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578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578B1
KR101558578B1 KR1020090002003A KR20090002003A KR101558578B1 KR 101558578 B1 KR101558578 B1 KR 101558578B1 KR 1020090002003 A KR1020090002003 A KR 1020090002003A KR 20090002003 A KR20090002003 A KR 20090002003A KR 101558578 B1 KR101558578 B1 KR 101558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ction port
reinforcing
cabinet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625A (ko
Inventor
박종찬
최인호
최동환
임남식
최한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5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한다. 상기 실내기에는, 내부에 팬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패널 부재;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 및 상기 패널 부재의 일면에 안착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된다.
실내기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실시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정용 공기 조화기와 산업용 공기 조화기로 대별된다.
상세히, 가정용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부착되는 벽걸이형, 바닥에 설치되는 상치형 및 천정에 부착되는 천장형(또는 카세트형) 실내기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천정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그릴 부분이 외부 노출된다. 따라서, 외관상 지저분한 느낌을 주게 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흡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흡입 패널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안한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내부에 팬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패널 부재;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 및 상기 패널 부재의 일면에 안착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패널 부재; 및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일 면에 놓이는 강도보강부재; 및 상기 강도보강부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흡 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므로, 상기 흡입구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강도보강부재 및 보강리브에 의해서 상기 흡입 패널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강도보강부재의 안내면을 따라 유동하므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에는 공기 조화기의 종류로서 일 례로 천정형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에는, 외관을 이루며 하측이 개구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하측에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패널(13)과, 상기 캐비닛(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7)와, 상기 열교환기(17)의 내측 공간에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14)와,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팬 어셈블리(14)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쉬라우드(16)와,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상측 부분에 위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4개의 토출구(122)가 형 성된다. 상기 프런트 패널(12)에는 토출 베인(123)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 베인(123)의 회전 각도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중앙부에는 실내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1)는 상기 흡입 패널(1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상기 실내기가 온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키고, 상기 실내기가 오프되면,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흡입구(121)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1) 주위에는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124)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15)는 상기 오리피스(124)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패널(13)의 상측에는 랙(18)이 구비되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상측부에는 상기 랙(18)과 결합되는 피니언(미도시)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패널(13)은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흡입 패널(1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21)가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 때, 상기 흡입 패널(13)이 하방으로 움직여 상기 흡입구(121)를 개방시키고,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패널(13)이 상기 흡입구(121)를 커버하므로, 상기 흡입 패널(13)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21)의 노출이 최소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패널(13)의 승강 수단은 상기에서 제시된 랙/피니언 구조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15)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상기 팬 어셈블리(14) 측으로 유동된다. 상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14)는 축방향 흡입/반경 방향 토출 방식의 원심팬(142)과, 상기 원심팬(142)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4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14)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7)를 통과한 다음 상기 토출구(122)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흡입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패널(13)에는, 판재 형상의 패널 바디(131)와,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에 놓이는 강도보강부재(135)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은 상기 흡입구(121)와 마주보는 제 1 면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패널 바디(131)는, 일 례로 상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바디(131)의 하면은 평면을 이루거나 라운드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패널 바디(131)의 하면이 평면을 이루는 것이 개시된다.
상기 패널 바디(131) 상면에는 상기 패널 바디(13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 리브(132)가 형성된다. 상기 각 보강 리브(132)는 상기 패널 바디(131)의 네 테두리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각 보강 리브(132)는 상기 패널 바디(13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각 보강 리브(132)는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개의 보강 리브(132)의 양측 단부는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132)는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
상기 각 보강 리브(132)의 상면(133)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부재(131)의 상면을 기준으로 각 보강 리브(132)의 중앙부 부분의 높이가 가장 높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든다.
한편,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132)가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132) 내측에는 상기 강도보강부재(135)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도보강부재(135)가 상기 수용공간(131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강도보강부재(135)는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강도보강부재(135)가 상기 패널 바디(1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132)는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의 측면 둘레를 감싼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132)에 의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13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보강리브(132)는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의 둘레를 지지하여,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의 위치 변경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강도보강부재(135)는 상기 수용공간(131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에 접착 부재(일 례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135)는 일 례로,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도부강부재(135)에는 상기 랙(18)이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구부(136)의 단면적은 상기 랙(18)의 수평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와 상기 랙(18)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32)와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강리브(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패널(13)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흡입패널(13)에 상기 보강리브(132) 만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리브(132)의 내면(132a)과 상기 패널 바디(131)의 상면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공기의 난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다수의 보강리브(132)의 내측에 상기 강도보강부재(135)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패널 부재(131)의 전체적인 강도가 더욱 증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리브(132)의 상측 부를 지난 공기가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므로, 난류 발생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측면에서 상기 강도보강부재(135)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라 이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도보강부재(135)의 상면(137)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면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강도부강부재(135)가 발포폴리스티렌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강도보강부재(135)는 다수의 구멍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구멍은 상기 캐 비닛(11)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일 례로 팬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상기 구멍에서 상쇄되거나, 상기 구멍에 의해서 위상 변위가 발생되어 특정 정상파를 가지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리브(132)를 상기 패널 부재(131)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상기 패널 부재(131)의 자체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어 강도가 향상되는 반면, 상기 패널 부재(131)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제작 비용이 증가되므로, 상기 보강리브(132)를 상기 패널 부재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패널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강도보강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흡입 패널(13)에는, 패널 부재(131)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132)와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132) 내측에 구비되는 강도보강부재(137)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강도보강부재(137)에는 상기 패널 부재(131)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38)와, 상기 베이스부(138)의 중앙부에서 융기되는 융기부(139)가 포함된다. 즉, 상기 융기부(139)는 상기 베이스부(138)에서 상기 흡입구(121: 도 2참조)를 향하여 융기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139)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138)의 상면을 연결하는 면(140: "안내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은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흡입구(121) 측으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흡입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패널의 수직 단면도.

