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158A -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158A
KR20100079158A KR1020080137573A KR20080137573A KR20100079158A KR 20100079158 A KR20100079158 A KR 20100079158A KR 1020080137573 A KR1020080137573 A KR 1020080137573A KR 20080137573 A KR20080137573 A KR 20080137573A KR 20100079158 A KR20100079158 A KR 2010007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region
region
bipolar junction
junction transisto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13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158A/ko
Publication of KR2010007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04Emitte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 H01L29/0808Emitte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of later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25Later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5Lateral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종래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는 작은 칩의 크기로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바, 전체 면적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P웰 영역에 대해 트렌치를 형성하고, 이러한 트렌치 내에 에미터 영역의 갭필막을 충진하여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영역을 트렌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JT, 웰, 트렌치

Description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METHOD FOR MANUFACTURING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STRUCTURE THEREFOR}
본 발명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줄이는데 적합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이하 BJT라 함)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소자에 비하여 소자간의 정합 특성이 우수하며, 소자 자체의 잡음이 MOS 소자에 비해 수백 배 이상 작아 DC 오프셋 문제와 잡음에 따른 시스템 잡음 특성 열화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BJT 구조, 특히 수직 구조의 BJT를 예시한 것으로, 실리콘 기판 내에 도펀트(dopant)를 주입하여 웰(well)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웰 영역과 베이스(base), 에미터(emitter), 콜렉터(collector)를 각각 콘택(contact)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BJT는 기존의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대부분 사용되는 것으로, 로직(logic)용 BJT에서 고전압(high voltage)용 BJT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는 작은 칩의 크기로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바, 전체 면적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P웰 영역에 대해 트렌치를 형성하고, 이러한 트렌치 내에 에미터 영역의 갭필막을 충진하여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에 N형 도펀트를 주입하여 N-웰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N-웰 영역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N-웰 영역 내에 P형 도펀트를 이온주입하여 N-웰 영역 내의 P-웰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P- 웰 영역에 대해 트렌치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갭필막을 충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웰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N-웰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트렌치 구조의 P-웰 영역과, 상기 트렌치 구조의 P-웰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갭필막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영역을 트렌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에미터 영역의 접합 면적을 줄여 전체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의 N-웰 영역 내에 P-웰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P-웰 영역에 대해 트렌치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며, 형성된 트렌치 내에 갭필막을 충진한 후 에미터 영역과 에미터 패드를 콘택으로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면서도 그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 사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이하 BJT라 함)를 제조하는 과정을 예시한 공정 단면도로서, 이러한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 예컨대 P형 반도체 기판 내(100)에 로직용 N-웰 영역(102)을 형성한다. 이러한 N-웰 영역(102)에는 이후 N형 콜렉터(collector) 영역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2b에서는, 상술한 N-웰 영역(10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104)을 형성한 후, 이러한 포토레지스트 패턴(104)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하여 N-웰 영역(102) 내에 P형 도펀트(dopant)를 이온주입하여 N-웰 영역(102) 내의 P웰 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포토레지스트 패턴(104)은 소정의 포토레지스트(도시 생략됨)를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2b에서 도면부호 102'는 상술한 P형 도펀트를 이온주입하는 공정을 진행한 이후의 N-웰 영역을 나타내며, 이러한 N-웰 영역(102')에 대해 후속되는 도 2c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식각 공정을 진행한다.
도 2c는, 이러한 N-웰 영역(102') 내의 P-웰 영역(106)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P-웰 영역(106) 내에 트렌치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후, 도 2d에서는, 상술한 트렌치 식각된 P-웰 영역(106) 내에 갭필막(108),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polysilicon)을 충진한다. 이러한 갭필막(108)에는 이후 P형 에미터 영역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트렌치 식각 및 갭필막 충진 과정이 완료되면, 도 2e에서는 상기 갭필막(108)이 충진된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면에 보호막(110)을 성장시킨다.
이후, 도 2f에서는, 상기 N-웰 영역(102'), P-웰 영역(106), 갭필막(108)이 노출되도록 보호막(110)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도 2f에서 도면부호 110'은, 이와 같은 식각 공정이 진행된 이후의 보호막을 나타낸다.
한편, 이러한 콘택홀 형성 과정이 완료되면, 이러한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도전막을 증착하여 N-웰 영역(102')의 콜렉터 영역과 콘택되는 콘택 플러그, P-웰 영역(106)의 베이스 영역과 콘택되는 콘택 플러그, 갭필막(108)의 에미터 영역과 콘택되는 콘택 플러그(112)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콘택 플러그를 통해, N-웰 영역(102')의 콜렉터 영역과 콘택되는 메탈 패드(114)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콘택 플러그를 통해 N-웰 영역(102')의 콜렉터 영역과 콘택되는 콜렉터 패드(C)를 콘택 플러그의 상부에 형성하고, 콘택 플러그를 통해 P-웰 영역(106)의 베이스 영역과 콘택되는 베이스 패드(B)를 콘택 플러그의 상부에 형성하며, 콘택 플러그를 통해 갭필막(108)의 에미터 영역과 콘택되는 에미터 패드(E)를 콘택 플러그의 상부에 각각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트렌치 구조를 갖는 수직형 BJT가 완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의 N-웰 영역 내에 P-웰 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P-웰 영역에 대해 트렌치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며, 형성된 트렌치 내에 갭필막을 충진한 후 에미터 영역과 에미터 패드를 콘택으로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의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면서도 그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제조 과정을 예시한 공정 단면도.

