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444A -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444A
KR20180115444A KR1020170047770A KR20170047770A KR20180115444A KR 20180115444 A KR20180115444 A KR 20180115444A KR 1020170047770 A KR1020170047770 A KR 1020170047770A KR 20170047770 A KR20170047770 A KR 20170047770A KR 20180115444 A KR20180115444 A KR 2018011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distance
sen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239B1 (ko
Inventor
이현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제1 차량이, (1) 제1 수신 센서 및 제2 수신 센서가, 제1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제2 차량의 송신 센서로부터 신호의 도달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도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3) 제2 차량과 충돌할 때, 에어백을 전개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의 충돌 전의 상기 (2) 단계에서의 저장된 거리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선출하는 단계; (5) 상기 (4)단계에서 선출된 거리를 이용하여 충돌 각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6)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충돌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차량의 차체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7) 상기 충돌 각도, 충돌 부위, 충돌 속도 및 상기 차체 정보로부터 산출된 충격량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PSAP 서버가, (8) 산출된 충돌 상해 점수에 따라 응급 출동의 규모 및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eCall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Call(Emergency Call System)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Call 시스템은 사고 발생 시 사고 접수 센터로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 후 사고자와 센서 운영자 사이에 음성 채널이 연결되어 사고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eCall 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 시 차량 위치, 속도, 방향 등의 차량 정보를 주변의 PSAP(Public Answering Point)에 보내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2015년부터 유럽과 러시아에서 법규화 되었고, 각 OEM 사들의 개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다.
eCall 시스템은 직접 단말을 담당하는 IVS(In-Vehicle System), 중간 연결을 담당하는 MNO(Mobile Network Operator), 말단의 정보를 받고 처리하는 PSAP로 구성된다.
IVS에서 담당하는 핵심 기능은 MSD(Minimum Set of Data)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것에 있다. 사고가 발생할 때, IVS는 차량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140 Bytes의 MSD 메시지를 차량에서 생성하여 Modem을 통하여 PSAP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사고 발생 시 차량 ECU에서 AIR 전개 신호가 eCall 유닛으로 입력될 경우, eCall 기능이 활성되는데, 사고 조건에 따라 AirBag 미전개로 인하여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eCall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심각성 수준 및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판단하여 응급 구조 파견 시 우선순위 또는 파견 규모를 결정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제1 차량이,(1) 제1 수신 센서 및 제2 수신 센서가, 제1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제2 차량의 송신 센서로부터 신호의 도달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도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3) 제2 차량과 충돌할 때, 에어백을 전개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의 충돌 전의 상기 (2) 단계에서의 저장된 거리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선출하는 단계; (5) 상기 (4)단계에서 선출된 거리를 이용하여 충돌 각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6)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충돌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차량의 차체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7) 상기 충돌 각도, 충돌 부위, 충돌 속도 및 상기 차체 정보로부터 산출된 충격량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충돌 상해 점수를 PSA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상기 (1) 단계의 일정 거리는 10 m일 수 있다.
상기 충돌 각도는,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의 차를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제2 수신 센서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에 90을 곱한 값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충돌 속도는,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1 속도와,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2 속도의 평균값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충돌 부위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의 초기 위치와, 상기 충돌 속도와, 상기 충돌 각도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충돌 부위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및 오른 뒷좌석의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충돌 상해 점수에 따라 PSAP 서버가, 응급 출동의 규모 및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eCall 시스템은, 제1 차량과, 제2 차량과, PSAP 서버와, 응급 구조 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eCall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은 송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은 제1 수신 센서 및 제2 수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차량과의 거리, 충돌 각도, 충돌 속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충격량을 산출하여, 산출한 충격량을 토대로 계산된 충돌 상해 점수를 상기 PSAP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PSAP 서버는 수신한 충돌 상해 점수를 토대로 계산된 사고 심각성 정도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응급 구조 센터 서버는 수신한 사고 심각성 정도에 따라 응급 구조 우선순위 및 응급 구조 파견 규모를 산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차량은 음성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수신부는 듀얼 마이크를 탑재하고, 상기 듀얼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람의 음성으로부터 남성, 여성, 어린이를 분류하고, 음성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및 오른쪽 뒷좌석에 위치한 사람을 파악하는 것이다.
