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868A - 이동용 바퀴 - Google Patents

이동용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868A
KR20100077868A KR1020080135938A KR20080135938A KR20100077868A KR 20100077868 A KR20100077868 A KR 20100077868A KR 1020080135938 A KR1020080135938 A KR 1020080135938A KR 20080135938 A KR20080135938 A KR 20080135938A KR 20100077868 A KR20100077868 A KR 2010007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plate
load supporting
rolling
members
roll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이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석 filed Critical 이광석
Priority to KR102008013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868A/ko
Publication of KR2010007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12Roller-typ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 하중의 이동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이동용 바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 위에 놓여진 이동 물체를 고정부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고정부와 이동 물체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이동 물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하중 지지판과, 이동 물체가 고정부를 따라 이동될 경우 하중 지지판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중 지지판에 감겨지는 고리형 롤링 유닛과, 그리고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을 상기 하중 지지판의 좌/우로 미끄러짐 없이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고리형 롤링 유닛은 복수개의 롤링 부재와, 그리고 복수개의 롤링 부재가 서로 설정 간격을 두고 하중 지지판의 표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롤링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용 바퀴를 제공한다.
이동, 바퀴, 고리형, 롤링, 링크

Description

이동용 바퀴{ROLLER FOR MOVEMENT}
본 발명은 이동용 바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큰 하중의 이동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이동용 바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용 바퀴는 이동을 요하는 물체를 고정된 바닥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된 바닥(이하 "고정부"라 함)과 이동을 요하는 물체(이하 "이동 물체"라 함)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부와 이동 물체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동용 바퀴는 그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예를 들어,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공장의 이송 라인에 적용되거나, 의자, 소파, 침대, 미닫이 창 시스템 또는 미닫이 문 시스템 등과 같은 가정의 가구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용 바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용 바퀴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종래의 이동용 바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1)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0)과, 고정부(2)에 선 접촉되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 부(20)와, 지지 브라켓(10)에 고정됨과 함께 베어링 부(20)의 중심공(20a)에 삽입되는 축(30)을 포함한다. 특히, 종래의 이동용 바퀴의 베어링 부(20)는 원통 형상의 내부 부재(21)와, 내부 부재(21)의 원주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22)과, 복수개의 볼(22) 각각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볼(22) 사이에 구비되는 볼 간격 유지 부재(23)와, 내부 부재(21)와 동심을 이루며 복수개의 볼(22)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상의 외부 부재(24)와, 외부 부재(24)의 외주면을 감싸는 보호 부재(25)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력(EF)을 가해 이동 물체를 움직이면, 이동 물체(1)는 베어링 부(20)를 통해 원활하게 고정부(2) 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하나의 베어링 부(20)가 고정부(2)에 선 접촉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베어링 부(20)의 선 접촉면(LCP)에는 집중 하중(P)이 전달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동용 바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첫째, 이동 물체(1)의 하중(P)이 지지 브라켓(10) 및 축(30)을 통해 내부 부재(21)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면 제1 볼(22a)과 제2 볼(22b) 사이가 벌어지면서 볼 간격 유지 부재(23)를 변형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궁극적으로 제1 볼(22a)과 제2 볼(22b)의 회전을 방해하게 됨에 따라 베어링 부(20)가 고정부(2) 위에서 구르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둘째, 이동 물체(1)의 하중(P)이 클 경우 고정부(2)의 반발력(RF) 또한 커지 면서 고정부(2)와의 선 접촉면(LCP)에 위치된 보호 부재(25)와 외부 부재(24)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궁극적으로 베어링 부(20)가 고정부(2) 위에서 구르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상술한 볼 간격 유지 부재(23), 보호 부재(25) 및 외부 부재(24)의 변형을 막기 위해 그 두께를 크게 할 수 있으나, 그 두께를 크게 하면 이동용 바퀴의 사이즈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설치 공간이 협소한 곳에는 설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넷째, 베어링 부(20)의 형상과, 축(30)을 삽입하기 위해 원통 형상의 베어링 부(20)에 형성된 중심공(20a)은 설치 공간의 높이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즉, 베어링 부(20)가 중심공(20a)을 갖는 이상 설치 공간의 높이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설치 공간이란 함은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기 위해 이미 정해진 공간으로서, 이동 물체(1)의 높이가 정해져 있는 이상 임의적으로 설치 공간의 높이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설치 공간의 높이가 작은 경우에는 종래의 이동용 바퀴를 장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큰 하중의 이동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이동용 바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고정부 위에 놓여진 이동 물체를 상기 고정부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 물체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 물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하중 지지판과, 상기 이동 물체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하중 지지판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하중 지지판에 감겨지는 고리형 롤링 유닛과, 그리고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을 상기 하중 지지판의 좌/우로 미끄러짐 없이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은 복수개의 롤링 부재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가 서로 설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중 지지판의 표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링크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하중 지지판에 형성되되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내 레일과, 그리고 상기 안내 레일에 