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551A - 열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0551A KR20100080551A KR1020107010052A KR20107010052A KR20100080551A KR 20100080551 A KR20100080551 A KR 20100080551A KR 1020107010052 A KR1020107010052 A KR 1020107010052A KR 20107010052 A KR20107010052 A KR 20107010052A KR 20100080551 A KR20100080551 A KR 201000805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porator
- load
- flow
- refrigerant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3—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nden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6—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 F25B2600/026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external to the compress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9—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series, i.e. multi-stage expansion,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증발기(130)에 압축 및 응축 후의 냉매가 적용된 열적 제어 루프의 열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110)은 증발기(130)의 입력 유동과 출력 유동 간의 열에너지를 교환함으로써 냉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냉매의 유동을 차단하는 보조 역류 열교환기(126)를 채용한다. 동일한 원리는 혼합상 매체를 사용하는 시스템 및 포화 유체로 직접 에너지 전달의 개념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효과적이며, 특히 소형의 접속이 이루어져야 할 때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Kenneth W. Cowans의 발명의 명칭이 "개선된 증기 사이클 시스템 및 방법"인 2007년 10월 9일자 미국 가출원 60/998,093, 및 발명의 명칭이 "포화 유체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향상된 후응축(post condensation)"인 2008년 1월 22일자 미국 가출원 61/011,862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공조, 냉동 시스템 및 기타 온도 제어 기기와 같이 증기 사이클 공정을 활용하는 열역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역학적 시퀀스에 대한 신규한 접근을 이용함으로써 그러한 시스템과 방법의 효율성 개선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많은 구성들로 발전되어 온, 산업 및 가정용 환경 온도 제어를 위한 많은 시스템들은 연속적인 증기 사이클 시퀀스를 채용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스템들은 적합한 기화점을 가진 냉매와 같은 2상 유체(two-phase fluid)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데, 우선 냉매를 고온의 기체상으로 가압한 다음, 이후 더 낮은 목표 온도까지 제어된 팽창에 적합한 엔탈피의 액체상으로 냉매를 응축시킨다. 이와 같이 냉각된 냉매는 일반적으로 불활성 열전달 유체를 사용함으로써 열부하와 열전달 관계를 가지며 이동되고, 이후 2상 냉매는 재가압 및 이후의 응축을 위해 폐 루프 내로 회수된다.
산업 및 가정용 온도 제어에 대한 이러한 접근으로부터 의미있는 출발은 최근 등록된 Kenneth W. Cowans의 특허 7,178,353 및 7,415,835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출발은 고온의 기체 가압 모드의 냉매와 팽창된 증기/액체 모드의 동일한 냉매의 유동을 혼합하는 신규한 온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팽창된 냉매 유동의 일부분과 가압된 고온의 기체의 적당량을 폐 회로 증기-사이클 냉동 시스템에서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 냉매 유동은 열교환기(HEX)에서처럼 부하와 열에너지를 직접 교환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열전달 효율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온도 수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변화시키는 면에서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이들은 중간 냉각제가 필요하지 않고 압력을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때때로 TDSF(Transfer Direct of Saturated Fluids; 포화 유체의 직접 전달)로 약칭되기도 하는 이러한 접근은 수많은 온도 제어 기기들에 탁월한 작업 및 경제적 이득을 제공한다.
상이한 유체 간의 특별한 열교환을 수반한 수많은 다양한 개선들이 온도 제어 시스템의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기 위해 제공되어 왔다. 예를 들어, 2003년 3월 10일자 Goth et al.의 특허 6,644,048은, 일련의 고온의 가압 기체를 저온의 냉매에 주입할 때 제어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열공정과 열교환 관계를 가지며 사용된 냉매를 직접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예컨대 시동, 청소 및 기타 목적을 위하여 더 낮은 온도 수준에서 더 높은 온도 수준으로의 전이를 돕기 위해 실시된다. Goth의 특허는 선택된 또는 가변 온도 수준에서의 제어를 개시하고 있지않으며, 감응성 전자 회로에 응축하는 수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 그 이상 횟수의 고온의 기체를 부가함으로써 온도 수준을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온도 범위에 있어서 정확하게 제어된 온도 수준을 발생시키는 근거로서 유용하지 않다.
다른 특허들도 특별한 효과를 내기 위해 특별한 HEX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발명의 명칭이 "액체 과공급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인 V.C.Mei et al.의 특허 5,245,833은 축합기-열교환기 내에서 열교환되는 "액체 과공급" 과정을 개시한다. 이러한 교환은 고온의 액체 냉매와 더 낮은 온도의 출력 냉매 간의 교환이며, 고온의 액체 냉매는 기화 부하로 적용되기 전에 냉각을 위해 팽창된다. 이러한 시퀀스는 냉매를 과냉각(subcool)시켜 증발기 표면의 더 많은 부분이 냉각에 사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접근의 이후 변형으로는 발명의 명칭이 "통합된 축합기-팽창기-열교환기를 구비한 액체 과공급형 냉동 시스템 및 방법"인 V.C.Mei의 특허 5,622,055에 개시되어 있다. 이 변형은 액체 냉매 층에 잠겨있는 모세관을 이용하여 냉매를 더 낮은 수준으로 과냉각시킴으로써 열전달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접근은 특별히 개량된 증발기와 교환기들을 구비한 단일화된 증기 사이클 구성을 요구하며, 효율성 향상과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현재의 압축기-응축기 시스템들을 개량하기에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에너지 절약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 또한 동일한 발명자 팀들에 의해 2개의 열펌프 특허들, 즉 발명의 명칭이 "개선된 서리 제거 시스템을 위한 열펌프"인 F.C.Chen et al.의 특허 5,845,502, 및 발명의 명칭이 "열펌프 온수기 및 그의 제조 방법"인 V.C.Mei의 특허 6,233,958에 개시되었다. 사용된 수단은 주로 열펌프 접근에 관한 것이며, 에너지 보존을 위하여 현재의 증기 사이클 시스템을 개량함으로써 열효율성이 어떻게 실행가능하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안하지 않았다.
에너지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에너지원의 사용에 대한 제한에 계속 직면함에 따라, 현재 시스템들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음이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적으로 온건하게 개선하더라도 그러한 시스템들이 사용되는 오랜 기간 동안 실질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의미있는 효율성 향상, 에너지 비용 절감, 또는 모두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사이클 시퀀스의 열역학 면에서 경제적으로 실현가능한 어떤 개량은 증기 사이클 시스템들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한 Cowans의 특허에 따르면, 포화 유체(TDSF 접근)를 이용하는 열에너지의 직접 전달이라는 본래의 장점 때문에 사실 실질적인 이득은 얻어진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고온의 기체, 및 액체와 혼합된 팽창 증기 모두를 통합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이클 동안 압력-엔탈피 상호작용이 본래 더 복잡한 증기 사이클 구성을 채용한다. 이러한 두 유동 매체의 열교환 특성 간 불균형 때문에, 특히 보정이 작고 부하가 낮을 때, 온도 제어 기기들에 불안정성과 부정확성이 발생할 수 있다. TDSF형 시스템들의 내부 효율성 향상은 이득일 수 있지만 특별한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냉동 또는 열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증기 사이클 시스템의 개선은 압축된 응축 냉매의 팽창 후 추가적인 열교환 단계를 포함하도록 종래의 증기 사이클을 변경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러면, 팽창된 냉매와 증발기로부터의 회수 유동 사이에 이러한 열에너지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고, 향상된 후응축(EPC)을 도입하는 제어된 압력 강하가 뒤따른다. 부하와의 에너지 교환 동안, 후응축은 증발기로 전달된 냉매의 질적 수준(총질량에 대한 증기 질량의 비)을 낮추고, 효과적인 열전달계수(h)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수단은 증발기를 통해 이동하는 질량의 밀도 크기를 증가시키고, 도입된 압력 강하를 감소시켜 증발기의 낮은 효율성 영역에서의 열전달 손실을 최소화한다. 최대 가열이 요구되는 시간 동안, 팽창된 증기와 액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압력강하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된 압력 강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압력차를 도입한다.
