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917A - 액정패널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액정패널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917A
KR20100071917A KR1020090125517A KR20090125517A KR20100071917A KR 20100071917 A KR20100071917 A KR 20100071917A KR 1020090125517 A KR1020090125517 A KR 1020090125517A KR 20090125517 A KR20090125517 A KR 20090125517A KR 20100071917 A KR20100071917 A KR 20100071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xel
pixel structure
crystal pan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637B1 (ko
Inventor
요시히로 사쿠라이
히로나오 타나카
히데마사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Abstract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에서는, 리버스 트위스트{reverse twist} 현상을 자연스럽게 소실할 수가 없다.
서로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봉지{封止}되는 액정층과, 배향막과, 제1 기판측에 형성되는 대향전극 패턴과, 상기 제1 기판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전극가지{電極枝}를 가지는 화소전극 패턴을 가지는 액정패널로서, 복수개의 전극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중 양단{兩端}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의 적어도 한쪽의 연설{延設; extension}방향이,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해서 7°이상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배향막, 화소전극, 전극가지, 연결부, 연결가지{連結枝}, 대향전극, 슬릿.

Description

액정패널 및 전자기기{LIQUID CRYSTAL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이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발명은, 화소전극과 대면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횡방향 전계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을 기판면과 평행하게 회전 제어하는 구동방식의 액정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발명은, 해당 액정패널을 탑재한 전자기기로서의 측면을 가진다.
현재, 액정패널의 패널구조에는, 패널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전계를 발생하는 종전계 표시형에 더하여, 여러가지 구동방식의 패널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패널면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전계를 발생하는 횡전계 표시형의 패널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은,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기판면과 평행하다. 즉,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에서는, 액정분자의 기판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회전이 적다. 이 때문에, 광학 특성(콘트라스트, 휘도, 색조)의 변화가 비교적 적다고 하는 특성이 알려져 있다. 즉,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은, 종전계 표시형 의 액정패널보다도 시야각이 큰 특징이 있다.
도 1에,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을 구성하는 화소영역의 단면구조예를 도시하고, 도 2에 대응하는 평면구조예를 도시한다.
액정패널(1)은, 2장{枚}의 유리기판(3 및 5)과, 이들 사이에 끼워넣어지도록 봉입{封入}된 액정층(7)으로 구성된다. 각 기판중 외측 표면에는 편광판(9)이 배치되고, 내측 표면에는 배향막(11)이 배치된다. 또한, 배향막(11)은, 액정층(7)의 액정분자군을 일정 방향으로 배열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막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막이 사용된다.
또, 유리기판(5)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된 화소전극(13)과 대향전극(15)이 형성된다. 이 중, 화소전극(13)은, 빗살모양{櫛齒狀}으로 가공된 5개의 전극가지{電極枝}(13A)의 양단{兩端}을 연결부(13B)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대향전극(15)은, 전극가지(13A)의 하층측(유리기판(5)측)에 화소영역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구조에 의해, 전극가지(13A)와 대향전극(15) 사이에 포물선모양의 전계가 발생한다. 도 1에서는, 이 전계를 화살표 달린 파선{破線}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화소영역은, 도 2에 도시하는 신호선(21)과 주사선(23)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대응한다. 덧붙여서, 각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13)에 대한 신호전위의 인가를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된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은 주사선(23)과 접속되어 있으며, 주사선(23)의 전위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이 전환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박막 트랜지스터의 한쪽의 주전극은 신호선(21)과 도시하지 않은 배선패턴을 통해서 접속되고, 다른쪽의 주전극은 화소전극 컨택트부(25)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온 동작한 경우에는, 신호선(21)과 화소전극(13)이 접속된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명세서에서는, 전극가지(13A) 사이의 틈새{隙間}를 슬릿(31)이라고 부른다. 도 2의 경우, 슬릿(31)의 연설{延設; extension}방향은, 신호선(21)의 연설방향과 같다.
참고삼아, 도 3의 (a) 및 (b)에, 컨택트(25) 부근의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特開平}10-12348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11-202356호 공보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31)의 긴쪽{長手} 방향의 양단 부분(전극가지(13A)가 연결부(13B)로 연결되는 부분의 가까이{近})으로, 전압 인가시의 액정분자의 배향이 흐트러지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현상은, 디스클리네이션{disclination}이라 불린다. 도 4에서는, 디스클리네이션의 발생에 의해서, 액정분자의 배열이 흐트러지는 영역(41)을 망긋기{網掛}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경우, 계{計} 12개의 영역(41)으로 액정분자의 배향의 흐트러짐{亂; disturbance}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 디스클리네이션에 외부 압력(지압{指壓} 등)이 가해지면, 액정분자의 배열의 흐트러짐은, 전극가지(13A)의 연설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특성이 있다. 또한, 이 액정분자의 배열의 흐트러짐은, 액정분자의 배열을 전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하, 이 현상을, 리버스 트위스트{reverse twist} 현상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의 발생예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이 액정분자의 배열이 흐트러진 영역(43)을, 전극가지(13A)의 연설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망긋기 표시로서 도시하고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액정패널에서는,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이 한번 발생하면, 자연방치에 의해서 원상태{元}로 되돌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화소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으로부터 넓어지는 디스클리네이션이 화소 중앙부에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안정화 상태를 형성하며, 영역(43)에 위치하는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을 원상태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이 발생한 영역(43)은, 화상나머지{畵殘; residual image}(즉, 표시얼룩{表示斑; display irregularity})로서 시인{視認; view}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이 화상나머지를,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라고 한다.
