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922A -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922A
KR20100073922A KR1020080132714A KR20080132714A KR20100073922A KR 20100073922 A KR20100073922 A KR 20100073922A KR 1020080132714 A KR1020080132714 A KR 1020080132714A KR 20080132714 A KR20080132714 A KR 20080132714A KR 20100073922 A KR20100073922 A KR 20100073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bstacle
unit
expect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010B1 (ko
Inventor
권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8013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0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지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예상 움직임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예상 움직임 영역에 LED 등의 빛을 비추고 상기 차량의 예상 움직임 영역에 장애물 또는 타인의 차량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경보를 알려주는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는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감지 유닛과;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에 빛을 비추는 LED 발광부와;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음성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음성경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 유닛, 음성경보부, LED 발생부

Description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LERTING COLLISION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주행 중 주변의 사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경보를 알려주는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주행중 주변의 사물, 특히 차량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룸 미러(Room Mirror) 및 사이드 미러(Side Mirror)를 구비한다.
통상 룸 미러는 후방의 사물들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고, 사이드 미러는 좌·우측 후방의 사물들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로는 사물을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용차량이 방향변경을 하면 방향지시등의 등화신호 및 후진시 울리는 경보음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 상용차량의 조향축이 1축뿐 아니라 2축도 조향이 되어 차량의 회전반경은 크게 선회할 수 있으나 조향시 방향지시등에만 의존하여 전환시 상대편의 차량이 조향 가능 범위 (또는 "회전 반경 영역" 이라 한다)내에 있을 때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핸들의 조향각, 차량속도 및 차량측면에 장착된 센서 등을 포함하는 감지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예상 움직임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예상 움직임 영역에 LED 등의 빛을 비추고 상기 차량의 예상 움직임 영역에 장애물 또는 타인의 차량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경보를 알려주는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경보 장치는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감지 유닛과;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에 빛을 비추는 LED 발광부와;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음성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음성경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경보 방법은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위치하는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에 LED 빛을 비추고 음성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들을 갖는 본 발명은, 조향시 조향반경(이하 "예상 회전 반경 영역" 이라 한다)에 타인의 차량 또는 장애물이 있을 때 자신의 차량(이하 "자차량" 이라 한다)의 운전자 및 상대편 운전자에게 충돌의 경보를 알려줌으로써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 사고가 많은 상용차 및 버스의 상단에 직진성이 좋은 LED를 장착함으로써 방향지시등을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할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에 장애물 또는 타인의 차량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경보를 제시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경보 장치는 인접 차량들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감지 유닛(100)과, 감지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LED 발광부(80) 및 음성경보부(90)를 구비한다.
감지 유닛(100)에는 제어부(10), 저장부(20), 회전 반경 데이터베이스(30), 위치검출 센서부(40), 속도 센서부(60), 조향 핸들 각도 검출부(5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LED 발광부(80) 및 음성경보부(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경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20)는 차량 경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과, 기준 거리값 및 기준 각도값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회전 반경 데이터베이스(30)는 핸들의 회전 방향 및 일정 단위의 회전 각도에 대한 차량의 회전 방향 및 회전 방경에 대한 데이터(이하 "회전 반경 데이터"라 함)를 저장한다.
위치 검출 센서부(40)는 차량의 외부 좌측과 우측 각각의 전방과 후방 등에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자차량에 인접한 차량의 검출 및 검출된 차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조향 핸들 회전 검출부(50)는 조향 핸들(51)과 상기 조향 핸들의 회전 각도 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는 핸들 회전각도 검출 센서부(53)를 포함한다.
속도 센서부(60)는 자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음성 경보부(90)는 자차량의 회전반경내 타인의 차량 또는 장애물 등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차량 충돌 여부를 경보한다.
LED 발생부(80)는 제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차량의 측면 및 탑 상단부 각각에 장착된다. 이러한 LED 발생부(80)는 차량의 속도, 핸들의 조향각과 기어신호 등에 따라 결정되는 예상 회전 반경 영역내에 빛을 비춤으로써 예상 회전 반경 영역내에 있는 운전자에게는 경고를 예상 회전 반경 영역외에 위치하는 운전자에게는 차량의 반경을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운전하는 운전자 입장에서는 회전반경을 불빛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차량들 간 또는 보행자와 차량간의 충돌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 사고가 많은 상용차 및 버스의 상단에 직진성이 좋은 LED를 장착함으로써 방향지시등을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충돌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초기화 단계(S211) 이후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S213 단계에서 속도 센서부(60)를 통해 속도가 검출되고, S215 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검출 센서부(40)를 통해 인접한 차량 또는 장애물 등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인접한 차량이 감지되면 제어부(10)는 S217 단계에서 주변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상기 위치란 자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검출된 차량이 우측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지 좌측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지의 정보와 자차량에서 상기 인접차량 또는 장애물까지의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한면, S215 단계에서 인접한 영역에 타인의 차량 및 장애물 등이 위치하지 않으면 S211 단계로 되돌아 간다.
S217 단계에서 위치가 검출되어 저장되면 제어부(10)는 S219 단계에서 조향 핸들 회전 각도 검출부(50)를 통해 조향 핸들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회전 각도에 대한 차량의 회전 반경 데이터를 회전 반경 데이터베이스(30)에서 찾아저장부(20)에 저장한다. 이때 S221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회전 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연산한다.
연산 결과 S223 단계에서 주변 차량이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면, S225 단계에서 LED 발광부(80) 및 음성경보부(90)가 작동하게 된다.
LED 발광부(8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예상 회전 반경영역을 비춤으로써 예상 회전 반경 내에 있는 주변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예상 회전 반경 영역 외에 위치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자차량의 회전반경을 확인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상대편의 차량이 조향가능범위내에 있더라도 운전자들이 용이하게 인접차량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음성경보부(9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주변 차량이 위치하고 있음을 음성으로 경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은 감지 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의 예상 움직임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예상 움직임 영역에 LED 등의 빛을 비춘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예상 움직임 영역에 장애물 또는 타인의 차량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경보를 알려준다. 그 결과, 차량들 간 또는 보행자와 차량간의 충돌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경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6)

