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830A - 레버타입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타입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830A
KR20100070830A KR1020080129557A KR20080129557A KR20100070830A KR 20100070830 A KR20100070830 A KR 20100070830A KR 1020080129557 A KR1020080129557 A KR 1020080129557A KR 20080129557 A KR20080129557 A KR 20080129557A KR 20100070830 A KR20100070830 A KR 20100070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slider
mov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282B1 (ko
Inventor
신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28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20)과,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이동채널(22)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대커넥터(1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20)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를 작동시키는 레버(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의 일측에는 연동슬롯(37)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40)에는 상기 연동슬롯(37)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30)를 직선운동시키는 가동돌기(47)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레버(40)의 회전축(P)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가동돌기(47)의 회전궤적의 접선방향은, 상기 가동돌기(47)와 연동슬롯(37)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과 항상 직교를 이룬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슬라이더(30)에 최대한으로 전달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레버(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 레버, 회전력

Description

레버타입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커넥터를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넥터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3)는 서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2커넥터(3)에는 슬라이더(5) 및 레버(8)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3)의 결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하 이들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커넥터(1)에는 가이드보스(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보스(2)는 슬라이더(5)의 가이드채널(5')에 삽입되어 가이드채널(5')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커넥터(1)를 제2커넥터(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넥터(3)에는 이동채널(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채널(3')에는 슬라이더(5)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5)는 상기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3)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더(5)에는 가이드채널(5')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1)의 가이드보스(2)를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5')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5)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보스(2)는 상기 제2커넥터(3)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제2커넥터(3)에는 레버(8)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레버(8)는 회전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5)를 직선운동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8)의 가동돌기(9)가 상기 슬라이더(5)의 가동슬롯(6)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버(8)가 회전되면(화살표 ①방향) 상기 가동돌기(9)가 상기 가동슬롯(6)의 내면을 눌러 슬라이더(5)는 이동채널(3')을 따라 직선운동(화살표 ②방향)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확대도 부분에는 상기 레버(8)의 가동돌기(9)와 상기 슬라이더(5)의 가동슬롯(6)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레버(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동돌기(9)는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력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돌기(9)의 회전력을 분석해보면, 상기 회전력이 작용되는 방향이 대략 화살표 A에 대응되는 대각선 방향의 힘이라 할 때, x축 방향의 힘과 y축 방향의 힘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직교한 두 힘 중에서 상기 가동슬롯(6)을 실질적으로 눌러주는 힘은 y 축 방향의 힘뿐이다. 왜냐하면 상기 가동돌기(9)의 회전력 중에서 x축 방향의 힘은 상기 가동슬롯(6)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이므로 가동슬롯(6)의 내면을 눌러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8)를 회전시키더라도, 그 힘 중에서 일부(y 축 방향)힘만이 상기 슬라이더(5)를 직선운동시키는데 사용되므로, 상기 레버(8)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모두 사용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레버(8)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는 레버(8)타입 커넥터의 조립작업성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의 회전력이 레버에 연결된 슬라이더에 최대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레버의 회전을 통해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이동채널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이동채널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대커넥터를 상기 커넥터하우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측에는 연동슬롯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연동슬롯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직선운동시키는 가동돌기가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가동돌기의 회전궤적의 접선방향은, 상기 연동슬롯의 내면이 형성하는 곡선 상에서 상기 가동돌기와 연동슬롯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과 항상 직교를 이룬다.
상기 연동슬롯은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이 시작되는 초기에 상기 가동돌기가 안착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레버가 회전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진 뒤에 상기 가동돌기가 안착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이동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동돌기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동슬롯은 원호형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의 내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이동채널에 삽입되어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일단에 상기 이동채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가동돌기가 삽입되는 연동슬롯이 형성되는 연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에는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채널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의 가이드보스를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에 구비된 가동돌기의 회전궤적의 접선방향이 가동돌기와 연동슬롯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과 항상 직교를 이루므로,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슬라이더에 최대한으로 전달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레버타입 커넥터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내부구조는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상대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하면, 상대커넥터(10)의 골격은 상대하우징(11)이 형성하고, 상기 상대하우징(1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상대하우징(11)의 외면에는 가이드보스(15)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보스(15)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더(30)의 가이드채널(35)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상대커넥터(10)가 레버타입 커넥터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도면부호 C는 상대커넥터(10)를 감싸는 커넥터커버이고, 도면부호 S는 방수시일이다.
