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162A -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162A
KR20100070162A KR1020080128776A KR20080128776A KR20100070162A KR 20100070162 A KR20100070162 A KR 20100070162A KR 1020080128776 A KR1020080128776 A KR 1020080128776A KR 20080128776 A KR20080128776 A KR 20080128776A KR 20100070162 A KR20100070162 A KR 2010007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acceleration
valu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162A/ko
Publication of KR2010007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부(10)와,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및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속도변화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20), 상기 판단부(20)로부터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하는 제어부(30),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경미한 차량사고가 발생하고 탑승자가 의식불명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차량 사고발생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 사고발생, 가속도센서, 속도변화

Description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ticing an accident happen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는 블랙박스가 탑재되어 운항 중의 비행상황과 기체상태 등을 기록함으로써 원인불명의 사고를 해명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 최근, 상기 블랙박스를 차량에도 적용하여 사고발생시의 정황과 과실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 중에 있다.
특히, 차량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고 당시의 외부상황을 영상정보로 기록함으로써, 각종 주행정보와 사고 전후의 외부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사고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차량 사고정보 기록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주행정보와 사고 전후의 외부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사고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차량 사고 정보 기록장치에는 카메라가 본체부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일체형 차량 사고정보 기록장치와, 카메라가 본체부 외부에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차량 사고정보 기록장치가 있다.
상기 일체형 차량 사고정보 기록장치는 본체부 전체가 차량의 전면부에 고정 되어 부착되므로 상기 본체부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에 대한 보정이 초기 설치시에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차량 사고정보 기록장치는 본체부와 복수의 카메라가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의 사이즈가 작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행 중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차량의 속도 및 시간정보와 함께 기록재생부에 기록하고, 차량의 충돌사고를 센서로 감지하여 기록을 멈추게 하는 동시에 사고 시점부터 수분 전에 입력된 정보를 보존함으로써 기록된 정보가 사고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사고정보 기록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하고, 사고발생시 사고의 위험도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여 통지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부와, 상기 가속도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 및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속도변화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과 상기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에어백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사고발생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사고발생 취소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로 취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가속도 및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속도변화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설정된 사고레벨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검출된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d1)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d2) 상기 설정된 사고레벨과 상기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에어백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에어백의 전개가 감지되면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사고발생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은 (e)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f) 사고발생 취소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로 취소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정도의 경미한 차량사고가 발생하고 탑승자가 의식불명 상태인 경우에,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차량 사고발생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사고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가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단계부터 낮은 단계까지의 사고레벨을 설정하여 통지함으로써 사 고의 위험도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응급상황 발생시 차량 사고발생에 대한 메시지와 함께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가속도센서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속도센서부(10)는 3차원 공간의 모든 방향에 대하여 가속도를 측정한다. 즉, 상기 가속도센서부(10)는 상호 직교하는 3축의 방향, 예컨대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센서부(10)는 압저항형, 압전형, 터널링형, 용량형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을 이용하면 속도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X축, Y축, Z축 방향의 가속도를 각각 Ax, Ay, Az라 하면, 상기 Ax, Ay, Az를 각각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구한 ΔVx, ΔVy, ΔVz의 벡터 합으로 상기 속도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 기 ΔVx, ΔVy, ΔVz는 상기 가속도값이 다시 0G로 돌아오는 데까지 소요된 시간 동안 상기 Ax, Ay, Az를 적분하여 산출된다. 예컨대, 상기 적분시간, 즉 상기 가속도값이 0G로 복귀하는 시간은 0.17ms(평균충돌지속시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과 상기 가속도값에 의해 산출된 속도변화값을 이용하여 판단부(20)는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지 여부와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면서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정상적인 주행상황에서 급가속 또는 급감속에 의해 가속도의 절대값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미한 충돌, 험준한 도로의 주행 또는 차량 도어의 개폐 등에 따른 차량 사고발생 오인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는 시간에 따른 차량 가속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값은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의 절대값 중 최대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상기 기설정값은 계산을 통한 해석적 방법으로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 문에 반복적인 실험에 의한 적절한 값으로 설정(NHTSA;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실차 충돌 실험 자료)한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값은 측정범위가 ±50G인 가속도센서에 의해 가속도값이 검출되는 경우, 10G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가속도의 절대값이 10G 이상인 경우,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의 절대값이 10G 미만인 경우, 상기 판단부(20)는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센서부(10)는 0-Offset Drif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속도센서부(10)의 초기 출력값을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0-Offset Drift가 큰 경우, 실제 가속도는 상기 기설정값을 넘어섰는데도 센서 출력이 포화되어 측정 가속도가 상기 기설정값을 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X축, Y축, Z축 어느 축에 대해서도 포화영역을 넘어서면 측정 가속도가 상기 기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은 시간에 따른 속도변화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판단부(20)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임계값은 상기 산출된 속도변화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값이다.
상기 임계값은 상기 기설정값과 마찬가지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다. 예컨대, 상기 임계값은 10km/h로 설정되어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속도변화값이 10km/h 이상인 경우 상기 판단부(20)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가속도센서부(10)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이지만, 상기 속도변화값이 10km/h 미만인 경우, 상기 판단부(20)는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부(20)에 의해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는 제어부(3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판단부(20)로부터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충격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가속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속도변화값과 탑승자를 포함한 차량의 중력의 곱으로써 충격량을 산출한다. 탑승자를 포함한 차량의 중력은 상기 충격량을 산출하는 시점에 측정하거나 또는 차량의 중력에 일반 탑승자의 탑승무게를 합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시간에 따른 충격량의 변화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속도변화값과 상기 탑승자를 포함한 차량의 중력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충격량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사고레벨을 설정한다.