팽창된 액체/증기 혼합물은 가압된 입력을, 증발기에 앞서, 2상 HEX의 하나의 측면에 공급하고, 부하에 적용한 이후 HEX는 증발기로부터 유래된 출력 유동도 수용한다. 압력 강하 밸브는 열팽창 밸브로 냉각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 과열의 질량과 동일한 양의 온도 강하를 2상 혼합물에 도입한다. 이렇게 생성된 온도 강하로 HEX 안에 하나의 유동에서 다른 유동으로 열이 이동한다. 주어진 온도 제어 유닛 안에 비교적 작은 HEX와 압력 강하 장치의 도입으로 인해 h의 전체 이득(gain)이 달성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효율성의 순이득이 된다.
이러한 원리를 TDSF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부하보다 비교적 더 작은 보조 HEX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사용하고, 추가 응축을 도입하기 위하여 열을 보조 HEX를 가로질러 이동시킬 수 있는 온도차를 발생시키는데 압력강하밸브를 사용한다. 이러한 조합은 시스템 효율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의 편차를 제한 및 평탄화함으로써 TDSF 시스템을 독특하게 작동시킨다. 온도 수준의 작은 변화는 혼합물로 고온 기체의 유입시 정확한 밸브 제어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약간 더 높은 온도가 요구되거나 및/또는 낮은 유동이나 전력 수준에서 작동되어야 하는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가압된 고온의 기체 소스는 (팽창 후 응축된 액체 증기 입력보다) 훨씬 더 큰 잠재 에너지 입력을 나타내므로, 온도가 비교적 적은 양으로 상승될 경우, 안정성과 정확성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선된 후응축의 채용은 고압에서 순수한 가스 매체의 유속을 변경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가열과 냉각을 번갈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온도의 제어는 특히 더 높은 온도에서 훨씬 더 정확해진다. 유동 경로 상의 HEX 및 압력강하밸브는 온도상승 변화율을 평탄화하고 열역학적 균형을 보장함으로써 열에너지 교환의 비선형성을 보상한다. 따라서, TDSF 환경에서 EPC를 채용함으로써, 변화 증가율 및 수반된 전원 수준에 상관없이, 더 높은 안정적인 온도 수준을 더 빨리 달성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EPC)을 구현하는 개선된 증기 사이클 온도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묘사이다.
도 2는 에어 칠러(air chiller)로서 사용되는 종래의 증기 사이클 시스템의 증발기의 길이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 변이 그래프로, 증기-사이클 냉각 시스템에서 EPC를 사용한 실제 효과를 보여준다. EPC를 사용하여 h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HEX에 의해 흐르는 공기에 동일한 냉각 효과를 발생시키면서 증발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향상된 온도"는 EPC를 사용하지 않고 15℉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온도(25℉)이다. 그러한 시스템의 효율성은 이러한 변화에 의해 20% 이상 상승된다.
도 3은 증발기 내부에 2상 유체의 유동 중 떠나는 증기 분류(fraction)의 비율에 따른 h의 변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증발기 내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른 h의 변이의 그래프 묘사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을 이용하는 증기 사이클 시퀀스의 변이를 보여주는 엔탈피 대 압력의 몰리에 선도(Mollier diagram)이다.
도 6은 포화 유체(TDSF) 개념의 직접 전달과 함께 향상된 후응축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묘사이다.
도 7은 도 6의 시스템에서 2상 냉매의 사이클 동안 변화의 일반적인 시퀀스를 보여주는 엔탈피 대 압력의 몰리에 선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6의 시스템의 사이클동안 다양한 작동 상태 및 열역학 요소들의 변화들을 보여주는 몰리에 선도로, 관련 조건을 설명하고 작은 보정을 하는데 유용하다.
도 9는 더 좋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을 구현하고 종래의 작업으로 전환가능한 변형을 포함한, 상업적인 공조 냉각 시스템을 위한 개량된 열적 제어 시스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향상된 후응축을 이용하는 다른 시스템의 블록도 묘사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몰리에 선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EPC)을 구현하는 개선된 증기 사이클 온도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묘사이다.
도 2는 에어 칠러(air chiller)로서 사용되는 종래의 증기 사이클 시스템의 증발기의 길이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 변이 그래프로, 증기-사이클 냉각 시스템에서 EPC를 사용한 실제 효과를 보여준다. EPC를 사용하여 h의 값을 증가시킴으로써, HEX에 의해 흐르는 공기에 동일한 냉각 효과를 발생시키면서 증발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향상된 온도"는 EPC를 사용하지 않고 15℉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온도(25℉)이다. 그러한 시스템의 효율성은 이러한 변화에 의해 20% 이상 상승된다.
도 3은 증발기 내부에 2상 유체의 유동 중 떠나는 증기 분류(fraction)의 비율에 따른 h의 변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증발기 내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른 h의 변이의 그래프 묘사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을 이용하는 증기 사이클 시퀀스의 변이를 보여주는 엔탈피 대 압력의 몰리에 선도(Mollier diagram)이다.
도 6은 포화 유체(TDSF) 개념의 직접 전달과 함께 향상된 후응축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묘사이다.
도 7은 도 6의 시스템에서 2상 냉매의 사이클 동안 변화의 일반적인 시퀀스를 보여주는 엔탈피 대 압력의 몰리에 선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6의 시스템의 사이클동안 다양한 작동 상태 및 열역학 요소들의 변화들을 보여주는 몰리에 선도로, 관련 조건을 설명하고 작은 보정을 하는데 유용하다.
도 9는 더 좋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을 구현하고 종래의 작업으로 전환가능한 변형을 포함한, 상업적인 공조 냉각 시스템을 위한 개량된 열적 제어 시스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향상된 후응축을 이용하는 다른 시스템의 블록도 묘사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내는 몰리에 선도이다.
예시만을 위해 도시된 EPC를 포함한 예시적인 열적 제어 시스템은 유리하게 상업적인 공조 냉각 시스템일 수 있으며, 참조되는 도 1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열역학 사이클에서 서로 다른 지점을 언급할 때, 편의상 숫자를 괄호 친 (T1) 내지 (T9)로 도면에 표시하고 명세서에 언급하였다. 시스템(110)은 고온 가압 기체로서의 고압 출력을 응축기(114)에 공급하는 종래의 압축기(112)를 구비한 증기 사이클 냉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응축기(114)는 냉매의 온도를 주위 온도 또는 주위 온도에 근접한 온도에서 일차 액체 상태까지 감소시킨다. 응축기(114)는 액체 냉각 또는 공기 냉각될 수 있고, 조절된 냉각체 제어를 사용하거나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응축기(114)로부터 액화된 가압 생성물은 외부 평형된 열팽창 밸브(이하, TXV)(119)로 입력된다. TXV(119)는 내부에 흐르는 유량을 결정하는 종래의 내부 격판(미도시)을 구비한다. TXV(119)의 격벽은 라인(133)을 통해 TXV(119)와 연통하고 압축기(112)까지 이어지는 입력 라인(124)의 압력과, 배관 라인(120)을 통해 연통하는 폐 부피 벌브(closed volume bulb)(122)에 포함된 액체의 압력 간 차이에 반응적이다. TXV(119)의 격벽과 연통하기 위하여, 벌브(122)는 입력 라인(124)의 압력이 측정되는 지점(136)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입력 라인(124)과 열적으로 밀접하게 연통하며 위치한다. 달성가능한 최저 온도에서 최대 냉각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TXV(119)는 개폐시 이러한 압력차를 이용한다.
