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610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610A
KR20100072610A KR1020080131061A KR20080131061A KR20100072610A KR 20100072610 A KR20100072610 A KR 20100072610A KR 1020080131061 A KR1020080131061 A KR 1020080131061A KR 20080131061 A KR20080131061 A KR 20080131061A KR 20100072610 A KR20100072610 A KR 20100072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charge storage
drain
source
storag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심
장문규
노태곤
노태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2610A/ko
Priority to US12/498,402 priority patent/US8026508B2/en
Publication of KR2010007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one 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quantum wire 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22Single quantum wel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01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H01L31/112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field-effect operation, e.g. junction field-effect phototransistor
    • H01L31/113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field-effect operation, e.g. junction field-effect phototransistor being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e.g. metal-insulator-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36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in a transistor or 3-terminal device
    • Y10S977/937Single electron transis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53Detector using nano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 1 양자점, 제 1 양자점 상에 제 1 양자점과 전하를 서로 교환하는 전하 저장 게이트 및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에 제 1 양자점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전극를 포함하는 단전자 상자 및 제 1 양자점 아래에 제 1 양자점에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양자점, 제 2 양자점의 일측에 접촉하는 소오스,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접촉하는 드레인 및 제 2 양자점 아래에 상기 제 2 양자점의 전위를 조절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양자점, 게이트 전극, 전하량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광자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8-F035-01, 과제명: 상용 양자암호통신시스템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광자 검출 장치는 의료분야, 반도체 및 물질의 분석 분야, 화학분석의 이미징 분야 및 양자키 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와 암호 해독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 광자 검출 장치로서 애벌랜치 포토다이오드(Avalanche Photodiode: APD) 및 광 증배관(Photon Multiplier Tube: PMT)이 사용될 수 있다. 애벌랜치 포토다이오드는 광자(photon)의 증폭을 이용한 검출기로서 그 감도가 우수하다. 그러나, 애벌랜치 포토다이오드는 상대적으로 큰 수십볼트의 고전압을 인가하여야 하고, 높은 반복동작(high repetition rate)에서 애벌랜치 포토다이오드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광자를 검출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 1 양자점, 상기 제 1 양자점 상에 상기 제 1 양자점과 전하를 서로 교환하는 전하 저장 게이트 및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에 상기 제 1 양자점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전극를 포함하는 단전자 상자; 및 상기 제 1 양자점 아래에 상기 제 1 양자점에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양자점, 상기 제 2 양자점의 일측에 접촉하는 소오스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접촉하는 드레인 및 상기 제 2 양자점 아래에 상기 제 2 양자점의 전위를 조절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자점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양자점은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자점 또는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는 단광자를 입사받으며, 상기 단광자에 의한 상기 제 1 양자점의 전하량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 2 양자점의 전위의 변화를 통하여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단광자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전자 상자는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와 상기 제 1 양자점 사이의 터널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오스,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자점은 제 1 방향으로 제 1 폭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2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양자점은 상기 제 1 폭 및 상기 제 2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폭들 각각은 2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 각각은 2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상기 제 1 양자점 상에 4n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전자 상자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양자점 사이의 제 2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오스/드레인은 실리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는 실리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오스/드레인과 상기 제 2 양자점 사이의 경계는 쇼트키 장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을 용량적으로 결합하는 제 1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1 양자점에 정렬되고, 상기 제 2 양자점은 상기 제 1 절연막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은 4nm 내지 1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제 2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의 제 2 양자점 및 상기 제 2 양자점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을 포함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감지부; 상기 제 2 양자점 상의 제 1 양자점, 상기 제 1 양자점 상의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의 제 1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전자 