도 5는 속도변화 및 충격량에 따른 사고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속도변화 및 충격량에 따른 사고자 발생 비율을 이용하여 사고의 심각성 정도를 5단계로 구분하여 사고레벨을 설정한다. 즉, 속도변화에 따른 사고자 발생비율을 이용하여 AIS(Abbreviated Injury Scale) 단계를 5단계로 구분한다.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은 송신부(40)에 의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송신부(40)는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사고발생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비상연락망에 따라 사고발생 메시지를 발송한다. 이때, 상기 사고발생 메시지에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사고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설정된 사고레벨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에 따르면, 차량 사고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가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단계부터 낮은 단계까지의 사고레벨을 설정하여 통지함으로써 사고의 위험도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고발생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상기 사고발생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위치정보생성부(50)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과 상기 위치정보생성부(50)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에 따르면, 응급상황 발생시 사고발생 메시지와 함께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60)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가 감지되면,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제어부(30)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한다. 예컨대, 가속도의 측정범위가 ±50G인 가속도센서에 의해 20 내지 30G의 가속도가 감지되면 운전자 및 탑승자의 보호를 위해 에어백이 전개되며, 이때 상기 감지부(60)는 에어백의 전개를 감지하고 상기 판단부(20)는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30)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70)는 사고발생 메시지 및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사고발생 메시지는 사고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입력에 의해 상기 서버에 직접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상기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는 사고상황의 종료를 알리거나 또는 착오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에 직접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상기 입력부(70)를 통해 상기 사고발생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제어부(30)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70)를 통해 상기 사고발생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판단부(20)는 상기 제어부(30)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또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사고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직접 상기 입력부(70)를 통해 사고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고발생 상황이 종료되거나 또는 착오로 인해 사고발생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도 상기 입력부(70)를 통해 사고발생 취소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취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은 에어백이 전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이때,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에는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보호를 위해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신속하게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 1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이때,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2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에는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 에 의해 직접 사고발생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제 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한다(S120). 상기 차량의 가속도 검출은 상호 직교하는 3축의 방향, 예컨대 X축, Y축,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각 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가속도의 벡터 합으로써 차량의 가속도값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속도변화값을 산출한다(S130). 이때, 상기 속도변화값은 제 120 단계에서 검출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20 단계에서 검출된 X축, Y축, Z축 방향의 가속도를 각각 Ax, Ay, Az라 할 때, 상기 Ax, Ay, Az를 각각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구한 ΔVx, ΔVy, ΔVz의 벡터 합으로 상기 속도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ΔVx, ΔVy, ΔVz는 상기 가속도값이 다시 0G로 돌아오는 데까지 소요된 시간 동안 상기 Ax, Ay, Az를 적분하여 산출된다. 예컨대, 상기 적분시간, 즉 상기 가속도값이 0G로 복귀하는 시간은 0.17ms(평균충돌지속시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고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이때,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고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 15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미만이거나 또는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 100 단계를 재 수행한다. 이는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면서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가속도 및 속도변화값이 각각 기설정값과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사고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은 정상적인 주행상황에서 급가속 또는 급감속에 의해 가속도의 절대값이 상기 기설정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미한 충돌, 험준한 도로의 주행 또는 차량 도어의 개폐 등에 따른 차량 사고발생 오인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설정값 및 임계값은 계산을 통한 해석적 방법으로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실험에 의한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제 1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 제 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 그리고 제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가속도의 절대값 및 속도변화값이 각각 기설정값과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한다(S150). 상기 충격량의 산출과 사고레벨의 설정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S160). 이는 차량 사고 등의 응급상황 발생시 사고발생 메시지와 함께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실시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 150 단계에서 설정한 사고레벨과 제 160 단계에서 생성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170).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에 따르면, 차량 사고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가속 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단계부터 낮은 단계까지의 사고레벨을 설정하여 통지함으로써 사고의 위험도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사고발생 메시지와 함께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이때,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에는 제 19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사고발생 최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80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는 사고상황의 종료를 알리거나 또는 착오로 인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입력에 의해 직접 상기 서버에 전송되는 메시지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제 18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S190). 따라서 사용자는 사고발생 상황이 종료되거나 또는 착오로 인해 사고발생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도 사고발생 취소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취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시간에 따른 차량 가속도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시간에 따른 속도변화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시간에 따른 충격량의 변화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속도변화 및 충격량에 따른 사고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속도센서부 20: 판단부
30: 제어부 40: 송신부
50: 위치정보생성부 60: 감지부
70: 입력부

