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561A -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561A
KR20100076561A KR1020080134659A KR20080134659A KR20100076561A KR 20100076561 A KR20100076561 A KR 20100076561A KR 1020080134659 A KR1020080134659 A KR 1020080134659A KR 20080134659 A KR20080134659 A KR 20080134659A KR 20100076561 A KR20100076561 A KR 2010007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box
frame
box
packaging box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667B1 (ko
Inventor
권용건
Original Assignee
삼성포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포장(주) filed Critical 삼성포장(주)
Priority to KR102008013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6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2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the underside of a mag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B31B50/5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operating on mov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 전방에 설치되어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공급장치와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일면에 접착제를 접착제 도포장치 및 상기 이송수단 전방에 구비되어 이송된 포장박스를 완성된 포장박스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박스 성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전개된 상태로 제작된 포장박스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공급되는 포장박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전개된 상태로 이송된 포장박스를 박스 형태로 조립함과 동시에 양 측면부재에 도포된 접착제와 보조벽부재를 서로 부착하여서 완성된 포장박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박스 성형장치로 인해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속적이고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이고 인건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포장박스, 이송수단, 공급수단, 이송벨트, 서버모터, 성형틀

Description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Packing box automatic manufacture system}
본 발명은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 전방에 설치되어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공급장치와 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일면에 접착제를 접착제 도포장치 및 상기 이송수단 전방에 구비되어 이송된 포장박스를 완성된 포장박스로 성형하여 배출하는 박스 성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크게 상하면이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어 작업장에서 상하면을 조립하여서 사용하도록 된 상하 개방형 박스와, 하면은 일체로 막음되어 있고 상면만이 개방되도록 제작되어 작업장에서 물품 수납 후 상면을 막음하도록 된 하면 일체형 박스로 분류된다. 우선 전자는 비교적 큰 물건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후자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물건 즉, 농산물 같은 물품을 포장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두 종류의 포장박스 중 전자인 상하 개방형 포장박스는 상하 개방형 타입이므로 측면만을 부착하여서 된 접어진 상태로 제작되고, 후자인 하면 일체형 박스는 하면이 일체형이므로 접어진 상태로 제작이 불가능하므로 조립된 즉, 입체로 제작된다.
결국, 상하 개방형 타입은 그 제조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제조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후자인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는 상하 개방형 포장박스와는 그 형상이 서로 상이하고, 제조방법 또한 상이하므로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근래에는 제조 단계 중 일부는 기계에 의존 하고, 마무리는 수작업으로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를 제조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 및 경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이 포장박스 자체가 널리 보급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상기한 포장박스가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이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속적이고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이고 인건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한층 더 향상시킨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양 측면으로 연장된 양 측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전 후면에서 연장된 전/후면부재 및 상기 전/후면부재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보조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개된 상태로 제조되어 적층되어 있는 포장박스를 작동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이송벨트로 구성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 측면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및 상기 이송수단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를 이송 받아 포장박스의 하면부재를 하측으로 눌러 박스 형태로 조립함과 동시에 양 측면부재에 도포된 접착제와 보조벽부재를 서로 부착하여서 완성된 포장박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박스 성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내부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박스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지지판의 후방 양 측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연결하여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후단부가 선단부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수단; 상기 공급수단의 선단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서 후단부가 높게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선단면을 지지하여서 적층된 포장박스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판재; 및 상기 공급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상기 이송수단으로 배출하도록 회동 작동되는 상하 한 쌍의 배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재에는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박스의 선단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보조판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스 성형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의 전측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를 이송 받아 일정 거리 이송한 뒤 이송 작동을 멈추고 포장박스를 안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신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에 안치된 포장박스의 하면부재를 하향 밀착하는 프레스수단; 및 상기 프레스수단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하향 밀착되는 포장박스를 조립하여 포장박스 형태로 완성하는 성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벨트; 상기 지지판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ㄴ자 형상의 보조지지판; 상기 이송벨트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혹은 보조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혹은 보조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의 