상자로 이루어진 수광부;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을 용량적으로 결합하는 제 1 절연막; 및 광을 조사하는 광학 장치 및 상기 광의 파장보다 작은 구멍을 갖는 광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에 인접하여 상기 수광부에 국소적으로 단광자를 입사하는 입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 2 게이트 전극 상에 제 1 양자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양자점 상에 전하 저장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양자점 사이에 제 2 양자점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양자점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은 자기 정렬 실리 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에 의해, 상기 제 2 양자점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사이의 경계는 쇼트키 장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는 것은: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에 제 1 방향으로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례로 적층되는 예비 실리콘 패턴, 예비 제 1 양자점 및 예비 제 1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실리콘 패턴 상에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 가지며 제 2 폭을 가지며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절연막, 제 1 양자점, 제 1 터널 절연막 및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면 및 상기 양측면에 인접한 상기 예비 실리콘 패턴를 덮어,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 및 상기 예비 실리콘 패턴을 노출하는 측벽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된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 및 예비 실리콘 패턴에 실리 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전하 저장 게이트, 제 2 양자점 및 제 2 양자점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오스/드레인은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에 의해 상기 측벽 절연막 아래의 예비 실리콘 패턴을 반응시켜 상기 측벽 절연막 아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 양자점은 상기 제 1 절연막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광자에 의해 유도된 매우 적은 단전하의 전하량을 감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및 집적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또는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막(또는 층)이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막(또는 층)이 개재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0)는 수광부(100), 감지부(200) 및 입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사부(300)는 광을 조사하는 광학 장치(310) 및 구멍(aperture, 322)를 포함하는 광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멍(322)은 광의 파장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광을 구멍(322)에 통과시켜 수광부(100)에 국소적으로 단광자를 입사할 수 있다. 입사부(300)는 수광부(100)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수광부(100)는 단전자 상자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부 게이트 전극(130), 전하 저장 게이트(120) 및 상부 양자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양자점(110) 또 는 전하 저장 게이트(120)는 단광자를 입사받을 수 있다.
감지부(200)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로서 하부 양자점(210), 소오스/드레인(220, 230) 및 하부 게이트 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양자점(210)은 상부 양자점(110)과 용량적으로 결합된다(capacitively coupled). 감지부(200)는 입사된 단광자에 의한 상부 양자점(110)의 전하량의 변화에 따라 하부 양자점(210)의 전위의 변화에 의해 감지부(200)인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200)는 입사된 단광자에 의한 상부 양자점(110)의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쇼트키 단전자 트랜지스터(Schottky Single Electron Transistor)일 수 있다. 감지부(200)는 라디오 주파수-단전자 트랜지스터(Radio Frequency-Single Electron Transistor: RF-SET)를 사용하여 빠르게 단광자를 감지할 수 있다. 수광부(100)와 인접하여 감지부(200)인 단전자 트랜지스터 대신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미도시)가 사용되는 경우, 수광부(100)의 상부 양자점(110)의 전하 분포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전도도에 영향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200)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절연 패턴(400)이 상부 양자점(110)과 하부 양자점(210) 사이에 개재된다. 하부 양자점(210)은 제 1 절연 패턴(400)를 통하여 상부 양자점(110)과 용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수광부 및 감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점선 I-I'을 따라 절단한 수광부 및 감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수광부(100), 감지부(200) 및 제 1 절연 패턴(400)는 일체(500)를 이룰 수 있다.
수광부(100)의 상부 양자점(110)은 하부 게이트 전극(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양자점(110)은 가령,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양자점(110)의 두께(T3)는 가령, 20 nm 이하이다. 상부 양자점(110)은 제 1 방향(X)으로 제 1 폭(W1) 및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2 방향(Y)으로 제 2 폭(W2)를 가질 수 있다. 제 1 폭(W1) 및 제 2 폭(W2) 각각은 20nm 이하이다. 하부 게이트 전극(240)은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및 게이트 전극 접촉층(244)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 접촉층(244)은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의 하면에 저항성 접촉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100)의 전하 저장 게이트(120)은 상부 양자점(110) 상에 배치된다. 전하 저장 게이트(120)는 제 2 방향(Y)으로 제 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전하 저장 게이트(120)는 가령, 실리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절연 패턴(140)이 전하 저장 게이트(120)와 상부 양자점(110)에 사이에 개재된다. 터널 절연 패턴(140)은 제 2 방향(Y)으로 제 2 폭(W2)을 가질 수 있다. 터널 절연 패턴(140)은 가령, 테오스(Tetra Ethyl Ortho Silicate: TEOS)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널 절연 패턴(140)은 가령, 상부 양자점(110) 상에 4nm 미만의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전하 저장 게이트(120)는 상부 양자점(110)에 전하를 제공하거나 상부 양자점(110)으로부터 전하를 제공받는 소오스 또는 드레인의 역할을 한다.
