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289A - 냉난방기 - Google Patents

냉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289A
KR20100077289A KR1020080135196A KR20080135196A KR20100077289A KR 20100077289 A KR20100077289 A KR 20100077289A KR 1020080135196 A KR1020080135196 A KR 1020080135196A KR 20080135196 A KR20080135196 A KR 20080135196A KR 20100077289 A KR20100077289 A KR 2010007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pipe
main body
spa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847B1 (ko
Inventor
안현복
Original Assignee
안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복 filed Critical 안현복
Priority to KR102008013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using water to enhance cooling, e.g. spraying onto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측에 냉매배출관과 냉매회수관을 연결하는 컴프레샤, 상기 냉매배출관과 냉매회수관 단부는 4-way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4-way 밸브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분기관 중 하나의 분기관은 본체 상단 내부측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를 이루며 팽창변과 그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 중 다른 하나의 분기관은 본체 중앙 부위로 이어지는 응축부의 응축기와 연결되며 그 단부가 상기 팽창변 일단과 연결되고, 본체 하단에 위치되는 물탱크로부터 연결되는 물공급관을 갖는 일련의 구성을 갖는 냉난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상하 다단으로 구획격판에 의해 구획하여 순차적으로 제1~5공간부를 형성하되, 제1공간부에는 상기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그 하단의 제2공간부에는 본체 배면의 외기유도구를 통해 외기가 유입된 후 제1공간부측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제1송풍기와 제3공간부에는 4-way 밸브 및 제4공간부에는 응축부가 순차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응축부 하단으로 이어지는 제5공간부에 상기 물탱크와 컴프레샤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 배면측에는 상기 제2공간부측으로 외기가 유입되기 위한 외기유도구를 형성하고, 제4공간부의 배면측으로 상기 응축부의 응축기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구와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외기가 배출되기 위한 외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과 같이 본체의 상단측에 별도의 히팅파이프를 내재하지 않고서도 냉난 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실외기 없이 저전력에 의한 발열 에너지만으로 큰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 냉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는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기, 4-way 밸브, 응축부, 응축함체, 물탱크

Description

냉난방기{AIR-CONDITIONING AND HE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냉방기와 난방기를 겸용 사용하는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 기존과 같이 본체의 상단측에 별도의 히팅파이프를 내재하지 않고서도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실외기 없이 저전력에 의한 발열 에너지만으로 큰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 냉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의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2개의 열교환기에 의해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실현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가 각각 응축기와 증발기의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고,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과정을 갖는 냉난방 사이클을 따라 냉매가 순환 또는 역순환 되면서 냉방 및 난방을 실현하게 된다.
이러한 냉난방장치의 경우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400067 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 379764 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본체의 내부에 4-way 방향전환밸브 및 가열히터, 보조히터를 각각 부가 장착하여 이를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로의 전환 사용에 의해 실외기 없는 공기조화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본체 상단의 열교환부에 별도의 히트파이프를 장착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히트파이프를 별도 구비함으로서 발생되는 전력손실 및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제2열교환부에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방향으로 분사한 후 상단의 분사판을 통해 미세한 포말형태로 낙하되며 제2열교환부를 냉각 또는 가열하게 되는데, 포말형태로 열교환부의 파이프와 접촉하게 되므로 그 효율성이 미미하고,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로 낙하되는 고온 또는 저온의 물 접촉이 미비함은 물론, 흡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외기에 의해, 난방 가동시에는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고 냉방 가동시에는 비교적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어, 제2열교환부에서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6-53572 호의 경우, 난방시 압축기가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되 별도의 전기히터 없이 순수한 난방사이클에 의해서도 높은 수준의 난방성능 구현이 가능하고, 냉방시에는 인근 직렬 배치된 흡입팬과 배기팬이 상호 보완적 작용에 의해 응축실 내 전구간에서의 공기 흐름을 원할히 하여 고효율의 냉방성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의 경우에 공냉식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 싱 하단의 제1열교환기가 꺽쇠형상을 이루며 이를 통과한 공기가 축류팬 및 원심팬을 이루는 두개의 팬을 통해 하단에서 상방측으로 덕트 형태를 갖는 배출관을 따라 유동되어 실내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는데, 그 대류 과정에서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없다.
