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355A -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355A
KR20100071355A KR1020080130034A KR20080130034A KR20100071355A KR 20100071355 A KR20100071355 A KR 20100071355A KR 1020080130034 A KR1020080130034 A KR 1020080130034A KR 20080130034 A KR20080130034 A KR 20080130034A KR 20100071355 A KR20100071355 A KR 2010007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information
parts
palle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태
허정헌
권현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1355A/ko
Publication of KR2010007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 G06K7/1012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the step consisting of detection of the presence of one or more record carriers in the vicinity of the interrogat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 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의 부품을 적재하는 것을 관리하는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위한 서열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부품의 적재를 할당 및 지시하기 위한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전송하는 파렛트 관리서버, 및 전송된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고 부품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된 부품정보와 적재를 위해 접근된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따라 실제 부품의 적재될 적재공간을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해, 부품 적재시 정확한 위치정보에 대한 안내와 서열오류에 의한 이종부품 조립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부품 적재의 정확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자동차, 부품, 파렛트, 적재, 서열, 식별

Description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 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otive Part Pallet System capable of loading part using part sequenc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서열 부품을 적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렛트에서 서열오류에 의한 이종부품 조립을 사전에 예방하여 서열 오류에 의한 적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서열시스템(Just In Sequence)이란, 완성차 생산라인의 조립시간과 순서에 맞추어 부품을 적기에 공급하는 생산방식으로, 완성차 업체는 전용회선으로 각 모듈을 생산하는 업체들을 통신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발주를 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발주는 서열번호라고 하는 순서정보가 첨부되는데, 이 순서정보는 일반적으로 1번부터 9999번까지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진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부품 적재를 위한 파렛트 시스템의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 시스템은 각각 몸체(10,20), 부품의 적재를 위한 적재공간(12,22), 및 파렛트 시스템의 이송을 위한 이송바퀴(14,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듈생산업체에서는 서열번호를 가지고 순서대로 각 모듈에 맞는 사양으로 조립을 하여 발주에 맞는 모듈을 하나씩 생산 후 파렛트 시스템에 적재시켜 완성차 조립라인으로 바로 이송하여 투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잘못된 순서로 부품을 적재하여 납품하게 되면, 잘못된 사양의 부품이 자동차에 부착되어 라인을 정지시켜야 하는 심각한 사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부품의 적재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부품을 적재할 때,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적재할 부품을 하나하나 확인한 후 적재위치에서의 서열 정보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파렛트 시스템을 상차 전에 한 번 더 이종부품 조립여부를 확인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어 있어, 작업이 번거롭고 서열 확인에 드는 인적 시간적 비용이 상당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자동차 부품 파렛트 시스템에 부품을 적재할 때, 작업 공정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부품의 정확한 적재를 통한 이종부품 적재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이종부품 조립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업의 편리성 및 부품 적재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부품의 적재시 정확한 위치정보에 대한 안내를 통해 서열오류에 의한 이종부품 조립을 미연에 방지하여 서열정보에 의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수동적으로 관리했던 적재할 파렛트 및 적재공간의 할당과 할당된 파렛트 및 적재공간에 대한 관리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의 부품을 적재하는 것을 관리하는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위한 서열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의 적재를 할당 및 지시하기 위한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전송하는 파렛트 관리서버; 및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된 부품정보와 적재를 위해 접근된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따라 상기 실제 부품의 적재될 적재공간을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는, 부품 인식을 위해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접근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고, 식별한 상기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와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된 상기 부품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는, 상기 파렛트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적재지시정보 수신부;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에 적재되기 위해 접근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는 접근부품 식별부; 및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사양정보를 갖는 상기 실재 부품의 적재공간을 안내를 위해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적재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근부품 식별부는, 상기 실제 부품이 부품 인식을 위해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로부터 설정된 거리 영역 내로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센서; 및 상기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여 감지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판독하여 식별하는 부품 식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품적재 