수광부(100)의 상부 게이트 전극(130)은 전하 저장 게이트(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130)은 가령, 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130)은 알루미늄(Al), 구리(Cu), 텅스텐(W)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절연 패턴(160)이 상부 게이트 전극(130)과 전하 저장 게이트(120) 사이에 개재된다. 측벽 절연막(150)이 전하 저장 게이트(120)의 양측면을 덮을 수 있다. 측벽 절연막(150) 및 제 2 절연 패턴(160)은 전하가 터널링하지 못하는 두께로 제공된다. 측벽 절연막(150) 및 제 2 절연 패턴(160) 각각은 가령, 테오스(TEOS)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130) 또는/및 전하 저장 게이트(120)에 의해, 상부 양자점(110)의 전위(potential)가 조절될 수 있다.
감지부(200)의 하부 양자점(210)은 하부 게이트 전극(240)과 상부 양자점(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하부 양자점(210)은 가령,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양자점(210)의 두께(T1)는 20nm 이하이다. 하부 양자점(210)은 제 1 방향(X)으로 제 1 폭(W1) 및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2 방향(Y)으로 제 2 폭(W2)를 가질 수 있다. 제 1 폭(W1) 및 제 2 폭(W2) 각각은 20nm 이하이다.
감지부(200)의 소오스(220)은 하부 양자점(210)의 일측에 접촉하고, 드레인(230)은 상기 일측(260)에 대향하는 타측에 접촉한다. 소오스/드레인(220, 230)은 가령, 실리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양자점(210)과 소오스/드레인(220, 230) 사이의 경계(260, 262)는 쇼트키 장벽을 이룰 수 있다. 쇼트키 장벽는 터널링 장벽으로 사용된다.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이 하부 게이트 전극(240)과 하부 양자점(210)의 사이 및 하부 게이트 전극(240)과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 1 절연 패턴(400)은 가령, 열산화막일 수 있다. 제 1 절연 패턴(400)의 두께(T2)는 가령, 4 내지 10nm일 수 있다. 전하 저장 게이트(120), 터널 절연 패턴(140), 상부 양자점(110) 및 제 1 절연 패턴(400)은 제 2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190, 19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 절연막(150)은 상기 양측면(190, 192)을 덮을 수 있다. 측벽 절연막(150)은 하부 양자점(210)에 인접한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게이트 전극(130) 또는/및 전하 저장 게이트(120)의 전압들 각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압을 조절하여, 단광자가 상부 양자점(110) 또는 전하 저장 게이트(120)에 입사될 경우 포톤-어시스티드 터널링(photon-assisted tunneling)에 의한 단전자나 단정공이 상부 양자점(110)과 전하 저장 게이트(120) 사이에서 용이하게 터널링할 수 있다. 상기 터널링 시간은 상부 양자점(110)과 전하 저장 게이트(120) 사이의 터널 절연 패턴(1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200)인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쿨롱-블록케이드(Coulomb-Blockade: CB) 상태이며 단광자의 입사에 따라 상부 양자점(110)의 전하량 변화로 인해 단전자 트랜지스터가 전도도가 큰 쿨롱 진동(coulomb oscillation)의 피크(peak) 상태에 있도록, 하부 게이트 전극(240) 및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전압들 각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200)는 우수한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전하의 터널링으로 인한 상부 양자점(110)의 전하량의 변화에 따라 하부 양자점(210)의 전위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단광자에 의해 유도된 매우 작은 단전하의 전하량을 감지할 수 있는 반도체 단광자 검출 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광부의 전하 저장 게이트에 단광자를 입사할 때 전하 저장 게이트, 상부 양자점, 하부 양자점, 소오스/드레인 및 하부 게이트 절연막의 에너지 준위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광자를 전하 저장 게이트(120)로 입사하기 전 전하 저장 게이트(120), 상부 양자점(110), 하부 양자점(210) 및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들을 나타낼 수 있다.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가 하부 양자점(210)의 에너지 준위 사이에 위치해 있으므로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광자가 전하 저장 게이트(120)에 입사되어 발생한 단전자(e)가 전하 저장 게이트(120)에서 상부 양자점(110)으로 터널링한 경우의 전하 저장 게이트(120), 상부 양자점(110), 하부 양자점(210) 및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들을 나타낼 수 있다.