(T6)지점에서 TXV(119)의 팽창된 출력은 부하(130)인 증발기로 이어지는 냉매 경로상의 보조 HEX(126)의 하나의 입구로 전달된다. 보조 HEX(126)에서, TXV(119)로부터 팽창된 유체는 시스템 부하(증발기)(130)로부터 (T9)지점에서 회수된 냉매와 열교환 관계를 가지며 흐르고, 시스템 부하(130)는 궁극적으로 흡입 입력 라인(124)을 압축기(112)로 제공한다. 따라서, 부하(130)로부터 HEX(126)를 통해 압축기(112) 입구까지의 이러한 회수 라인은 개선된 열전달을 제공하도록 구성 및 작동하는 보조 열교환 루프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증발기(130)까지의 이 보조 루프에 있어서, (T6)지점에서 TXV(119)로부터의 유출은 우선 HEX(126)를 통해 안정화 유동 임피던스를 지나간다. 따라서, 안정화 유동 임피던스는 TXV(119) 또는 사용된 기타 팽창 장치로 냉각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 최대 과열보다 다소 더 큰 온도 강하를 도입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안정화 임피던스는 제어된 압력 강하를 제공하는 차동 또는 델타 압력(△P) 밸브(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발기(130) 과열은 안정적인 작동에 중요한 요인이므로, △P 밸브(132)는 증발 냉매와 냉각 중인 부하 간의 차를 근사화시키는 온도 강하를 유도한다.
작동시, 도 1의 시스템은 증기 사이클 시스템의 기본적인 압축 및 응축 기능을 제공하여 액화된 가압 냉매를 TXV(119)로 공급한 다음, 도 1의 (T6)지점에서 냉매의 팽창을 제어하여 그에 따라 냉각의 주요한 양을 제어한다. 대안적으로, 고정 구멍(aperture) 및 압력 강하를 구비한 모세관이 사용될 수 있지만, 고효율성을 위해 설계된 시스템에는 TXV(119)가 더 기능적이다.
또한, 도 1은 EPC 없는 표준 증기 사이클을 도시한다. 부하(130)로부터 유출된 유동이 점선으로 도시된 라인(135)을 통해 이동할 경우, 이 유동은 EPC HEX(126)을 바이패스하고 압축기(112)로 곧장 흘러갈 것이다. 이러한 경우, 밸브(132)는 그 어떤 특정 용도를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단지, TXV(119)의 임피던스의 일부분일 것이다. 그러면, 시스템은 틀림없는 표준 증기-사이클 냉각 시스템으로서 기능할 것이다.
EPC HEX(126)에 있어서, 열역학 사이클은 일반적인 사이클에 근본적인 변형을 겪어 증발기(130)의 회수 유동과 입력 유동 간의 열에너지를 교환한다. 도 5에는, (T9)지점부터 (T1)지점까지 증발기, 즉 부하(130)로부터의 회수 라인의 유동과 (T6)지점부터 (T7)지점까지 TXV(119)로부터 증발기(130)까지의 입력 유동 사이의 교환을 보여주는 몰리에 선도를 포함한다. 그 후, 냉매가 인접한 △P 밸브(132)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입력 유동의 온도는 감소된다. 이러한 보조 열교환 루프 내에서, 도 5의 압력 대 엔탈피 몰리에 선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유동의 (T6) 및 (T7) 지점들과 회수 유동의 (T9) 내지 (T1) 지점들 간의 열에너지 교환은 효과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는 향상된 후응축을 가능하게 한다. (T6)부터 (T7)까지 입력 냉매의 엔탈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T9)부터 (T1)까지 액체를 끓일 때, 냉매는 액체를 HEX(126)의 다른 측면에서 응축시키기에 충분한 냉각을 제공한다. 이러한 열전달은 (T7 ,6)부터 (T9 ,1)까지의 온도차에 의해 기동된다. 이러한 온도차는 압력 강하 밸브(132)의 효과에 의해 생성된다. △P 밸브(132)의 압력 강하는 온도를 감소시킨다. HEX(126)와 △P 밸브(132)의 결합 효과는 부하(130)로 전달되는 냉매의 품질(총 질량 백분율에 대한 증기 질량 백분율)을 감소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의 질량이 변함에 따라 일반적인 증발기(130)의 길이를 따라 존재하는 상이한 열전달 특성이 보상되기 때문에, 이것은 본 시스템에서 달성되는 효율성 향상에 중요하다. 도 2를 참조하여, 경제적으로 정당한 증발기의 설계에서 실제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종래의 증발기는 길이의 대부분에 대해 일정한 단면적을 기초로 비교적 경제적인 구성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증발기 길이를 따라 영역들 간의 상이한 간격을 위하여, 그러한 통로에서 열전달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h는 단위 단면적 당 최대 질량 속도, 및 증기와 액체 혼합물의 "품질"에 좌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증발기의 영역 I 안으로 이동하면, 혼합물 속의 액체가 끓어 공지된 열전달률을 제공한다. 비등(boil off)은 혼합물의 선속도를 증가시키며, 그로써 품질이 약 70%를 초과할 때까지 열전달계수를 최대로 끌어올린다. 이것은 도 4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혼합물 속의 액체가 HEX의 벽을 적절하게 적시지 못하는 지점까지 그 양이 줄어들 때, 즉 도 2의 영역 II의 시작 부분에서, h는 하락한다. 냉매가 순수한 기체에 가까울 수록 더욱 급격히 하락한다. 이것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2의 영역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은 순수한 기체만 해당되며, 이는 상당히 효율적이지 못하다.
보조 HEX에서 하나의 유동과 역류 간의 온도차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 강하 밸브(132)에 의해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온도차는, 압축기(112)의 입구로 이동할 때, 부하(130) 내 2상 유체의 끓는 온도와 순수한 기체의 온도 사이의 거의 동일한 차이에서 정해진다. 이 온도차는 증발기 "과열"이라로 불리며, 실제적으로 약 3℃ 내지 약 15℃ 사이에서 다양하다.
TXV(119)의 격벽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는 TXV(119)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므로, TXV(119)는 과열의 측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5℃의 최대 과열에서, 예를 들어, R134a 냉매 사용시, 압력차는 약 3.3 bar (약 50 psi)이며, 완전히 개방된 밸브를 나타낼 것이다. 압력차가 0 bar에 가까워지고 과열이 0에 근접하면, TXV(119)는 폐쇄되거나 거의 그렇게 될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TXV(119)에 결합된 감지 벌브(122)를 충진하는 유체는 냉각 사이클에 사용된 냉매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증기 압력을 갖도록 선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6)지점부터 (T8)지점까지 후응축 단계에서 압력 강하는 냉각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 과열과 대략 동일한 온도 변화를 도입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냉매의 열역학, 속도 및 품질이 변함에 따라 h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 도 3에 있어서, h는 상이한 "떠나는 증기 분류들"의 열전달값을 그래프로 보여주는 반면, 도 4는 도 2의 4개의 영역들과 관련하여 증발기의 길이에 대한 h의 변이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증발기의 건조 말단에 가까울 때, h가 50%를 초과하여 하락하는 것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러한 끊임없는 하락은 증기/액체 비율의 변화에 따른 냉매의 질량 상태 결과로, 증발기 내의 실제적인 설계 수단에 의해 경제적으로 해결될 수 없다. 소위, 만액식(flooded) 증발기는 증발기의 중량과 크기가 중요한 설계 파라미터인 기기에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증발기 내 과열은 0으로 유지된다. 소량의 액체,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10%의 액체가 증발기를 떠나는 냉매에 남아있다. 이는 냉매가 온도가 다소 상승된(과열된) 순수한 기체로 증발기를 떠나는 경우보다 덜 효율적이지만, h의 증가(도 4 참조)로 가능해진 더 작은 증발기는 자동 공기 공조기 등과 같은 기기들의 감소된 효율성을 보상한다. 다가오는 에너지 부족 때문에, 효율성의 결여는 과거보다 현재 덜 바람직하다.