아울러, 제1열교환기와 압축기를 통해 각각 연결되는 팽창밸브(혹은 모세관)을 두개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어, 난방 및 냉방 흐름을 각각 단독으로 실시하면서 운전 형태에 따라 냉방과 난방의 절환을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각 난방 및 냉방 시스템을 하나의 케이싱에 형성시킨 것에 불과하여, 냉난방장치의 제작 코스트가 상당하게 상승됨은 물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 냉난방장치의 상단측 열교환부에 채용되는 히팅파이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난방시 난방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함은 물론, 응축부의 응축기에서의 냉각 또는 고온의 온수 공급시 응축기에 골고루 물이 분사되어 잠열을 이용한 열교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 내측에 냉매배출관(110)과 냉매회수관(120)을 연결하는 컴프레샤(100), 상기 냉매배출관(110)과 냉매회수관(120) 단부는 4-way 밸브(200)와 연결되고, 상기 4-way 밸브(200)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분기관(210,220) 중 하나의 분기관(210)은 본체(1) 상단 내부측에 구비되는 열교환부(300)를 이루며 팽창변(310)과 그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210,220) 중 다른 하나의 분기관(220)은 본체(1) 중앙 부위로 이어지는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와 연결되며 그 단부가 상기 팽창변(310) 일단과 연결되고, 본체(1) 하단에 위치되는 물탱크(600)로부터 연결되는 물공급관(610)을 갖는 일련의 구성을 갖는 냉난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상하 다단으로 구획격판(P)에 의해 구획하여 순차적으로 제1~5공간부(10~50)를 형성하되, 제1공간부(10)에는 상기 열교환부(300)를 구비하고 그 하단의 제2공간부(20)에는 제1송풍기(400)와 제3공간부(30)에는 4-way 밸브(200) 및 제4공간부(40)에는 응축부(50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응축부(500) 하단으로 이어지는 제5공간부(50)에 상기 물탱크(600)와 컴프레샤(1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 배면측에는 상기 제2공간부(20)측으로 외기가 유입되기 위한 외기유도구(21)를 형성하고, 제4공간부(40)의 배면 및 전면측으로 상기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구(41)와 상기 응축기(510)를 경유한 외기가 배출되기 위한 외기배출구(42)가 제4공간부(40)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과 같이 본체의 상단측에 별도의 히팅파이프를 내재하지 않고서도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실외기 없이 저전력에 의한 발열 에너지만으로 큰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어 경제적 냉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냉난방기 본체(1) 내부를 구획격판(P)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하여 각각 제 1 내지 제 5 공간부(10,20,30,40,50)을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부(10~50)에는 순차적으로 각각 열교환부(300)와, 제1송풍기(400), 응축부(500)가 구비되고 최하단 제5공간부(50)에는 물탱크(600)와 컴프레샤(100)가 구비된다.
상기 컴프레샤(100)로부터 각각 냉매배출관(110)과 냉매회수관(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냉매배출관(110)은 제3공간부(30)에 위치되는 4-way 밸브(200)와 연결되고, 냉매회수관(120)은 상기 4-way 밸브(200) 하단측에 연결되어, 냉매배출관(110)에서 압축된 상태로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4-way 밸브(200)에서의 순환 흐름에 의한 회로도를 따라 유동 된 후, 다시 4-way 밸브(200)를 거쳐 상기한 냉매회수관(120)을 통해 컴프레샤(100)측으로 회기된 후 재차 압축되어 냉매배출관(110)을 통해 재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4-way 밸브(200) 2개의 분기관(210,220)이 형성되는데 제1분기관(210)은 본체(1) 최상단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는 열교환부(300)와 연결되고, 다른 분기관에 해당되는 제2분기관(220)은 제4공간부(40)에 수용되는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와 연결되도록 하여, 냉방 또는 난방 절환 선택에 따라 정역 순환에 의해 냉방 및 난방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체(1)의 최상단에 해당되는 제1공간부(10)에는 본 발명에서 편의상 명명되기 위한 열교환부(300)가 위치되는바, 열교환부(300)의 일단은 4-way 밸브(200)로 부터 분기되는 분기관 중 제1분기관(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창변(310)을 연결하게 되고, 상기 팽창변(310)의 타단은 후술하게 되는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의 IN-LET 측과 연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팽창변(310)은 모세관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순환되는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액화시킨 상태의 상변화를 일으키도록 하거나 또는 기화상태로의 상변화가 발생하도록 한 후 그 상변화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제2공간부(20)에는 제1송풍기(400)가 위치되어지는데, 도 2 또는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체(1) 외부의 외기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후 그 상방에 존재하는 열교환부(30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열교환부(300)에서 외기의 열교환이 발생되어 냉방 또는 난방으로의 적정 온도를 갖는 냉풍 또는 온풍을 본체(1) 전방의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제3공간부(30)에는 4-way 밸브(200)가 구비되어, 그 상방측으로 컴프레샤(100)의 냉매배출관(110)과 연결되고, 하방측으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분기관(210,220)이 각각 분기되고 냉매회수관(120)이 컴프레샤(100)와 연결되어, 전술한 것처럼 제1분기관(210)은 열교환부(300)와 연결되고 제2분기관(220)은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와 연결된다.