상기 충돌 각도는,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의 차를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제2 수신 센서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에 90을 곱한 값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충돌 속도는,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1 속도와,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2 속도의 평균값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충돌 부위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의 초기 위치와, 상기 충돌 속도와, 상기 충돌 각도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충돌 부위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및 오른 뒷좌석의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SAP서버는,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충돌 상해 점수에 따라 응급 출동의 규모 및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사고 심각성 정도를 계산하여 상기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발생시 사고의 심각성 및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판단하여 응급 구조 파견 시 우선순위 부여 및 구조단 파견 규모를 예상하여 응급 구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대처를 함으로써 2차 사고 또는 2차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AirBag 신호 외 사고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센싱 신호를 추가하여 사고 발생 감지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분 실시예에 따른 충돌 부위에 따른 좌석별 충격 점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와, 사용자 입력 장치(150)와, 데이터 통신 버스(130)와, 사용자 출력 장치(160)와, 저장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13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180)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130) 및/또는 저장소(140)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 및 상기 저장소(1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120)는 ROM(123) 및 RAM(1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MSD(Minimum set of Data)의 데이트 구조를 나타낸다.
순번 명칭
1 MSD ID
2 Message Identifier
3 Automatic activation
4 VIN
5 연료 종류
6 시간
7 차량 위치
8 차량 방향
9 가까운 차량 위치
10 가까운 차량 위치
11 탑승자 수
12 Optional data
상기 MSD 메시지의 크기는 140 bytes이고, 12번 optional data는 통상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optional data에 탑승자의 상해 정도(%) 정보와 부가 정보를 저장하여, 사고의 경중 및 긴급도를 반영하여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 사고 심각성 수준 및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판단하여 응급 구조 파견 시 우선순위 부여 및 구조단 파견 규모를 판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Call 시스템의 MSD 메시지 구성 중 12번인 optional data에 탑승자의 상해 정도(%) 항목과 그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를 구현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된 2개의 수신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 360도의 충돌 각도를 산출할 수 있고, 추가적인 측정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탑승자의 상해 정도(%) 항목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차량 충돌 시 충돌 각도와 충돌 속도를 측정하고,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을 계산한다. 충돌 정보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에 설치된 2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측정한다. 차량에 장착된 2개의 안테나가 수신부가 되고, 충돌하는 타 차량에 장착된 1개의 송신 센서가 송신부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제1 차량이,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 및 각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1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제2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차량과 충돌할 때, 에어백을 전개하는 단계; 충돌 전 제2 차량과의 거리 및 각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선출하는 단계; 상기 선출된 거리 및 각도를 이용하여 충돌 위치, 충돌 각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돌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차량의 차체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충돌 각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로부터 산출된 충격량과 제2 차량의 차체 정보로부터 피해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피해 지표에 따라 응급 출동의 규모 및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1 차량(본 차량)은 제2 차량(충돌 차량)과 가까워짐에 따라 주기적으로(예컨대, 1초 단위 또는 0.1초 단위) 제2 차량과의 거리 및 각도를 산출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산출된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이용하여, 충돌이 발생할 때의 충돌 각도와 충돌 속도를 산출한다.
예컨대, 충돌 발생하기 10초전의 차량 간의 거리 및 각도와 충돌 발생하기 1초 전의 차량 간의 거리 및 각도를 이용하여 충돌시 충돌 속도, 충돌 부위 및 충돌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충돌 속도, 충돌 부위 및 충돌 각도로부터 충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제1 차량은 수신 센서 A와 수신 센서 B를 포함하고, 제2 차량은 송신 센서 A를 포함한다. 제1 차량과 제2 차량이 같은 차선을 운행 중이고, 중심선이 일치한다면, 송신 센서 A로부터 송출된 신호는 수신 센서 A와 수신 센서 B에 동시에 도달할 것이다.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은 GPS 신호로부터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송신 센서 A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로부터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에 설치된 수신 센서 A와 수신 센서 B 사이의 거리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도 3과 같이, 제1 차량과 제2 차량의 중심선이 어긋나는 경우, 송신 센서 A로부터 송출한 신호는 수신 센서 A와 수신 센서 B에 도달한 시간적 차이가 있을 것이고,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통상 제2 차량이 제1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한 경우에만, 각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차량이 제1 차량으로부터 5m 이내에 있는 경우에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각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제 차량들이 충돌에 이를 확률은 매우 낮지만,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빠른 대처를 위한 발명인 점을 고려하여,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측면에서 각도 정보는 선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1 차량이 제2 차량에 충돌하는 경우, 충돌 위치 정보를 PSAP 서버에 전송하게 되고, PSAP 서버는 충돌 위치 정보 및 충돌 시간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 서버에 전송하게 되고, 응급 구조 센터 서버는 충돌 시간에 충돌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제2 차량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1 차량은 제2 차량으로부터 WAVE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해당 정보를 얻을 수도 있으나, 충돌에 의하여, WAVE 통신 장치가 고장날 위험이 존재하므로, 응급 구조 센터 서버는 제2 차량의 GPS 정보로부터 제2 차량의 차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은, 제1 차량; 제2 차량; PSAP 서버; 응급 구조 센터 서버;를 포함한다.