또한,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은, 모든 전극가지(13A)를 따라 발생하지만, 도면중 우단{右端}의 전극가지(13A)에 가장 현저하게 발생한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서로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挾}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봉지{封止}되는 액정층과, 배향막과, 제1 기판측에 형성되는 대향전극 패턴과, 제1 기판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전극가지를 가지는 화소전극 패턴을 가지는 액정패널로서, 복수개의 전극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중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의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이,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해서 7°이상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중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과 액정의 배향방향향의 교차각은, 7°이상 1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중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과 액정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은, 다른 슬릿의 연설방향과 액정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소전극 패턴과 대향전극 패턴은, 같은 계층면에 형성되어도 좋고, 다른 계층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즉,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이며, 화소전극에 슬릿을 가지는 것이면, 화소영역의 단면구조는 불문한다.
발명자들은,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현저하게 출현하기 쉬운 슬릿 위치에 주목{着目}하고, 해당 슬릿 위치의 배향 안정성을 높여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의 개선을 도모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전극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중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의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이, 액정의 배향방향과 7°이상의 교차각으로 교차하도록, 화소전극 패턴이나 배향막을 형성한다.
 이 화소구조의 채용에 의해,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발생했다고 해도, 이것을 자연방치에 의해서 저감할 수 있는 표시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최량의 형태예를, 이하에 도시하는 순번으로 설명한다.
(A) 액정패널 모듈의 외관예 및 패널구조
(B) 슬릿의 연설방향과 배향막의 배향방향 사이에 발견된 특성
(C) 화소구조예 1:싱글도메인 구조예
(D) 화소구조예 2:싱글도메인 구조예
(E) 화소구조예 3:싱글도메인 구조예
(F) 화소구조예 4:싱글도메인 구조예
(G) 화소구조예 5:듀얼도메인 구조예(2화소 사이에서 상하 경면{鏡面}구조)
(H) 화소구조예 6:듀얼도메인 구조예(2화소 사이에서 상하 경면구조)
(I) 화소구조예 7:듀얼도메인 구조예(1화소내에서 상하 경면구조)
(J) 화소구조예 8:듀얼도메인 구조예(1화소내에서 상하 경면구조)
(K) 화소구조예 9:듀얼도메인 구조예(1화소내에서 상하 경면구조)
(L) 화소구조예 10:듀얼도메인 구조예(1화소내에서 상하 경면구조)
(M) 화소구조예 11:다른 화소구조예
(N) 화소구조예 12:다른 화소구조예
(O) 화소구조예 13:다른 화소구조예
(P) 화소구조예 14:다른 화소구조예
(Q) 다른 형태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히 도시 또는 기재되지 않는 부분에는, 해당 기술분야의 주지 또는 공지기술 방법을 적용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형태예는, 발명의 하나의 형태예로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액정패널 모듈의 외관예 및 패널구조
도 7에, 액정패널 모듈(51)의 외관예를 도시한다. 액정패널 모듈(51)은, 지지기판(53)에 대향기판(55)을 접합{貼合}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지기판(53)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그 밖의 기재{基材; substrate}로 구성된다. 대향기판(55)도, 유리, 플라스틱 또는 그 밖의 투명부재를 기재로 한다. 대향기판(55)은, 봉지 재료를 사이에 두고 지지기판(53)의 표면을 봉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기판의 투명성은 광의 사출측만 확보되어 있으면 좋고, 다른쪽의 기판측은 불투명성{不透性} 기판이라도 좋다.
이 밖에, 액정패널(51)에는, 외부신호나 구동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FPC(플렉시블 프린트 서킷)(57)가 필요에 따라서 배치된다.
도 8에, 액정패널 모듈(51)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액정패널 모듈(51)은, 하부 유리기판(61)(도 1의 유리기판(5)에 대응한다.) 위에, 화소 어레이부(63)와, 신호선 드라이버(65)와, 게이트선 드라이버(67)와, 타이밍 컨트롤러(69)를 배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예의 경우, 화소 어레이부(63)의 구동회로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반도체 집적회로로서 형성되고, 유리 기판 위에 실장된다.
덧붙여서, 화소 어레이부(63)는, 표시 상의 1화소를 구성하는 화이트 유닛이 M행×N열로 배치된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행이란, 도면중 X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3×N개의 서브화소(71)로 구성되는 화소열을 말한다. 또, 열이란, 도면중 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M개의 서브화소(71)로 구성되는 화소열을 말한다. 물론, M과 N의 값은, 수직방향의 표시 해상도와 수평방향의 표시 해상도에 따라서 정해진다.
또, 신호선 드라이버(65)는, 화소 계조에 대응하는 신호전위Vsig를 신호선DL에 인가하는데 이용된다. 이 형태예의 경우, 신호선DL은, 도면중 Y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게이트선 드라이버(67)는, 신호전위Vsig의 기입{書入; write}타이밍을 주는 제어펄스를 스캔선WL에 인가하는데 이용된다. 이 형태예의 경우, 스캔선WL은, 도면중 X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선된다.
여기서, 서브화소(71)에는, 도시하지 않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게이트전극은 스캔선WL에 접속되고, 주전극의 한쪽은 신호선DL에 접속되며, 주전극의 다른쪽은 화소전극(13)에 접속된다.