제4공간부(40)에는 응축부(5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응축부(500)는 도 3,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축기(510)가 내입되도록 외부에는 응축함체(5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함체(5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 형태를 갖으며 상방과 하방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 몸체부재(521)를 구비하되, 그 몸체부재(521) 하단 양측으로 각각 통풍구(521a)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재(521) 하단을 에워싸며 지지하는 바닥부재(5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522) 저면측으로는 물탱크(600)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배출구(522a)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부재(522) 상단을 커버하게 되는 커버(525)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525) 중앙은 개구되는 통공(525a)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525a) 상방측에 송풍휀(525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통풍구(521a)는 응축기(510)를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하기 위해 외부의 외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1)의 제4공급부(40) 배면 및 전면측으로 형성되는 외기유입구(4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된 후 상기한 몸체부재(521) 하단의 통풍구(521a)를 통해 유도되도록 하여 응축기(510)의 표면층을 따라 대류되며 열교환되도록 한 다음, 몸체부재(521) 상단의 커버(525) 상단에 장착된 송풍휀(525b)의 구동에 따라 배출되어 본체(1) 배면측으로 구비되는 외기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흐름을 갖는다.
한편, 몸체부재(521) 측면측으로 도 4에서 보듯이 연결관(523)을 구비하는데, 상기 연결관(523)은 도 6에서 보듯이 그 일단측이 물탱크(600)로부터 이어지는 물공급관(610)과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펌프(620)에 의해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523)의 타단 즉 상부측은 도 4 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분사파이프(524)가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6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불분사파이프(524)를 통해 하방측에 위치되는 응축기(510)에 물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물분사파이프(524)는 엘보우 또는 T형 등으로 되는 다수개의 연결구(524a)를 이용하여 다수열로 병렬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물분사파이프(524)의 단면을 보았을 때, 도 4의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과 양측으로 각각 적정 각도를 갖는 물분사공(524b)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공(524b)간의 각도는 중앙을 중심으로 각각 45°로 형성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물분사각은 90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공간부(50)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600)와 컴프레샤(100)가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600)에 수용되는 물은 측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터펌프(620)에 의해 응축부(500)의 응축기(510) 상단에 위치되는 물분사파이프(524)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물분사파이프(524)에서 분사되는 물은 재차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부(500)의 응축함체(520)를 이루는 바닥부재(522)의 물배출구(522a)를 통해 다시 물탱크(600)측으로 유입되는 흐름을 갖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한 컴프레샤(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냉매배출관(110)과 유동된 냉매를 다시 회수하기 위한 냉매회수관(12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냉매배출관(110)은 4-way 밸브(200)의 상면측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냉매회수관(120)은 4-way 밸브(200)의 하단측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냉방 또는 난방시의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냉방시 본 발명의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본체(1)에 전원이 인가되면, 컴프레샤(100)가 작동되며 냉매를 순환하게 되는데, 컴프레샤(100)에서 냉매가 냉매배출관(11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4-way 밸브(200)측으로 유입된 후, 그 4-way 밸브(200)에서 하단측으로 이어지는 응축부(500)의 응축함체(520)내 수용되는 응축기(510)측과 연결되는 제2분기관(220)측으로 배출된다.
