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174A -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174A
KR20100075174A KR1020080133805A KR20080133805A KR20100075174A KR 20100075174 A KR20100075174 A KR 20100075174A KR 1020080133805 A KR1020080133805 A KR 1020080133805A KR 20080133805 A KR20080133805 A KR 20080133805A KR 20100075174 A KR20100075174 A KR 2010007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lurry composition
cmp slurry
polishing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963B1 (ko
Inventor
강동헌
임건자
최원영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9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2Poli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or gr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C09K3/1454Abrasive powders, suspensions and pastes for polishing
    • C09K3/1463Aqueous liquid susp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초순수, 연마제, 산화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로 1차 입경이 30 ~ 70nm인 콜로이드 실리카를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5 ~ 3 중량%로 사용하고, 상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소듐 퍼옥사이드, 및 암모늄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산화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1 ~ 5 중량%로 사용하며, 상기 pH 조절제로 질산, 황산, 인산, 염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글루타르산, 글루콜산, 포름산, 젖산, 말산, 말론산, 말레산, 옥살산, 프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암모니아,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사용하며,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가 2.3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CMP 슬러리 조성물은 금속 배선에 대하여 높은 연마 속도를 나타내어 연마 공정 시간이 짧으며, 이로전(erosion)과 디싱(dishing) 등의 표면 결함이 적으므로 금속 배선 연마 공정에 유용하다.
금속 배선, CMP 슬러리, 콜로이드 실리카, 과산화 화합물, pH 조절제, 연마 속도, 이로전(erosion), 디싱(dishing), 표면 결함

Description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CMP slurry composition for polishing metal wiring and po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에 사용되는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 중에서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이, 연마 시 슬러리로 대상막을 부식, 에칭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재료의 연마에 사용되는 슬러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MP 공정은 반도체 웨이퍼 표면을 연마 패드에 접촉하여 오비탈 운동을 실시하면서 연마제와 각종 화합물들이 함유된 슬러리를 이용하여 평탄하게 연마하는 공정을 말한다. CMP 슬러리는 연마 대상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절연층인 산화실리콘(SiO2) 등을 연마하는 산화막(oxides layer) 연마용 슬러리와 구리나 텅스텐, 알루미늄 층을 연마하는 금속 연마용 슬러리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금속 연마용 슬러리로 금속 층을 연마하는 공정의 경우에는 초기 금속 층만을 연마하는 단계, 금속 층과 배리어 층을 연마하는 단계, 및 금속 층과 배리어 층 과 산화막을 연마하는 단계로 연마 공정이 진행되게 된다. 이 중 제일 마지막 단계인 금속 층과 배리어 층과 산화막을 연마하는 단계에서는 특히 금속 층과 산화막이 적절한 연마 속도로 함께 연마되어야 우수한 연마 평탄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연마 공정 시간이 길어지거나, 이로전(erosion) 또는 디싱(dishing) 등의 표면 결함(defect)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배선에 대하여 높은 연마 속도를 나타내며, 이로전(erosion)과 디싱(dishing) 등의 표면 결함이 적은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초순수, 연마제, 산화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로 1차 입경이 30 ~ 70nm인 콜로이드 실리카를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5 ~ 3 중량%로 사용하고, 상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소듐 퍼옥사이드, 및 암모늄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산화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1 ~ 5 중량%로 사용하며, 상기 pH 조절제로 질산, 황산, 인산, 염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글루타르산, 글루콜산, 포름산, 젖산, 말산, 말론산, 말레산, 옥살산, 프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암모니아,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사용하며,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가 2.3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가 2.5 ~ 2.