상응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안내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깊이는 상기 안내 레일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단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단은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지지판의 두께는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사이의 상기 설정 간격과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중 지지판 중 상기 원호 형상의 각 단에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연속하는 3개 이상의 롤링 부재가 동시에 닿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는 제1, 제2, 제3 및 제4 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롤링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내부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및 제4 롤링 부재를 연결하는 제2 내부 링크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2 롤링 부재와 상기 제3 롤링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외부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 단부에 닿지 않도록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단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와 이에 마주하는 제3 및 제4 내부 링크 부재와의 사이의 거리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각각은 자기윤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를 거쳐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저면으로 내려갈 때 상기 고정부에 급격히 닿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상기 하중 지지판은 그 단부의 저면측 두께가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를 거쳐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평면으로 올라갈 때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평면에 급격히 닿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상기 하중 지지판의 평면에 소음 방지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지지판의 평면에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소음 방지 부재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물체는 미닫이 창 또는 미닫이 문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닫이 창을 안내하는 미닫이 창틀 또는 상기 미닫이 문을 안내하는 미닫이 문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이 감겨진 상기 하중 지지판은 상기 이동 물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이 감겨진 상기 하중 지지판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이 감겨진 상기 하중 지지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 물체 또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 측을 지지하기 위한 삽입 홈부와, 그리고 상기 장착부가 상기 이동 물체에 고정될 경우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이 상기 고정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상기 장착부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경우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이 상기 이동 물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방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중 지지판이 종래와 같이 중심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하지 않고 평판 형상을 가짐에 따라 그 높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베어링 부의 선 접촉면에 이동 물체의 하중이 완전히 집중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롤링 부재가 이동 물체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큰 하중의 이동 물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하중 지지판이 기울어지더라도 고리형 롤링 유닛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고리형 롤링 유닛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하중 지지판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외부 링크 부재와 하우징(본 발명의 이동용 바퀴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하우징 대신 이동 물체 또는 고정부일 수 있음) 간의 마찰을 미연에 막을 수 있음에 따라, 외부 링크 부재의 마손으로 고리형 롤링 부재가 끊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적의 형상 설계 및 소음 방지 부재를 통해 이동 중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활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고정부(2) 위에 놓여진 이동 물체(1)를 고정부(2)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고정부(2)와 이동 물체(1)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과, 고리형 롤링 유닛(300)과, 그리고 안내 유닛(400)을 포함한다.
하중 지지판(100)은 평판 형상으로서 이동 물체(1)의 하중(P)을 고르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물체(1)의 하중(P)을 지지하기 위해, 일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양측이 이동 물체(1)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를 갖거나, 다른 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양측이 고정부(2)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중 지지판(100)은 후술하는 고리형 롤링 유닛(300)의 축 역할을 한다. 또한, 하중 지지판(100)이 종래와 같이 중심공(도 1의 "20a" 참조)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하지 않고 평판 형상을 가짐에 따라 그 높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고리형 롤링 유닛(300)은 이동 물체(1)가 고정부(2)를 따라 이동될 경우 하중 지지판(10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중 지지판(100)에 감겨진다. 구체적 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300)은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와, 그리고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가 서로 설정 간격(G)을 두고 하중 지지판(100)의 표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를 서로 연결시키는 링크 유닛(3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롤링 부재(310)의 수 및 링크 유닛(320)의 길이 등을 조절하여 하중 지지판(100)의 길이에 맞게 고리형 롤링 유닛(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베어링 부(도 1의 "20" 참조)의 선 접촉면(도 1의 "LCP" 참조)에 이동 물체(1)의 하중(P)이 완전히 집중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가 이동 물체(1)의 하중(P)을 고르게 분산(P1, P2, P3, P4 참조)시키면서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큰 하중의 이동 물체(1)를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롤링 부재(311)(312)(313)(314)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술한 링크 유닛(320)은 제1 및 제2 롤링 부재(311)(312)를 연결하는 제1 내부 링크 부재(321)와, 제3 및 제4 롤링 부재(313)(314)를 연결하는 제2 내부 링크 부재(322)와, 그리고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321)(322)의 외측에서 제2 롤링 부재(312)와 제3 롤링 부재(313)를 연결하는 제1 외부 링크 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롤링 부재(310), 내부 링크 부재(321,322) 및 외부 링크 부재(323)의 수는 하중 지지판(100)의 길이에 따라 이에 맞게 정해질 것이다.