작동 정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스수단은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면을 하향 관통하고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과 함께 보조프레임의 상면을 하향 관통하는 렉기어 및 상기 렉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강 작동시키는 서버모터로 구성된 승하강수단; 상기 가이드봉 및 렉기어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성형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에 지지되어 작동신호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틀은 상기 프레스수단이 내입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된 내경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의 보조벽부재를 먼저 접히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 판; 상기 몸체의 상면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의 전/후면부재가 상기 보조벽부재 다음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1안내판보다 낮게 형성된 제2안내판; 및 상기 몸체의 상면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의 양 측면부재가 상기 전/후면부재 다음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2안내판보다 낮게 형성된 제3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하측에는 내입된 포장박스에 긴장감을 부여하여 그 형상을 잘 유지토록 함은 물론이고 무단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탄성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된 탄성편이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전개된 상태로 제작된 포장박스를 공급하는 공급장치, 공급되는 포장박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전개된 상태로 이송된 포장박스의 하면을 프레스하여 박스 형태로 조립함과 동시에 양 측면부재에 도포된 접착제와 보조벽부재를 서로 부착하여서 완성된 포장박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박스 성형장치로 인해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속적이고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이고 인건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제조하는 포장박스를 도시한 전개도 및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공급장치(200), 이송수단(300), 접착제 도포장치(400) 및 박스 성형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각 장치 즉, 상기 공급장치(200), 이송수단(300), 접착제 도포장치(400) 및 박스 성형장치(50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현장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달리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의 형상에 대 해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만 본 발명의 각 장치들을 설치하기 유리한 형상은 평면상 속이 빈 사각틀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장치(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전개된 상태로 제조되어 적층되어 있는 포장박스(700)를 작동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공급장치(200)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장치(20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박스(700)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미부호 설명이지만 통상 구동 이송롤러와 피동 이송롤러 및 상기 두 이송롤러를 감싸는 이송벨트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400)는 상기 이송수단(300)과 상기 공급장치(200) 사이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의 양 측면부재(720)에 접착제(410)를 도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미도시된 접착제 공급통과 연결되어 접착제(410)를 공급받아 분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박스 성형장치(500)는 상기 이송수단(300)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를 이송 받아 포장박스(700)의 하면부재(710)를 하측으로 눌러 박스 형태로 조립함과 동시에 양 측면부 재(720)에 도포된 접착제(410)와 보조벽부재(750)를 서로 부착하여서 조립된 포장박스(700)를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미설명 된 "600"은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이다.
한편, 상기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가 제조하는 포장박스(700)는 조립시 하면이 일체로 되고, 상면은 개방된 상태를 가지는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700)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가"를 참조로 하면, 포장박스(700)는 일체로 형성된 하면부재(710)와, 상기 하면부재(710)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측면부재(720)와, 상기 측면부재(720)에서 연장된 덮개(730)와, 상기 하면부재(710)의 전 후면에서 연장된 전/후면부재(740a,740b) 및 상기 전/후면부재(740a,740b)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보조벽부재(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나"에서 알 수 있듯이 조립시 하면은 일체로 형성된 하면부재(710)에 의해서 막음되고, 상면은 개방된 하면 일체형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가"와 같이 전개된 상태로 제작된 포장박스(700)를 자동으로 조립하여 "나"와 같이 완성된 포장박스(700)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한편, 상기에서 도시한 포장박스(700)는 유사한 여러 타입의 포장박스 중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이와 유사한 타입의 포장박스 즉,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700)는 모두 제조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이러한 제조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4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공급장치(200)는 크게 지지판(210), 공급수단(220), 지지수단(230), 판재(240) 및 배출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판(210)은 프레임(100)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전술한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각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그 형상을 한정할 수 없으나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 양 측에 직립 설치되는 측판(212)과, 상기 측판(212)의 하면을 연결하는 하판(214)과, 상기 측판(212)의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봉(216) 및 상기 하판(214)의 상면 양 측에 직립 설치되는 내판(218)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수단(220)은 상기 지지판(2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210)의 측판(212)과 내판(21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박스(700)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 공급수단(220)은 전술한 이송수단(300)과 마찬가지로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및 이를 감싸는 이송벨트로 구성된 것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수단(230)은 상기 지지판(210)의 내판(218)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232)과, 상기 브라켓(232)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234)과, 상기 지지봉(234)을 연결하여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후단부가 선단부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3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236)의 외주연에는 상부에 적층된 포장박스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자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238)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판재(240)는 상기 공급수단(220)의 선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공급수단(220)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위치되게끔 상기 지지판(210)의 연결봉(216)에 설치된다. 