관리부는, 상기 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상기 실재 부품의 사양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매칭 판별부; 상기 부품정보와 상기 사양정보가 매칭됨에 따라,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의해 상기 부품정 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될 적재공간을 검색하는 적재공간 검색부; 및 검색된 상기 적재공간에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적재 파렛트 관리서버는,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위한 서열정보를 수신하는 서열정보 수신부; 통신 연결된 복수의 부품 적재 파렛트들 중에서, 수신한 상기 서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특정 부품 적재 파렛트를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에 구비된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에서 상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을 할당하는 파렛트 관리부; 및 할당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에 전송하는 적재지시정보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부품 적재 파렛트 관리서버는, 상기 서열정보,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 정보,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에 대한 상기 부품 적재 여부 정보, 및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에 대해 할당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는, 자동자의 부품을 적재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지시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적재지시정보 수신부; 적재되기 위해 접근된 실제 부 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는 접근부품 식별부; 및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사양정보를 갖는 상기 실재 부품의 적재공간을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적재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접근부품 식별부는, 상기 실제 부품이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는 접근센서; 및 상기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여 감지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판독하여 식별하는 부품 식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 식별부는, 상기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실제 부품마다 서로 다른 값으로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는 바코드 리딩모듈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부품적재 관리부는, 상기 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상기 실재 부품의 사양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매칭 판별부; 상기 부품정보와 상기 사양정보가 매칭됨에 따라,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의해 상기 부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될 적재공간을 검색하는 적재공간 검색부; 및 검색된 상기 적재공간에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파렛트에 대한 부품 적재를 위한 지시를 파 렛트 관리서버가 통신 연결을 통해 직접관리하고, 자동차 부품 파렛트에 서열정보에 기초한 부품 적재지시정보를 수신 및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에 기초하여 적재를 위한 부품의 매칭을 확인한 후 적재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부품 적재시 정확한 위치정보에 대한 안내와 서열오류에 의한 이종부품 조립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부품 적재의 정확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 관리 시스템은, 파렛트 관리서버(100), 및 부품 적재 파렛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렛트 관리서버(100)와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상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의 적제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미도시)로부터 통신 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온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된 부품 적 재 파렛트(300)의 부품 적재 동작을 제어한다.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파렛트 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정보를 전송한다.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부품의 적재공간(50)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공간에 부품이 적재된다.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접근센서(352)를 구비하여 적재를 위해 접근되면, 이를 감지하여 부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표시부(366)를 구비하여 특정 부품이 적재될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부품이 정확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부품의 적재가 완료된 후 이송을 위한 이송바퀴(7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관리서버(100)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10), 서열정보 수신부(120), 적재지시정보 송신부(130), 제어부(140), 서열정보 관리부(150), 파렛트 관리부(16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 및 부품 적재 파렛트(3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로부터 자동차 부품 적재에 필요한 서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부품 적재 파렛트(300)와 통신하여 부품 적재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서열정보 수신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로 부터 서열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수신한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에 대한 저장 및 변경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해 서열정보 관리부(150)를 제어하고,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부품의 적재를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할당하고 이에 따른 적재지시정보를 생성하도록 파렛트 관리부(160)를 제어한다.
적재지시정보 송신부(130)는 제어부(140)의 지시에 따라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부품의 적재를 지시하기 위한 적재지시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자동차 부품의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의 적재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서열정보 관리부(150)는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로부터 파렛트 관리서버(100)에 수신된 자동차 부품의 서열정보를 관리하고, 수신한 자동차 부품의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 부품이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적재됨에 따라 변경된 부품 적재 정보에 의한 서열정보의 업데이트를 관리한다.