안내 유닛(400)은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하중 지지판(100)의 좌/우로 미끄러짐 없이 고리형 롤링 유닛(30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예로, 안내 유닛(400)은 하중 지지판(100)에 형성되되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내 레일(410) 과, 그리고 안내 레일(410)에 상응하도록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 각각에 형성되는 안내 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안내 유닛(400)을 보조하기 위하여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에도 상술한 안내 홈(420)에 상응하는 보조 레일(430)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가 하중 지지판(100)[또는 고정부(2)]에 직접 닿을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420)의 깊이(D)는 안내 레일(410)[또는 보조 레일(430)]의 높이(H)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유닛(400)에 의해, 하중 지지판(100)이 기울어지더라도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하중 지지판(1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외부 링크 부재(323)와 하우징(도 15 및 도 16의 "700" 참조)[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하우징(700) 대신 이동 물체(도 13의 "1"참조) 또는 고정부(도 14의 "2"참조)일 수 있음] 간의 마찰을 미연에 막을 수 있음에 따라, 외부 링크 부재(323)의 마손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끊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가 하중 지지판(100)의 양단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중 지지판(100)의 양단은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 각각은 자기윤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윤활 소재를 사용할 경우, 오일과 같은 윤활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집 안과 같이 깨끗함이 유지되어야 하는 곳에 위치된 가구 설비 등에 사용될 경우 그 효과는 더욱 클 것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서, 하중 지지판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가 동시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두께(T)는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 사이의 상술한 설정 간격(도 3의 "G" 참조)과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하중 지지판(100)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 중 연속하는 3개 이상의 롤링 부재(311)(312)(313)가 동시에 닿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311)(312)(313)가 하중 지지판(100)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동시에 닿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6은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가 하중 지지판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동시에 닿지 않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제1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7은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가 하중 지지판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동시에 닿지 않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제2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이 얇은 경우 즉, 연속하는 제1, 제2 및 제3 롤링 부재(311)(312)(313) 가 하중 지지판(100) 중 원호 형상의 단부에 동시에 닿지 않을 경우,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에 닿지 않은 제2 롤링 부재(312)는 이동하는 동안 쉽게 위치 변화되면서 소음이 야기되거나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와 제2 롤링 부재(312)와의 간격(L)이 클 경우 제2 롤링 부재(312)가 시계 방향("MD" 참조)으로 이동할 때 "D"방향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D"방향으로 떨어지는 제2 롤링 부재(312)는 고정부(2)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야기될 수 있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롤링 부재(311)(312)(313)가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에 동시에 닿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와 제2 롤링 부재(312)와의 간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에 부딪히는 소음 및 고정부(2)에 부딪히는 소음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서 하중 지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 3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321)(322)가 하중 지지판(100)의 양 단부에 닿지 않도록 하중 지지판(100)의 양단부의 폭(W)은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321)(322)와 이에 마주하는 제3 및 제4 내부 링크 부 재(321a)(322a)와의 사이 거리(I)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서 하중 지지판의 단부 저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 저면은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의 이동 방향(MD)을 따라 점점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θ" 참조). 다시 말하면, 하중 지지판(100)은 그 단부의 저면측 두께가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의 이동 방향(MD)을 따라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이러한 형상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10은 하중 지지판의 단부 저면이 도 9와 같은 형상을 갖지 않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 중 제2 롤링 부재(312)가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를 거쳐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 저면으로 내려갈 때(화살표 "E" 참조), 고정부(2)에 급격히 닿으면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 저면이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의 이동 방향(MD)을 따라 점점 하향 경사지는 형상을 가질 경우("θ" 참조), 제2 롤링 부재(312)와 고정부(2) 사이의 간격이 점점 줄어든 후 최소화된 상태에서 제2 롤링 부재(312)가 고정부(2)에 접촉되므로, 상술한 고정부(2)와의 접촉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 소음 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지지판(100)의 평면에 소음 방지 부재(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이러한 소음 방지 부재(500)가 더 구비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도 12는 소음 방지 부재가 없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 중 제7 롤링 부재(317)가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를 거쳐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 평면으로 올라갈 때(화살표 "MD" 참조) 화살표 "F"방향으로 하중 지지판(100)의 단부 평면에 급격히 닿으면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와 같이, 소음 방지 부재(500)가 더 구비될 경우, 제7 롤링 부재(317)가 하중 지지판(100)의 평면에 접촉될 때 충격이 흡수되므로 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예로, 소음 방지 부재(500)는 고무, EPDM(Ethylene Propylene (ter)Diene Monorer)등의 합성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하중 지지판(100)의 평면에 상기 소음 방지 부재(500)가 더 구비될 경우, 상술한 안내 레일(410)은 소음 방지 부재(50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 로, 안내 레일(410)은 소음 방지 부재(500)에서 돌출 형성된 것일 수 있다.