제1 차량(430)은 제1 수신 센서(433); 제2 수신센서(436); 제어부(439); 전방 에어백 센서(442); 후방 에어백 센서(445); 음성 수신부(448);를 포함하고, 제1 수신 센서(433) 및 제2 수신 센서(436)는 제2 차량(410)의 송신 센서(415)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어부(439)에 전달하고, 제어부(439)는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산출한다. 제어부(439) 전방 에어백 센서(442) 및 후방 에어백 센서(445)로부터 에어백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산출한 거리 및 각도 정보로부터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충돌 위치, 충돌 각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를 산출하여 PSAP 서버로 전송한다.
PSAP 서버(450)는 제어부(439)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해 정도를 판단하고, 사고 수준을 분석하고, 응급 구조 센터 서버(475)로 사고 수준을 전달한다.
제2 차량(410)의 송신 센서(415)는 차량의 중앙부에 장착하여 제1 차량(430)과의 충돌 각도 및 거리 계산에 오차를 최소화한다. 충돌 각도 및 거리 계산은 송신 센서(415)가 차량의 중앙부에 장착된 것을 전제로 산출된다. 송신 센서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신호는 운행 중인 차량 주변의 불특정 다수의 차량에서 수신할 수 있다. 신호의 송신 범위는 제2 차량(410)의 기준으로 반경 100 m 이내의 범위에서 송신 품질을 보장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타임 도메인을 기준으로 송신한다. 예컨대, 신호 송출 기준은 GPS 수신 시각의 기준으로 1초당 1회 송신할 수 있다.
송신하는 신호는 BIN 넘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수신 차량(제1 차량(430))의 2개의 수신 센서에서 수신되는 동일한 BIN 넘버를 포함하는 신호를 취득하여 충돌 각도와 충돌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수신 센서(433) 및 제2 수신센서(436)는 운행하는 차량 주변 100 m 이내의 차량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주변 차량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각 차량별 BIN 넘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2개의 수신 센서 각각 수신되는 불특정 다수의 차량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BIN 넘버를 이용하여 동일한 신호를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수신 센서는 효율성을 위하여 일정 거리 이내의 신호만을 선별할 수 있다. 예컨대, 10 m 이상 떨어진 차량의 신호는 무시하고, 10 m 이내에 존재하는 차량의 신호만을 수신 시간별로 저장하고 충돌 사고 발생 시 충돌 정보를 계산하는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음성 수신부(448)는 듀얼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수신부(448)는 일반 eCall 동작에서는 음성 수신부로서 동작하지만, 차량 운행 초기에는 차량 탑승 인원수와 탑승 인원의 성별, 나이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차량 도어 오픈 신호와 차량 속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도어가 닫힌 후 차량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5km/h 를 초과할 때, 차량 내 탑승 인원 정보를 수집한다. 듀얼 마이크를 이용하는 경우,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오른쪽 뒷좌석 순으로 음성 수신 범위를 구성한다. 일반적인 빔포밍 기술은 탑승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주변 범위를 음성 수신 범위로 지정하여 음성 수신 범위 외에서 수신되는 음성 신호는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 구역별로 음성 수신 범위를 지정하고, 지역별 탑승자의 음성 정보를 비교하여 탑승자의 성별 및 탑승 인원수를 파단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100 hz 내지 150 hz인 경우는 남성, 200 hz 내지 250 hz인 경우는 여성으로 분석하고, 아동은 350 hz 이상의 대역에 대하여 적용한다. 순차적으로 수집된 탑승 인원수 정보는 MSD의 탑승자수 정보에 포함되며, 충돌 시 충돌 부위와 탑승자의 좌석 영향도를 산출하여 탑승자 별 피해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439)는 eCall의 표준에 따른 구성 요소가 되면, eCall 법규 요건을 충족하는 기능과 동작을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추가적인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방 에어백 센서(442)와 후방 에어백 센선(445)는 사고 발생 시 eCall 동작 활성에 이용된다. 충돌 방향과 각도 산출 시 충돌 위치에 따라 충돌 각도를 산출하는 데이터로 이용된다.
