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303A -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303A
KR20100079303A KR1020080137733A KR20080137733A KR20100079303A KR 20100079303 A KR20100079303 A KR 20100079303A KR 1020080137733 A KR1020080137733 A KR 1020080137733A KR 20080137733 A KR20080137733 A KR 20080137733A KR 20100079303 A KR20100079303 A KR 20100079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xtract
mushroom
cordyceps sinensis
anti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671B1 (ko
Inventor
배기환
김문일
유재국
박병욱
김진표
이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신약
Priority to KR102008013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671B1/ko
Priority to PCT/KR2009/001666 priority patent/WO2010076920A1/ko
Priority to US13/142,963 priority patent/US20120003262A1/en
Publication of KR2010007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 추출물과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가 1:5 내지 5: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이 포함된 건강식품을 섭취함으로서, 암세포 자체의 억제와 번식속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 면역증강 및 항암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항암제와 병행할 때 이상적인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상황버섯, 동충하초, 항암효과, LLC세포, 건강식품

Description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Anticancer health foods including Phellinus linteus and vegetable worms}
본 발명은 항암용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황버섯과 동충하초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이 1:5 내지 5: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이 현저히 향상된 항암효과를 보여주어 이를 이용하여 항암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인류 건강을 위협하는 최악의 질병인 악성종양, 즉 암은 심혈관 질환 다음으로 서구사회에서 가장 일반적인 사망원인이다. 현대사회에서 인구의 노령화, 흡연인구의 증가 및 대기오염으로 인한 폐암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지방식의 섭취, 환경오염물질의 증가 음주량의 증가 등으로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따라서 암의 조기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건강의 증진, 건강한 삶의 질 향상 및 인류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항암 물질의 창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암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제들은 전신치료용 주사나 경구투여에 따른 혈류를 따라 전신에 작용하는 비특이성으로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이 낮다. 따라서 약제 투여에 따른 전신적인 부작용이 많으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항암 약물들을 이용하는 암치료 기간은 1주일에 3-5일씩 3-4주 간격으로 6개월에서 1년 정도 투여함에 따라 다양한 항암제 부작용을 야기시켜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한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약효를 발휘하는 기존의 화학적 치료법은 부작용이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비특이성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년간 획기적인 신약이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많은 발명자들이 항암활성을 가지는 천연 소재를 찾아오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버섯류의 항암 활성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항암 활성이 있는 버섯류로는 영지(Ganoderma lucidum), 상황버섯, 아가리쿠스(신령버섯), 동충하초(vegetable worms), 천마(Gastrodia elata),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복령(Poria cocos), 장수버섯(아까시재목버섯 Fomitella fraxinea),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m) 및 흰목이(Fremella fuciformis)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버섯 천연물 중에서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편에 기록되어 있다.갓은 지름 6∼12cm, 두께 2∼10cm로, 반원 모양, 편평한 모양, 둥근 산 모양, 말굽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표면에는 어두운 갈색의 털이 짧고 촘촘하게 나 있다가 자라면서 없어지고 각피화 한다. 검은빛을 띤 갈색의 고리 홈이 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등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선명한 노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며 살도 황갈색이다. 자루가 없고 포자는 연한 황갈색으로 공 모양이다.