한편, 일예로, 상술한 이동 물체(1)는 미닫이 창 또는 미닫이 문일 수 있고, 그리고 고정부(2)는 미닫이 창을 안내하는 미닫이 창틀 또는 미닫이 문을 안내하는 미닫이 문틀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일예로, 미닫이 창 시스템이나 미닫이 문 시스템에 적용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이동용 바퀴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가정의 가구 설비, 공장의 이동 라인 등 매우 다양할 것이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일 예로써 이동 물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감겨진 하중 지지판(100)은, 일예로써, 이동 물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물체(1)가 미닫이 창일 경우 미닫이 창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다른 예로써 고정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감겨진 하중 지지판(100)은, 다른 예로써, 고정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가 미닫이 창틀일 경우 미닫이 창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하우징과 함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와 같이 조립된 이동용 바퀴 및 하우징이 이동 물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감겨진 하중 지지판(100)을 수용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700)은 장착부(710)와, 삽입 홈부(720)와, 그리고 개방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710)는 이동 물체(1) 또는 고정부(2)에 고정되기 위한 부분이고, 삽입 홈부(720)는 하중 지지판(100)의 양 측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며, 그리고 개방부(730)는 장착부(710)가 이동 물체(1)에 고정될 경우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고정부(2)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이거나, 장착부(710)가 고정부(2)에 고정될 경우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이동 물체(1)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이다. 나아가, 하우징(700)은 개방부(73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740)는 이동 물체 또는 고정부에 형성되는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700)이 제공된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물체(1)에 더욱 편리한 장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 있어서 고리형 롤링 유닛과 하중 지지판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구체적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300)의 해당 외부 링크 부재(323)를 분리한 후, 안내 레일(410)과 안내 홈(420)이 서로 상응하도록 고리형 롤링 유닛(300)을 하중 지지판(100)에 감고, 그리고 해당 외부 링크 부재(323)를 체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중 지지판(100)이 종래와 같이 중심공(도 1의 "20a" 참조)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하지 않고 평판 형상을 가짐에 따라 그 높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베어링 부(도 1의 "20" 참조)의 선 접촉면(도 1의 "LCP" 참조)에 이동 물체(1)의 하중(P)이 완전히 집중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롤링 부재(310)가 이동 물체(1)의 하중(P)을 고르게 분산(P1, P2, P3 참조)시키면서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큰 하중의 이동 물체(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 유닛(400)이 구비됨에 따라, 하중 지지판(100)이 기울어지더라도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고,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하중 지지판(1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외부 링크 부재(323)와 하우징(도 15 및 도 16의 "700" 참조)[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하우징(700) 대신 이동 물체(도 13의 "1"참조) 또는 고정부(도 14의 "2"참조)일 수 있음] 간의 마찰을 미연에 막을 수 있음에 따라, 외부 링크 부재(323)의 마손으로 고리형 롤링 유닛(300)이 끊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적의 형상 설계 및 소음 방지 부재 를 통해 이동 중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용 바퀴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서, 하중 지지판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가 동시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가 하중 지지판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동시에 닿지 않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제1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연속하는 3개의 롤링 부재가 하중 지지판 중 원호 형상의 각 단에 동시에 닿지 않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제2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서 하중 지지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 3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서 하중 지지판의 단부 저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하중 지지판의 단부 저면이 도 9와 같은 형상을 갖지 않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 소음 방지 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소음 방지 부재가 없을 경우 소음이 야기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일 예로써 이동 물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다른 예로써 고정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가 하우징과 함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같이 조립된 이동용 바퀴 및 하우징이 이동 물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바퀴에 있어서 고리형 롤링 유닛과 하중 지지판이 서로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 물체 2: 고정부
100: 하중 지지판 300: 고리형 롤링 유닛
310: 롤링 부재 320: 링크 유닛
400: 안내 유닛 410: 안내 레일
420: 안내 홈 500: 소음 방지 부재
700: 하우징

Claims (13)

  1. 고정부 위에 놓여진 이동 물체를 상기 고정부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 물체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용 바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하중 지지판과,
    상기 이동 물체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이동될 경우 상기 하중 지지판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하중 지지판에 감겨지는 고리형 롤링 유닛과, 그리고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을 상기 하중 지지판의 좌/우로 미끄러짐 없이 안내하는 안내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고리형 롤링 유닛은