이때의 제1분기관(210)은 4-way 밸브(20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분기관(220)을 통해 유도되는 냉매는 응축기(510)측으로 유입된 후 순환되는데 이때의 냉매는 압축된 액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압축 된 상태에 있게 되는 냉매는 고온을 유지하고 있어, 응축기(510)를 유동하며 그 냉매를 차갑게 열교환하여야 되므로, 응축기(510)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외기에 의해 냉매를 저온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하단의 물탱크(600)측 모터펌프(620)의 구동에 따라 물탱크(6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물공급관(610)을 따라 유동시켜 상기 응축부(500)의 응축기(510) 상단측으로 구비되는 물분사파이프(524)측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물분사파이프(524)를 통해 응축기(510)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적정 압력으로 분사토록 함으로써, 응축기(510) 표면에 물이 흐르면서 냉매의 잠열을 빼앗도록 하여 냉매를 차갑게 냉각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냉매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한 물은 응축함체(520)의 몸체부재(521)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재(522)의 일측 하단 물배출구(522a)를 통해 물탱크(600)측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아울러 냉매의 열교환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해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응축부(500)가 위치되는 본체(1)의 제4공간부(40) 배면측으로 각각 외기유입구(41)와 외기배출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기배출구(42)와 연결되는 호스(도면부호 미기재) 등으로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응축부(500)의 응축함체(520) 몸체부재(521) 상방을 커버하는 커버(525) 상면에 송풍휀(525a)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송풍휀(525a)의 구동에 따라 외기는 본체(1) 외부에서 상기 외기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되는데 그 유입된 외기는 응축부(500)의 응축함체(520)를 이루는 몸체부재(521) 하방 양측으로 각각 개구되는 통풍구(521a)를 통해 유도되어, 응축기(510) 외표면을 경유하며 대류한 후 상기 커버(525)의 송풍휀(525b)을 거쳐 상기 외기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외기가 유입되어 응축기(510)를 대류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차가운 외기가 응축기(510)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물기와 함께 냉매의 잠열을 빼앗는 열교환이 부가적으로 이루어져, 응축기(510)를 유동하는 냉매를 더욱 차갑게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응축기(510)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술한 열교환 과정을 거쳐 극저온의 차가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응축기(510)를 통과한 냉매는 본체(1) 상단의 제1공간부(10)에 수용되는 열교환부(300)측으로 유도되는바, 상기 열교환부(300)측으로 유도 진입되기전에 냉매는 팽창변(310; 일명 모세관)을 통과하며 액화 상태의 냉매가 초저온의 상변화에 따라 기화되며 유동된다.
아울러, 초저온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부(300)의 유동시, 제2공간부(20)에 수용되는 제1송풍기(400)는 동작되는 상태에 있게 되는데 제1송풍기(400)의 작동에 따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기유도구(2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제1공간부(10)로 대류되며 열교환부(300)를 통과하면서 냉풍으로 열교환된 후 본체(1) 전방의 배출구(11)를 통해 시원한 냉풍이 실내로 공급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의 냉방 흐름에서는 물탱크(600)의 히터(630)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난방시 본 발명의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본체(1)에 전원이 인가되면, 컴프레샤(100)가 작동되며 냉매를 순환하게 되는데, 컴프레샤(100)에서 냉매가 냉매배출관(110)을 통해 고압의 냉매로 배출되어 상기 4-way 밸브(200)측으로 유입된 후, 그 4-way 밸브(200)의 전환에 따라 냉방시의 흐름과는 반대로 제1분기관(210)측으로 냉매가 유동되어, 열교환부(300)를 거치게 되는데 팽창변(310)이 모세관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팽창변(310)을 통과하기 전에 냉매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액화되면서 고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후 상기 팽창변(310)을 통과하면서 급격하게 기화되는 상변화를 겪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팽창변(310)을 통과하며 기화되는 냉매는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측으로 유입되는데, 기화과정에서 주변열을 흡수하게 되어, 응축부(500)의 응축기(510)는 차갑게 냉각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응축기(510)를 가열시켜야 에너지의 순환이 일어나게 되는바, 여기서 상기 물탱크(600)의 히터(630)는 동작 되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물탱크(600)의 물은 가열되는 상태에서 고온의 물이, 모터펌프(620)와 물공급관(610)을 통해 응축부(500)의 응축함체(520)내 수용되어 있는 응축기(510) 상단측에 구비되는 물분사파이프(524)측으로 유도된 후, 물분사파이프(524)의 각 물분사공(524a)을 통해 고온의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응축기(510)를 유동하는 냉매를 가열하여 고온으로 열교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열된 냉매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4-way 밸브(200)측으로 유입된 후, 컴프레샤(100)측으로 냉매회수관(120)을 통해 회수되도록 한 다음, 재차 냉매배출관(110)을 통해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순환하게 된다.