다음으로, 레버타입 커넥터(이하 "커넥터"라 한다)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는 크게 커넥터하우징(20)과, 슬라이더(30), 그리고 그로멧(G)과 레버(40)로 구성되는데, 이하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골격은 하우징몸체(21)가 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수납된다.
상기 하우징몸체(21)의 내부에는 이동채널(2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22)은 슬라이더(30),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더(30)의 이동바(31)가 이동되는 일종의 통로로서, 양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채널(22)은 하우징몸체(21)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더(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이동채널(22)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상기 상대커넥터(1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20) 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이동바(31)와 상기 이동바(31)의 선단에 형성되는 연동편(36)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바(31)는 상기 이동채널(22) 내부을 따라 이동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바(31)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대커넥터(10) 방향으로 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채널(3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5)은 상기 상대커넥터(10)의 가이드보스(15)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채널(35)의 입구(35')를 통해 삽입된 가이드보스(15)는 상기 슬라이더(3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채널(35)의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상대커넥터(1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20) 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상기 이동바(31)의 일단에는 연동편(36)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편(36)은 상기 이동채널(22)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40)의 가동돌기(47)와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편(36)에는 연동슬롯(37)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슬롯(37)에 레버(40)의 가동돌기(47)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슬롯(3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그 내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슬롯(37)은 상기 커넥터하우징(20)과 상대커넥터(10)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커넥터(10)와의 결 합이 시작되는 초기에 레버(40)의 가동돌기(47)가 안착되는 일단으로부터 레버(40)가 회전되어 상기 상대커넥터(1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 뒤에 가동돌기(47)가 안착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이동채널(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5(a)를 참조하면, 레버(40)의 회전축(P)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가동돌기(47)의 회전궤적(l)의 접선방향(A)이, 상기 연동슬롯(37)의 내면이 형성하는 곡선 상에서 가동돌기(47)와 연동슬롯(37)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B)과 직교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레버(40)의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상기 연동슬롯(37)의 내면에 고스란히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는 레버(40)가 결합된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30)를 직선왕복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40)의 골격은 레버몸체(41)가 형성하고, 상기 레버몸체(41)에는 회전축(P)이 구비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도 4참조) 그리고, 상기 레버몸체(41)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회전력을 부가하게 되는 누름부(42)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몸체(41)의 일측에는 가동돌기(47)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돌기(47)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연동슬롯(37)에 삽입되어 레버(40)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더(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동돌기(47)와 연동슬롯(37)에 의해 상기 레버(40)의 회전운동이 슬라이더(3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돌기(4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동돌기(47)의 외면이 곡면형상으로 되는 상기 연동슬롯(37)의 내면과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레버 및 이에 연동되는 슬라이더의 순차적인 동작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대커넥터(10)와 레버타입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상대커넥터(10)를 커넥터하우징(20)의 일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상대커넥터(10)의 가이드보스(15)가 상기 커넥터하우징(20)에 삽입된 슬라이더(30)의 가이드채널(35)을 향하도록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보스(15)가 상기 가이드채널(35)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상대커넥터(10)를 밀어 넣으면, 상기 가이드보스(15)는 상기 가이드채널(35)의 입구(35')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40)를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40)는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더(30)를 작동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40)의 가동돌기(47)가 상기 회전축(P)을 중심으로 회전궤적(도 5의 'l'참조)을 그리면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연동슬롯(37)의 내면을 밀어 슬라이 더(3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20)의 이동채널(2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30)가 상기 이동채널(22)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10)의 가이드보스(15)는 상기 슬라이더(30)의 가이드채널(35)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대커넥터(1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0) 방향으로 당겨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와 이에 연동되는 슬라이더의 요구 구성의 순차적인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레버(40)가 회전되면 상기 레버(40)의 가동돌기(47)는 회전축(P)을 중심으로 회전궤적(l)을 그리면서 회전되고, 그 과정에서 슬라이더(30)의 연동슬롯(37) 내면을 밀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돌기(47)의 회전궤적(l)의 접선방향(A)은 상기 가동돌기(47)와 연동슬롯(37)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B),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슬롯(37)의 내면의 접평면방향(B)과 직교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돌기(47)의 회전력은 계속하여 상기 연동슬롯(37)의 내면에 최대한으로 전달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레버(40)의 회전력이 낭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보듯이, 상기 가동돌기(47)의 회전궤적(l)의 접선방향(A)은, 상기 가동돌기(47)가 회전되는 모든 경로에서 상기 가동돌기(47)와 연동슬롯(37)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B)과 항상 직교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40)의 회전력은 계속하여 상기 연동슬롯(37)의 내면에 정확하게 전달 될 수 있고, 이는 작업자가 상기 레버(40)에 가하게 되는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레버 및 이에 연동되는 슬라이더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와 이에 연동되는 슬라이더의 요부구성의 순차적인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대커넥터 15: 가이드보스
20: 커넥터하우징 21: 하우징몸체
22: 이동채널 30: 슬라이더
31: 이동바 35: 가이드채널
36: 연동편 37: 연동슬롯
40: 레버 41: 레버몸체
42: 누름부 47: 가동돌기
P: 회전축