이러한 판재(240)는 상기 지지대(236)에 의해서 후단부가 높게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선단면을 지지하여 적층된 포장박스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나"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240)의 하면과 상기 공급수단(220)의 상면 사이에는 포장박스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부(d)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재(240)에는 포장박스의 선단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경사면(244)을 가지는 보조판(242)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롤러(250)는 상기 공급수단(2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210)의 측판(212)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수단(220)을 통해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배출하도록 회동 작동되는 것으로, 포장박스의 상하면을 압착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급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즉, "가"를 참조로 하면, 공급수단(220)의 상부에는 전개된 상태로 제작된 포장박스(700)가 적층되어 있되 그 일측 즉, 후단부는 공급수단(220)의 후측에 구비된 지지수단(230)의 지지대(236)에 안치되어 있고, 그 선단면은 하향 경사져 판재(240)에 지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포장박스(700)의 선단면은 보조판(242)의 경사면(244)에 의해서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일정거리 밀려나게끔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230)의 지지대(236)는 브라켓(232)을 매개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적층되는 포장박스(70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나"와 같이 공급수단(220) 및 배출롤러(250)가 회동 작동을 시작하게 되면, 적층된 포장박스(700) 중 최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포장박스(700)가 먼저 배출롤러(250) 쪽으로 공급되고, 곧 이 포장박스(700)는 한 쌍의 배출롤러(250) 사이로 삽입되어서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그 전측에 구비되어 있는 이송수단(300)으로 배출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포장박스(700)의 공급 작동시 지지대(236)가 포장박스(700)를 경사지게 안치함은 물론이고 보조판(242)이 가지는 경사면(244)이 포장박스(700)의 선단면을 경사지게 지지하게 되므로 포장박스(700)는 밑에서부터 한 장씩 잘 배출될 것이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과 접착제 도포장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과 접착제 도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박스를 도시한 개략적 전개도이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프레임(100)의 상면 양 측에는 접착제 도포장치(40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이송수단(30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400)는 전술한 공급장치(200)에서 배출되는 포장박스(700)의 양 측면부재(720)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300)과 전술한 공급장치(200) 사이에 설치되며, 세 개의 분사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300)의 이송벨트(310) 상면에 는 이송되는 동안 포장박스(7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프레임(100)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탄성판재(3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이송수단(300) 및 접착제 도포장치(400)는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즉,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공급장치(200)에서 포장박스(700)가 배출되면 프레임(100) 상측에 구비된 접착제 도포장치(400)가 접착제(410)를 포장박스(700) 양 측면부재(720)에 도포하게 되고, 접착제(410)가 도포된 포장박스(700)는 이송수단(300)을 통해 전방으로 계속 이송되는 것이다. 이 이송과정에서 이송수단(300)의 상면에 구비된 탄성판재(320)가 포장박스(700) 상면을 누르게 되므로 포장박스(700)는 무단으로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될 것이다.
한편,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400)를 통과한 포장박스(700)의 양 측면에는 접착제(410)가 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 성형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이송수단의 사시도이고, "나"는 레일이송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가"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수단의 사시도이고, "나"는 프레스수단의 개략적 배면도이며, "다"는 프레스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고,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사시도이며, "나"는 성형틀의 측면도이고, "다"는 "가"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작동에 의해 전개된 포장박스가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한 개략적 순서도이며, 도 14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 성형장치 전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박스 성형장치(500)는 크게 프레임(100)의 내측에 이격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510),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프레임(520), 상기 보조프레임(520)에 설치된 프레스수단(530) 및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성형틀(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이송수단(510)은 도 9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미도시된 이송수단(300)의 전방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를 이송 받아 일정 거리 이송한 뒤 이송 작동을 멈추고 포장박스(700)를 안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판(512), 상기 지지판(512)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이송벨트(514), 상기 지지판(512)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514)의 처짐을 방지하는 ㄴ자 형상의 보조지지판(515), 상기 이송벨트(514)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512) 혹은 보 조지지판(515) 상에 힌지(h)를 축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의 터치에 의해 이송벨트(514)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1센서(516) 및 상기 이송벨트(514)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512) 혹은 보조지지판(515)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514)의 작동 정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센서(5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512)은 상기 프레임(100)의 내벽에 직접 설치할 수 있으나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환봉(518)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일이송수단(510)은 프레임(100) 내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대칭되게 설치되므로 그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됨을 인지하여야 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510)은 이송되는 포장박스(700)의 양 단부를 안치하게 됨을 함께 인지하여야 된다.