도 10은 보조 HEX(126)가 TXV(119) 뒤보다는 앞의 냉매의 유동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1과 다른 EPC 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스템은 EPC HEX(126)을 가로지르는 온도차가 더 크고 압력 차동 밸브(132)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을 제공한다. 적당한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HEX(126)는 이 시스템에서 병렬 유동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TXV(119)로부터 라인(124) 상의 벌브(122) 위치까지의 회로에는 작은 압력 강하만이 잠재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도 10의 시스템을 내부 평형된 TXV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시스템의 몰리에 선도를 보여준다. 도 1의 시스템에 관한 도 5와 마찬가지로, 이 그래프는 EPC 개념의 효율성을 보여준다. 시스템이 표준 증기-사이클 시스템으로 기능할 경우, T4부터 T8까지의 팽창은 끓이는 부하(130) 내 열전달을 45% 품질의 혼합물을 5℃의 과열까지 남겨둘 것이다. EPC의 적소 사용시, T8부터 T9까지의 비등은 혼합물의 품질을 5%에서 65%까지 변화시킨다. 이것은 도 1의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식으로 부하(130)에서 HEX의 열전달 효율성을 분명히 증가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SF형 온도 제어 시스템은 특허 7,178,353에 개시된 것에 해당하지만, TDSF 시스템의 기본적인 작동 특성의 변경 없이, 향상된 후응축(EPC) 변형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610)에 있어서, 도 1의 시스템(110)의 대응물들과 유사하게 기능하는 유닛과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된다. 2상 냉매 매체는 종래의 압축기(112)에서 가압되고, 그의 출력은 두 가지 경로로 나눠지는데, 그 두 경로 중 하나는 응축기(114)를 향한다. 응축기(114)는 외부 HEX(615)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외부 HEX(615)는 종래의 공급원, 여기서는 설비 수원(facility water source)(616)으로부터 유동을 수용한다. 유동은 응축기(114)로부터의 출력을 선택된 수준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밸브(617)에 의해 조절된다. 압축기(112)로부터 하나의 유동 경로는 제1 액체/증기 경로(618)로, 응축기(114)를 통해 열팽창 밸브(TXV)(119)로 이어진다. 압축기(112)로부터 제2 유동 경로는 분기점부터 진행되며, 비례 밸브(proportional valve)(625)로 이어지는 고온의 가스관(624)을 포함한다. 비례 밸브(625)는 시스템 제어기(631)의 제어하에 작동되고, 두 개의 관들(618, 624)은 혼합 메커니즘, 즉 회로(633)로 이어진다. 상기 Cowans의 '353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가스관(624) 내 유동은 비례 밸브(625)로부터 체크 밸브(632)를 통해 혼합 배관(mixing tee)(640)의 하나의 입구로 이어진다. 혼합 배관(640)의 다른 입구는 TXV(119)를 통해 이동하는 유동을 수용하는 △P 밸브(132)를 통해 적용되고, △P 밸브(132)는 혼합 배관(640) 내의 압력과 온도를 소정의 양만큼 감소시킨다.
일체형 듀얼 유동 열적 제어 시스템(610)의 작동시, 고온의 기체와 유체/증기의 조정가능한 혼합물은 소정의 압력과 온도에서 혼합 배관(640)으로부터 흘러 나와서 부하(630')를 향하는데 궁극적으로 부하(630')를 통해 이동한다. 그 후,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작동을 보장하는 다양한 공지된 요소들과 장치들을 포함하는 유동 경로들을 통해 부하(630')로부터 압축기(112)의 입구로 회수된다. 예를 들어, 열팽창 밸브(119)는 라인(120)을 통해 압축기(112)로 이어지는 회수 라인(124)과 열적으로 교통하는 벌브(122) 근처의 영역에서 회수 라인(124)으로부터 입력된 압력에 의해 외부적으로 평형된다. TXV(119)는 출구 라인(124)으로부터 라인(133)을 관통하는 압력 탭(pressure tap)을 통해 평형된다. 따라서, TXV(119)를 이용하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모든 EPC 시스템에서 TXV(119)는 외부적으로 평형되는 것이 필요하다. TXV(119)와 벌브(122)의 위치 사이에 큰 압력차가 있음이 틀림없다. 이것은 차동 압력 밸브(132)에 의해 생성된 압력차 때문이다. 내부적으로 평형된 TXV들은 벌브의 압력과 TXV 출구에서의 압력 사이의 차이를 측정한다. TXV와 벌브(122) 근처의 회로 사이에 명목상의 압력차보다 더 큰 압력차가 존재할 경우, TXV는 외부적으로 평형되어야 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EPC 시스템에 흔한 일이다. 또한, 회수 유동은 압축기(112)로 제공되는 압력을 원하는 한계 내에서 조절하는 CRO(close-on-rise) 조절기(650)를 통해 이동한다. 유속은 응축기(114)의 출구와 압축기(112)의 입구 사이에 과열저감기 밸브(DSV; desuperheater valve)(652)를 포함한 분기점에 의해 허용가능한 온도 한계 내에서 유지된다.
종래의 실시에 따르면, 과열저감기 밸브(652)는 압축기(112) 입구 근처의 벌브(654)로부터 입력되는 압력을 수신한다. 제어기(631)에 반응하는 히터(656)는 압축기(112)가 액체 성분을 포함한 입력을 수용하지 않도록 포함된다. 고온의 기체 바이패스 밸브(659)를 압축기(112) 입출구 사이의 피드백 라인에 포함함으로써 작동 안정성이 추가로 얻어진다.
혼합 메커니즘(633)으로부터 부하(630')로 이어지고 혼합 배관(640)을 포함하는 입력 라인은 EPC HEX(126)의 하나의 측면을 통과한 다음, 부하(630')로 적용되기 전에 △P 밸브(132)를 관통한다. 부하(630')로부터 압축기(112)를 향하는 회수 유동은, 궁극적으로 압축기(112)에 다다르기 전에, 매개된 밸브들과 장치들을 통해HEX(126)의 반대 측면을 통과한다.
또한, 분로 배관(shunt line)(664)은 비례 밸브(625)와 그 뒤에 위치한 고온의 가스관(624) 사이의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바이패스로 구현되기 때문에, 고온의 기체 유동의 신속한 폐쇄가 실현될 수 있다. 바이패스관(664)은 솔레노이드 밸브(SXV)(663) 및 오리피스(662)를 포함한다. 신속한 온도 강하가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혼합 배관(640)으로 흐르는 고온의 기체 유동을 효과적으로 급격히 줄여 라인(672)의 냉각된 팽창 유동만으로 작동 온도를 결정하도록 제어기(631)는 SXV(663)을 개방한다.
도 7의 몰리에 선도를 참조하여, 향상된 후응축(EPC)을 구비한 TDSF 시스템에 있어서, 부하의 조건에서 열전달 사이클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는 전이 지점들 간의 압력 엔탈피 선도의 단계를 거친다:
1지점 = 압축기(112)로 입력
2지점 = 압축기(112)로부터 출력
3지점 = 응축기(114) 내 냉매의 액화점
4지점 = 응축기(114)의 과냉된 출력 및 TXV(119)로 입력
5지점 = EPC 시스템으로 향상되지 않은 경우, TXV(119)로부터 출력
6지점 = TXV(119)로부터 출력 및 HEX(126)로 입력
7지점 = HEX(126)로부터 출력
8지점 = △P 밸브(132) 이후의 출력
9지점 = 열을 흡수한 후 부하(630')로부터 출력
(HEX(126) 이후 1지점으로 회수)
도 7에 도시된 사이클에 있어서, 1지점으로부터 2지점, 3지점, 4지점까지 상태가 변한 다음, 6지점까지 하강하고, HEX(126)을 통해 이동한 다음, 7지점에서 다시 돌아온다. 7지점에서 냉매는 압력 강하 밸브(132)를 통해 8지점까지 이동한다. 이후, 유동은 1지점으로 되돌아와 다시 재순환하며, 원래 그렇듯이, 도 6의 더 작은 HEX(126) 내에서 부하-지향적 유동 경로 상의 유동과 열에너지를 교환한다. 이러한 전체적인 개요는 넓게는 도 1의 EPC 도면과 관련하여 도시된 도 5의 몰리에 선도에 해당한다. EPC의 사용으로 제공되는 h의 증가는, 도 4를 참조하여, 실제 종래의 HEX의 평균 h에 필적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TDSF는 2지점에서 고온의 기체로부터 열부하를 도입함으로써 온도를 변화시킨다. 이것은,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하(630')에서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TDSF는 열부하를 부가한다. 도 7에 도시된 사이클에 있어서, 표준 사이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열부하는 5지점부터 1지점까지의 엔탈피 변화로 나타난다. 5T0지점부터 1지점까지의 엔탈피 변화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하에 대해, 5지점부터 1지점까지의 냉각 잠재성은 과도하다. 열부하가 부가되지 않으면, 사이클은 도시된 온도 아래로 부하(630')를 냉각시킬 것이므로, 따라서 온도 제어는 불필요할 것이다. TDSF 시스템은 2지점부터 2T0지점까지 팽창된 적당량의 고온의 기체를 8지점의 혼합물과 혼합함으로써 열부하를 부가하여, 이에 따른 결과물은 5T0지점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시스템과 열부하(630')는 정확하게 조절된 온도에서 균형을 이룰 것이다.