상부 양자점(110)으로 터널링한 단전자(e)에 의해, 하부 양자점(210)의 전위가 높아져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에 근접하여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광부의 상부 양자점에 단광자 를 입사할 때 전하 저장 게이트, 상부 양자점, 하부 양자점, 소오스/드레인 및 하부 게이트 절연막의 에너지 준위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부 게이트 전극(130) 및 전하 저장 게이트(120)의 전압이 조절되어, 전하 저장 게이트(120)의 에너지 준위가 상부 양자점(110)에 비해 높은 상태이다. 단광자가 상부 양자점(110)으로 입사 전에 상부 양자점(110)에 전자(e)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가 하부 양자점(210)의 에너지 준위 사이에 위치하므로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광자가 상부 양자점(110)에 입사되어 상기 단광자의 에너지를 흡수한 단전자(e)가 상부 양자점(110)에서 전하 저장 게이트(120)로 터널링한 경우의 전하 저장 게이트(120), 상부 양자점(110), 하부 양자점(210) 및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를 나타낼 수 있다.
전하 저장 게이트(120)로 터널링한 단전자(e)에 의해, 하부 양자점(210)의 전위가 낮아져 소오스/드레인(220, 230)의 에너지 준위에 근접하여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 5a,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도 13a 및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수광부 및 감지부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b,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도 10b, 도 11b, 도 12b, 도 13b 및 도 14b는 도 5a,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도 13a, 및 도 14a의 점선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상의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및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상의 하부 실리콘막(212)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및 하부 실리콘막(212)을 포함하는 기판(245)을 준비할 수 있다. 기판(245)은 가령, 에스 오 아이(Silicon On Insulator: SOI) 기판일 수 있다.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실리콘막(212)은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실리콘막(212)은 양자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령, 20 nm이하의 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실리콘막(212) 상에 차례로 제 1 절연막(402) 및 상부 양자점막(112)을 형성한다. 제 1 절연막(402)은 가령, 열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열산화막일 수 있다. 제 1 절연막(402)은 가령 4 내지 10 nm의 두께(T2)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양자점막(112)은 가령,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폴리 실리콘막일 수 있다. 상부 양자점막(112)은 양자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령, 20 nm 이하의 두께(T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부 양자점막(도 5a 및 도 5b의 112) 상에 제 1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제 1 마스크 패턴은 상부 양자점막(112) 상에 레지스트를 코팅한 후, 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부 양자점막(112), 제 1 절연막(402) 및 하부 실리콘막(212)을 식각하여, 상부 양자점 패턴(114), 예비 제 1 절 연 패턴(404) 및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가령, 이방성 건식 식각 공정일 수 있다.