파렛트 관리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 연결 가능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품 적재 파렛트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각 부품 적재 파렛트들과 각 부품 적재 파렛트들의 적재공간(50)에 대한 자동차 부품 적재 여부를 관리한다. 또한, 파렛트 관리부(160)는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로부터 파렛트 관리서버(100)에 수신된 자동차 부품의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부품이 적재되기 위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 및 부품 적재 파렛트(300)의 적재공간(50)을 각각 할당한다. 뿐만 아니라, 파렛트 관리부(160)는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부품에 대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 및 부품 적재 파렛트(300)의 적재공간(50)을 각각 할당함에 따른,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파렛트 관리부(160)에서 생성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부품을 적재할 부품 적재 파렛트(300)로 전송하도록 적재지시정보 송신부(130)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자동차 부품의 서열정보, 자동차 부품이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적재됨에 따라 변경된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 적재 부품 파렛트(300) 및 적재공간(50)에 대한 정보, 적재 부품 파렛트(300) 및 적재공간(50)에 대한 부품 적재 여부 정보, 및 적재 부품 파렛트(300) 및 적재공간(50)에 대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적재 부품 파렛트(300) 및 적재공간(50)에 대한 정보는 각각 식별 가능한 서로 다른 식별정보(Identification: ID) 정보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부품 적재 파렛트(300)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통신부(310), 적재지시정보 수신부(320), 적재상태정보 송신부(330), 제어부(340), 접근부품 식별부(350), 부품적재 관리부(360), 및 저장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파렛트 관리서버(100)와 통신하여 자동차 부품의 적재에 필요 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적재지시정보 수신부(320)는 파렛트 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자동차의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통신부(3210)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적재지시정보 수신부(320)는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제어부(340)에 제공한다. 제어부(340)는 적재지시저보 수신부(320)로부터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저장부(370)에 저장한다.
적재상태정보 송신부(330)는 부품 적재 파렛트(300)의 적재공간(50)에 부품에 적재됨에 따른, 부품의 적재상태정보를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10)를 통해 파렛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제어부(340)는 파렛트 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의 수신 및 저장, 적재상태정보를 전송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적재를 위해 접근된 부품의 식별을 위한 접근부품 식별부(3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에 기초한 부품의 적재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부품 적재 관리부(360)를 제어한다.
접근부품 식별부(350)는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적재되기 위해 접근된 부품을 인식하여, 접근된 부품이 어떤 부품인지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접근부품 식별부(350)는 접근센서(352) 및 부품식별부(3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근센서(352)는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접근된 부품이, 부품 인식을 위해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판독하여 읽어온다. 부품식별부(354)는 접근센서(352)에 의해 부품 식별 영역 내에 위치하는 부품이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부품 을 식별한다. 이때 부품식별부(354)는 부품마다 서로 다른 값으로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통해 부품의 사양을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 리딩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이 식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식별하여 부품 사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를 위해 접근된 부품의 식별을 위해 필요한 동작에 소요되는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부품적재 관리부(360)는 파렛트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부품이 지시된 적재공간(50)에 적재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부품적재 관리부(360)는 부품매칭 판별부(362), 적재위치 검색부(364), 및 표시부(3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품매칭 판별부(362)는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되는 부품정보와 접근부품 식별부(350)에서 식별된 부품정보를 매칭시켜, 동일한 부품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부품매칭 판별부(362)는 각각의 식별정보(ID)를 비교하여 부품의 매칭 여부를 판별한다. 적재위치 검색부(364)는 매칭 결과 동일한 부품정보인 경우, 적재지시정보에 기초하여 적재를 위해 영역 내에 접근된 부품이 적재될 적재위치를 검색한다. 표시부(366)는 적재위치 검색부(364)에 의해 검색된 결과에 따라 접근된 부품이 검색된 적재위치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적재를 지시받은 부품과 적재할 부품이 동일 부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면서 부품을 적재하기 때문에 이종 부품의 적재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표시하여 적재할 부품의 적재 위치를 적재 전에 안내하기 때문에 정확한 부품 적재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저장부(370)는 파렛트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 적재를 위해 접근된 부품에 대한 식별정보, 부품의 적재를 안내하기 위한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70)는 부품적재 파렛트(300)에 할당된 식별정보(ID), 및 각 적재공간(50)들에 대해 서로 다른 값으로 할당된 식별정보(ID)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완성차 조립 업체의 통신기기로부터 자동차 부품 적재에 필요한 서열정보를 수신한다(S110).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수신한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부품의 적재를 부품 적재 파렛트(300)를 검색한다(S120).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검색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의 적재공간 중에서, 자동차 부품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부품을 적재할 공간을 할당한다(S130).
