이나 정보 수집 방법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행 정보 전송부(720)는 상기 주행 정보 추출부(710)가 추출한 주행 정보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송한다.
주행 정보 전송부(720)는 주행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정보 전송부(720)는 주행 정보 전송 요청을 받은 때에만 주행 정보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행 영상 추출부(730)는 주행 영상을 추출한다.
주행 영상 추출부(730)는 차량의 앞쪽, 뒤쪽, 좌우, 대각선, 위, 아래 방향을 향하여 동영상 촬영기(캠코더)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된 동영상은 디지털화되어 주행 영상 전송부에 전달된다.
주행 영상 전송부(740)는 상기 주행 영상 추출부(730)가 추출한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한다.
주행 영상 전송부(740)는 주행 영상을 주행 영상 추출부(730)로부터 전달받으면 실시간으로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영상 전송부(740)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주행 영상 전송 요청 메시지를 받은 때에만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주행 영상 전송부(740)는 임시 영상 저장부(741) 및 임시 영상 전송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임시 영상 저장부(741)는 주행 영상 추출부(730)가 추출한 주행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저장한다. 제1 시간은 사용자 또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 제공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이 1분이라면, 촬영 이후 1분이 지난 영상은 임시 영상 저장부(741)에서 삭제된다.
임시 영상 전송부(742)는 주행 정보 추출부(710)가 사고 이벤트를 추출하면, 임시 영상 저장부(741)에 저장된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이 1분이라면, 사고 이벤트 감지 전 1분간의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임시 영상 저장부(741)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한 주행 영상은 삭제하지 않고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임시 영상 전송부(742)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주행 영상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요청 메시지 수신 전 1분간의 주행 영상을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750)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받는 알람을 출력한다.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는 차량의 위치 정보가 그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벗어날 경우 알람 메시지를 차량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한다. 차량 그룹의 허용구역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다.
즉,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가 차량의 이탈을 감지하면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에 알람 메시지를 전달하고, 알람 출력부(750)는 그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람을 출력한다.
알람 출력부(750)는 음성, 멜로디, 벨 소리 등 소리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알람 출력부(750)는 번쩍임(blink) 문자열 등으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용 구역을 벗어났습니다."라는 음성 알림과 함께 같은 내용의 텍스트를 차량에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면, 운전자가 허용 구역을 벗어났음을 바로 알 수 있어 허용 구역 내로 돌아가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760)는 현재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가 장착된 차량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 1의 그룹 구성을 따른다고 가정하고,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가 제2 차량(102)에 장착되었다면, 위치 정보 제공부(760)는 제2 차량(102)이 속하는 A 차량 그룹에 속하는 제1 차량(101) 및 제2 차량(102)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760)가 제공하는 위치 정보는 도 3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차량이 영업 본부 차량 그룹에 속한다면, 영업 본부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도 3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정보 추출부(7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영상 전송부(74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정보 추출부(710)는 차량 진단 처리부(711) 자이로스코프 센서(712), GPS 수신기(713) 및 센서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영상 추출부(730)는 촬영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고, 복수의 방향에서 접근하는 복수의 물체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복수의 물체들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착탈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영상 전송부(740)는 판정부(810), 충돌 연산부(820), 제어부(830), 버퍼부(840), 데이터 저장부(850) 및 데이터 전송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각 장치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 진단 처리부(711)는 지속적으로 차량 내부의 각 센서(ECU,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의 자가진단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화하고, 이를 제어부(8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차량 진단 처리부(711)가 차량 내부 센서(ECU)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830)로 전송한 자가진단정보는 차량의 고장진단정보, 차량 내 장치들의 현재상태, 속도 및 가속도의 변화, 등 차량 내부장치에서 발생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712)는 주행 중에 지속적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검지하여 실시간으로 충돌 연산부(820)로 보낸다. 판정부(810)에 의해 충돌이 판정되었을 때, 충돌 연산부(82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712)에 의해 검지된 차량의 진행 방향 및 GPS 수신기(713)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714)에 의해 검지된 속도 변화량 및 충격값에 근거하여, 충돌 방향을 연산하여 제어부(830)로 전달하고, 또한, 제어부(830)는 상기 충돌 연산부(820)에 의해 연산된 값에 따라 주행 영상 추출부(730)에 촬영각도를 변경하도록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
GPS 수신기(713)는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궤적을 연산한다. 위치 좌표 및 속도신호의 수신과 이로부터 궤적을 연산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부(714)는 차량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접근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검지하여 제어부(830)를 통해 판정부(810)로 보낸다. 또한, 상기 센서부(714)는 제어부(8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내부 센서(ECU)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GPS 수신기(713)로부터의 속도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 속도별 속도 변화량을 연산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여 그 충격값을 연산하여 제어부(830)를 통해 판정부(810)로 전송하며, 동시에 상기 속도 변화량 및 상기 충격값을 충돌 연산부(820)로 전송한다.