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CMP 슬러리 조성물의 금속 층에 대한 연마 속도가 1800Å/mi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MP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금속 배선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연마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MP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금속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CMP 슬러리 조성물은 금속 배선에 대하여 높은 연마 속도를 나타내어 연마 공정 시간이 짧으며, 이로전과 디싱 등의 표면 결함이 적으므로 금속 배선 연마 공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초순수, 연마제, 산화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로 1차 입경이 30 ~ 70nm인 콜로이드 실리카를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5 ~ 3 중량%로 사용하고, 상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소듐 퍼옥사이드, 및 암모늄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산화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1 ~ 5 중량%로 사용하며, 상기 pH 조절제로 질산, 황산, 인산, 염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글루타르산, 글루콜산, 포름산, 젖산, 말산, 말론산, 말레산, 옥살산, 프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암모니아,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사용하며,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가 2.3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퓸드 실리카(fumed silica)에 비해 산화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연마 속도를 나타내며, 금속 배선과 산화막의 단차를 줄여 디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의 1차 입경은 슬러리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 연마 균일도, 피연마물의 표면 특성 측면에서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연마 속도, 슬러리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 피연마물의 표면 특성 측면에서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 2.7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 2.4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 옥사이드, 소듐 퍼옥사이드, 및 암모늄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산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화력과 슬러리의 분산 안정성 측면에서 과산화수소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는 연마 속도, 피연마물의 표면 특성 측면에서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 4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 3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pH 조절제는 금속 또는 연마기의 부식을 방지하고, 금속 산화가 쉽게 일어나는 pH 범위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 상기 pH 조절제로는 질산, 황산, 인산, 및 염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글루타르산, 글루콜산, 포름산, 젖산, 말산, 말론산, 말레산, 옥살산, 프탈산, 숙신산, 및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암모니아, 및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등의 염기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pH 조절제는 연마 속도, 슬러리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 연마 균일도, 피연마물의 표면 특성 측면에서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2 ~ 0.5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 ~ 0.1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는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2.4 ~ 2.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 2.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정된 범위의 콜로이드 실리카, 과산화 화합물, 및 pH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층에 대한 연마 속도를 1800Å/min 이상으로 높게 구현하여 연마 공정 시간을 짧게 하면서도 이로전(erosion) 현상, 디싱(dishing) 현상, 및 피연마물 표면에 금속 층의 잔류물(residue) 형성 등의 표면 결함(defect)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CMP 슬러리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CMP 슬러리 조성물은 금속 배선을 연마하는 데에 특히 효과적이며 금속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에 유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초순수에 표 1에 기재된 1차 입경을 갖는 콜로이드 실리카 또는 퓸드 실리카를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투입하고, 질산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전체 슬러리 조성물의 pH를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조절하였다. 연마 직전 과산화수소를 전체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2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1분간 교반한 이후에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연마를 1분간 진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o 연마기 Model: Mirra (AMAT社)
o 연마조건:
- 연마 패드: IC1000/SubaⅣ Stacked(Rodel社)
- Spindle 속도: 133rpm
- Platen 속도: 110rpm
- 압력: 3psi
- 슬러리 유량: 200㎖/분
o 연마 대상: 다결정 실리콘 기판 위에 P-TEOS 산화막과 텅스텐을 각각
2,500Å과 4,000Å으로 증착하여 제작한 블랭킷(blanket) 웨이퍼
구분 연마제 1차
입경
(nm)
연마제 함량
(중량%)
슬러리
조성물의 pH
텅스텐 연마
속도(Å/min)
산화막 연마
속도(Å/min)
실시예 1 콜로이드실리카 30 2 2.8 2156 365
실시예 2 콜로이드실리카 70 2 2.5 1817 299
비교예 1 퓸드실리카 15 6 2.5 2030 51
비교예 2 콜로이드실리카 30 2 8 914 603
비교예 3 콜로이드실리카 20 2 2.5 1612 322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CMP 슬러리 조성물은 텅스텐에 대한 연마 속도가 1800Å/min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연마 공정 시간 단축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에서 텅스텐에 대한 연마 속도가 우수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이로전과 디싱을 측정하였다. 이로전 측정은 0.25㎛, 20% 패턴 밀도에서 측정하였고, 디싱은 25㎛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이로전(Å) 디싱(Å)
실시예1 441 242
실시예2 127 299