상부 양자점 패턴(114), 예비 제 1 절연 패턴(404) 및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은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상에 제 1 나노선 형상(Nano line shape, NA)를 가질 수 있다. 나노선 형상(NA)은 제 1 방향(X)으로 제 1 폭(W1)을 가지며, 제 1 방향(X)에 수직한 제 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폭(W1)은 20 nm 이하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상에 상기 나노선 형상(NA)를 덮는 터널 절연막(142)을 형성한다. 터널 절연막(142)은 가령, 테오스(Tetra Ethyl Ortho Silicate: TEOS)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널 절연막(142)은 상부 양자점 패턴(114) 상에 4nm 미만의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및 나노선 형상(NA)의 아웃 라인을 따라, 절연막을 10n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한 후, 상기 절연막에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터널 절연막(142)을 형성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은 가령,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공정일 수 있다. 평탄화 공정으로, 터널 절연막(142)은 상부 양자점 패턴(114) 상에서 4nm 미만의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두께(T4)의 터널 절연막(142)은 전하의 터널링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터널 절연막(142) 상에 전하 저장 게이트막(122)을 형성한다. 전하 저장 게이트막(122)은 가령,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폴리 실리콘막일 수 있다. 전하 저장 게이트막(122)은 터널 절연 막(142)의 아웃 라인을 따라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전하 저장 게이트막(도 8a 및 도 8b의 122) 상에 제 2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제 2 마스크 패턴은 전하 저장 게이트막(122) 상에 레지스트를 코팅한 후, 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하부 게이트 절연막(250) 상의 전하 저장 게이트막(122), 터널 절연막(142), 상부 양자점 패턴(114) 및 예비 제 1 절연 패턴(404)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124), 터널 절연 패턴(140), 상부 양자점(110) 및 제 1 절연 패턴(400)을 형성한다. 이방성 건식 식각은 식각 가스를 달리하며 수행될 수 있다.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124), 터널 절연 패턴(140), 상부 양자점(110) 및 제 1 절연 패턴(400)은 제 2 나노선 형상(NB)를 가질 수 있다. 제 2 나노선 형상(NB)은 제 2 방향(Y)으로 제 2 폭(W2)을 가지며 제 2 방향(Y)과 수직한 제 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폭(W2)은 20 nm 이하이다. 제 2 나노선 형상(NB)은 제 2 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190, 19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양자점(110)은 제 1 폭(도 6a 및 도 6b의 W1) 및 제 2 폭(W2)을 가질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 2 나노선 형상(NB)의 양측면(190, 192) 및 상기 양측면에 인접한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을 덮어, 저장 게이트 패턴(124)및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을 노출하는 측벽 절연막(150)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 2 나노선 형상(NB)를 덮는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절연막 에 이방성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측벽 절연막(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가령, 테오스(TEOS)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방성 식각 공정은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 및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124)의 상부면이 노출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측벽 절연막(150)에 의해 노출된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도 10a 및 도 10b의 124) 및 노출된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에 자기 정렬 실리 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전하 저장 게이트(120), 하부 양자점(210) 및 하부 양자점(210)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220, 2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은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상에 금속(미도시)을 증착한 후 상기 금속에 열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은 어븀(Er), 이터븀(Yb), 사마륨(Sm), 이트륨(Y), 가돌륨(Gd), 터븀(Tb), 세륨(Ce), 코발트(Cobalt), 니켈(Nikel), 타이타늄(Titanium), 백금(Pt), 납(Pb), 이리듐(Ir) 및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에 의해 반응하지 않는 금속은 제거된다.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에 의해, 소오스(220) 및 드레인(230)은 측벽 절연막(150)의 아래의 예비 하부 실리콘 패턴(214)과 금속이 반응하여, 측벽 절연막(150) 아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양자점(210)은 제 1 절연 패턴(400) 아래에 형성되며, 상부 양자점(110)의 제 2 폭(도 8b의 W2)과 동일/유사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양자점(210)은 제 1 폭(도 5a의 W1) 및 두께(도 4a의 T1) 를 가진다.
게다가, 소오스/드레인(220, 230)은 하부 양자점(210)의 양측에 자연적으로 접촉하며, 하부 양자점(210)과 소오스/드레인(220, 230) 사이의 경계(260, 262)는 쇼트키 장벽을 이룰 수 있다. 쇼트키 장벽은 터널링 장벽(tunneling barri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사이드 공정에 의해 전하 저장 게이트(120), 하부 양자점(210), 소오스/드레인(220, 230) 및 쇼트키 장벽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및 집적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상에 제 2 절연막(162)을 형성하여, 전하 저장 게이트(120) 및 소오스/드레인(220, 230)을 덮을 수 있다. 제 2 절연막(162)은 가령, 테오스(TEOS)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전하 저장 게이트(120) 상에 제 2 절연막(162)을 노출하는 제 3 마스크 패턴(184)을 형성한다. 제 2 절연막(162)의 노출영역은 후속으로 형성될 상부 게이트 전극(130)이 형성될 영역일 수 있다. 제 3 마스크 패턴(184)은 전하 저장 게이트(120) 상에 레지스트를 코팅한 후, 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3 마스크 패턴(184)가 형성된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상에 금속(132)을 증착하여 노출된 제 2 절연막(162) 상에 상부 게이트 전극(130)을 형성한다. 상부 게이트 전극(134)은 가령, 알루미늄(Al), 구리(Cu), 텅스텐(W)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상부 게이트 전극(130)을 형성한 후, 제 3 마스크 패턴(도 13a 및 도 13b의 184)에 리프트 오프(lift-off) 공정을 수행하여, 제 3 마스크 패턴(184)과 함께 제 3 마스크 패턴(184) 상에 잔류하는 금속(132)을 제거할 수 있다.