이에 따라,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검색한 부품 적재 파렛트(300) 및 할당된 부품의 적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생성한다(S140).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생성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전송한다(S150).
한편,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파렛트 관리서버(100)로부터 전송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적재를 위해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이동 중인 부품이 설정된 식별 영역 내로 접근되면, 이에 대한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부품에 대한 정 보를 식별한다(S210).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식별한 부품에 대한 정보와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되는 부품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별한다(S220).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매칭 결과 동일한 부품정보인 경우,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부품이 적재될 적재위치를 검색한다(S230).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적재를 위해 접근된 부품이 검색된 적재위치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표시한다(S240). 이에 따라, 적재를 위해 접근된 부품은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에 따라 지시된 적재공간에 적재된다(S250). 부품의 적재가 완료되면,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이송 바퀴(70)에 의해 이송된다(S260).
이후 부품 적재 파렛트(300)는 수신한 부품별 적재지시정보에 따라 부품이 적재된 후 이에 대응하는 부품적재 상태정보를 파렛트 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S270). 이에 따라, 파렛트 관리서버(100)는 부품 적재 파렛트(300)의 부품 적재 상태를 업데이트한다(S310).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의 지시에 따라 부품을 적재하는 경우, 자동차 부품 적재시 서열오류에 의한 이종부품 조립 여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적재 위치 및 사양 체크를 부품 적재 파렛트(300)에 적재시키기 바로 전에 체크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분별하게 관리 되던 부품 적재 파렛트 및 각 부품 적재 파렛트별 적재 공각에 대한 관리를 각각에 할당된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부품 적재를 위한 파렛트 시스템의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관리서버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부품 적재 파렛트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볼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몸체 12,22,50: 적재공간
14,24,70: 이송바퀴 100: 파렛트 관리서버
110,310: 통신부 120: 서열정보 수신부
130: 적재지시정보 송신부 140,340: 제어부
150: 서열정보 관리부 160: 파렛트 관리부
170:데이터베이스 300: 부품 적재 파렛트
320: 적재지시정보 수신부 330: 적재상태정보 송신부
350: 접근부품 식별부 352: 접근센서
354: 부품 식별부 360: 부품적재 관리부
362: 부품배치 판별부 364: 적재공간 검색부
366: 표시부 370: 저장부

Claims (11)

  1. 자동차의 부품을 적재하는 것을 관리하는 자동차 부품 파렛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위한 서열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의 적재를 할당 및 지시하기 위한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전송하는 파렛트 관리서버; 및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된 부품정보와 적재를 위해 접근된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따라 상기 실제 부품의 적재될 적재공간을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는,
    부품 인식을 위해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접근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고, 식별한 상기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와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포함된 상기 부품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는,
    상기 파렛트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적재지시정보 수신부;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에 적재되기 위해 접근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는 접근부품 식별부; 및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사양정보를 갖는 상기 실재 부품의 적재공간을 안내를 위해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적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부품 식별부는,
    상기 실제 부품이 부품 인식을 위해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로부터 설정된 거리 영역 내로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센서; 및
    상기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여 감지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판독하여 식별하는 부품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적재 관리부는,
    상기 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상기 실재 부품의 사양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매칭 판별부;
    상기 부품정보와 상기 사양정보가 매칭됨에 따라,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의해 상기 부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될 적재공간을 검색하는 적재공간 검색부; 및
    검색된 상기 적재공간에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관리 시스템.