타이밍 컨트롤러(69)는, 신호선 드라이버(65) 및 게이트선 드라이버(67)에 구동펄스를 공급하는 회로 디바이스이다.
(B) 슬릿의 연설방향과 액정층의 배향방향 사이에 발견된 특성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화소구조에는, 지압 등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향 흐트러짐(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이 발생하면, 언제까지나 표시얼룩으로서 시인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에 의해서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는 것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향 흐트러짐이 자연스럽게 경감되는지에 대해서 실험을 행했다. 또한,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란(또한, 「액정의 배향방향」이라고도 말한다), 액정이 가지는 유전율 이방성의 향함{向}으로 정의되며, 유전율이 큰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실험에 의해서 밝혀진 특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 9를 이용해서 슬릿(31)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9는, 서브화소(71)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 때문에, 화소전극(13)을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표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평면구조는, 도 2에서 설명한 평면구조와 같고,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표현하고 있다. 즉, 서브화소(71)는, Y축 방향으로 연설된 신호선(21)과 X축 방향으로 연설된 주사선(23)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矩形} 영역내에 형성된다. 또, 화소전극(13)은, 5개의 전극가지(13A)와 그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3B)로 구성된다. 도 9의 경우, 전극가지(13A)끼리의 사이나 전극가지(13A)와 도면중 우측의 신호선(21)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31)은, Y축 방향으로 연설된다.
즉, 슬릿(31)의 연설방향은, 신호선(21)에 평행하며, 주사선(23)에 수직이도 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에서는, 액정층(7)의 배향방향을 화살표선으로 도시한다. 도 9의 경우, Y축에 대해 시계 도는 방향{시계방향}이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다. 도 9에서는,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 슬릿(31)의 연설방향과의 교차각을 α로서 도시하고 있다.
발명자들은, 이 교차각α에 주목하고, 여러가지 교차각α에 대해서 표시얼룩이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도 10에, 측정결과를 도시한다. 도 10의 횡축은,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이며, 도 10의 종축은, 표시얼룩이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실험결과로부터, 교차각α가 7°미만인 경우에는,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에 의한 표시얼룩이 자연스럽게 소실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교차각α가 7°이상인 경우에는,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에 의한 표시얼룩을 자연스럽게 소실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덧붙여서, 교차각α가 7°인 경우, 표시얼룩의 소실에 요{要}한 시간은 3.5[초]였다. 또, 실험의 결과, 교차각α가 클수록, 표시얼룩이 소실될 때가지의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교차각α가 10°인 경우에는, 3[초]에서 표시얼룩이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예를 들면 교차각α가 15°인 경우에는, 2.5[초]에서 표시얼룩이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예를 들면 교차각α가 20°인 경우에는, 1.5[초]에서 표시얼룩이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발명자들은,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를 7°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에서의 전압 인가시의 액정분자의 배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지압 등에 의해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이 발생해도, 배향의 흐트러짐을 자연스럽게 소실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도 11에, 교차각α와 표시얼룩의 레벨 사이에 관찰된 결과를 도시한다. 도 11의 횡축은,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이며, 도 11의 종축은, 표시얼룩의 시인 레벨{visible level}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각α가 10°이상이면, 표시화면을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표시얼룩이 보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교차각α가 5°인 경우에는, 표시화면을 기울기{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 표시얼룩이 약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차각α이 5°이상 10°미만인 범위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이 조금씩 변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교차각α가 너무 크면, 투과율이 저하하는 특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2에, 확인된 투과특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12의 횡축은,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이며, 도 12의 종축은, 상대 투과율이다. 덧붙여서, 도 12에서는, 교차각α가 5°인 경우를 100%로 하고 있다.
도 12의 경우, 교차각α가 5°인 경우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최대로 되며, 교차각α가 45°인 경우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최소로 된다. 또한, 교차각α가 45° 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투과율은 약 64%로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각α와 상대 투과율 사이에는 대체로 선형의 관계가 인정된다. 이 투과율의 관점에서 보면, 교차각α는, 작을 수록 표시휘도의 점에서 유리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특성에 의거하여, 발명자들은,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는 7°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단, 상대적인 투과율과 표시얼룩의 소실시간의 양쪽이 양호한 것을 고려하면, 발명자들은, 교차각α가 7°이상 15°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C) 화소구조예 1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는, 도 9에서 설명한 화소구조와 같은 FFS(Fringe Field Switching)형의 액정패널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소영역의 단면구조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조와 같다. 즉, 대향전극(15)은, 화소전극(13보다도 하층측에 화소영역의 전역{全域}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와 도 9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와의 차이{違}는, 전극가지(13A)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슬릿(31)중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1개의 슬릿만이 신호선(21)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서{傾}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에서의 액정층(7)의 배향방향은, 신호선(21)과 평행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 13의 경우, 이 도면중 우단에 위치하는 슬릿(31)의 연설방향만이,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 7°이상의 교차각α1(〉7°)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다른 3개의 슬릿(31)의 연설방향은 배향막(11)의 배향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13의 경우, 4개 있는 슬릿(31)의 각 슬릿폭은, 어느것이나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도 13의 화소영역 우단에 위치하는 슬릿(31)은, 도면중 하단{下端}측의 연결부(13B)를 원점으로 해서 직사각형 형상의 슬릿(31)의 도면중 상단{上端}측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중 우단에 위치하는 슬릿(31)이, 거의 평행 사변형으로 되도록 형성한다. 단, 이 형상을 실현하려면, 궁리{工夫}가 필요하다. 즉, 도면중 오른쪽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전극가지(13A)의 전극 패턴을, 역사다리꼴{逆台形} 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를 채용하는 이유는, 화소영역 전체로서의 투과율의 저하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에 의한 표시품질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영역내의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은,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 7°이상의 교차각α1로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화소영역내에서 기울기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31)은, 화소영역내에서도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이 가장 현저하게 출현하는(또는 시인되는) 영역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확실하게 소거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화소영역 전체로서의 표시품질의 대폭적인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소거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교차각α1을 크게 하면 좋지만,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 이, 교차각α1이 너무 크면 투과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화소영역의 우단 부분에서의 투과율과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교차각α1은 7°이상 1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에는, 남는 3개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 약 3°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슬릿(31)의 형성영역에서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소거할 수가 없다. 그러나,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현저하게 출현하는 것은, 슬릿(31)이 비스듬{斜}하게 형성된 도면중 우단영역 뿐이므로, 종래 구조(도 5)에 비해서 표시품질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배향막(11)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은 0°이므로, 이들 슬릿(31)의 형성영역에서의 투과율을 최대화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에는, 투과율의 저하가 적을 뿐만 아니라,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에 의한 표시품질의 저하도 적게 할 수가 있다.