제1 차량(주행 중인 차량) 및 제2 차량(충돌 차량)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충돌 각도를 사고 심각성 수준을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한다.
차량에 장착된 2개의 수신 센서를 통하여 주변 차량(제2 차량(410))의 송신 센서(415)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사이의 거리와 각도를 산출한다. 도 3과 같이 차량의 수신 센서는 차량 전방의 좌우측에 2개 장착되며, 좌측 센서를 제1 수신 센서, 우측 센서를 제2 수신 센서라 한다. 제1 수신 센서와 제2 수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d라 하자. 제2 차량(410)의 송신 센서(415)로부터 송출된 신호의 도달 시간을 S1, S2라고 하면, 차량 간의 충돌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송신 센서(415)로부터 제1 수신 센서(433)까지의 거리를 L1, 송신 센서(415)로부터 제2 수신 센서(436)까지의 거리를 L2라 하고, 신호의 송신 속도를 v라 하면 L1, L2는 아래의 수학식 1,2를 따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차량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D=L1-L2라 두자. 도 3을 참고하면, L1>L2이다. 만약 L2-L1=D=d이면 제1 차량이 제2 차량의 좌측에서 수평 충돌한 경우이며, 만약 L2-L1=D=-d이면 제1 차량이 제2 차량의 우측에서 수평 충돌한 경우이다. 즉, L2-L1>0이면, 제1 차량이 수평 방향으로 제2 차량의 좌측에 있고, L2-L1<0이면, 제1 차량이 수평 방향으로 제2 차량의 우측에 있다. 또한 L2-L1=D=0이면 수직 충돌한 경우이다. 상술한 설명을 참고하면, 충돌 각도()는 다음 수식에 의하여 근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충돌 속도(Vs)는 하기 수학식 6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충돌 10초전의 L1, L2를 각각 L1a, L2a라 하고, 충돌 1초전의 L1, L2를 L1b, L2b라 하면, L1의 입장에서 충돌 속도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되고, L2의 입장에서 충돌 속도는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평균하고, 분모를 조정하는 경우 충돌 속도는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MSD(Minimum Set of Data)에 포함되는 충돌 상해 정도를 나타내는 수준을 충돌 상해 점수라 한다. 기본적인 상해 정도는 산출된 충돌 상해 점수로 판단할 수 있고,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오른쪽 뒷좌석에 따른 충돌 상해 점수가 별도로 계산된다. 별도 계산된 충돌 상해 점수는 각 좌석에 대한 피해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충돌 속도, 충돌 부위, 차량 중량 별 충격량, 좌석별 상해 정도를 고려하여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한다.
각 좌석별 충돌 상해 점수(X)는 아래의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pat00007
X: 충돌 상해 점수
A: 충돌 속도 점수
B: 충돌 부위 점수
C: 차량 중량 별 충격랑
D: 좌석별 충격 점수
E: 연쇄 추돌 점수
이때, 계산의 편의를 위하여, A, B, C, D, E는 최소값 및 최대값을 정할 수 있다. 예컨대, A, B, C, D, E의 최소값 및 최대값은 다음 표와 같을 수 있다.
구분 최소값 최대값
A 2 10
B 6 10
C 4 10
D 4 10
E 2 10
예컨대, 표 2에 따르면, X의 최대값은 373.3(=10+10+10+(10*10*10)/3+10)이 되고, X의 최소값은 24.6(=2+6+4+(2*4*4)/3+2)가 된다.
실제 사고 발생시는 피해 정도는 충돌 속도, 충돌 부위 및 충격량을 크게 좌우되는 점을 고려하여 충돌 점수를 산출하는 공식을 만들었다.
구체적으로 차량 중량별 충격량은 다음 표와 같다.
차량 중량별 분류 차량 중량별 충격량
소형 승용차 10
준중형 승용차 8
중형 승용차 6
대형 승용차 4
2톤 이하 트럭 6
2톤 이상 트럭 4
특수차 4
충돌 속도 점수는 다음 표와 같다.