이렇게 구성된 레일이송수단(510)은 도 9의 "나"와 같이 작동된다. 즉,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이송수단(300)으로부터 포장박스(700)가 이송되면 이 포장박스(700)의 양 단부는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510)의 각 지지판(512)에 설치된 이송벨트(514)로 안치될 것이며, 곧 상기 이송벨트(514)의 후방 상부에 구비된 제1센서(516)를 터치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1센서(516)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이송벨트(514)가 회동 작동을 시작하게 되고, 포장박스(700)는 이송벨트(514)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제, 양단이 이송벨트(514)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는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제2센서(517)를 터치하게 될 것이고, 곧 이송벨트(514)는 제2센서(517)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회동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러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는 양단이 상기 이송벨트(514)에 안치된 채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센서(516)는 힌지(h)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포장박스(700)의 터치시 상측으로 회동 작동되면서 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포장박스(700)의 이송에는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리고, 포장박스(700)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 하향 되면서 최초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프레임(520)은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상면이 상기 프레임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스수단(530)은 도 10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520)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신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510)에 안치된 포장박스(700)의 하면부재(710)를 하향 밀착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스수단(530)은 크게 승하강수단(532), 몸체(536) 및 밀착판(537)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수단(532)은 상기 보조프레임(520)의 상면을 하향 관통하고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봉(533), 상기 가이드봉(533)과 함께 보조프레임(520)의 상면을 하향 관통하는 렉기어(534) 및 상기 렉기어(534)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강 작동시키는 서버모터(5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536)는 상기 성형틀(540) 내부로 삽입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프레임(520)을 하향 관통하고 있는 상기 가이드봉(533) 및 렉기어(534)의 하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537)은 상기 몸체(536)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538)에 지지되어 작동신호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작동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접착제(410)가 도포된 측면부재(720)와 보조벽부재(750)를 단단히 부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프레스수단(530)은 도 10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즉, 보조프레임(520) 상면에 설치된 서버모터(535)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 작동되면 이에 치합된 렉기어(534)가 하향된다. 그러면, 상기 렉기어(534)의 하면에 부착된 몸체(536) 또한 가이드봉(533)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하향 작동될 것이다. 이어서 상기 몸체(536)가 설정된 길이만큼 하향 작동되면 서버모터(535)는 작동을 멈추게 될 것이고, 곧 다른 작동신호에 의해 공압실린더(538)에 지지된 밀착판(537)은 양 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 되는 밀착판(537)의 역할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틀(540)은 상기 프레스수단(530)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상부에 구비된 프레스수단(530)의 하향 밀착에 의해 내입되는 포장박스(700)를 조립하여 완성하는 것으로, 도 11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스수단(530)이 내입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된 내경을 가지는 몸체(542), 상기 몸체(542)의 상면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프레스수단(530)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700)의 보조벽부재(750)를 먼저 접히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판(543), 상기 몸체(542)의 상면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스수단(530)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700)의 전/후면부재(740a,740b)가 상기 보조벽부재(750) 다음으로 접히게 안내하도록 상기 제1안내판(543)보다 낮게 형성된 제2안내판(544) 및 상기 몸체(542)의 상면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스수단(530)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700)의 양 측면부재(720)가 상기 전/후면부재(740a,740b) 다음으로 접히게 안내하도록 상기 제2안내판(544)보다 낮게 형성된 제3안내판(5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안내판(543,544,545)의 높이는 도 11의 "나"를 참조로 하면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안내판(543)이 제일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안내판(544)은 상기 제1안내판(543)보다는 낮고 