다년생으로 뽕나무 등에 겹쳐서 나는 목재부후균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상황버섯이 함유하고 있는 다당체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항암 활성 및 면역활성,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등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고, 연구결과에서 상황버섯의 다당체 성분이 항암 및 면역 증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중한 약재로서 한국에서는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약용하기 위해 달이면 노란색이거나 연한 노란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으며, 한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북아메리카 등에 자생한다.
동충하초(vegetable worms)는 자낭균류 맥각균목 동충하초과의 소형 버섯류이며, 하초동충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곤충에 기생하여 숙주가 되는 곤충의 시체에 자실체를 낸다. 자실체는 머리·줄기의 2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머리부분은 공 모양,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 주걱 모양 등으로 불룩해지며, 그 표면 또는 표을피 아래에 여러 개의 자낭각 이룬다. 숙주가 되는 곤충은 나비목(붉은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매미목(매미동충하초:C. sobolifera)·벌목(벌동충하초:C. sphecocephala), 그 밖에 딱정벌레목·메뚜기목 외에 거미에게도 기생하는 것이 있다. 이들 균은 숙주를 죽이고 곤봉 모양 또는 줄 모양 등의 자실체를 낸다.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동충하초는 종양억제율이 높은 항암성분으로 항암효과가 높아 훌륭한 항암치료보조제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항암효과가 뛰어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각각을 이용한 의약품이나 기능성식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3-0030636호에는 버섯 자실체의 발효를 이용하여 고혈성 항암 단백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46442호에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607907호에는 암의 간전이억제와 면역조절효과를 갖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같이 상황버섯 추출물과 동충하초 추출물을 단독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나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을 뿐,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을 배합하는 제조방법, 배합제품 또는 이들 배합비율에 따른 항암활성을 포함한 생리활성 증진효과 등에 대한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끊임 없는 버섯 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상황버섯 추출물과 동충하초 추출물이 5:1 내지 1: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 월등히 향상된 항암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상기와 같은 추출물 혼합물을 동결건조한 후 다양한 부형제와 함께 혼합하여 정제, 환, 음료 등의 항암기능성이 우수한 식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황버섯과 동충하초의 혼합 추출물을 다양한 부형제와 함께 혼합하여 정제나 환 등으로 제조된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암용 건강식품은 상황버섯 추출물과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건강식품은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의 1:10 ~ 10:1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의 1:5 ~ 5:1 중량비율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의 제조는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일정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환류 냉각장치가 부착된 추출용기에 분말을 넣고 분말무게의 약 5~20배 부피에 해당하는 40~60% 에탄올 수용액으로 수욕상에서 4시간씩 3회 가열 추출한 뒤 여과하여 합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동결건조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에 함유된 면역기능성 물질의 배합에 따른 상승적 면역기능 향상에 따른 것으로 이해되며, 본 발명의 동충하초 추출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버섯은 담자균 중 항암력이 가장 우수하며, 항암력의 주요성분은 단백 결합 당체 또는 다당체와 염기성 단백 등이며, 상황 버섯이 함유하고 있는 다당체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항암 활성 및 면역 활성 항종양효과를 한다. 또한, 동충하초는 상황버섯처럼 항암력이 우수하며,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동충하초의 성장도중에 만들어지고 이 성분은 전혀 부작용이 없고,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뛰어난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두 버섯 각각이 가지고 있는 다당체에 의한 면역활성이 상승적으로 증진하게 되어 정상세포가 아닌 비정상적인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 판별하는 면역 기구들을 증가시키거나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계속적인 분열 및 증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항암제와 병행할 때 이상적인 치료효과를 볼 수 있으며 특히 폐암, 간암, 유방암의 치료와 예방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존의 항암제는 탈모가 심하게 일어나고 말초신경장애·근육통등이 일어나는 부작용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항암용 건강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품원료로 사용 가능한 품종으로 인정되어 있는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원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부작용없이 누구나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상황버섯 추출물과 동충하초 추출물은 1:10 내지 10:1의 중량비율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1의 중량비율 혼합물이다.