판정부(810)는 제어부(830)를 통해 수신한 상기 센서부(714)에 의해 검지된 거리를 미리 정해진 거리에 대한 임계값, 예를 들면 1미터와 비교하여 판정 결과를 제어부(830)로 전달하고, 제어부(830)는 상기 판정부(810)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 주행 영상 추출부(730)를 작동시킨다.
충돌 연산부(820)는, 판정부(810)에 의해 충돌이 판정되었을 때, 자이로스코프 센서(712)에 의해 검지된 차량의 진행 방향 및 GPS 수신기(713)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와 상기 센서부(714)에 의해 검지된 속도 변화량 및 충격값에 근거하여, 충돌 방향을 연산하여 제어부(830)로 전달하고, 또한, 제어부(830)는 상기 충돌 연산부(820)에 의해 연산된 값에 따라 주행 영상 추출부(730)에 촬영각도를 변경하도록 지시 신호를 전송한다.
충돌 연산부(82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712)에 의해 얻어진 차체의 진행 방향의 방위, GPS 수신기(713)에 의해 얻어진 차량의 위치 좌표 및 차량의 궤적, 및 상기 센서부(714)에 의해 얻어진 속도 변화량 및 충격값에 근거하여, 충돌에 의해 변경된 차체의 각도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변경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부(830)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830)가 카메라를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촬영각도를 변경시키도록 주행 영상 추출부(730)에 지시 신호를 전송하고 충돌 후의 상황을 끊김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830)는 상기 주행 영상 추출부(7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 진단 처리부(711)로부터의 데이터를 결합 처리하여 그의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버퍼부(840)에 임시 저장한다.
제어부(830)는 상기 판정부(810)에 의해 판정된 거리가 제1 임계값 이내인 경우 물체의 접근방향의 주행 영상 추출부(730)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임계값 이내의 거리에서의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된 촬영각도로 촬영을 하도록 하고, 상기 주행 영상 추출부(730)로부터의 영상과 차량 진단 처리부(711)로부터의 차량 자가진단 정보를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버퍼부(840)로 전송하고, 충돌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돌 연산부(820)에 의해 연산된 값에 따라 주행 영상 추출부(730)의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데이터 저장부(850)로 직접 전송한다.
상기 버퍼부(84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소정시간, 예를 들면 30초 동안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충돌이 없으면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고 연속하여 그 이후의 시간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판정부(810)는 또한, 상기 센서부(714)에 의해 얻어진 충격값과 주행 속도별 속도 변화량을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충돌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714)에 의해 얻어진 충격값에 대한 임계값은 예를 들면 대형 상용차의 경우는 0.6G이고, 승용차의 경우는 1G 정도이며, 상기 주행 속도별 속도 변화량에 대한 임계값은 예를 들면 10km/h이 될 수 있다.