제3안내판(545)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있고, 제3안내판(545)은 제일 낮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처럼 상기 제1 내지 제3안내판(543,544,545)의 높이가 달리 형성된 것은 포장박스(700)에 닿는 순서를 달리 하여 그 순서에 의해 포장박스(700)가 접힐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작동관계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542) 하측에는 탄성편(547)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도 11의 "다"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몸체(542) 하측에는 절개공(5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공(546) 상측에는 탄성편(547)이 힌지(h)를 축으로 결합되어 있되 그 일부가 상기 절개공(546)을 통해 몸체(542)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절개공(546) 하측에는 상기 탄성편(547)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탄성편(547) 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s)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후술하겠지만 상기 탄성편(547)이 구비되는 것은 상기 몸체(542)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700)에 긴장감을 부여하여 그 형상을 잘 유지토록 함은 물론이고 무단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성형틀(540)은 도 12와 같이 사용되어 도 13과 같이 포장박스를 접게 된다. 즉, 성형틀(540)의 상면에는 몸체(542) 내경으로 내입될 포장박스(700)가 위치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포장박스(700)의 하면부재(710)는 상기 몸체(54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양 측면부재(720)의 일부는 몸체(542) 상면 양 측면에 구비된 제3안내판(545)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전후면부재(740a,740b)의 일부는 몸체(542) 상면 전후면에 구비된 제2안내판(544)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보조벽부재(750)의 일부는 몸체(542)의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제1안내판(543)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물론, 상기 포장박스(700)는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레일이송수단(510)에 양단이 안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한 위치에 맞게 셋팅되는 것은 레일이송수단(510)의 제2센서(517)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수단(530)의 몸체(536)가 서버모터(535)를 매개로 하향 작동되어 상기 포장박스(700)의 하면부재(710)를 하향 밀착하게 되면 도 1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540) 몸체(542)의 상면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안내판(543,544,545) 중 제일 높게 형성되어 있는 제1안내판(543)에 먼저 닿는 보조벽부재(750)가 상승하게 되고, 더 밀착되면 다음으로 높은 제2안내판(544)에 닿는 전후면부재(740a,740b)가 "나"와 같이 상승하게 되며, 더 밀착되면 제3안내판(545)에 닿는 양 측면부재(720)가 "다"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포장박스(700)의 하면을 더 밀착하게 되면 몸체(542) 내부로 포장박스(700)가 내입되면서 몸체(542)의 내경에 의해 사각 형상으로 완전히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박스 성형장치(5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 박스 성형장치의 전체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14의 "가"를 참조로 하면, 여기서는 미도시된 이송수단(300)으로부터 포장박스(700)가 이송되어 그 양단이 레일이송수단(510)에 안치되면 곧 레일이송수단(510)의 제1센서(516)가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이송벨트(514)를 작동시키게 한다. 그러면, 이송벨트(514)는 이송수단(300)으로부터 이송된 포장박스(700)의 양단을 안치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이송벨트(514)를 따라 이송되는 포장박스(700)는 곧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제2센서(517)와 접촉하게 될 것이고, 이 접촉에 의해 제2센서(517)는 작동 중지 신호를 인가하여 이송벨트(514)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의 작동에 의해 이송수단(300)에서 이송된 포장박스(700)는 프레스수단(530)과 성형틀(540) 사이에 위치하되 그 하면부재(710)의 중심부와 프레스수단(530)의 몸체(536) 중심부 및 성형틀(540)의 몸체(542) 중심부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포장박스(700)의 보조벽부재(750), 전후면부재(740a,740b) 및 양 측면부재(720)는 제1 내지 제3안내판(543,544,545)과 그 일부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나"와 같이 프레스수단(530)의 서버모터(535)가 작동되면 몸체(536)는 하향되면서 레일이송수단(510)의 이송벨트(514)에 지지되어 있는 포장박스(700)의 하면부재(710)를 하향 밀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포장박스(700)는 성형틀(540)의 몸체(542) 내부로 내입되기 전 전술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보조벽부재(750), 전후면부재(740a,740b) 및 양 측면부재(720)가 제1 내지 제3안내판(543,544,545)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상승될 것이고, 곧 성형틀(540)의 몸체(542) 내부로 내입되어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프레스수단(530)의 몸체(536)가 셋팅된 거리만큼 하향되면 이번에는 양 측면에 구비된 밀착판(537)이 작동신호에 의해 돌출되면서 보조벽부재(750)를 외측으로 밀어 포장박스(700)의 양 측면부재(720)에 도포된 접착제(410)에 보조벽부재(750)를 단단히 부착하여서 포장박스(700)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밀착판(537)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고, 서버모터(535)가 반대로 회동되어 하향되었던 프레스수단(530)의 몸체(536)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다음 동작을 준비토록 한다.