부하(630')를 냉각시킬 때, 혼합물이 열을 흡수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증기와 액체의 고품질 혼합물에 열전달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혼합물이 70%에서 100% 품질로 액체를 끓일 때, h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할 것이다. 이 결과로, 부하(630')는 고품질의 혼합물 및 과열 기체에 의해 국부적으로 냉각된 영역의 온도가 증가할 것이다.
EPC 시스템은 이 문제를 극복한다. EPC 시스템은 2T0지점까지 팽창된 고온의 기체와 밸브(132)의 출력을 혼합한다. 이러한 경우, 결과로 얻은 혼합물은 8T0지점에서 혼합된다. 그런 후, 부하(630')를 9지점까지 냉각시킬 때, 혼합물이 끓는다. 따라서, 혼합물이 부하(630')를 떠날 때, 약 74%의 품질을 가지며, h는 최대이거나 최대에 가깝다. 그 후, 혼합물이 HEX(126)의 출구 측으로 들어가면, 혼합물을 HEX의 입구 측에서 후응축시킬 뿐만 아니라 그 공정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손실을 냉각시킨다. 유입 유체를 6지점부터 7지점까지 냉각시키는 동안, 유출 유체를 9지점부터 1지점까지 가열시킨다. 이러한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h가 낮다는 사실은 부하(630')의 온도에 중요하지 않다.
TDSF는 2지점에서 고온의 기체로부터 열부하를 도입함으로써 온도를 변화시킨다. 이것은,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하(630')에서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DSF는 온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열부하를 부가한다. 도 7에 도시된 사이클에 있어서, 표준 사이클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열부하는 5지점부터 1지점까지의 엔탈피 변화로 나타난다. 5T0지점부터 1지점까지 엔탈피 변화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하에 대해, 5지점부터 1지점까지의 냉각 잠재성은 과도하다. 부가된 열부하가 없으면, 사이클은 도시된 온도 아래로 부하(630')를 냉각시키고, 그에 따라 온도 제어는 불필요할 것이다. TDSF 시스템은 2지점부터 2T0지점까지 팽창된 적당량의 고온의 기체와 8지점의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열부하를 부가하여, 이에 따른 결과물은 5T0지점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시스템 및 열부하(630')는 정확하게 조절된 온도에서 균형을 이룰 것이다.
부하(630')를 냉각시킬 때, 혼합물이 열을 흡수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증기와 액체의 고품질 혼합물에 열전달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혼합물이 70%에서 100% 품질로 액체를 끓일 때, h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할 것이다. 이 결과로, 부하(630')는 고품질의 혼합물 및 과열 기체에 의해 국부적으로 냉각된 영역의 온도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EPC 시스템은 이 문제를 극복한다. EPC 시스템은 2T0지점까지 팽창된 고온의 기체와 밸브(132)의 출력을 혼합한다. 이러한 경우, 결과로 얻은 혼합물은 8T0지점에서 혼합된다. 그런 후, 부하(630')를 9지점까지 냉각시킬 때, 혼합물이 끓는다. 따라서, 혼합물이 부하(630')를 떠날 때, 약 74%의 품질을 가지며, h는 최대이거나 최대에 가깝다. 그 후, 혼합물이 HEX(126)의 출구측으로 들어가면, 혼합물을 HEX의 입구측에서 후응축시킬 뿐만 아니라 그 공정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손실을 냉각시킨다. 유입 유체를 6지점부터 7지점까지 냉각시키는 동안, 유출 유체를 9지점에서 1지점까지 가열시킨다. 이러한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h가 낮다는 사실은 부하(630')의 온도에 중요하지 않다.
도 6의 시스템의 향상된 후응축 요소들은 HEX(126)(또는 EPC HEX) 및 압력 강하 밸브(또는 EPC 밸브)(132)를 포함한다. 이 HEX(126)의 하나의 측면은 혼합 배관(640)으로부터 부하(630')의 입구까지 직접 경로에 있고, 교환기(126)의 다른 측면상의 경로는 부하(630')로부터 출력 유동을 수용하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압축기(112)로 회수한다.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TDSF 시스템의 EPC 예에서 이전에 설명한 것들과 동일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TDSF 시스템의 이중 유동 열역학과 그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에 대한 독특한 작동 능력을 제공한다.
부하가 매우 낮거나 본질적으로 0인 조건에서 부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 TDSF 시스템에 대한 EPC의 효과는 특히 유익하다. 수 킬로와트(kw)로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부하가 제어되고 있는 경우, 외부적으로 부과된 부하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을 때, 정밀한 제어를 실행하기 어렵다. 이것은 반도체 산업에서 흔한 일이다. 시스템은 부하 온도를 ±1℃ 내로 보장할 정도로 정밀하게 1 내지 3 kw의 열을 흡수 또는 공급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또한, 부하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 조건의 온도에서 동일한 부하를 유지하도록 요구받을 수도 있다. 이것은 그 어떤 온도 제어 시스템으로도 어렵다. TDSF 시스템 내 열전달의 세부 사항 때문에, TDSF 시스템은 0 또는 무부하의 경우에 특히 힘들다. 기본적으로, 문제는 액체 응축이 기체를 전달하는 민감한 열과 만나는 것보다 양이 더 많다는 것이다.
도 8은 그 문제를 나타낸다. 제어되어야 하는 부하력이 0이거나 그에 가까울 경우, 2'T0지점까지 팽창된 고온의 기체와 8'지점의 혼합물을 혼합한 결과, EPC없이 8''T0지점에서 혼합물이 생성될 것이다. 열역학 조건에서 지정된 온도에서 부하를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어기(631)가 작은 조정을 하면, 대조 혼합물은 지점들 사이, 예를 들어, 8''0H 내지 8''0C에서 변할 것이다. (명확히 하고자 대조 지점들의 이동은 과장되었다. 실제 이동은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것의 1/3 정도일 것이다). 고온의 측면에서 작은 실수는 혼합 지점을 원하는 대조 지점으로부터 매우 멀리 이동시킬 것이다. 이는 많은 양의 가열력(예를 들어, 5kw)이 동일한 양의 냉각력과 결합하여 그 합이 0에 근접하게 도달하기 때문이다. 단지 3%의 실수로 그 결과 150 와트의 과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은, 가열 방향의 실수는 기체 전달 계수보다 더 큰 수량의 h의 편향을 수반한다는 사실에 의해 악화된다. 8''0H를 8''0C에 연결하는 라인에 경사가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비례 밸브(625)의 개방으로 더 많은 냉매가 흘러 결국 부하(630') 내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사실 때문이다. 그에 따라, 유체 혼합물의 온도도 상승한다. 밸브(625) 폐쇄시 그 반대도 발생한다. 온도 및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사소한 사항들은 도 8b에 더 잘 나타날 것이다.