상부 게이트 전극(130)의 하부의 제 2 절연막(도 13a 및 도 13b의 162)을 제거하여, 상부 게이트 전극(130)과 전하 저장 게이트(120) 사이에 제 2 절연 패턴(160)을 형성한다. 제 2 절연 패턴(160)은 상부 게이트 전극(130)에 비해 제 2 절연막(162)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갖는 식각 가스 또는 식각액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소오스/드레인(220, 230) 및 전하저장 게이트(120)은 제 2 절연 패턴(16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의 하면에 저항성 접촉을 위한 게이트 전극 접촉층(244)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게이트 전극(240)은 하부 게이트 전극막(242) 및 게이트 전극 접촉층(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수광부 및 감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점선 I-I'을 따라 절단한 수광부 및 감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광부의 전하 저장 게이트에 단광자를 입사할 때 전하 저장 게이트, 상부 양자점, 하부 양자점, 소오스/드레인 및 하부 게이트 절연막의 에너지 준위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광부의 상부 양자점 패턴에 단광자를 입사할 때 전하 저장 게이트, 상부 양자점, 하부 양자점, 소오스/드레인 및 하부 게이트 절연막의 에너지 준위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도 13a 및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수광부 및 감지부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b,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도 10b, 도 11b, 도 12b, 도 13b, 및 도 14b는 도 5a, 도 6a, 도 7a, 도 8a, 도 9a, 도 10a, 도 11a, 도 12a, 도 13a 및 도 14a의 점선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20)

  1. 제 1 양자점, 상기 제 1 양자점 상에 상기 제 1 양자점과 전하를 서로 교환하는 전하 저장 게이트 및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에 상기 제 1 양자점의 전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게이트 전극를 포함하는 단전자 상자; 및
    상기 제 1 양자점 아래에 상기 제 1 양자점에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양자점, 상기 제 2 양자점의 일측에 접촉하는 소오스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에 접촉하는 드레인 및 상기 제 2 양자점 아래에 상기 제 2 양자점의 전위를 조절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자점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양자점은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자점 또는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는 단광자를 입사받으며, 상기 단광자에 의한 상기 제 1 양자점의 전하량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 2 양자점의 전위의 변화를 통하여 단전자 트랜지스터의 전도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단광자를 검출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자 상자는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와 상기 제 1 양자점 사이의 터널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오스,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드레인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자점은 제 1 방향으로 제 1 폭과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2 폭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양자점은 상기 제 1 폭 및 상기 제 2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반도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폭들 각각은 20 nm 이하인 반도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 각각은 20 n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반도체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막은 상기 제 1 양자점 상에 4n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자 상자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양자점 사이의 제 2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은 실리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는 실리 사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과 상기 제 2 양자점 사이의 경계는 쇼트키 장벽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을 용량적으로 결합하는 제 1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1 양자점에 정렬되고, 상기 제 2 양자점은 상기 제 1 절연막 아래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절연막은 4nm 내지 10 nm의 두께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
  15. 제 2 게이트 전극,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의 제 2 양자점 및 상기 제 2 양자점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을 포함하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감지부;
    상기 제 2 양자점 상의 제 1 양자점, 상기 제 1 양자점 상의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의 제 1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단전자 상자로 이루어진 수광부;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양자점들을 용량적으로 결합하는 제 1 절연막; 및
    광을 조사하는 광학 장치 및 상기 광의 파장보다 작은 구멍을 갖는 광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에 인접하여 상기 수광부에 국소적으로 단광자를 입사하는 입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 2 게이트 전극 상에 제 1 양자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양자점 상에 전하 저장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양자점 사이에 제 2 양자점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양자점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을 동시에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은 자기 정렬 실리 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에 의해, 상기 제 2 양자점과 상기 소오스/드레인 사이의 경계는 쇼트키 장벽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상기 제 2 양자점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는 