  1.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감지 유닛;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에 소정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음성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음성경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자신의 차량의 측면 및 탑 상단부 각각에 장착되는 것인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조향 핸들 각도 검출부와,
    상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부와,
    복수개의 센서들을 구비하여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부와,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에 대한 상기 자신의 차량의 회전 반경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회전반경 데이터베이스와,
    기준 거리값과 기준 각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검출된 속도, 상기 위치 검출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며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음성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로 이루어진 것인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5.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자신의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 내에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이 위치하는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에 LED 빛을 비추고 음성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 경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
    속도 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위치 검출 센서부를 통해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과 자신의 차량까지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조향 핸들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속도, 상기 인접 차량 또는 장애물에 대한 위치,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예상 회전 반경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 경보 방법.
KR1020080132714A 2008-12-23 2008-12-23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KR10101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714A KR101017010B1 (ko) 2008-12-23 2008-12-23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714A KR101017010B1 (ko) 2008-12-23 2008-12-23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922A true KR20100073922A (ko) 2010-07-01
KR101017010B1 KR101017010B1 (ko) 2011-02-23

Family

ID=4263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714A KR101017010B1 (ko) 2008-12-23 2008-12-23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0787A (zh) * 2021-01-05 2021-04-0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一种行车辅助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125B1 (en) * 1999-02-05 2001-04-24 Brett O. Hall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1212342B1 (ko) * 2005-08-23 2012-12-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0787A (zh) * 2021-01-05 2021-04-02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一种行车辅助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010B1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4430B2 (en) Vehicle surrounding recognition support system for vehicle
JP5762416B2 (ja) アクティブな死角照明を備えた車両及びその方法
US10343604B2 (en) Acoustic warning signal detection for motor vehicles
US20140172239A1 (en) Turning guide assistant for trailer towing
JP2016095822A (ja) 自動車の死角エリアに対する監視警報システム及び自動車
JP2016005932A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
CN103241240A (zh) 用于在汽车中保护外后视镜与侧面障碍物碰撞的装置
KR20120122170A (ko) 차량의 후방 충돌 방지 장치
JP2000062635A (ja) 衝突警報装置
KR101698586B1 (ko) 하차시 위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017010B1 (ko) 차량의 충돌 경보 장치 및 방법
JPS62273477A (ja) 車両周囲監視装置
KR20050120473A (ko) 회전식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가변 지향성 차량 주차 보조장치 및 제어 방법
CA2351138A1 (en) Automobile proximity warning system
JP2019111857A (ja) 車両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JPH09254726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3476336B2 (ja) 車両における障害物検知装置
US20230271604A1 (en) Automatic driver assist system for a vehicle
KR970008585B1 (ko) 자동차의 장애물회피 지시장치
JP2870096B2 (ja) 右左折支援装置
KR20120132915A (ko) 차량의 추돌방지장치
KR20050026619A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삼방향 장애물 감지장치
JP2000233699A (ja) 物体検出装置
KR20100104580A (ko) 차량 측면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