  6.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위한 서열정보를 수신하는 서열정보 수신부;
    통신 연결된 복수의 부품 적재 파렛트들 중에서, 수신한 상기 서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특정 부품 적재 파렛트를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에 구비된 복수의 적재공간들 중에서 상기 부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을 할당하는 파렛트 관리부; 및
    할당된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을 포함하는 부품적재지시정 보를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에 전송하는 적재지시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 관리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정보,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 정보,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에 대한 상기 부품 적재 여부 정보, 및 상기 부품 적재 파렛트 및 상기 적재공간에 대해 할당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 관리서버.
  8. 자동자의 부품을 적재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부품 적재를 지시하는 부품 적재 파렛트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부품적재지시정보를 수신하는 적재지시정보 수신부;
    적재되기 위해 접근된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는 접근부품 식별부; 및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사양정보를 갖는 상기 실재 부품의 적재공간을 안내하는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부품적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부품 식별부는,
    상기 실제 부품이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접근하는지를 감지하는 접근센서; 및
    상기 설정된 거리 영역 내에 위치하여 감지된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판독하여 식별하는 부품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식별부는,
    상기 실제 부품의 사양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실제 부품마다 서로 다른 값으로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실제 부품에 대한 사양정보를 식별하는 바코드 리딩모듈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적재 관리부는,
    상기 적재지시정보에 대응하는 부품정보와 상기 실재 부품의 사양정보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매칭 판별부;
    상기 부품정보와 상기 사양정보가 매칭됨에 따라, 상기 부품적재지시정보에 의해 상기 부품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될 적재공간을 검색하는 적재공간 검색부; 및
    검색된 상기 적재공간에 상기 실제 부품이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부품적재위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적재 파렛트.
KR1020080130034A 2008-12-19 2008-12-19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1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34A KR20100071355A (ko) 2008-12-19 2008-12-19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34A KR20100071355A (ko) 2008-12-19 2008-12-19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55A true KR20100071355A (ko) 2010-06-29

Family

ID=4236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034A KR20100071355A (ko) 2008-12-19 2008-12-19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13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800A (ko) 2013-11-21 2015-05-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전산 장치와 agv 장치를 연동한 서열공급 물류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9361A (ko) 2020-10-14 2022-04-21 (주)이루미소프트 Esl 기반 스마트 팔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800A (ko) 2013-11-21 2015-05-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전산 장치와 agv 장치를 연동한 서열공급 물류시스템 및 방법
KR20220049361A (ko) 2020-10-14 2022-04-21 (주)이루미소프트 Esl 기반 스마트 팔레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632B1 (ko) 자동차 바퀴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링 박스를 교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및 센서
KR101666519B1 (ko) 전산 장치와 agv 장치를 연동한 서열공급 물류시스템 및 방법
US9665993B2 (en)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a vehicle
JPWO2005110896A1 (ja) 倉庫管理システム
CN111027912B (zh) 一种基于rfid技术的agv盘点仓库托盘的方法
US20160147521A1 (en) System for detecting components of a vehicle
CN104691554B (zh) 用于车辆的检查系统及其控制方法
US10311732B2 (en) Concept for checking a sensor system for detecting an occupancy state of a parking space for errors
JP5034585B2 (ja) 出庫管理プログラム、出庫管理装置および出庫管理方法
CN109107903B (zh) 自动分拣方法及系统
JP2014172704A (ja) 車両誘導システム
US11900304B2 (en) Warehousing and shipping management system, warehousing and shipping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4950700A (zh) 用于车辆控制的电子控制器软件编码系统和方法
US20110093160A1 (en) Vehicle check in method
US10504373B2 (en) Vehicular zone locating system
JP6020213B2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KR101417528B1 (ko) 차량의 작업이력 관리시스템
KR20100071355A (ko) 서열정보에 기초한 자동차 부품 적재가 가능한 자동차 부품파렛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201473A (ja) 無線タグ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無線タグ位置管理方法
CN101778784A (zh) 检验系统
US10940997B2 (en) Movement path management system, movement path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0325196B2 (en) Smart tag and smart tag system using the same
US7528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KR101557976B1 (ko) 원격 주차 위치 확인 장치
KR20110062082A (ko) 차량 진단용 휴대장치 및 스마트 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