것은: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에 제 1 방향으로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례로 적층되는 예비 실리콘 패턴, 예비 제 1 양자점 및 예비 제 1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실리콘 패턴 상에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 가지며 제 2 폭을 가지며 차례로 적층되는 제 1 절연막, 제 1 양자점, 제 1 터널 절연막 및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면 및 상기 양측면에 인접한 상기 예비 실리콘 패턴를 덮어, 상기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 및 상기 예비 실리콘 패턴을 노출하는 측벽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된 전하 저장 게이트 패턴 및 예비 실리콘 패턴에 실리 사이드 공정을 수행하여, 전하 저장 게이트, 제 2 양자점 및 제 2 양자점의 양측에 접촉하는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은 상기 실리 사이드 공정에 의해 상기 측벽 절연막 아래의 예비 실리콘 패턴을 반응시켜 상기 측벽 절연막 아래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 2 양자점은 상기 제 1 절연막 아래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80131061A 2008-12-22 2008-12-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72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061A KR20100072610A (ko) 2008-12-22 2008-12-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2/498,402 US8026508B2 (en) 2008-12-22 2009-07-07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061A KR20100072610A (ko) 2008-12-22 2008-12-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610A true KR20100072610A (ko) 2010-07-01

Family

ID=4226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061A KR20100072610A (ko) 2008-12-22 2008-12-22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26508B2 (ko)
KR (1) KR201000726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1630B2 (en) 2012-09-25 2017-03-21 Stmicroelectronics, Inc. Transistors incorporating metal quantum dots into doped source and drain regions
US9748356B2 (en) 2012-09-25 2017-08-29 Stmicroelectronics, Inc. Threshold adjustment for quantum dot array devices with metal source and drain
US9679929B2 (en) * 2012-10-12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nary image sensors including quantum dots and unit pixels thereof
US10002938B2 (en) 2013-08-20 2018-06-19 Stmicroelectronics, Inc. Atomic layer deposition of selected molecular clusters
CN106449739B (zh) * 2016-10-19 2023-09-12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基于量子点的单电子自旋过滤器及单电子自旋过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154A (en) * 1994-10-27 1997-02-1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coulamb blockade element using thermal oxidation
GB2404012B (en) 2003-07-15 2006-07-19 Toshiba Res Europ Ltd A circuit for a single photon detector
US7351997B2 (en) * 2005-10-20 2008-04-01 Physical Logic Ag Single photon receptor
KR100676133B1 (ko) 2005-12-23 2007-02-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전자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57328B1 (ko) * 2006-10-04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전자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6508B2 (en) 2011-09-27
US20100155703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51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방법.
CN101188251B (zh) 一种存储器单元和其装置以及制造方法
US6642586B2 (en) Semiconductor memory capable of being driven at low voltage and its manufacture method
CN100517716C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02983176B (zh) 包括纳米导体层的薄膜晶体管
US769608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00072610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900532A (zh)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WO2018051739A1 (ja) 電磁波検出素子、電磁波センサ、電子機器及び構造体
JP200635158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58307A (ko)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0183484B1 (ko) 과소거 동작 보상용으로서 측벽 분할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 장치
KR20060103455A (ko)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메모리 셀, 핀 전계 효과트랜지스터 메모리 셀 장치 및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메모리 셀 제조 방법
JP5841013B2 (ja) 半導体装置
JP4935808B2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3275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0891457B1 (ko) 누설 전류가 감소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 구동 표시 장치
CN105895649B (zh) 一种通过改变sab膜质降低cis器件噪声的方法
Pyo et al. Vertical Thin Film Transistor Based on Conductivity Modulation of Graphene Electrode by Micro‐Hole Patterning
JP200411174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53726B2 (en) Method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JP2007158093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3402905B2 (ja) 半導体素子
TW200537696A (en) An improved method of programming electrons onto a floating gate of a non-volatile memory cell
TW200921904A (en) Non-volatile memor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