물론, FFS형의 화소구조이므로, 화소전극(13)과 대향전극(15) 사이에 형성되는 포물선모양의 전계에 의해, 화소전극(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액정분자도 움직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시야각이 넓은 액정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D) 화소구조예 2
도 14에, 2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도, 도 13에서 설명한 1개째의 화소구조와 같은 FFS(Fringe Field Switching)형의 액정패널에서 사용 되는 것이다. 또, 화소전극(13)의 패턴구조는, 도 13에서 설명한 1개째의 화소구조와 같다.
상위점{相違点}은,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액정층(7)의 배향방향은, 신호선(21)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 3°기울어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하는 화소 구조에서는,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 Y축 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물론,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현저하게 나타나기 쉬운 도면중 우단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은, 7°이상의 교차각α1로 교차하도록 쌍방의 경사각을 설계한다.
이것에 의해, 1개째의 화소구조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소영역의 우단 부분의 배향 규제력을 높일 수가 있다. 그 결과, 화소영역내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확실하게 소거할 수가 있다.
또, 이 화소구조예의 경우, 남는 3개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2는, 교차각α1보다 커진다.
따라서, 화소영역의 중앙 및 좌단 부분에 대응하는 슬릿(31)의 배향 안정성은, 우단 부분보다도 높아진다. 결과적으로, 이들 3개의 슬릿(31)에 발생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도 확실하게 소거할 수가 있다. 단, 도 1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교차각α가 클수록 투과율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도 14에 관계된 화소구조는, 1개째의 화소구조에 비해, 화소영역의 투과율이 저하한다.
(E) 화소구조예 3
도 15에, 3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도, 도 13에서 설명한 1개째의 화소구조와 같은 FFS(Fringe Field Switching)형의 액정패널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 화소전극(13)의 패턴구조는, 전술한 2개의 화소구조와 같다.
상위점은,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 Y축 방향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크게 기울어서 형성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 Y축에 대해서 역방향{逆向)으로 된다.
따라서,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1보다도, 그 밖의 영역부분에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2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화소영역의 우단 부분에 출현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확실하게 소거하는 기능은 그대로, 그 밖의 화소영역에서의 투과율을 2개째의 화소구조예에 비해서 높일 수가 있다.
(F) 화소구조예 4
도 16에, 4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도, 도 13에서 설명한 1개째의 화소구조예에 대응하는 변형예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와 도 13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차이는, 화소영역의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의 형상의 차이이다.
예를 들면, 1개째의 화소구조의 경우는, 화소영역내에 형성되는 4개의 슬릿(31)이, 모두 같은 슬릿폭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화소구조의 경우에는, 5개 모든 전극가지(13A)를 모두 같은 패턴폭으로 되도록 형성한다. 이 때문에,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에도,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의 연설방향은, 전극가지(13A)의 연설방향과 같게 된다. 즉,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1개의 슬릿(31)만이 신호선(21)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그 밖의 슬릿(31)의 연설방향은 신호선(21)과 평행하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도, 화소영역 전체의 투과율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화소영역내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확실하게 소거할 수가 있다. 즉, 화소 투과율이 높고, 표시품질이 높은 액정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이 4개째의 화소전극(13)의 패턴형상은, 2개째의 화소구조예나 3개째의 화소구조예와 같이 액정층(7)의 배향방향이 신호선(21)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에도, 반대로 신호선(21)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G) 화소구조예 5
도 17에, 5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도, FFS(Fringe Field Switching)형의 액정패널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 이 화소구조는, 도 13 에 도시한 1개째의 화소구조의 변형예에 대응한다. 즉, 모든 슬릿(31)이 같은 슬릿폭으로 형성되는 화소구조에 대응한다. 또,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이 배향방향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교차각α1이, 다른 3개의 슬릿이 배향방향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교차각α2보다도 큰 화소구조에 대응한다.