<실시예 1>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1:1 혼합 추출물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환류 냉각장치가 부착된 추출용기에 분말 혼합물을 넣고 분말 무게의 10배 무게에 해당하는 50% 에탄올수용액으로 수욕상에서 4시간씩 3회 가열추출한 뒤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하고 동결건조하여 상황버섯와 동충하초 혼합 분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1:3 혼합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1:3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3:1 혼합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3: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1:5 혼합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1: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5:1 혼합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5: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1:10 혼합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1: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10:1 혼합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황버섯 균사체 분말과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10: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탁솔(Taxol)
탁솔(Taxol)은 SIGMA(PO115)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의 항암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추출물과 비교예 1의 항암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쥐는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구입한 일본산 검은 쥐 BDF1 male로서 체중은 20±2g이다. 사육온도는 22±2℃였고 고형사료(삼양사료 Co.)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매 그룹에 사용한 쥐의 수는 7마리였고, 그 중에서 표준편차가 큰 2마리를 빼고 기타 5마리의 결과를 데이터로 정리하였다.
추출용 용매는 1급 시약(E.P.)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대한약품주식회사에서 제조한 멸균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암세포배양에 사용한 RPMI 1640배지는 WelGENE Inc.에서 제공한 배지를 사용하였고, Trypsin-EDTA는 GIBCO사 것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에 필요한 시험관과 배양용 플라스크 그리고 암세포를 얻기 위한 filter는 Falcon사 것을 사용하였다. 암 이식에 사용한 기구들은 120℃에서 30분 소독한 기구들을 사용하였고, 암의 부피는 Digital Caliper를 사용하여 그 부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폐암(Lewis Lung Carcinoma:LLC)세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폐암(Lewis Lung Carcinoma:LLC)세포는 10% FBS를 넣은 RPMI 1640배지로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고, 부착면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Trypsin-EDTA를 사용하였다. 200ml의 배양용 플라스크에 세포가 차면 2마리 동물에 이식하여 in vivo에서 세포를 키운 후 그것을 사용하여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암동물실험은 약 15×15×15mm3 크기로 자란 종양을 수술하여 Falcon사의 filter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다른 세포와 분리하였으며, 여러 번 세척하여 얻은 암세포를 2×105cell/ml의 농도로 만들어 실험동물의 겨드랑이에 0.1ml씩 주사하여 암을 유발하였다. 암 이식 후 다음날부터 14일간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1:1 (실시예1), 1:3(실시예2), 3:1(실시예3), 1:5(실시예4), 5:1(실시예5), 1:10(실시예6), 10:1(실시예7)의 중량비율로 제조한 분말을 각각 200mg/kg의 용량으로 일본산 검은 쥐에게 매일 경구투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탁솔 50㎎/㎏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주사 하였다. 14일 후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 분말의 투여를 중지한 후, 디지털 캘리퍼스(Digital Caliper)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의 부피와 암부피억제율의 계산은 암의부피(Tumor Volume, TV)=Length(mm)×Width2/2. 암부피억제율(Inhibition Ratio of Tumor Volume, IRTV)=(TV of control - TV of test)×100/ TV of control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암의 부피를 측정한 후 수술하여 암 덩어리를 얻어 그 중량을 측정하였고, 억제율 은 암무게억제율(Inhibition Ratio of Tumor Weight, IRTW)=(TW of control - TW of test)×100/ TW of control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mean±S.D.로 나타냈으며, 분석은 Anova test를 실시하였고, p values는 0.05 이하인 경우 유의성이 있다고 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아래 표1 에 나타내었다.
표1. 제조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분말의 항암효과 평가결과