아울러, 열교환부(300)를 통과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공간부(20)에 수용되는 제1송풍기(400)는 동작되는 상태에서 외기유도구(21)를 통해 외기를 유입한 후 상방측의 열교환부(300)로 대류시켜, 상기 열교환부(300)를 통과하도록 하여 고온의 온풍으로 열교환되도록 한 후 본체(1) 전방측의 배출구(11)를 통해 온풍이 실내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난방 흐름을 반복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난방 흐름에서는 응축부(500)의 응축함체(520) 상단을 커버하고 있는 커버(525)에 장착되는 송풍휀(525b)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냉난방기를 부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응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한 응축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물탱크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를 단면 처리한 개괄적인 정단면도로, 본 발명에서의 냉방 작동시 냉매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를 단면 처리한 개괄적인 정단면도로, 본 발명에서의 난방 작동시 냉매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를 측단면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으로, 송풍기 및 송풍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본체 10; 제1공간부
11; 배출구 20; 제2공간부
21; 외기유도구 30; 제3공간부
40; 제4공간부 41; 외기유입구
42; 외기배출구 50; 제5공간부
P; 구획격판
100; 컴프레샤 110; 냉매배출관
120; 냉매회수관 200; 4-way 밸브
210; 제1분기관 220; 제2분기관
300; 열교환부 310; 팽창변
400; 제1송풍기 500; 응축부
510; 응축기 520; 응축함체
521; 몸체부재 521a; 통풍구
522; 바닥부재 522a; 물배출구
523; 연결관 524; 물분사파이프
524a; 물분사공 525; 커버
525a; 통공 525b; 송풍휀
600; 물탱크 610; 물공급관
620; 모터펌프 630; 히터

Claims (5)

  1. 본체(1) 내측에 냉매배출관(110)과 냉매회수관(120)을 연결하는 컴프레샤(100), 상기 냉매배출관(110)과 냉매회수관(120) 단부는 4-way 밸브(200)와 연결되고, 상기 4-way 밸브(200)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분기관(210,220) 중 하나의 분기관(210)은 본체(1) 상단 내부측에 구비되는 열교환부(300)를 이루며 팽창변(310)과 그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210,220) 중 다른 하나의 분기관(220)은 본체(1) 중앙 부위로 이어지는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와 연결되며 그 단부가 상기 팽창변(310) 일단과 연결되고, 본체(1) 하단에 위치되는 물탱크(600)로부터 연결되는 물공급관(610)을 갖는 일련의 구성을 갖는 냉난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상하 다단으로 구획격판(P)에 의해 구획하여 순차적으로 제1~5공간부(10~50)를 형성하되, 제1공간부(10)에는 상기 열교환부(300)를 구비하고 그 하단의 제2공간부(20)에는 본체(1) 배면의 외기유도구(2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된 후 제1공간부(10)측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제1송풍기(400)와 제3공간부(30)에는 4-way 밸브(200) 및 제4공간부(40)에는 응축부(50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응축부(500) 하단으로 이어지는 제5공간부(50)에 상기 물탱크(600)와 컴프레샤(1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 배면측에는 상기 제2공간부(20)측으로 외기가 유입되기 위한 외기유도구(21)를 형성하고, 제4공간부(40)의 배면 및 전면측으로 상기 응축부(500)의 응축기(510)측으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구(41)와 상기 응축기(510)를 경유한 외기가 배출되기 위한 외기배출구(42)가 제4공간부(40)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500)는 응축기(510)가 내입되도록 외부에는 응축함체(52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응축함체(520)는 직사각 형태를 갖으며 상방과 하방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 몸체부재(521)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재(521) 하단 양측으로 각각 통풍구(521a)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재(521) 하단을 에워싸며 지지하는 바닥부재(52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바닥부재(522) 저면측으로는 물탱크(600)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배출구(522a)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재(522) 상단으로 중앙이 개구되는 통공(525a)을 갖는 커버(525)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525) 상면에 송풍휀(525b)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난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521) 측면측으로 구비되는 연결관(523) 하단은 물탱크(600)로부터 이어지는 물공급관(610)과 연결되고, 타단 즉 상단측은 물분사파이프(524)가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6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불분사파이프(524)를 통해 하방측에 위치되는 응축기(510)에 물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난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파이프(524)는 엘보우, T형 으로 되는 다수개의 연결구(524a)를 이용하여 다수열로 병렬 연결되어지되, 물분사파이프(524)의 단면상 중앙과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물분사공(524b)을 하방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난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공(524b)간의 각도는 중앙을 중심으로 각각 45°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난방기.