단, 이 5개째의 화소구조의 경우에는, 각 주사선(23)의 상하(Y축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화소영역이, 주사선(23)을 사이에 두고 상하 경면 구조로 되도록, 화소전극(13)과 신호선(21)의 패턴 전체를 각 화소영역내에서 한결같이{一樣} 경사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패턴 전체의 경사각은, 상하(Y축 방향)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영역 사이에서 Y축 방향에 대해서 반전적{反轉的}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화소영역의 경우에는, 화소전극(13)과 신호선(21)의 패턴 전체가, Y축 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서 형성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하는 화소영역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영역의 경우에는, 화소전극(13)과 신호선(21)의 패턴이, Y축 방향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하 경면 구조이므로, Y축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크기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영역 사이에서 같게 된다.
여기에서는, 도 17의 경우에 대해서, 이 화소구조예에 관계된 패턴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7에 관계된 화소영역은, 화소영역 전체가 Y축 방향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 있다. 따라서, 신호선(21)도 화소전극(13)을 구성하는 5개의 전극가지(13A)나, Y축 방향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7의 경우도, 화소영역내에 형성되는 4개의 슬릿(31)중 도면중 우단에 위치하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을 α1로 한다. 또, 화소영역내에 형성되는 4개의 슬릿(31)중 도면중 우단에 위치하는 슬릿(31)을 제외한 3개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을 α2로 한다.
도 17의 경우, 화소영역의 경사각과 슬릿(31)의 교차각α2가 일치한다. 물론, 3개의 슬릿(31)의 Y축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도,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의 경사각 쪽이 크다. 따라서, 교차각α2보다도, 교차각α1이 큰 관계가 성립한다.
그런데, 이 화소구조예의 경우에는, 교차각α2를 7°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각α2를 7°이상으로 설정하면, 화소영역 우단뿐만 아니라, 그 밖의 영역 부분에 대해서도,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화소구조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발생 정도{都合; frequency}가 낮기 때문에 잔존시키고 있었던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에 대해서도, 모두 화소영역 상에서 없앨 수가 있다. 물론,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화소영역의 우측 부분에서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1이 다른 영역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이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을 한층더 단축할 수가 있다. 즉, 현저하게 시인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은 단시간에 소거할 수 있고, 눈에 띄기 어려운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은 조금 늦게 소거할 수가 있다.
또한, 화소영역의 중앙 부근이나 좌단 부분에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2가 7°이상으로 되므로, 해당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전술한 화소구조예에 비해서 저하한다. 그러나, 교차각α2가 10°였다고 해도,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의 투과율은 95%이상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밝기와, 표시품질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도 17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인접하는 한쪽의 화소영역과 다른쪽의 화소영역에서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즉, 한쪽의 화소영역에서는 전계의 인가에 의해서 액정분자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대해, 다른쪽의 화소영역에서는 전계의 인가에 의해서 액정분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시야각의 의존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시야각이 넓은 액정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H) 화소구조예 6
도 18에, 6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는, 도 17에서 설명한 5개째의 화소구조예에 대응하는 변형예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와 도 17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차이는, 화소영역의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의 형상의 차이이다.
예를 들면, 5개째의 화소구조의 경우는, 화소영역내에 형성되는 4개의 슬릿(31)이, 모두 같은 슬릿폭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6개째의 화소구조의 경우에는, 5개 모든 전극가지(13A)를 모두 같은 패턴폭으로 되도록 형성한다. 이 때문에,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31)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에도,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슬릿의 연설방향은, 전극가지(13A)의 연설방향과 같게 된다. 즉, 도면중 우단에 형성되는 1개의 슬릿(31)만이 신호선(21)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그 밖의 슬릿(31)의 연설방향은 신호선(21)과 평행하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도, 화소영역내로부터 모든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소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소영역 전체의 투과율을 극력{極力}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5개째의 화소구조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야각의 의존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시야각이 넓은 액정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I) 화소구조예 7
도 19에, 7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예의 경우에는, 1개의 화소영역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을 상하 경면 구조화한다. 이 때문에, 도 19에서는, 화소영역의 Y축 방향 중앙 부근에 굴곡점을 1개 설치하고, 전극가지(13A)와 신호선(21)을 각각 굴절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도 19에서는, 이 상하 경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굴곡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假想線}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기본으로 되는 화소구조 는, 도 17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이므로, 교차각α1은 교차각α2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교차각α2를 7°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교차각α1은 7°이상의 조건을 자동적으로 충족시킨다. 물론, 교차각α1만이 7°이상인 조건을 충족시켜도 좋지만, 화소영역의 우단 이외의 슬릿(31)에 발생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소거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도 19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화소영역의 상반분{上半分}과 하반분{下半分}에서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즉, 화소영역의 도면중 상반분에서는 전계의 인가에 의해서 액정분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대해, 화소영역의 도면중 하반분에서는 전계의 인가에 의해서 액정분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는 것에 의해, 어느 각도에서 표시화면을 보더라도 1화소당의 광량을 균일화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야각이 넓은 액정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J) 화소구조예 8
도 20에, 8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화소구조예도, 1개의 화소영역내에서 듀얼도메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이 8개째의 화소구조예는, 도 18에 대응하는 화소구조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을 상하 경면 구조화한 구조에 대응한다. 즉, 5개 모든 전극가지(13A)의 패턴폭이 모두 같은 경우의 화소구조예에 대응한다.