이때,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540)의 몸체(542)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된 포장박스(700)는 탄성편(547)에 의해 그 전후면부재(740a,740b)가 탄성 지지되므로 그 형상을 더욱 잘 유지하게 될 것이고, 강제로 배출하기 전에는 성형틀(540)의 몸체(542)에서 분리되지 않고 그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새로운 포장박스(700)가 다시 레일이송수단(510)의 이송벨트(514)로 이송되어 위치되면 프레스수단(530)의 몸체(536)는 다시 하향되면서 이 포장박스(700)를 성형틀(540)의 몸체(542) 내부로 내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 포장박스(70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면서 몸체(542) 내부로 내입되며, 이 과정에서 먼저 조립되어 있는 포장박스(700)를 성형틀(540) 외부로 밀어 내면서 조립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박스 성형장치(500)는 전개된 채로 이송된 포장박스(700)를 조립하여서 배출하게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전술한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작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프레임(100)에는 후방에서부터 공급장치(200), 접착제 도포장치(400), 이송수단(300) 및 박스 성형장치(50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장치(200)의 공급수단(220)의 상면에는 전개된 채로 제작된 포장박스(700)가 적층된다. 물론, 상기 포장박스(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200) 후방에 구비된 지지수단(230)에 의해서 후단부가 높게 위치되어 경사진 채 적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급장치(200)의 공급수단(220)과 배출롤러(250) 및 이송수단(300)을 작동시키게 되면 공급수단(220)에 적층된 포장박스(700) 중 최하단에 구비된 포장박스(700)가 먼저 배출롤러(250)를 통해 배출되어져 상기 이송수단(300)으로 배출되어져 이송될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300)으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공급장치(200)와 이송수단(300) 사이에 구비된 접착제 도포장치(400)가 배출롤러(250)를 통해 배출되는 포장박스(700)의 양 측면부재(720)에 각각 접착제(410)를 도포하게 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렇게 접착제(410)가 도포된 포장박스(700)는 이송수단(300)을 통해 상기 박스 성형장치(500)의 레일이송수단(510)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박스(700)에 도포된 접착제(410)는 이송수단(300)을 거치면서 접착이 잘될 수 있도록 약간 건조되어져 이송될 것이다.
계속해서, 접착제(410)가 도포된 포장박스(700)는 이송수단(300)을 통해 박스 성형장치(500)의 레일이송수단(510)으로 이송되며, 이 이송되는 포장박스(700)를 이송 받은 레일이송수단(510)은 포장박스(700)의 양 단부를 안치하여 더 이송시킨 후 제2센서(517)에 의해 셋팅된 지점에 포장박스(700)를 위치시키게 된다.
그러면,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박스 성형장치(500)의 프레스수단(530)이 작동되면서 포장박스(700)의 하면부재(710)를 하향 밀착하게 되고, 그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성형틀(540)이 하향 밀착되는 포장박스(700)가 순 차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박스 형상을 완성하게 되며, 곧 포장박스(700)를 하향 밀착시켰던 프레스수단(530)의 밀착판(537)이 작동하여 접착제(410)가 도포된 부분과 접하는 부분을 단단히 부착한 뒤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 프레스수단(530)의 복원으로 인해 비로소 하면 일체형 포장박스(70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후, 새로운 포장박스(700)가 계속 공급되면 먼저 조립된 포장박스(700)는 이후에 조립되는 포장박스(700)에 의해 밀려서 자동으로 배출되므로 연속적으로 포장박스(700)를 조립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의하면, 프레임(100)의 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전개된 상태로 제작된 포장박스(700)를 공급하는 공급장치(200), 공급되는 포장박스(700)에 접착제(410)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400), 접착제(410)가 도포된 포장박스(700)를 이송하는 이송수단(300) 및 전개된 상태로 이송된 포장박스(700)의 하면을 프레스하여 박스 형태로 조립함과 동시에 양 측면부재(720)에 도포된 접착제(410)와 보조벽부재(750)를 서로 부착하여서 완성된 포장박스(700)를 배출하도록 하는 박스 성형장치(500)로 인해 하면이 일체로 된 포장박스(700)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속적이고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이고 인건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제조하는 포장박스를 도시한 전개도 및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과 접착제 도포장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과 접착제 도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접착제 도포장치에 의해서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박스를 도시한 개략적 전개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 성형장치의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이송수단의 사시도이고, "나"는 레일이송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가"의 D-D선 단면도.
도 10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수단의 사시도이고, "나"는 프레스수단의 개략적 배면도이며, "다"는 프레스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사시도이며, "나"는 성형틀의 측면도이고, "다"는 "가"의 E-E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작동에 의해 전개된 포장박스가 조립되는 순서를 도시한 개략적 순서도.