EPC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상당히 완화시킨다. EPC의 사용으로, 팽창된 고온의 기체와 2상 유체 간의 혼합은 8''T0지점 대신 8'T0지점에서 혼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수, 특히 가열 측면에서의 실수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 EPC의 사용으로, 실수는 단지 품질의 작은 변화로 그친다. 도 4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은 변화, 즉 80%부터 85%까지의 품질의 변화는 h를 수량 대신 약 10%만 변화시킨다. 이것은 제어 문제를 실질적으로 경감시킨다.
종래의 공기 냉각 시스템에서 달성된 효율성 향상의 실제적인 예는 통상의 항공기에서 이동 서비스 카트에 담겨 승객 객실을 따라 수송되는 음식을 냉장시키는데 사용되는 7000 BTU/hr 공기 냉각기에 의해 제공된다. 시스템은 50℃ 응축 온도와 5℃ 증발 온도 사이에서 유지되는 R134a 냉매로 작동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예시된 시스템에는, 본 발명에 따라 향상된 후응축을 이용한 것과 종래의 냉동 시스템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화된 개략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관적인 테스트를 위한 전환가능한 바이패스가 설치된다. 도 9의 이러한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순환하는 기체 냉매는 압축기(112)에 의해 약 12℃, 6 bar 압력으로부터 90℃에서 약 20 bar까지 가압된 다음, 대략 주위 온도와 높은 압력에서 응축기에 의해 액체로 냉각되었다. TXV(119)를 통해 이동할 때, 기본적인 구성(점선)에 있어서, 냉매는 더 낮은 온도와 압력, 여기에서는 약 5℃와 6 bar에서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로 팽창된 다음, 부하 증발기(630')로 전달되었다.
이러한 실제적인 예에서, 부하(630')는 본체로부터 떨어져 내부에 냉각 또는 냉장된 식품, 예를 들어, 음료수, 디저트, 샌드위치(미도시)를 담고 있는 이동식 카트(cart)(1180)를 포함한다. 카트(1180) 내 유동 임피던스는 상당히 크며 냉각된 냉매와 증발기 안에서 상호교환된 열에너지는 냉매 역류로부터 궁극적으로 카트(1180)로의 외부 공기 유동으로 이동될 것이므로, 본체와 카트(118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은 증발기(630') 뒤의 블로우어(blower)(1182)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증발기(630')로부터 압축기(112)의 흡입 입구로 회수된, 순수한 기체로서의 냉매는 증발기(630') 내 끓는 온도보다 약간 더 따뜻한 온도이다.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압축이 다시 가해진다. 이 시스템의 공지된, 널리 사용된 예는 7000 BTU지만, 그 시스템은 항공기의 승객 서비스용이므로, 효율성 향상은 크기와 중량 감소 또는 실질적인 비용 경감 면에서 중요한 이득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상된 후응축 수단의 효능을 증명하기 위한 실제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냉동 루프는 비교적 작은 HEX(126)을 포함함으로써 개량되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은 테스트 설정에 있어서, 별도의 내부 루프는 TXV(119) 뒤에 위치한 전환가능한 바이패스(1186)에 의해 접근가능하여, 냉매는 부하로 곧장 흐르는 대신 더 작은 역류 HEX(126)(실선)으로 흘렀다. 그런 후, 유동은 △P 밸브(132)를 통해 이동하고 부하(630')로 입력되었다. 압축기(112)의 흡입 입구까지 회수 경로 상에서, 냉매는 비교적 낮은 압력 강하로 HEX(126)을 통해 흐른 다음, 압축기(112)의 흡입 입구로 되돌아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업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의 향상된 후응축 변형에 의해 달성된 냉장 효과의 비교는 10%에서 30%로 효율성 향상을 보여주었다. 보조 HEX는 동일한 열적 순단위 면에서 비교적 더 작을 수 있으므로, 본질적으로 비용상 불리한 점은 적다. 냉매 질량의 국부적인 품질에 대한 제한을 극복함으로써 증기 사이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이러한 기술은 기타 열전달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개선 및 개량이 상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첨부한 청구 범위 내에서 모든 개념 및 수단을 포함한다.
112: 압축기 114: 응축기
119: 열-팽창 밸브 122: 폐 부피 벌브
126: 보조 열교환기 130, 630': 부하
132: 델타 압력 밸브 633: 혼합 메커니즘
640: 혼합 배관 650: CRO 조절기
652: 과열저감기 밸브 656: 히터
659: 바이패스 밸브 662: 오리피스
663: 솔레노이드 밸브 664: 분로 배관
119: 열-팽창 밸브 122: 폐 부피 벌브
126: 보조 열교환기 130, 630': 부하
132: 델타 압력 밸브 633: 혼합 메커니즘
640: 혼합 배관 650: CRO 조절기
652: 과열저감기 밸브 656: 히터
659: 바이패스 밸브 662: 오리피스
663: 솔레노이드 밸브 664: 분로 배관
Claims (15)
- 2상(two-phase)의 냉매; 공지된 열용량,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 부하 증발기(load evaporator)에 제어 가능한 온도로서의 냉매를 제공하기 위한 압축기/응축기 루프(loop); 및 시스템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열교환 루프를 구비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응축기 루프로부터 상기 부하 증발기 입력까지의 유동(flow)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부하 증발기의 상기 공지된 열용량보다 더 작은 열용량을 가지며, 입력과 출력을 가진 제1 유동 경로(flow path) 및 입력과 출력을 가진 제2 유동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동 경로의 출력은 상기 부하 증발기의 입력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유동 경로는 상기 부하 증발기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열교환기; 및
그 내부의 유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동 경로와 회로 연결된 열-팽창(thermal-expansion)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증발기의 출력은 상기 보조 열교환기에 대한 상기 제2 유동 경로의 상기 입력과 결합하고,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역류 장치(counterflow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증발기의 출력은 상기 보조 열교환기에 대한 상기 제2 유동 경로의 상기 입력과 결합하고, 상기 보조 열교환기는 병류 장치(parallel flow device)이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보조 열교환기와 상기 부하 증발기 사이의 상기 제1 유동 경로에 있는 열-팽창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온의 기체 유동의 선택된 일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제어부,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선택적으로 팽창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제어부, 및 그곳으로부터 상기 보조 열교환기로 혼합 유동을 제공하는 혼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 - 국소화된 냉매 품질 변화에 반응하는 비선형 열전달 계수를 가지며, 냉각되어야 하는 부하를 구비하는 증발기와 열적으로 교통하며, 순차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장치와 통합하는 작동 요소들의 냉동 루프를 구비하고, 냉매를 이용하는 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품질은 증기에 대한 액체의 비율로 표현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팽창 장치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에서 상기 팽창 장치를 상기 증발기에 결합시키고, 타측에서 상기 증발기 출력을 상기 압축기에 결합시키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보조 열교환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역류 열 교환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상기 보조 루프의 과열을 선택된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차동(differential) 압력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압력 장치 전역의 압력 변화는, 증발하는 냉매와 냉각되고 있는 부하 사이의 온도 차이에 가까운 상기 장치 전역의 온도 변화를 대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루프는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고 있는 냉매의 온도에 반응하는 증기 구속 감지 벌브(vapor confining sensing bulb)를 구비하는 열-팽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벌브는 냉각 사이클에 사용된 냉매의 그것에 근사한 선택된 증기 압력을 갖도록 선택된 내부 유체(internal flui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열교환 루프의 출력과 상기 증발기의 입력 사이의 라인에 있는 상기 차동 압력 장치는 상기 증발기의 과열에 근사한 온도 변화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루프는 응축된 후 팽창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기 상태에서 냉매 매체를 혼합하고 가압된 기체 상태에서 혼합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비하고, 주어진 열용량의 증발기에 적용하기 위한 서로 다른 두 상태를 혼합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열교환 루프는 상기 혼합 메커니즘과 상기 증발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기체 상태는 상기 팽창된 증기 상태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에너지 함량을 가지며, 상기 보조 열교환 루프는 비교적 적게 상승하는 온도 변화를 위해 상기 열제어 시스템 전체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가변하는 속도의 고온 고압 기체 유동과 냉매의 응축물의 제어가능하게 팽창가능한 증기/액체 유동을 혼합함으로써 공지된 열용량의 부하 증발기를 열적 제어하기 위해 두 가지 상의 냉매를 이용하는 압축/응축 온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혼합된 유동을 상기 부하에 결합시키는 제1 유동 경로, 및 상기 부하로부터의 유동을 상기 압축/응축 시스템에 되돌려 결합시키는 제2 역류 유동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증발기의 열용량 대비 작은 열용량을 갖는 역류 열교환기(counter-currnt flow heat exchanger);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부하 사이의 상기 제1 유동 경로에 상기 유동의 압력을 선택된 양만큼 감소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응축 온도 제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증기/유체 유동을 위한 팽창 제어기, 및 고온의 기체 유동의 압력의 일부분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응축 온도 제어 시스템. - 공지된 열용량을 갖는 열부하와 직접 접촉하며 유동되며 온도가 제어되는 냉매를 이용하는 열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선택된 작동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두 가지 상의 특성과 액체/기체 전이를 가진 열매체 소스;