상기 거리에 대한 임계값, 충격값에 대한 임계값, 및 주행 속도별 속도 변화량에 대한 임계값은 사용자, 차량 제조사 또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판정부(810)에 의해 충돌이라고 판정이 나면, 상기 충돌 이전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30초 동안 버퍼부(84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850)로 전달되고, 동시에 상기 제어부(830)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850)로 직접 전달되어 상기 버퍼부(8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결합하어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850)에 저장된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부(860)를 통해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86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8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표시부(230)의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상세 정보 표시부(240)의 인터페이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그룹 허용 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영상 제공부(270)의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7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정보 추출부(7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행 영상 전송부(74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제1 차량
102: 제2 차량
103: 제3 차량
104: 제4 차량
110: 제1 차량 그룹
120: 제2 차량 그룹
200: 차량 모니터링 서버
330: 지도 표시 영역
340: 상세 정보 표시 영역
360: 허용 구역
390: 주행 영상 표시 영역

Claims (10)

  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 및 평균 운행 점수, 최대 운행 점수,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하는 운행 점수 제공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주행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영상 제공부는 상기 차량의 이벤트 발생시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표시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발생부는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상기 제1 차량에 알람 메시지를 전달하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
  6. 차량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주행 정보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정보 전송부;
    차량의 주행 영상을 추출하는 주행 영상 추출부;
    상기 주행 영상을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영상 전송부; 및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받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상기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벗어날 경우 상기 알람 메시지를 상기 차량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 추출부는
    차량 내부 센서(ECU, 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의 차량 자가진단 정보를 처리하여 데이터 신호화하는 차량 진단 처리부;
    차량 진행 방향의 방위를 검지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궤적을 연산하는 GPS 수신기; 및
    접근하는 물체와의 거리, 제어부를 통해 차량 내부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GPS 수신기로부터의 속도신호에 따라 연산된 차량 주행 속도별 속도 변화량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연산한 충격값을 제어부를 통해 판정부로 전송하고, 상기 속도 변화량과 상기 충격값을 충돌 연산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영상 추출부는,
    촬영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고, 복수의 방향에서 접근하는 복수의 물체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복수의 물체들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착탈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영상 전송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지된 거리와 거리에 대한 제1 임계값을 비교하여 촬영개시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속도 변화량과 상기 충격값을 미리 정해진 제1 임계값과 비교하여 충돌을 판정하는 판정부;
    충돌로 판정되는 경우, 자이로스코프 센서에 의한 차량 진행 방향의 방위, GPS 수신기에 의한 위치 좌표 및 차량의 궤적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속도 변화량과 상기 충격값에 근거하여 충돌 방향과 변경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연산하는 충돌 연산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거리가 제1 임계값 이내인 경우 물체의 접근방향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임계값 이내의 거리에서의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된 촬영각도로 촬영을 하도록 하고, 상기 주행 영상 추출부로부터의 영상과 데이터 신호화한 상기 차량 자가진단 정보를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버퍼부로 전송하고, 충돌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돌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데이터 저장부로 직접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소정시간 동안 충돌이 감지되지 않으면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충돌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버퍼부;
    충돌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버퍼부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차량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영상 전송부는,
    차량 모니터링 서버의 요청을 받아 상기 주행 영상을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 버로 전송하는 차량 모니터링 장치.