이 8개째의 화소구조예의 경우도, 화소영역의 Y축 방향 중앙 부근에 굴곡점 을 1개 설치하고, 전극가지(13A)와 신호선(21)을 각각 굴절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도 20의 경우도, 이 상하 경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굴곡점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기본으로 되는 화소구조는, 도 18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이므로, 교차각α1은 교차각α2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교차각α2를 7°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교차각α1은 7°이상의 조건을 자동적으로 충족시킨다. 물론, 교차각α1만이 7°이상의 조건을 충족시켜도 좋지만, 화소영역의 우단 이외의 슬릿(31)에 발생하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을 소거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도 20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화소영역의 상반분과 하반분에서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즉, 화소영역의 도면중 상반분에서는 전계의 인가에 의해서 액정분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대해, 화소영역의 도면중 하반분에서는 전계의 인가에 의해서 액정분자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는 것에 의해, 어느 각도에서 표시화면을 보더라도 1화소당의 광량을 균일화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시야각이 넓은 액정패널을 실현할 수가 있다.
(K) 화소구조예 9
도 21에, 9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도 19와의 상위점은, 전극가지(13A)의 굴곡점을 상호{相互} 접속하는 연결가지{連結枝}(13C)를 추가적으로 채용하는 점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도메인의 경계부분에서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이 경계부분에 배향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없고,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 현상의 소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는, 연결가지(13C)에 의해서 2개의 도메인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도메인의 경계부분에서의 액정분자의 배열의 흐트러짐을 없앨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도 21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 현상의 소실을, 도 19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L) 화소구조예 10
도 22에, 10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한다. 이 10개째의 화소구조예는, 도 20에 도시한 듀얼도메인 구조의 변형예에 대응한다. 즉, 1화소내에서 듀얼도메인 구조를 채용하는 화소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0과의 상위점은, 전극가지(13A)의 굴곡점을 상호 접속하는 연결가지(13C)를 추가적으로 채용하는 점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화소구조의 경우, 상하로 인접하는 2개의 도메인의 경계부분에서 액정분자의 회전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이 경계부분에 배향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없고,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 현상의 소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22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는, 연결가지(13C)에 의해서 2개의 도메인 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도메인의 경계부분에서의 액정분자의 배열의 흐트러짐을 없앨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도 22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는, 리버스 트위스트 라인 현상의 소실을, 도 20에 도시하는 화소구조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M) 화소구조예 11
전술한 10개의 화소구조예의 경우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단면구조를 가지는 FFS형의 액정패널에 대해서 설명했다. 즉, 빗살모양으로 가공된 화소전극(13)의 하층에, 화소영역 전체를 덮도록 대향전극(15)을 배치한 화소구조를 가지는 액정패널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전극(15)에 대해서나 빗살모양으로 가공한 액정패널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도 23의 경우, 대향전극(15)의 전극가지(15A)는,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의 틈새(슬릿(31))를 메우도록 배치된다. 즉, 대향전극(15)의 전극가지(15A)는, 화소영역내에서,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N) 화소구조예 12
전술한 각 화소구조예의 경우에는, 어느것이나 화소전극(13)과 대향전극(15)이 층 차이나게{層違; 다른 층에} 형성되는 화소구조를 전제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발명자들이 제안하는 기술은, 화소전극(13)과 대향전극(15)이 동일층에 형성되는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4에, 12개째의 화소구조예에 대응하는 단면구조예를 도시하고, 도 24에 12개째의 화소구조예에 대응하는 평면구조예를 도시한다. 또한, 화소구조(13)와 대향전극(15) 이외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화소구조와 같다.
즉, 액정패널(91)은, 2장의 유리기판(3 및 5)과, 이들 사이에 끼워넣어지도록 봉입된 액정층(7)으로 구성된다. 각 기판중 외측 표면에는 편광판(9)이 배치되고, 내측 표면에는 배향막(11)이 배치된다.
도 24의 경우도, 화소전극(13)과 대향전극(15)은 유리기판(5)에 형성된다. 이 중, 화소전극(13)은, 빗살모양으로 가공된 4개의 전극가지(13A)의 일단{一端}을 연결부(13B)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대향전극(15)은, 빗살모양으로 가공된 3개의 전극가지(15A)의 일단을 공통 전극선에 접속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대향전극(15)의 전극가지(15A)는,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의 틈새에 끼워넣어지도록 배치된다.
이 전극구조를 위해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와 대향전극(15)의 전극가지(15A)가 동일층에 번갈아{交互} 배치된다. 이 전극구조에 의해,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와 대향전극(15)의 전극가지(15A) 사이에 포물선모양의 전계가 발생한다. 도 24에는, 이 전계를 파선으로 도시한다.
(O) 화소구조예 13
전술한 12개의 화소구조예의 경우에는, 어느것이나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에 의해서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이 Y축 방향과 평행 또는 Y축 방향에 대해서 예각(〈45°)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화소전극(13)의 전극가지(13A)에 의해서 형성되는 슬릿(31)의 연설방향향은, X축 방향과 평행 또는 X축 방향에 대해서 예각(<45°)으로 교차해도 좋다.
(P) 화소구조예 14
전술한 화소구조예의 경우에는, 어느것이나 화소영역내에 형성되는 5개의 슬릿(31)중 도면중 우단에 위치하는 슬릿(31)에 주목하고, 그의 연설방향과 배향막(11)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1이 7°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5개의 슬릿(31)중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슬릿(31)의 연설방향과 액정층(7)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α1이 7°이상인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해도 좋다.