도 14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 성형장치 전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200 : 공급장치
210 : 지지판 212 : 측판
214 : 하판 216 : 연결봉
218 : 내판 220 : 공급수단
230 : 지지수단 232 : 브라켓
234 : 지지봉 236 : 지지대
238 : 회전체 240 : 판재
242 : 보조판 244 : 경사면
250 : 배출롤러 300 : 이송수단
310 : 이송벨트 320 : 탄성판재
400 : 접착제 도포장치 410 : 접착제
500 : 박스 성형장치 510 : 레일이송수단
512 : 지지판 514 : 이송벨트
515 : 보조지지판 516 : 제1센서
517 : 제2센서 518 : 환봉
520 : 보조프레임 530 : 프레스수단
532 : 승하강수단 533 : 가이드봉
534 : 렉기어 535 : 서버모터
536 : 몸체 537 : 밀착판
538 : 공압실린더 540 : 성형틀
542 : 몸체 543 : 제1안내판
544 : 제2안내판 545 : 제3안내판
546 : 절개공 547 : 탄성편
600 : 제어부 700 : 포장박스
710 : 하면부재 720 : 측면부재
730 : 덮개 740a : 전면부재
740b : 후면부재 750 : 보조벽부재
d : 공간부 s : 스프링
h : 힌지

Claims (8)

  1.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양 측면으로 연장된 양 측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전 후면에서 연장된 전/후면부재 및 상기 전/후면부재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보조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개된 상태로 제조되어 적층되어 있는 포장박스를 작동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공급장치;
    상기 공급장치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이송롤러와 이송벨트로 구성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공급장치 사이 양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의 양 측면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및
    상기 이송수단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를 이송 받아 포장박스의 하면부재를 하측으로 눌러 박스 형태로 조립함과 동시에 양 측면부재에 도포된 접착제와 보조벽부재를 서로 부착하여서 완성된 포장박스를 배출하도록 하는 박스 성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내부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박스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지지판의 후방 양 측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연결하여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후단부가 선단부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수단;
    상기 공급수단의 선단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서 후단부가 높게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선단면을 지지하여서 적층된 포장박스가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판재; 및
    상기 공급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포장박스를 상기 이송수단으로 배출하도록 회동 작동되는 상하 한 쌍의 배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에는 적층되는 포장박스의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박스의 선단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보조판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성형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의 전측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포장박스를 이송 받아 일정 거리 이송한 뒤 이송 작동을 멈추고 포장박스를 안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신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레일이송수단에 안치된 포장박스의 하면부재를 하향 밀착하는 프레스수단; 및
    상기 프레스수단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하향 밀착되는 포장박스를 조립하여 포장박스 형태로 완성하는 성형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벨트;
    상기 지지판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ㄴ자 형상의 보조지지판;
    상기 이송벨트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혹은 보조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 혹은 보조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의 작동 정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수단은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면을 하향 관통하고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과 함께 보조프레임의 상면을 하향 관통하는 렉기어 및 상기 렉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강 작동시키는 서버모터로 구성된 승하강수단;
    상기 가이드봉 및 렉기어의 하면에 부착되어 상기 성형틀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공압실린더에 지지되어 작동신호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상기 프레스수단이 내입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된 내경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내부로 밀 착되는 포장박스의 보조벽부재를 먼저 접히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판;
    상기 몸체의 상면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의 전/후면부재가 상기 보조벽부재 다음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1안내판보다 낮게 형성된 제2안내판; 및
