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622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622A
KR20100082622A KR1020090001999A KR20090001999A KR20100082622A KR 20100082622 A KR20100082622 A KR 20100082622A KR 1020090001999 A KR1020090001999 A KR 1020090001999A KR 20090001999 A KR20090001999 A KR 20090001999A KR 20100082622 A KR20100082622 A KR 2010008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nel
suction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577B1 (ko
Inventor
박종찬
최인호
최동환
임남식
최한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5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류에 위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실내기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정용 공기 조화기와 산업용 공기 조화기로 대별된다.
상세히, 가정용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부착되는 벽걸이형, 바닥에 설치되는 상치형 및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형(또는 카세트형) 실내기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실내기에서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의 작동 및 공기 유동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공기의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류에 위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구 측으로 실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흡입 패널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대 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공기가 소음 저감부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과하므로, 난류 발생이 최소화될 수있 다.
또한, 난류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소음 저감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음 저감부의 전체 높이가 최대화되어 상기 소음 저감부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공기의 유로가 길어질 수 있고, 상기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상기 필터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로서, 도 2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고, 도 3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닫은 상태가 도시된다.
도 1에는 공기 조화기의 종류로서 일 례로 천정형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에는, 외관을 이루며 하측이 개구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패널(13)과,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7)와, 상기 열교환기(17)의 내측 공간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14)와,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팬 어 셈블리(14)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쉬라우드(16)와, 상기 팬 어셈블리(14)의 상류에 위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복수의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프런트 패널(12)에는 토출 베인(123)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 베인(12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1)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상기 실내기(10)가 온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기(10)가 오프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흡입구(121)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1) 주위에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124)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15)는 상기 오리피스(124)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124)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에서 상기 팬 어셈블리(14)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측에는 랙(18)이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상측부에는 상기 랙(18)과 결합되는 피니언(미도시)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 로 움직이고, 상기 흡입 패널(1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21)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방으로 움직여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구(121)를 커버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21)의 노출이 최소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패널(13)의 승강 수단은 상기에서 제시된 랙/피니언 구조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15)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상기 팬 어셈블리(14) 측으로 유동된다. 상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14)는 축방향 흡입/반경 방향 토출 방식의 원심팬(142)과, 상기 원심팬(142)을 구동하는 팬 모터(1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14)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를 통과한 다음 상기 토출구(122)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흡입 패널(13)과 상기 필터(15) 사에는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19)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소음 저감부(19)에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대 운동 가능하며, 상기 필터(15)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19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는 수직 단면이 일 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는, 중공을 가지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측면(192)은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중심 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측면(192)이 이루는 각을 θ1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는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에 일 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198)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흡입 패널(13)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부(195)는 수직 단면이 일 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부(195)는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 측을 향하여 경사진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이 이루는 각을 θ2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193)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θ2는 θ1 보다 크게 형성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하면 길이는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상기 공간(193)의 개구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 패널(13)의 완전한 하강 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이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제 1 가이드부(191)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 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에는, 상기 필터(15)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9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97)는 일 례로 후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와 상기 필터(15)의 결합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측면(192)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측면(196)은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면이므로, 이들을 가이드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저감부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내기(10)의 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서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원심팬(14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상기 필터(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흡입 패널(13)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상대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소음 저감 부(19)의 전체 높이는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하면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S)을 실내 공기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는 유동 방향이 변화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므로, 실내 공기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공간(S)을 유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소음 저감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는 상기 흡입 패널(13)의 중앙부에서 모인 상태에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 중앙부 측에서 난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난류가 발생하게 되면, 공기의 흡입이 원활해지지 않고, 공기의 유동 소음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 처럼 상기 흡입 패널(13)과 상기 필터(15) 사이에 소음 저감부(19)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가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흡입구(121)를 통과하므로, 난류 발생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난류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공기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음 저감부(19)에 의해서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면 중앙부 측에서 상기 공간(S)을 유동한 공기가 모이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의 중앙부 측에서의 난류 형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필터(15)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상단부까지 공기가 유동될 때 까지는 공기가 모이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10)의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외측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상기 오리피스(124)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의 공간(193)으로 인입되는 상기 제 2 가이드부(195)의 체적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필터(15)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부(19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전체 높이가 최대화될 수 있고,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필터(15)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전체 높이가 증가되는 것은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거리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소음 저감부(19)의 전체 높이가 증가될 수록 난류 발생은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흡입 패널(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1 가이드부(191)가 상기 흡입 패널(13)과 일 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191)의 공간(193)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95)가 삽입되기 위하여, θ1과 θ2 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가이드부의 결합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부(29)에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부(291)와,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29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프 패널(12)에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124)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124)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295)를 지지하는 지지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5)는 일 례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5)는 상기 지지부(12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295)에는 상기 지지부(125)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9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96)에는 결합 돌기(29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에는 상기 결합 돌기(297)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12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가이드부(295)가 상기 지지부(125)에 결합되 고, 상기 필터(15)가 상기 지지부(125)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15)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가이드부(295)가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 2 가이드부(295)가 상기 프런트 패널(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의 공간에 상기 제 2 가이드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θ1과 θ2 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음 저감부가 두 개의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소음 저감부 세 개 이상의 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상대 움직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로서, 도 2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고, 도 3에는 흡입 패널이 흡입구를 닫은 상태가 도시된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Claims (1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팬 어셈블리의 상류에 위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패널은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며,
    상기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 사이를 유동하고,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흡입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 사이를 유동하는 실내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에는,
    상기 흡입 패널에 위치가 고정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대 운동 가능한 제 2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프런트 패널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부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흡입 패널의 일면과 경사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 및
    상기 흡입구 측으로 실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흡입 패널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대 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흡입 패널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프런트 패널 또는 필터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부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이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흡입 패널의 일면과 경사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90001999A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99A KR101558577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999A KR101558577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22A true KR20100082622A (ko) 2010-07-19
KR101558577B1 KR101558577B1 (ko) 2015-10-07

Family

ID=4264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999A KR101558577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5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787A (zh) * 2016-10-25 2017-02-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室外机的导风组件及空调室外机
KR20210057988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CN113048602A (zh) * 2021-04-14 2021-06-29 苏州贝昂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净化器风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928A (ja)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4867746B2 (ja) * 2007-03-27 2012-0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334378B2 (ja) 2007-04-10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787A (zh) * 2016-10-25 2017-02-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室外机的导风组件及空调室外机
CN106369787B (zh) * 2016-10-25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室外机的导风组件及空调室外机
KR20210057988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엔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CN113048602A (zh) * 2021-04-14 2021-06-29 苏州贝昂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净化器风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577B1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57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62474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3739270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1339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442312B (zh) 一种吸油烟机
KR20080016670A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20140105084A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13004343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8262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11621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10008184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90873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における排水構造
KR10191195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7010001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8180484A (ja) 空気調和機
WO2022206483A1 (zh) 油烟机
KR10155857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19036845U (zh) 室内机及空调器
CN211551812U (zh) 一种室内机及空调器
WO2024066606A1 (zh) 室内机及空调器
JP4919632B2 (ja) 排気装置
WO2024066598A1 (zh) 室内机及空调器
KR20100086314A (ko) 공기조화기
KR20070000897A (ko) 터보팬
JP4715154B2 (ja) 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