Claims (6)

  1. 반도체 기판에 N형 도펀트를 주입하여 N-웰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N-웰 영역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N-웰 영역 내에 P형 도펀트를 이온주입하여 N-웰 영역 내의 P-웰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상기 P-웰 영역에 대해 트렌치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갭필막을 충진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갭필막이 충진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면에 보호막을 성장시키는 과정과,
    상기 N-웰 영역, P-웰 영역, 갭필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도전막을 증착하여 상기 N-웰 영역의 콜렉터 영역 과 콘택되는 제 1 플러그, 상기 P-웰 영역의 베이스 영역과 콘택되는 제 2 플러그, 상기 갭필막의 에미터 영역과 콘택되는 제 3 플러그를 각각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플러그를 통해 상기 N-웰 영역의 콜렉터 영역과 콘택되는 콜렉터 패드를 상기 제 1 플러그의 상부에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플러그를 통해 상기 P-웰 영역의 베이스 영역과 콘택되는 베이스 패드를 상기 제 2 플러그의 상부에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3 플러그를 통해 상기 갭필막의 에미터 영역과 콘택되는 에미터 패드를 상기 제 3 플러그의 상부에 형성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막은, 폴리실리콘인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4. N-웰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N-웰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트렌치 구조의 P-웰 영역과,
    상기 트렌치 구조의 P-웰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갭필막
    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상기 갭필막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의 콘택 플러그를 통해 상기 N-웰 영역의 콜렉터 영역과 콘택되는 콜렉터 패드와,
    상기 보호막의 콘택 플러그를 통해 상기 P-웰 영역의 베이스 영역과 콘택되는 베이스 패드와,
    상기 보호막의 콘택 플러그를 통해 상기 갭필막의 에미터 영역과 콘택되는 에미터 패드
    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갭필막은, 폴리실리콘인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KR1020080137573A 2008-12-30 2008-12-30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KR20100079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573A KR20100079158A (ko) 2008-12-30 2008-12-30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573A KR20100079158A (ko) 2008-12-30 2008-12-30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158A true KR20100079158A (ko) 2010-07-08

Family

ID=4264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573A KR20100079158A (ko) 2008-12-30 2008-12-30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91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5617A (zh) * 2018-08-03 2018-12-21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一种三极管及其制作方法
CN109103246A (zh) * 2018-08-03 2018-12-28 深圳市福来过科技有限公司 一种三极管及其制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5617A (zh) * 2018-08-03 2018-12-21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一种三极管及其制作方法
CN109103246A (zh) * 2018-08-03 2018-12-28 深圳市福来过科技有限公司 一种三极管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0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in diode structure
US20220199459A1 (en) Semiconductor structure with junction leakage reduction
TWI525811B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JP2008078654A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542005B (zh) 積體電路裝置及其製造方法
TWI427769B (zh) 具埋入空乏屏蔽層之絕緣體上矽裝置
JP2010528452A (ja) 分離電圧の性能が向上したマイクロ電子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10319827B2 (en) High voltage transistor using buried insulating layer as gate dielectric
US8710621B2 (en) Bipolar transistor with diffused layer between deep trench sidewall and collector diffused layer
US8476672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6816464B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20100079158A (ko)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JP2006505943A (ja) 半導体デバイス・チャネル終端
US786314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CN108389857B (zh) 提高维持电压的多晶硅假栅静电释放器件及其制作方法
TWI548090B (zh) 半導體裝置及其製作方法
KR101099564B1 (ko)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367031A1 (en) BJT Devic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20241870A1 (en) Bipolar junction transistor with surface pro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77057B1 (ko)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180032771A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9563B1 (ko)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TWI614901B (zh) 半導體結構與其形成方法
KR100575622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30020636A1 (en) High Volt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