구분

투여용량
(mg/kg)

종양 크기
(mm3)

암부피억제율
(%)

종양 무게
(g)

암무게억제율
(%)

대조군

0

1985±233

0

1.73±0.3

0
실시예1
(1:1)
상황버섯 100
동충하초 100

765±198

61

0.63±0.4

63
실시예2
(1:3)
상황버섯 50
동충하초 150

887±178

55

0.78±0.5

54
실시예3
(1:3)
상황버섯 150
동충하초 50

850±154

57

0.76±0.1

56
실시예4
(1:5)
상황버섯 34
동충하초 166

1007±139

45

0.93±0.3

46
실시예5
(5:1)
상황버섯 166
동충하초 34

1048±121

47

0.91±0.5

47
실시예6
(1:10)
상황버섯 18
동충하초 192

1678±145

15

1.43±0.1

17
실시예7
(10:1)
상황버섯 192
동충하초 18

1561±132

21

1.40±0.2

19
탁솔
(양성대조군)

50

649±182

67

0.61±0.3

64
상기 표1 은 1:1 (실시예1), 1:3(실시예2), 3:1(실시예3), 1:5(실시예4), 5:1(실시예 5), 1:10(실시예6), 10:1(실시예7)의 중량비율로 제조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혼합 분말의 비율에 따른 항암효과와 탁솔(비교예1)의 항암효과 결과를 나타낸다. 현재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탁솔(Taxol)은 50mg/kg의 용량에서 암부피억제율과 암무게억제율은 각각 67%와 64%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상황버섯 과 동충하초 추출물을 1:1(실시예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은 암부피억제율과 암무게억제율이 각각 61%와 63%로 높게 나타나 1: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항암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울러 1:3(실시예2)와 3:1(실시예3) 중량비율의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은 50~60%의 암부피와 암무게억제율을, 1:5(실시예 4)와 5:1(실시예5) 중량비율을 갖는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은 40~50%의 암부피와 암무게억제율은 이들이 버섯 추출물임을 감안하여 보면 매우 놀라운 항암효과를 보여 주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 혼합 분말은 탁솔(Taxol)에 비하여 다소 약한 항암효과를 보였지만 우리가 평소에 섭취하여 암을 예방하는 화학적 암 예방제 또는 암 개선용으로서 그 효과가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예 1: 항암기능성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상황버섯와 동충하초 추출물 혼합 분말 100g에 락토오스 70g, 감자전분 75g 및 콜로이드성 규산 10g을 넣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메쉬로 여과하여 건조시킨 뒤 여기에 감자전분 65g, 활석 25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g을 첨가한 다음 얻은 혼합한 후 1정이 400mg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사용예 2: 항암기능성 캡슐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상황버섯와 동충하초 추출물 혼합 분말 60 중량%, 대추분말 15중량% 및 결정 셀룰로오스 25중량%를 70% 알코올을 이용하여 혼합한 후 60℃에서 30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50 메쉬로 여과하여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써 500mg/cap 단위로 제조하였다.
<사용예 3: 항암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 혼합 분말 0.48 ∼ 1.28 ㎎,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및 물 200 ㎖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도 1 은 폐암(Lewis Lung Carcinoma:LLC) 세포를 마우스에 이식후 14일째 샘플투여(본 발명 추출물과 탁솔)를 중지하고, 암부피억제율 및 암무게억제율 측정 그림이다.

Claims (4)

  1. 상황버섯 균사체와 동충하초 균사체 1:5 ~ 5:1 중량비율 혼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황버섯과 동충하초 균사체 혼합물의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은 40~60%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080137733A 2008-12-31 2008-12-31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101033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33A KR101033671B1 (ko) 2008-12-31 2008-12-31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PCT/KR2009/001666 WO2010076920A1 (ko) 2008-12-31 2009-04-01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US13/142,963 US20120003262A1 (en) 2008-12-31 2009-04-01 Anticancer health food containing phellinus linteus and vegetable wor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33A KR101033671B1 (ko) 2008-12-31 2008-12-31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303A true KR20100079303A (ko) 2010-07-08
KR101033671B1 KR101033671B1 (ko) 2011-05-12

Family

ID=4230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733A KR101033671B1 (ko) 2008-12-31 2008-12-31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03262A1 (ko)
KR (1) KR101033671B1 (ko)
WO (1) WO20100769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01B1 (ko) * 2010-09-16 2013-01-29 (주)한스킨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63543A1 (ko) *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병용 요법을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5529B (zh) * 2014-06-20 2016-11-01 富裔實業股份有限公司 中草藥萃取物用於製備肝癌藥物之用途
KR102395002B1 (ko) 2021-07-08 2022-05-09 김수현 마늘발효액 및 산뽕상황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518A (ko) * 2000-09-22 2002-03-29 이태규 버섯 추출물을 코팅한 곡물과 그 코팅방법
KR100750334B1 (ko) * 2003-03-18 2007-08-17 주식회사한국신약 펠리누스 린테우스에서 추출한 다당류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07907B1 (ko) * 2004-12-24 2006-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암의 간전이억제와 면역조절효과를 갖는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060078291A (ko) * 2004-12-31 2006-07-05 이덕록 버섯 자실체의 항암기능성 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항암기능성 식품
KR20050089753A (ko) * 2005-07-26 2005-09-08 주식회사 웰스킨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01B1 (ko) * 2010-09-16 2013-01-29 (주)한스킨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63543A1 (ko) *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병용 요법을 이용한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6920A1 (ko) 2010-07-08
KR101033671B1 (ko) 2011-05-12
US20120003262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4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US7977379B2 (en) Method for angiogenesis inhibition or immunostimulation
KR20150050712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062172B1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101033671B1 (ko)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CN108367036A (zh) 制备具有提高的脂溶性多酚含量的草本组合物的方法、由此制备的草本组合物及其用途
KR102137388B1 (ko) 오리나무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7466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69774B1 (ko) 종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31569B1 (ko) 황칠나무 유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TWI245636B (en) gamma delta T cell immunoactivity enhancers containing extract of Lentinus edodes mycelium
KR102085582B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KR101257909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97187B1 (ko) 위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갖는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EP1754473A1 (en) Antitumor agent
KR101209646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01730A (ko) 김치를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01319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
KR102607247B1 (ko) 도깨비고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142562B1 (ko) 제비집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9974B1 (ko) 감초 및 노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5727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20455B1 (ko) 산왕거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