    복수개의 롤링 부재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가 서로 설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중 지지판의 표면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용 바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하중 지지판에 형성되되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내 레일과, 그리고
    상기 안내 레일에 상응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이동용 바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깊이는 상기 안내 레일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되는 이동용 바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단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단은 원호 형상을 하는 이동용 바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판의 두께는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사이의 상기 설정 간격과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중 지지판 중 상기 원호 형상의 각 단에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연속하는 3개 이상의 롤링 부재가 동시에 닿을 수 있도록 설정되는 이동용 바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는
    제1, 제2, 제3 및 제4 롤링 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롤링 부재를 연결하는 제1 내부 링크 부재와,
    상기 제3 및 제4 롤링 부재를 연결하는 제2 내부 링크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2 롤링 부재와 상기 제3 롤링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외부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용 바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 단부에 닿지 않도록 상기 하중 지지판의 양단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링크 부재와 이에 마주하는 제3 및 제4 내부 링크 부재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설정되는 이동용 바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각각은 자기윤활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동용 바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를 거쳐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저면으로 내려갈 때 상기 고정부에 급격히 닿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상기 하중 지지판은 그 단부의 저면측 두께가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점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이동용 바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를 거쳐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평면으로 올라갈 때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평면에 급격히 닿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상기 하중 지지판의 평면에 소음 방지 부재가 더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판의 평면에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소음 방지 부재 위에 형성되는 이동용 바퀴.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링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롤링 부재가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를 거쳐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평면으로 올라갈 때 상기 하중 지지판의 단부 평면에 급격히 닿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상기 하중 지지판의 평면에 소음 방지 부재가 더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판의 평면에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소음 방지 부재 위에 형성되는 이동용 바퀴.
KR1020080135938A 2008-12-29 2008-12-29 이동용 바퀴 KR20100077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38A KR20100077868A (ko) 2008-12-29 2008-12-29 이동용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38A KR20100077868A (ko) 2008-12-29 2008-12-29 이동용 바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554A Division KR20110014708A (ko) 2011-01-31 2011-01-31 이동용 바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68A true KR20100077868A (ko) 2010-07-08

Family

ID=4263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938A KR20100077868A (ko) 2008-12-29 2008-12-29 이동용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5501A4 (en) * 2018-05-24 2022-03-16 Filobe Co., Ltd. SLIDING WINDOW/DOOR SYSTEM WITH A RING-SHAPED ROLLER FOR SLIDING WINDOW/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5501A4 (en) * 2018-05-24 2022-03-16 Filobe Co., Ltd. SLIDING WINDOW/DOOR SYSTEM WITH A RING-SHAPED ROLLER FOR SLIDING WINDOW/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6480A1 (en) Rail and roller of a window and door system and window operation apparatus for windows and doors using same
WO2013062229A1 (ko)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JP6342062B2 (ja) ワゴンキャスター
KR20120119728A (ko) 슬라이딩 창호용 환형 로울러 장치 및 도어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CN104903605A (zh) 旋转传递装置
JP2010071456A (ja) 軸受装置
KR20100077868A (ko) 이동용 바퀴
US6200032B1 (en) Seat suspension with dual roller assembly
KR20110014708A (ko) 이동용 바퀴
US5333956A (en) Trolley wheel assembly
KR102406119B1 (ko) 어태치먼트,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장치
CN101317316B (zh) 锁定装置,包含该锁定装置的传动-驱动单元以及制造该传动-驱动单元的方法
US8365357B2 (en) Hinge mechanism
KR20180112574A (ko) 주차설비용 캠플로워 베어링
KR10171604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200431491Y1 (ko) 볼 트랜스퍼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20190047170A (ko) 등속과 배속이 공존하는 수평형 컨베이어 시스템
JPH04129957U (ja) 送りねじ装置
WO2009093818A2 (en) Roller for movement
CN113483015A (zh) 一种转动效果好的密封性高的轴承
KR20130035322A (ko) 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스텝 엑츄에이터
KR20100032512A (ko) 피봇형 도어 클로져
KR10200078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환형 로울러 장치를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KR102546213B1 (ko) 소형 롤러 교차방식의 3 열 옴니 디렉셔널 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24

Effective date: 20130118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