충돌 속도 충돌 속도 점수
30km/h 미만 2
30km/h 이상 60km/h 미만 4
60km/h 이상 90km/h 미만 5
90km/h 이상 120km/h 미만 6
120km/h 이상 10
PSAP 서버(450)에 MSD 신고가 접수된 후 사고 GPS 지점 20m 이내에 추가 신고가 접수되면, 연쇄 추돌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다. 연쇄 추돌 시 1차 추돌 후 추가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고 심각성이 1차 MSD 정보보다 심각할 수 있어 추가 상해 가점을 부여한다. 연쇄 추돌의 신고 차량 수에 따라 추가 가점을 달리 부여한다. 부여 점수는 다음 표와 같다.
연쇄 추돌 차량 수 연쇄 추돌 가점
3대 이하 2
4대 이상 5대 이하 4
6대 이상 7대 이하 6
8대 이상 9대 이하 8
10대 이상 10
도 5는 본 발명의 부분 실시예에 따른 충돌 부위에 따른 좌석별 충격 점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충돌 부위에 따른 좌석별 충격 점수는 다음 표와 같다.
충돌 부위 운전선 조수석 왼쪽 뒷좌석 오른쪽 뒷좌석
A 10 8 4 4
B 8 10 4 4
C 4 4 10 8
D 4 4 8 10
E 10 6 10 6
F 6 10 6 10
G 8 8 4 4
H 4 4 8 8
상술한 방법에 따라 충돌 상해 점수가 산출되면, 사고 규모 및 심각성을 파악할 수 있다. 산출된 충돌 상해 점수를 응급 구조 센터에 전송하여 응급 구조 우선순위 및 파견 규모를 예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은 제1 차량; PSAP 서버; 응급 구조 세터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제1 차량이 제2 차량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거리가 10 m 이하인 경우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 상기 저장된 거리 정보로부터 충돌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전방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 전방 충돌로 가정하고 충돌 각도를 산출하고, 후방 에어백이 전개된 경우, 후방 충돌로 가정하고 충돌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충돌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충돌 부위, 충돌 충격량을 산출하여 충돌 상해 가점을 산출하는 단계; PSAP 서버가, 제1 차량으로부터, MSD 를 수신하는 단계; 연쇄 추돌 여부를 판단하여 연쇄 추돌 가점을 산출하는 단계; 응급 구조 센터 서버가, 충돌 상해 가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사고 심각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컴퓨터 시스템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23: ROM
126: RAM
130: 데이터 통신 버스
140: 저장소
150: 사용자 입력 장치
160: 사용자 출력 장치
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80: 네트워크
410: 제2 차량
415: 송신 센서
430: 제1 차량
433: 제1 수신 센서
436: 제2 수신 센서
439: 제어부
443: 전방 에어백 센서
445: 후방 에어백 센서
448: 음성 수신부
450: PSAP 서버
453: 판단부
456: 분석부
470: 응급 구조 센터
475: 응급 구조 센터 서버

Claims (12)

  1. 제1 차량이,
    (1) 제1 수신 센서 및 제2 수신 센서가, 제1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제2 차량의 송신 센서로부터 신호의 도달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도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3) 제2 차량과 충돌할 때, 에어백을 전개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의 충돌 전의 상기 (2) 단계에서의 저장된 거리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선출하는 단계;
    (5) 상기 (4)단계에서 선출된 거리를 이용하여 충돌 각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6)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충돌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차량의 차체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7) 상기 충돌 각도, 충돌 부위, 충돌 속도 및 상기 차체 정보로부터 산출된 충격량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충돌 상해 점수를 PSA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일정 거리는 10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각도는,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의 차를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제2 수신 센서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에 90을 곱한 값인 것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속도는,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1 속도와,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2 속도의 평균값인 것
    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부위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의 초기 위치와, 상기 충돌 속도와, 상기 충돌 각도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충돌 부위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및 오른 뒷좌석의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하는 것
    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충돌 상해 점수에 따라 PSAP 서버가, 응급 출동의 규모 및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eCall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제1 차량과, 제2 차량과, PSAP 서버와, 응급 구조 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eCall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은 송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은 제1 수신 센서 및 제2 수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차량과의 거리, 충돌 각도, 충돌 속도, 충돌 부위 및 충돌 충격량을 산출하여, 산출한 충격량을 토대로 계산된 충돌 상해 점수를 상기 PSAP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PSAP 서버는 수신한 충돌 상해 점수를 토대로 계산된 사고 심각성 정도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응급 구조 센터 서버는 수신한 사고 심각성 정도에 따라 응급 구조 우선순위 및 응급 구조 파견 규모를 산출하는 것
    인 eCall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은 음성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수신부는 듀얼 마이크를 탑재하고, 상기 듀얼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람의 음성으로부터 남성, 여성, 어린이를 분류하고, 음성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및 오른쪽 뒷좌석에 위치한 사람을 파악하는 것