상기 열매체를 수용하고, 제1 상승 온도 및 제1 상승 압력에서 압축된 기체 출력을 제공하는 매체 압축기;
상기 압축된 기체 출력의 제1 부분을 수용하고, 제2 온도 수준에서 가압된 출력을 제공하는 매체 응축기;
상기 압축된 기체 출력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 유동 제어부;
상기 가압된 액체 출력을 수신하고, 선택적으로 냉각된 팽창 출력을 감압하에 제공하는 외부적으로 안정된 팽창 장치를 포함한 제2 유동 제어부;
선택된 비례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동 제어부를 작동하도록 결합된 제어기;
상기 제1 및 제2 유동을 수용하고 혼합된 출력을 상기 부하로 제공하는 혼합 회로;
상기 제2 유동 제어부와 상기 부하 사이에 제1 역류 유동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와 상기 매체 압축기 사이에 제2 역류 유동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부하의 열용량 대비 낮은 열용량을 가진 보조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부하 사이에, 제어되고 있는 상기 부하에 가해지는 상기 유동의 압력과 온도를 감소시키는 압력 강하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시스템. - 공지된 열용량을 갖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 내 증기 질량에 대한 액체의 비율 면에서 국부적인 냉매의 속도 및 품질에 좌우되는 열전달계수 변이를 갖는 열제어 유닛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내 상기 냉매가 적어도 약 25% 품질로 유지되도록 상기 증발기로 전달된 상기 냉매의 엔탈피와 품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 후에 회수된 냉매와 상기 증발기와의 열교환 이전의 액체/증기 함량을 가진 처리된 냉매 사이에 상기 증발기 내 열교환 보다 더 적은 열에너지 교환을 도입하여 상기 증발기 내 상호교환보다 비교적 더 적은 양의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에너지 교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증발기까지의 냉매 경로에서 상기 유동의 압력을 강하시킴으로써 상기 유동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유닛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단계는 상기 증발기의 과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온도를 도입한 양만큼 상기 증발기 전의 유동 압력을 강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제어 유닛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99809307P | 2007-10-09 | 2007-10-09 | |
US60/998,093 | 2007-10-09 | ||
US1186208P | 2008-01-22 | 2008-01-22 | |
US61/011,862 | 2008-01-22 | ||
PCT/US2008/079424 WO2009049096A1 (en) | 2007-10-09 | 2008-10-09 | Thermal control system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0551A true KR20100080551A (ko) | 2010-07-08 |
KR101460222B1 KR101460222B1 (ko) | 2014-11-10 |
Family
ID=4054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0052A KR101460222B1 (ko) | 2007-10-09 | 2008-10-09 | 열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8291719B2 (ko) |
EP (1) | EP2198217B1 (ko) |
JP (1) | JP5473922B2 (ko) |
KR (1) | KR101460222B1 (ko) |
CA (1) | CA2702068C (ko) |
WO (1) | WO200904909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3834A (ko) * | 2019-04-23 | 2021-11-29 |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 열교환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32832B2 (en) * | 2008-09-23 | 2013-09-10 | Be Aerospac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exchange with two-phase media |
FR2956730B1 (fr) * | 2010-02-25 | 2012-04-06 | Air Liquide | Procede de refroidissement cryogenique utilisant un ecoulement de co2 diphasique solide-gaz |
US9151486B2 (en) | 2010-04-12 | 2015-10-06 | Drexel University | Heat pump water heater |
US20120000240A1 (en) * | 2010-07-01 | 2012-01-05 | Brent Alden Junge | Refrigerant cooling device |
US9360243B1 (en) * | 2010-07-14 | 2016-06-07 | B/E Aerospace, Inc. |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TDSF plus |
EP2468945B1 (en) * | 2010-12-27 | 2019-04-17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Home laundry dryer with heat pump assembly |
EP2468944B1 (en) * | 2010-12-27 | 2019-02-2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Home laundry dryer with heat pump assembly |
GB201102971D0 (en) * | 2011-02-21 | 2011-04-06 | Strix Ltd | Electrical water heating appliances |
US8931288B2 (en) * | 2012-10-19 | 2015-01-13 | Lennox Industries Inc. | Pressure regulation of an air conditioner |
US10168086B2 (en) * | 2013-07-12 | 2019-01-01 | B/E Aerospace, Inc. |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programmable ORIT valve |
KR101624081B1 (ko) * | 2014-06-10 | 2016-05-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 회수 장치 |
US10119729B2 (en) * | 2014-07-01 | 2018-11-06 | Evapco, Inc. | Evaporator liquid preheater for reducing refrigerant charge |
CN104132487B (zh) * | 2014-07-24 | 2017-01-18 | 康特能源科技(苏州)有限公司 | 双压控制的空气源热泵系统 |
ES2886603T3 (es) * | 2014-08-21 | 2021-12-20 | Carrier Corp | Sistema enfriador |
US10041860B2 (en) * | 2015-01-30 | 2018-08-07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Method for detecting a faulty air handler in a heat pump appliance |
KR101978751B1 (ko) * | 2017-10-27 | 2019-05-15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한랭지용 이원냉동사이클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 |
JP7094131B2 (ja) | 2018-04-03 | 2022-07-01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クリーニング方法 |
JP7101023B2 (ja) * | 2018-04-03 | 2022-07-14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温調方法 |
JP7112915B2 (ja) | 2018-09-07 | 2022-08-04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温調システム |
JP2020043171A (ja) | 2018-09-07 | 2020-03-19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温調方法 |
WO2020115444A2 (fr) * | 2018-12-05 | 2020-06-11 | Valeo Systemes Thermiques | Systeme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d'un vehicule |
FR3089604B1 (fr) * | 2018-12-05 | 2021-04-02 | Valeo Systemes Thermiques | Systeme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d’un vehicule |
SE2050095A1 (en) * | 2020-01-30 | 2021-07-31 | Swep Int Ab | A refrigeration system |
SE545516C2 (en) * | 2020-01-30 | 2023-10-03 | Swep Int Ab | A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refrigeration system |
US11988427B2 (en) | 2021-04-29 | 2024-05-21 | Vertiv Corporation | Refrigerant cold start system |
KR20220165415A (ko) * | 2021-06-08 | 2022-12-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에어모빌리티의 실내 승압 시스템 |
US20240200833A1 (en) * | 2022-12-14 | 2024-06-20 | Icebox Heat Pump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heating and cooling cycle with isochoric heating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52974A (en) * | 1971-12-03 | 1974-12-10 | T Brown | Refrigeration system with subcooler |
US4032070A (en) * | 1974-08-07 | 1977-06-28 | Danfoss A/S |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for refrigeration installations |
US4438881A (en) * | 1981-01-27 | 1984-03-27 | Pendergrass Joseph C | Solar assisted heat pump heating system |
JPH02166367A (ja) * | 1988-12-19 | 1990-06-27 | Fuji Koki Seisakusho:Kk | 温度膨張弁 |
JP3301100B2 (ja) | 1991-01-31 | 2002-07-15 | 株式会社デンソー | 蒸発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
US5095712A (en) * | 1991-05-03 | 1992-03-17 | Carrier Corporation | Economizer control with variable capacity |