(Q) 다른 형태예
(Q-1) 기판 재료
전술한 형태예에 관계된 설명에서는, 기판을 유리기판으로 했지만, 플라스틱 기판 또는 그 밖의 기판을 이용해도 좋다.
(Q-2) 제품예
전술한 설명에서는, 횡전계를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화소구조에 대해서 설명했다. 여기에서는, 이들 형태예에 관계된 화소구조를 가지는 액정패널(구동회로를 실장하지 않는 상태)이나 액정패널 모듈(구동회로를 실장한 상태)을 실장한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에, 전자기기(101)의 개념 구성예를 도시한다. 전자기기(101)는, 전술한 화소구조를 가지는 액정패널(103), 시스템 제어부(105) 및 조작 입력부(107)로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105)에서 실행되는 처리내용은, 전자기기(101)의 상품형태에 따라서 다르다.
또, 조작 입력부(107)의 구성도 상품형태에 따라서 다르며, 예를 들면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스위치, 버튼,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그 밖의 조작자{操作子}로 구성된다.
또한, 전자기기(101)는, 기기내에서 생성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면, 특정 분야의 기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에, 그 밖의 전자기기가 텔레비전 수상기인 경우의 외관예를 도시한다. 텔레비전 수상기(111)의 하우징{筐體; housing} 정면에는, 프런트패널(113) 및 필터유리(115)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화면(117)이 배치된다. 표시화면(117)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액정패널에 대응한다.
또,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101)에는,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가 상정된다. 도 27에, 디지털카메라(121)의 외관예를 도시한다. 도 27의 (a)가 정면측(피사체측)의 외관예이고, 도 27의 (b)가 배면측(촬영자측)의 외관예이다.
디지털카메라(121)는, 보호커버(123), 촬상 렌즈부(125), 표시화면(127), 컨트롤스위치(129)및 셔터버튼(131)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화면(127)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액정패널에 대응한다.
또,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101)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가 상정된다. 도 28에, 비디오카메라(141)의 외관예를 도시한다.
비디오카메라(141)는, 본체(143)의 전방{前方}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렌즈(145), 촬영의 스타트/스톱 스위치(147) 및 표시화면(149)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화면(149)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액정패널에 대응한다.
또,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101)에는, 예를 들면 휴대단말 장치가 상정된다. 도 29에, 휴대단말 장치로서의 휴대전화기(151)의 외관예를 도시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휴대전화기(151)는 폴더식{折疊式; folder type}이고, 도 29의 (a)가 하우징을 연 상태의 외관예이며, 도 29의 (b)가 하우징을 접은{折疊; folded} 상태의 외관예이다.
휴대전화기(151)는, 상측 하우징(153), 하측 하우징(155), 연결부(이 예에서는 힌지부)(157), 표시화면(159), 보조 표시화면(161), 픽처라이트(163) 및 촬상렌즈(165)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화면(159) 및 보조 표시화면(161)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액정패널에 대응한다.
또,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101)에는, 예를 들면 컴퓨터가 상정된다. 도 30에, 노트북형 컴퓨터(171)의 외관예를 도시한다.
노트북형 컴퓨터(171)는, 하측 하우징(173), 상측 하우징(175), 키보드(177) 및 표시화면(179)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시화면(179) 부분이, 형태예에서 설명한 액정패널에 대응한다.
이들 외에, 전자기기(101)에는, 프로젝터, 오디오 재생장치, 게임기, 전자 북, 전자사전 등이 상정된다.
(Q-3) 기타{其他}
전술한 형태예에는, 발명의 취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예가 생각된다. 또,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의거하여 창작되거나 또는 조합되는 각종 변형예 및 응용예도 생각된다.
도 1은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의 단면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횡전계 표시형의 액정패널의 평면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컨택트 부근의 단면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디스클리네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리버스 트위스트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액정패널 모듈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액정패널 모듈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슬릿의 연설방향과 액정층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교차각의 크기와 표시얼룩의 소실시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교차각의 크기와 표시얼룩의 레벨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교차각의 크기와 상대 투과율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1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14는 2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15는 3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16은 4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17은 5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18은 6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19는 7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20은 8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21은 9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22는 10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평면구조),
도 23은 11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단면구조),
도 24는 12개째의 화소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단면구조),
도 25는 전자기기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전자기기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전자기기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전자기기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전자기기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전자기기의 외관예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1: 배향막, 13: 화소전극, 13A: 전극가지, 13B: 연결부, 13C: 연결가지, 15: 대향전극, 15A: 전극가지, 31: 슬릿.

Claims (6)

  1. 서로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挾}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봉지{封止}되는 액정층과,
    배향막과,
    상기 제1 기판측에 형성되는 대향전극 패턴과,
    상기 제1 기판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전극가지{電極枝}를 가지는 화소전극 패턴
    을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전극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중 양단{兩端}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의 적어도 한쪽의 연설{延設; extension}방향이,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해서 7°이상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액정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중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과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의 교차각이, 7°이상 15° 이하인 액정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단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중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과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은, 다른 슬릿의 연설방향과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과의 교차각보다도 큰 액정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대향전극 패턴은, 같은{同} 계층면에 형성되는 액정패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패턴과 상기 대향전극 패턴은, 다른 계층면에 형성되는 액정패널.