KR1020080135196A 2008-12-29 2008-12-29 냉난방기 KR10106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196A KR101068847B1 (ko) 2008-12-29 2008-12-29 냉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196A KR101068847B1 (ko) 2008-12-29 2008-12-29 냉난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289A true KR20100077289A (ko) 2010-07-08
KR101068847B1 KR101068847B1 (ko) 2011-09-29

Family

ID=4263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196A KR101068847B1 (ko) 2008-12-29 2008-12-29 냉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57B1 (ko) * 2011-09-09 2014-01-15 김홍운 난방장치의 열교환기 배치구조
WO2015075492A3 (en) * 2013-11-19 2015-07-23 Göde Gábor Equipment for heating and cooling of human body
KR102265011B1 (ko) 2020-09-04 2021-06-17 (주)트러스트에이엔씨 냉난방기 온도조절 자동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942B1 (ko) * 1999-09-18 2002-07-19 차승식 실외기 없는 일체형 냉.난방기
KR20020082638A (ko) * 2001-04-25 2002-10-31 차승식 수냉식 냉방시스템
KR200337948Y1 (ko) 2003-05-02 2004-01-07 (주)티원엔지니어링 응축수를 활용한 열교환식 에너지절감형 냉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57B1 (ko) * 2011-09-09 2014-01-15 김홍운 난방장치의 열교환기 배치구조
WO2015075492A3 (en) * 2013-11-19 2015-07-23 Göde Gábor Equipment for heating and cooling of human body
KR102265011B1 (ko) 2020-09-04 2021-06-17 (주)트러스트에이엔씨 냉난방기 온도조절 자동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847B1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0637B (zh) 数据中心用蒸发冷却水冷‑风冷复合型冷却系统
CN100501252C (zh) 一种移动式空调
CN106247501A (zh) 数据中心用封闭热通道‑全回风干空气能中央空调系统
KR100781267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064602A (ko) 차량용 컨덴서
KR102467477B1 (ko) 듀얼 응축기를 가지는 전열교환기
KR10245681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CN215909240U (zh) 空调器
CN103604180A (zh) 一体化冬夏两用蒸发冷却与机械制冷联合空调机组
KR101068847B1 (ko) 냉난방기
KR102401265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N207990944U (zh) 一种移动除湿烘干冷暖空调机
CN209744563U (zh) 一种移动式空调机组
KR20110098571A (ko) 후방 탑재용 버스 에어컨 시스템
KR102326343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952431B1 (ko) 실내외기 일체형 수냉식 냉방장치
CN204594038U (zh) 一种风冷冰箱的集中制冷模块
KR20060129789A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KR100946381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JP2945904B1 (ja) 可搬式冷暖房装置
JP2006038306A (ja) 冷凍装置
KR200321115Y1 (ko) 공기 조화기
KR20120055021A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CN202392899U (zh) 空调风柜及带有该风柜的空调系统
KR20190139004A (ko) 백연 저감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