Claims (12)

  1.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부와;
    상기 가속도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가속도값과 상기 가속도값에 의해 산출된 속도변화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로부터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사고레벨과 상기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에어백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는,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사고발생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에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사고발생 취소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취소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7. (a)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검출된 가속도값과 상기 가속도값에 의해 산출된 속도변화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사고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충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에 따라 사고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설정된 사고레벨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검출된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속도변화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d2) 상기 설정된 사고레벨과 상기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에어백 전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에어백의 전개가 감지되면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고발생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는,
    사고발생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사고발생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은,
    (e) 사고발생 취소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f) 사고발생 취소에 대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취소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사고발생 통지방법.
KR1020080128776A 2008-12-17 2008-12-17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KR20100070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776A KR20100070162A (ko) 2008-12-17 2008-12-17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776A KR20100070162A (ko) 2008-12-17 2008-12-17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162A true KR20100070162A (ko) 2010-06-25

Family

ID=4236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776A KR20100070162A (ko) 2008-12-17 2008-12-17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16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817A (ko) * 2012-11-01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5980B1 (ko) * 2012-12-28 2014-05-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택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KR20150137555A (ko) * 2014-05-30 201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677035B1 (ko) * 2015-09-17 2016-11-17 권수한 이동형 데이터 수집장치
KR20170018703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 장치, 보행자 보호 방법 및 보행자 보호 차량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80012207A (ko) * 2016-07-26 2018-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80012208A (ko) * 2016-07-26 2018-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69512B1 (ko) * 2017-03-16 2018-07-20 콘텔라 주식회사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운행 중 차량사고 알림 기능을 구비한 서비스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115444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817A (ko) * 2012-11-01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5980B1 (ko) * 2012-12-28 2014-05-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택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KR20150137555A (ko) * 2014-05-30 201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70018703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 장치, 보행자 보호 방법 및 보행자 보호 차량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677035B1 (ko) * 2015-09-17 2016-11-17 권수한 이동형 데이터 수집장치
KR20180012207A (ko) * 2016-07-26 2018-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80012208A (ko) * 2016-07-26 2018-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고 발생 통보를 위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69512B1 (ko) * 2017-03-16 2018-07-20 콘텔라 주식회사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운행 중 차량사고 알림 기능을 구비한 서비스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115444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0162A (ko)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US60120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 crash and reacting thereto
US20160096499A1 (en) Passenger state estimat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US20140180530A1 (en) System for detecting run over accident
CN111081051A (zh) 车辆事故处理方法、装置、事故监测设备、车载终端和存储介质
KR20170000778A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JP2007334574A (ja) 緊急通報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ならびに緊急車両案内システム
WO2020197807A1 (en) Airbag electronic controller unit
GB2497647A (en) Estimating real-time crash parameters of a vehicle
KR20150121529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충격 감지에 따른 이벤트 영상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72261B1 (ko)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안전 기능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의 생성 방법
JP2015207049A (ja) 車両事故状況予測装置及び車両事故状況予測システム、車両事故通報装置
US7636625B2 (en) Device for classifying at least one object with the aid of an environmental sensor system
CN110139780B (zh) 使用低计算开销检测车辆的轻度撞击
CN107533133A (zh) 用于监视车辆前方的区域的方法和设备
CN112193196A (zh) 车辆
JPH07251702A (ja) 車両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の作動方法
Verma et al. A study of US crash statistics from automated crash notification data
JP2017010341A (ja) 事故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制御装置
US74036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n object or a person in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KR20140048727A (ko) 차량 사고 유형별 대응 시스템
CN110290981A (zh) 用于以共同系统时间来触发人员保护装置的方法和装置
KR20050005845A (ko) 차량의 사고 판단장치 및 방법
KR102636725B1 (ko) 비상 대응 단말의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실험 시스템
JP2017045399A (ja) 車両事故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