US5245833A (en) | 1992-05-19 | 1993-09-21 |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 Liquid over-feed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
US5426952A (en) * | 1994-03-03 | 1995-06-27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frigerant flow rate control based on evaporator exit dryness |
JPH0875290A (ja) * | 1994-09-06 | 1996-03-19 | Hitachi Ltd | 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
AU692698B2 (en) * | 1995-03-14 | 1998-06-11 | Hussmann Corporation |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modular evaporator coils and EEPR control |
US5622055A (en) * | 1995-03-22 | 1997-04-22 |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 Liquid over-feeding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integrated accumulator-expander-heat exchanger |
JP3484866B2 (ja) * | 1995-08-04 | 2004-01-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凍装置 |
JPH09152204A (ja) * | 1995-11-30 | 1997-06-10 | Toshiba Corp | 冷凍サイクル |
US5845502A (en) | 1996-07-22 | 1998-12-08 | Lockheed Martin Energy Research Corporation | Heat pump having improved defrost system |
US5899091A (en) * | 1997-12-15 | 1999-05-04 | Carrier Corporation | Refrigeration system with integrated economizer/oil cooler |
JP2000346472A (ja) * | 1999-06-08 | 2000-12-15 | Mitsubishi Heavy Ind Ltd | 超臨界蒸気圧縮サイクル |
JP4323619B2 (ja) * | 1999-06-17 | 2009-09-02 |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 車両用空調装置 |
US6233958B1 (en) | 1999-09-15 | 2001-05-22 | Lockhead Martin Energy Research Corp. | Heat pump water hea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JP2002195677A (ja) * | 2000-10-20 | 2002-07-10 | Denso Corp |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
JP3693562B2 (ja) * | 2000-10-23 | 2005-09-07 |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の制御方法 |
JP2002130849A (ja) * | 2000-10-30 | 2002-05-09 | Calsonic Kansei Corp | 冷房サイクルおよびその制御方法 |
US6460358B1 (en) * | 2000-11-13 | 2002-10-08 | Thomas H. Hebert | Flash gas and superheat eliminator for evaporators and method therefor |
JP3801006B2 (ja) * | 2001-06-11 | 2006-07-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媒回路 |
US6564563B2 (en) | 2001-06-29 | 2003-05-2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Logic module refrigeration system with condensation control |
JP3811116B2 (ja) * | 2001-10-19 | 2006-08-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 |
US6925822B2 (en) * | 2003-12-10 | 2005-08-09 | Carrier Corporation | Oil return control in refrigerant system |
US7131294B2 (en) * | 2004-01-13 | 2006-11-07 | Tecumseh Products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carbon dioxide gas cooler pressure by use of a capillary tube |
TWI332073B (en) * | 2004-02-12 | 2010-10-21 | Sanyo Electric Co | Heating/cooling system |
US7178353B2 (en) * | 2004-02-19 | 2007-02-20 | Advanced Thermal Sciences Corp. | Thermal control system and method |
US7377126B2 (en) * | 2004-07-14 | 2008-05-27 | Carrier Corporation | Refrigeration system |
US7059151B2 (en) * | 2004-07-15 | 2006-06-13 | Carrier Corporation | Refrigerant systems with reheat and economizer |
US20060042274A1 (en) * | 2004-08-27 | 2006-03-02 | Manole Dan M | Refriger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reducing the charge of refrigerant there in |
JP4459776B2 (ja) * | 2004-10-18 | 2010-04-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ヒートポンプ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の室外機 |
US7325414B2 (en) * | 2004-10-28 | 2008-02-05 | Carrier Corporation | Hybrid tandem compressor system with economizer circuit and reheat function for multi-level cooling |
JP3982545B2 (ja) * | 2005-09-22 | 2007-09-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US20070095087A1 (en) * | 2005-11-01 | 2007-05-03 | Wilson Michael J |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for cooling electronics |
JP2007139225A (ja) * | 2005-11-15 | 2007-06-07 | Hitachi Ltd | 冷凍装置 |
JP2007155229A (ja) * | 2005-12-06 | 2007-06-21 | Sanden Corp |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
US7335983B2 (en) * | 2005-12-16 | 2008-02-26 | Intel Corporation | Carbon nanotube micro-chimney and thermo siphon die-level cooling |
-
2008
- 2008-10-09 WO PCT/US2008/079424 patent/WO200904909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0-09 US US12/285,596 patent/US8291719B2/en active Active
- 2008-10-09 KR KR1020107010052A patent/KR101460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10-09 CA CA2702068A patent/CA270206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0-09 JP JP2010529058A patent/JP547392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0-09 EP EP08837303.0A patent/EP219821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
- 2012-10-15 US US13/651,631 patent/US8689575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3834A (ko) * | 2019-04-23 | 2021-11-29 |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 열교환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198217B1 (en) | 2017-05-10 |
US8291719B2 (en) | 2012-10-23 |
US8689575B2 (en) | 2014-04-08 |
US20090105889A1 (en) | 2009-04-23 |
CA2702068C (en) | 2015-06-23 |
EP2198217A4 (en) | 2014-04-09 |
KR101460222B1 (ko) | 2014-11-10 |
CA2702068A1 (en) | 2009-04-16 |
JP5473922B2 (ja) | 2014-04-16 |
WO2009049096A1 (en) | 2009-04-16 |
US20130036753A1 (en) | 2013-02-14 |
JP2011501092A (ja) | 2011-01-06 |
EP2198217A1 (en) | 201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0222B1 (ko) | 열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JP5581300B2 (ja) | 熱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EP2096378B1 (en) |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
CN105378399B (zh) | 带有可编程orit阀的温度控制系统 | |
JP4269323B2 (ja) | ヒートポンプ給湯機 | |
JP2011501092A5 (ko) | ||
US20020020179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achieving precision temperature control | |
KR20010062194A (ko) | 열매체 유체용의 온도 조정 장치 | |
US8240160B2 (en) | Thermal control system and method | |
US20220011030A1 (en) | Dome-loaded back pressure regulator with setpoint pressure energized by process fluid | |
US6568199B1 (en) | Method for optimizing coefficient of performance in a transcritical vapor compression system | |
CA2206865C (en) | Refrigeration system | |
CN106440586A (zh) | 蒸发器出口冷媒低过热度或干度小于1的控制方法 | |
US7370485B2 (en) |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of refrigerating cycle | |
US2901894A (en) | Refrigerant control means | |
JP2007093100A (ja) | ヒートポンプ給湯機の制御方法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機 | |
JP4140625B2 (ja) | ヒートポンプ給湯機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機の制御方法 | |
JP4690801B2 (ja) | 冷凍装置 | |
KR102713887B1 (ko) | 히트펌프 방식의 반도체 공정용 칠러 장치 및 반도체 공정용 냉각유체 가열 방법 | |
JP7508933B2 (ja) | 給湯システム | |
JP3978660B2 (ja) | 非共沸混合冷媒を用いる冷凍サイクル装置 | |
CA2018250C (en) | Trans-critical vapour compression cycle device | |
CN115875877A (zh) | 一种冷媒循环系统、循环方法及空调器 | |
JP2020020415A (ja) | 容器に加圧ガスを補給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