    상기 몸체의 상면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스수단에 의해 내부로 밀착되는 포장박스의 양 측면부재가 상기 전/후면부재 다음으로 접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제2안내판보다 낮게 형성된 제3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측에는 내입된 포장박스에 긴장감을 부여하여 그 형상을 잘 유지토록 함은 물론이고 무단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탄성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된 탄성편이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KR1020080134659A 2008-12-26 2008-12-26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KR10104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659A KR101044667B1 (ko) 2008-12-26 2008-12-26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659A KR101044667B1 (ko) 2008-12-26 2008-12-26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61A true KR20100076561A (ko) 2010-07-06
KR101044667B1 KR101044667B1 (ko) 2011-06-28

Family

ID=4263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659A KR101044667B1 (ko) 2008-12-26 2008-12-26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6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3706A (zh) * 2010-11-17 2012-05-23 枣阳天立包装实业有限公司 自动化纸桶生产设备
KR101322824B1 (ko) * 2012-12-27 2013-10-28 이래용 고속 골프공 종이 상자함 제조장치
CN103568357A (zh) * 2013-10-08 2014-02-12 广东承昊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书套盒包装机
WO2014110871A1 (zh) * 2013-01-19 2014-07-24 东莞市鸿铭机械有限公司 自动制盒机
CN105151843A (zh) * 2015-09-22 2015-12-16 佛山市方悦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纸片下料装置
KR20200080980A (ko) * 2018-12-27 2020-07-07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CN113071141A (zh) * 2021-04-20 2021-07-06 安徽宏洋包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白酒包装盒的自动糊筒成形设备
CN114952997A (zh) * 2021-09-06 2022-08-30 童缨 一种pp材质包装箱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94B1 (ko) 2017-05-12 2018-08-29 (주)선진수출포장 포장박스 파지 제거 및 이송 장치
KR102117439B1 (ko) 2018-12-24 2020-06-01 (주) 태강 골판지박스의 접착제 도포장치
KR102292556B1 (ko) * 2018-12-28 2021-08-24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박스 이송 장치 및 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유닛
KR102218500B1 (ko) * 2019-11-13 2021-02-22 박현만 골판지용 자동 톰슨 프레스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250B1 (ko) * 1996-01-15 1999-08-16 이종구 제품운반용 골판지 용기의 자동성형장치
JPH09239870A (ja) * 1996-03-07 1997-09-16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段ボール箱組立方法及び装置
KR19990079218A (ko) * 1998-04-02 1999-11-05 윤종용 제품 포장용 박스 성형 설비
KR100533614B1 (ko) * 2003-11-20 2005-12-06 유상근 비주얼 포장박스 제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3706A (zh) * 2010-11-17 2012-05-23 枣阳天立包装实业有限公司 自动化纸桶生产设备
KR101322824B1 (ko) * 2012-12-27 2013-10-28 이래용 고속 골프공 종이 상자함 제조장치
WO2014110871A1 (zh) * 2013-01-19 2014-07-24 东莞市鸿铭机械有限公司 自动制盒机
CN103568357A (zh) * 2013-10-08 2014-02-12 广东承昊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书套盒包装机
CN105151843A (zh) * 2015-09-22 2015-12-16 佛山市方悦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纸片下料装置
KR20200080980A (ko) * 2018-12-27 2020-07-07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CN113071141A (zh) * 2021-04-20 2021-07-06 安徽宏洋包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白酒包装盒的自动糊筒成形设备
CN114952997A (zh) * 2021-09-06 2022-08-30 童缨 一种pp材质包装箱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667B1 (ko) 201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667B1 (ko)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KR100787620B1 (ko) 케이스 형성 기계와, 블랭크로부터 케이스를 조립하고 펼쳐진 케이스를 배출하기 위한 기계
JP6151322B2 (ja) 製函装置
CN107867011B (zh) 用于生产铰接盖式包装盒的方法和装置
CN112373115B (zh) 一种纸盒包装成型设备
CN113400713B (zh) 一种酒具盒内托成型机
JP2682501B2 (ja) 8角形の内筒で補強された包装箱の製函機
KR100689239B1 (ko) 제함기
KR20160092220A (ko) 포장용 상자 핫멜트 접착형 제조장치
JP2002144450A (ja) 包装箱の形成装置
CN216333120U (zh) 一种多规格纸箱包装生产线
CN210338472U (zh) 一种纸箱开箱机
CN113306781A (zh) 手套包装机用调节装置
JP6646406B2 (ja) 縦型カートナー
KR102591188B1 (ko) 제품 장입 및 박스 포장장치
KR101460574B1 (ko) 포장 상자용 댐지 자동접합장치
JP2001080603A (ja) 封緘装置
JPH10273106A (ja) 包装装置
CN110884212B (zh) 一种包装盒成型机
JP4462736B2 (ja) 箱の形成装置
KR102500463B1 (ko) 박스 제함 장치
CN115072062B (zh) 一种包装袋连续胶粘封边装置
CN218906452U (zh) 一种盒体外包装压合成型机构
US20050087462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a product in a box-shaped container
KR100215250B1 (ko) 제품운반용 골판지 용기의 자동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