    인 eCall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각도는,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의 차를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제2 수신 센서 사이의 거리로 나눈 값에 90을 곱한 값인 것인
    인 eCall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속도는,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1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1 속도와,
    일정 시간 간격의 상기 제2 수신 센서와 상기 송신 센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한 제2 속도의 평균값인 것
    인 eCall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부위는,
    상기 제1 차량 및 상기 제2 차량의 초기 위치와, 상기 충돌 속도와, 상기 충돌 각도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충돌 부위에 따라,
    운전석, 조수석, 왼쪽 뒷좌석 및 오른 뒷좌석의 충돌 상해 점수를 산출하는 것
    인 eCall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SAP서버는,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충돌 상해 점수에 따라 응급 출동의 규모 및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사고 심각성 정도를 계산하여 상기 응급 구조 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eCall 시스템
KR1020170047770A 2017-04-13 2017-04-13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31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70A KR102317239B1 (ko) 2017-04-13 2017-04-13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70A KR102317239B1 (ko) 2017-04-13 2017-04-13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44A true KR20180115444A (ko) 2018-10-23
KR102317239B1 KR102317239B1 (ko) 2021-10-26

Family

ID=6410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70A KR102317239B1 (ko) 2017-04-13 2017-04-13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0696A (zh) * 2022-03-11 2022-05-20 中汽研软件测评(天津)有限公司 一种分布式的eCall整车动态测试无线信号发射与监控系统
CN115457792A (zh) * 2021-06-08 2022-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957A (ko) * 2005-10-04 2007-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KR20070105346A (ko) * 2005-01-24 2007-10-30 명 조 다니엘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을 위한 로직
KR20100070162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KR20150090678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
KR20160070617A (ko) * 2014-12-10 201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응급 상황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346A (ko) * 2005-01-24 2007-10-30 명 조 다니엘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을 위한 로직
KR20070037957A (ko) * 2005-10-04 2007-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KR20100070162A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발생 통지장치 및 통지방법
KR20150090678A (ko) * 2014-01-29 2015-08-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
KR20160070617A (ko) * 2014-12-10 201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응급 상황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7792A (zh) * 2021-06-08 2022-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N115457792B (zh) * 2021-06-08 2024-01-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N114520696A (zh) * 2022-03-11 2022-05-20 中汽研软件测评(天津)有限公司 一种分布式的eCall整车动态测试无线信号发射与监控系统
CN114520696B (zh) * 2022-03-11 2024-02-13 中汽研软件测评(天津)有限公司 一种分布式的eCall整车动态测试无线信号发射与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239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8599B2 (en) Device for impact detection in a vehicle
RU2731188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варийного сообщения об аварии в пункт экстренных вызовов
US20110279263A1 (en) Event Detection
JP2016068905A (ja) 乗員状態推定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US20170129435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crash data
US11482108B2 (en) Vehicle with automatic accident report function and server apparatus
WO2007097689A1 (en) A vehicle safety syystem
US20130044006A1 (en) Blind Spot Detection System
JP2015207049A (ja) 車両事故状況予測装置及び車両事故状況予測システム、車両事故通報装置
JP2015110377A (ja) 車両用非常通報装置
KR102317239B1 (ko)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11751038B2 (en) Automatic emergency reporting system for vehicle
KR20170131968A (ko) 에어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00276A (ko)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긴급 구난 장치 및 방법
CN109785951B (zh) 一种多车碰撞中乘员伤情预测及优先救援方法
JPH10104258A (ja) 事故通報システム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US202102016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449833B2 (ja) 車両事故の不整合判断装置
US9242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US20220038873A1 (en) Emergency reporting device for vehicle
JP2008290496A (ja) 運転制御装置
EP3324381A1 (en) In-vehicl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812356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 function
JP4136175B2 (ja) 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