  10.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차량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주행 정보를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정보 전송부;
    차량의 주행 영상을 추출하는 주행 영상 추출부;
    상기 주행 영상을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주행 영상 전송부; 및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받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모니터링 서버는,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그룹 정보 관리부;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별로 구분하여 지도상에서 표시하는 위치 정보 표시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이 속하는 차량 그룹의 허용 구역에서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 그룹에 속하는 차량의 개별 운행 점수 및 평균 운행 점수, 최대 운행 점수, 최소 운행 점수를 제공하는 운행 점수 제공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주행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주행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002376A 2009-01-12 2009-01-12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070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76A KR101070883B1 (ko) 2009-01-12 2009-01-12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76A KR101070883B1 (ko) 2009-01-12 2009-01-12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024A true KR20100083024A (ko) 2010-07-21
KR101070883B1 KR101070883B1 (ko) 2011-10-06

Family

ID=4264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376A KR101070883B1 (ko) 2009-01-12 2009-01-12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88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60B1 (ko) * 2013-02-26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 및 군집주행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선행 차량 선택 방법
CN104519098A (zh) * 2013-09-29 2015-04-15 北京锚盾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移动应用终端及后台服务器
CN104637326A (zh) * 2015-02-12 2015-05-20 深圳市凌启电子有限公司 基于云端服务的车辆驾驶安全系统
KR20170109427A (ko) * 2016-03-21 2017-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부착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8725B1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WO2021015418A1 (ko) * 2019-07-24 2021-01-28 (주)네오정보시스템 Rtk gnss 기반 운전면허시험 차량의 포지션 결정 장치
WO2021187802A1 (ko) * 2020-03-19 2021-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생성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4053803A1 (ko) * 2022-09-08 202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의 운전 점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전 점수 산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874A (ko) * 2011-12-21 2013-07-22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시험 채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주행 시험 채점 방법
KR102012399B1 (ko) * 2018-09-07 2019-08-21 주식회사 현렌터카 전세 자동차 관리시스템
KR102204199B1 (ko) * 2019-08-28 2021-01-18 주식회사 엔제로 자율주행 대중버스에 대한 차량 고장 진단 및 예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192A (ja) 2003-01-30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JP2005056005A (ja) 2003-08-07 2005-03-03 Ntt Docomo Inc サー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60B1 (ko) * 2013-02-26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 및 군집주행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선행 차량 선택 방법
US9037389B2 (en) 2013-02-26 2015-05-1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platoon travel and method for selecting lead vehicle
CN104519098A (zh) * 2013-09-29 2015-04-15 北京锚盾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移动应用终端及后台服务器
CN104637326A (zh) * 2015-02-12 2015-05-20 深圳市凌启电子有限公司 基于云端服务的车辆驾驶安全系统
KR20170109427A (ko) * 2016-03-21 2017-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차량 부착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8725B1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WO2021015418A1 (ko) * 2019-07-24 2021-01-28 (주)네오정보시스템 Rtk gnss 기반 운전면허시험 차량의 포지션 결정 장치
KR102209422B1 (ko) * 2019-07-24 2021-02-01 (주)네오정보시스템 Rtk gnss 기반 운전면허시험 차량의 포지션 결정 장치
WO2021187802A1 (ko) * 2020-03-19 2021-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생성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4053803A1 (ko) * 2022-09-08 202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의 운전 점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전 점수 산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883B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883B1 (ko) 차량 모니터링 서버, 장치 및 그 시스템
US10317240B1 (en) Travel data collection and publication
CN107608388B (zh) 自主警车
US20170132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riving to determine an insurance property
TWI627084B (zh) 用於感測器驅動車輛遙測應用與服務之開發及部署的運算平台
US20150268338A1 (en) Tracking from a vehicle
JP735515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3843044B (zh) 驾驶员辅助系统和用于运行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
US11003925B2 (en) Event prediction system, event predi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ame recorded therein
US20140379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riving to determine an insurance property
CN108860166A (zh) 无人驾驶汽车事故发生处理系统及处理方法
JP6827712B2 (ja) 制御装置、車載装置、映像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989749A (zh) 用于优先化驾驶员警报的系统和方法
CN106683464A (zh) 用于基于车辆动态输入向车辆提供警报的系统和方法
CN108844754A (zh) 用于评估高级驾驶员辅助系统的测试装置
US202000905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Driving-Assistance to Drivers of Vehicles
US202001264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location
CN105989745A (zh) 一种车辆违章信息的获取方法、装置及系统
GB2601841A (en) Scenario-based behavior specification and validation
JP2012243165A (ja)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TW201333896A (zh) 使用視訊雷達的遠距交通管理系統
CN112258837B (zh) 一种车辆预警的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1068556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lerting, and responding to an emergency vehicle
CN110675633A (zh) 用于求取违法行驶行为的方法,控制单元和存储介质
CN109308802A (zh) 异常车辆管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