Claims (10)

  1. 내부에 팬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패널 부재;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일 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
    상기 패널 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랙; 및
    상기 패널 부재의 일면에 안착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랙이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랙의 수평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패널 부재의 테두리부에 다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의 내측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리브의 양측 단부는 인접하는 보강리브의 단부와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리브의 상면은 라운드지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재질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일면에 놓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흡입구를 향하여 융기되는 융기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실내 천정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 부재는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캐비닛;
    상기 캐비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프런트 패널에 대해서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패널 부재;
    상기 패널 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랙;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일 면에 놓이는 강도보강부재; 및
    상기 강도보강부재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가 포함되며,
    상기 강도보강부재에는 상기 랙이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랙의 수평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패널 부재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재에는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90002003A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8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03A KR101558578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03A KR101558578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25A KR20100082625A (ko) 2010-07-19
KR101558578B1 true KR101558578B1 (ko) 2015-10-07

Family

ID=4264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003A KR101558578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5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79A (ja) 1999-10-20 2001-04-27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08241143A (ja) * 2007-03-27 2008-10-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8261519A (ja) 2007-04-10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79A (ja) 1999-10-20 2001-04-27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08241143A (ja) * 2007-03-27 2008-10-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8261519A (ja) 2007-04-10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625A (ko)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57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20755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949293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62474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155857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82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85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29331B1 (ko) 공기조화기
KR1026290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5009852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5474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060074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0502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20061937U (zh) 空调进风结构及风管式空调机
CN216346631U (zh) 空调室内机、空调器和家具组件
CN115244341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219913235U (zh) 空调器
CN219868409U (zh) 双风管固定组件及移动式空调器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060074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 승강구조
KR101396407B1 (ko) 공기조화기
KR101105755B1 (ko) 공기조화기
CN116164334A (zh) 空调室内机、空调器和家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