비교예1 803 350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CMP 슬러리 조성물은 이로전과 디싱 값이 낮아 표면 결함이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초순수, 연마제, 산화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로 1차 입경이 30 ~ 70nm인 콜로이드 실리카를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5 ~ 3 중량%로 사용하고, 상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 벤조일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바륨 퍼옥사이드, 소듐 퍼옥사이드, 및 암모늄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산화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1 ~ 5 중량%로 사용하며, 상기 pH 조절제로 질산, 황산, 인산, 염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글루타르산, 글루콜산, 포름산, 젖산, 말산, 말론산, 말레산, 옥살산, 프탈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암모니아,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에 대하여 0.01 ~ 1 중량%로 사용하며,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가 2.3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CMP 슬러리 조성물의 pH가 2.5 ~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MP 슬러리 조성물의 금속 층에 대한 연마 속도가 1800Å/mi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CMP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여 금속 배선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배선의 연마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CMP 슬러리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금속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80133805A 2008-12-24 2008-12-24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127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805A KR101279963B1 (ko) 2008-12-24 2008-12-24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805A KR101279963B1 (ko) 2008-12-24 2008-12-24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74A true KR20100075174A (ko) 2010-07-02
KR101279963B1 KR101279963B1 (ko) 2013-07-05

Family

ID=4263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805A KR101279963B1 (ko) 2008-12-24 2008-12-24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9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1197B (en) * 1999-08-17 2002-09-01 Hitachi Chemical Co Ltd Polishing compoun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method for polishing substrate
KR100891612B1 (ko) * 2002-12-20 2009-04-0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구리 배선 공정에 대한 연마 효율 및 선택비가 우수한화학-기계적 연마 슬러리 조성물
KR100855474B1 (ko) 2002-12-23 2008-09-0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산성 영역에서 콜로이달 실리카의 분산안정성과 과산화물산화제의 분해안정성이 뛰어난 구리 배선용 화학-기계적연마슬러리 조성물
WO2007060859A1 (ja) * 2005-11-22 2007-05-31 Hitachi Chemical Co., Ltd. アルミニウム膜研磨用研磨液及びこ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膜の研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963B1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504B1 (ko) Cmp 슬러리
KR100741630B1 (ko) 화학적-기계적 연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002496B1 (ko) 패드 흡착 방지제
JP6595227B2 (ja) ケミカルメカニカルポリッシング組成物及びタングステン研磨法
KR20140117622A (ko) 코발트 적용을 위한 슬러리
KR101293790B1 (ko) 텅스텐 패턴 웨이퍼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US7402261B2 (en) Slurry compositions, methods of preparing slurr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olishing an object using slurry compositions
KR101335946B1 (ko) 텅스텐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US10607853B2 (en) CMP slurry composition for polishing copper line and polishing method using same
KR20100022302A (ko) Cmp 슬러리
KR102415696B1 (ko) 연마 슬러리 조성물
KR101266537B1 (ko)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KR101279966B1 (ko)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1526006B1 (ko) 구리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0970094B1 (ko) 구리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연마 방법
KR101279963B1 (ko)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JP2009206148A (ja) 研磨用組成物
KR101340550B1 (ko) 화학기계적연마 조성물 및 연마 방법
KR100552381B1 (ko) 금속 cmp 슬러리 조성물
KR100725550B1 (ko) 구리 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배선 연마 방법
KR20180062785A (ko)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위한 통합형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1178718B1 (ko) 금속 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마 방법
KR100546788B1 (ko) 고선택비를 나타내는 금속 배선 연마용 슬러리 조성물
KR100699185B1 (ko) 금속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KR100649859B1 (ko) 구리배선 연마용 cmp 슬러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