Claims (6)

  1. 레버의 회전을 통해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이동채널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이동채널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대커넥터를 상기 커넥터하우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측에는 연동슬롯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연동슬롯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직선운동시키는 가동돌기가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동슬롯은 상기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진 뒤에 상기 가동돌기가 안착되는 그 일단으로 갈수록 상기 이동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가동돌기의 회전궤적의 접선방향은, 상기 가동돌기와 연동슬롯의 접점에 대한 접선방향과 항상 직교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돌기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동슬롯은 원호형상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슬롯의 내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이동채널에 삽입되어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일단에 상기 이동채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가동돌기가 삽입되는 연동슬롯이 형성되는 연동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에는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채널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의 가이드보스를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이동채널은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이동채널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KR1020080129557A 2008-12-18 2008-12-18 레버타입커넥터 KR100995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57A KR100995282B1 (ko) 2008-12-18 2008-12-18 레버타입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57A KR100995282B1 (ko) 2008-12-18 2008-12-18 레버타입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30A true KR20100070830A (ko) 2010-06-28
KR100995282B1 KR100995282B1 (ko) 2010-11-19

Family

ID=4236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57A KR100995282B1 (ko) 2008-12-18 2008-12-18 레버타입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879A (zh) * 2014-09-22 2016-03-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连接器和连接器系统及操作连接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697B2 (en) 2001-10-29 2003-12-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8879A (zh) * 2014-09-22 2016-03-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连接器和连接器系统及操作连接器的方法
DE102014223409B4 (de) * 2014-09-22 2020-07-23 Hyundai Motor Company Stecker, Verfahren zum Betätigen des Steckers und Steckersystem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282B1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312Y1 (ko) 조작레버가 포함된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US20110271507A1 (en) Connector
JP5945964B2 (ja) コネクタ
US10381777B2 (en) Lever-type connector
KR10130494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US20090163059A1 (en) Connector and to a connecting method
KR100995282B1 (ko) 레버타입커넥터
JP4860015B1 (ja) 開閉器
EP1875558B1 (e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KR20110070194A (ko) 레버타입 커넥터
EP2840665A1 (en) Arrangement for facilitated connection or separation of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KR100965507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200467488Y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09277588A (ja) コネクタ
KR20100070844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30003377U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80022006A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090073861A (ko)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73662Y1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102520914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20018414A (ko)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0472716Y1 (ko) 레버 타입 커넥터조립체
US20220368073A1 (en) Lever-type connector
KR100995271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0927748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