  6. 서로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봉지되는 액정층과, 배향막과, 상기 제1 기판측에 형성되는 대향전극 패턴과, 상기 제1 기판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전극가지를 가지는 화소전극 패턴을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전극가지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중 양단부분에 형성되는 슬릿의 적어도 한쪽의 연설방향이, 상기 액정의 배향방향에 대해서 7°이상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대한 조작입력을 접수{受付}하는 조작 입력부
    을 가지는 전자기기.
KR1020090125517A 2008-12-19 2009-12-16 액정패널 및 전자기기 KR101669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4780A JP2010145870A (ja) 2008-12-19 2008-12-19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JP-P-2008-324780 200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917A true KR20100071917A (ko) 2010-06-29
KR101669637B1 KR101669637B1 (ko) 2016-10-26

Family

ID=4226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517A KR101669637B1 (ko) 2008-12-19 2009-12-16 액정패널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9366903B2 (ko)
JP (1) JP2010145870A (ko)
KR (1) KR101669637B1 (ko)
CN (1) CN101750805B (ko)
TW (1) TWI4015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914B2 (en) 2010-12-31 2012-1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exposure mask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0074B2 (ja) * 2012-03-12 2015-07-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TWI464505B (zh) 2012-03-28 2014-12-1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面板與畫素結構
JP5963564B2 (ja) * 2012-06-20 2016-08-0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3926753B (zh) * 2013-10-18 2017-05-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和显示面板
CN103913908A (zh) * 2013-12-25 2014-07-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电极结构、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4062818B (zh) * 2014-06-27 2017-10-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211598B1 (ko) * 2014-07-10 2021-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4267547B (zh) * 2014-09-24 2017-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显示装置
CN104503163B (zh) 2014-12-24 2018-05-1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4678665B (zh) 2014-12-30 2017-11-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CN105988246B (zh) * 2015-03-03 2019-09-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TWI565039B (zh) * 2016-05-30 2017-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畫素陣列基板及可撓式顯示面板
US20230047799A1 (en) * 2020-12-11 2023-02-16 Ordos Yuansheng Optoelectronics Co., Ltd. Pixel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296942A1 (en) * 2020-12-11 2023-09-21 Ordos Yuansheng Optoelectronics Co., Ltd. Pixel electrode, pixel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2024042589A (ja) * 2022-09-15 2024-03-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87A (ko) * 2002-09-03 2004-03-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60077852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70101071A (ko) * 2006-04-11 2007-10-1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7729A (ko) * 2007-01-17 2008-07-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873B2 (ja) 1996-10-15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020008799A1 (en) * 2000-07-10 2002-01-24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TW387997B (en) 1997-12-29 2000-04-21 Hyundai Electronics Ind Liquid crystal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JP2002323706A (ja) * 2001-02-23 2002-11-08 Nec Corp 横電界方式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1506450A1 (en) 2002-05-10 2005-0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stable liquid crystal device with picture electrodes having comb structure
KR100959367B1 (ko) 2003-10-13 201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US8098355B2 (en) * 2003-10-15 201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48223B1 (ko) 2005-05-11 2006-11-2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반투과형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JP4380648B2 (ja) 2005-05-25 2009-12-0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813842B2 (ja) * 2005-07-29 2011-11-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916770B2 (ja) * 2006-05-22 2012-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07677B2 (ja) * 2006-08-11 2010-02-0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横電界方式の液晶表示パネル
JP4203676B2 (ja) * 2006-09-27 2009-01-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ATE530945T1 (de) * 2006-09-27 2011-11-15 Sharp Kk Aktivmatrixsubstrat und damit ausgestattete flüssigkristallanzeigeanordnung
JP2008096840A (ja) * 2006-10-13 2008-04-24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JP4814776B2 (ja) * 2006-12-14 2011-11-1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4544251B2 (ja) * 2007-02-2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8212954B2 (en) * 2007-11-21 2012-07-03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145366A (ja) * 2007-12-11 2009-07-02 Seiko Epson Corp 電界駆動型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490480B1 (ko) * 2008-07-07 2015-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45872A (ja) * 2008-12-19 2010-07-01 Sony Corp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287A (ko) * 2002-09-03 2004-03-12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60077852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70101071A (ko) * 2006-04-11 2007-10-16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7729A (ko) * 2007-01-17 2008-07-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시야각 조절이 가능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914B2 (en) 2010-12-31 2012-11-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exposure mask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6455A1 (en) 2016-09-15
US11693281B2 (en) 2023-07-04
US20190310526A1 (en) 2019-10-10
TWI401516B (zh) 2013-07-11
US20100157229A1 (en) 2010-06-24
US20180052371A1 (en) 2018-02-22
KR101669637B1 (ko) 2016-10-26
JP2010145870A (ja) 2010-07-01
US9366903B2 (en) 2016-06-14
US10330995B2 (en) 2019-06-25
US9817285B2 (en) 2017-11-14
CN101750805B (zh) 2012-10-03
CN101750805A (zh) 2010-06-23
US20230296943A1 (en) 2023-09-21
TW201030435A (en)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328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ixel electrode with electrode branches and slits
US11567369B2 (en) Pixel electrode of fringe field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end portions
US11852928B2 (en) Display device
JP5458059B2 (ja)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KR20100071916A (ko) 액정패널 및 전자기기
JP5755709B2 (ja)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5755710B2 (ja)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US11982907B2 (en) Liquid crystal panel with electrode having bent portion
JP5203475B2 (ja) 液晶パネ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