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696A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696A
KR20100069696A KR1020107008687A KR20107008687A KR20100069696A KR 20100069696 A KR20100069696 A KR 20100069696A KR 1020107008687 A KR1020107008687 A KR 1020107008687A KR 20107008687 A KR20107008687 A KR 20107008687A KR 20100069696 A KR20100069696 A KR 2010006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mass
glass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이소자키
고지 사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6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2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C=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Abstract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내지 90질량부와, (B)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40 내지 1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0.05 내지 2.0질량부, (D)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0.03 내지 1.0질량부, (E) 광택 입자 0.05 내지 7.O질량부, 및 (F) 착색제 0.0001 내지 3질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성형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이다. 유리 충전재를 함유하고,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리 충전재를 함유하고, 메탈릭조 외관,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은 투명성 및 기계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전자 분야, 기계 분야, 자동차 분야 등에 있어서의 공업용 투명 재료로서, 또한 렌즈나 광학 디스크 등의 광학용 재료 등으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더욱 높은 기계 강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유리 충전재 등을 첨가하여 강화하고 있다.
이 유리 충전재로서는, 일반적으로 E 유리로 불리고 있는 유리로 구성된 유리 섬유가 사용되고 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나트륨 D선에 있어서의 굴절률(nD, 이하 단순히 굴절률이라고 한다)은 1.580 내지 1.590인 데 반하여 E 유리의 굴절률은 1.555 정도로 약간 작아, 기계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양의 유리 충전재를 첨가하면, 이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E 유리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없고 불투명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메탈릭조 외관이나 은하조(밤하늘에 별이 총총 떠 있는 것과 같이 반짝이는 모양) 외관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특허도 다수 출원되어 있지만, 이들은 투명 수지를 이용한 것이고, 유리 충전재 강화 수지에 관해서는 기술이 없다. 이는 메탈릭조 외관이나 은하조 외관을 얻기 위해 광택 입자를 첨가하고 있지만, 투명 수지가 아닌 경우는 성형품의 표면 근방의 광택 입자밖에 보이지 않아서 메탈릭조 외관이나 은하조 외관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개량에 의한 수지측의 굴절률 저하나, 유리 충전재 조성의 개량에 의한 유리 충전재측의 굴절률 증대 등이 검토되어 있다.
예컨대, (1) 말단 정지제로서, 하이드록시아르알킬 알코올과 락톤의 반응 생성물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과의 굴절률 차이가 0.01 이하인 유리 충전재를 포함하는 조성물(특허문헌 1 참조),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15 이하인 유리 충전재 및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특허문헌 2 참조), (3) 유리 충전재 조성물 중에 ZrO2, TiO2, BaO, ZnO 등을 특정 비율로 함유시켜 굴절률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가깝게 한 유리 조성물(특허문헌 3 참조), (4) 메탈릭조 외관을 갖는 유리 충전재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특허문헌 4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기계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유리 충전재량을 첨가하는 경우, 이 정도의 굴절률 차이로는 불충분하며,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에 이용하는 원료로서도 비싸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상기 (2)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15 이하인 유리 충전재이더라도 투명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내열성이나 기계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면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3)의 유리 조성물에 있어서는, ZrO2, TiO2, BaO, ZnO 등의 각각의 함유량을 적절히 조정하지 않으면 유리가 실투되어 버려, 굴절률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동일하더라도 그것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유리 충전재 자신의 비중도 커지기 때문에, 경량화라는 의미로 유리 충전재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의의가 희미해져 버린다.
나아가, 상기 (4)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난연성에 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아, 난연성을 부여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있는 분야가 한정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공개 평7-1185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16550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5-15563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6-21206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하에서, 유리 충전재를 함유하고, 메탈릭조 외관,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광택 입자, 및 착색제를 각각 소정 비율로 포함하고, 또한 소정의 난연 등급을 갖는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내지 90질량부와, (B)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40 내지 1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0.05 내지 2.0질량부, (D)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0.03 내지 1.0질량부, (E) 광택 입자 0.05 내지 7.0질량부, 및 (F) 착색제 0.0001 내지 3질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상기 (B) 성분인 유리 충전재가 유리 섬유 및/또는 밀드 섬유(milled fiber)인 상기 (1)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상기 (B) 성분인 유리 충전재가 굴절률 1.584 내지 1.586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상기 (E) 성분인 광택 입자가, 마이카, 금속 입자, 금속 황화물 입자,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입자, 및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유리 플레이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6) 금형 온도 120℃ 이상에서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5)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7)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이고, 또한 가시광에 대한 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인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8) UL94에 준거한 난연성 평가법으로 1.5mm V-0인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9)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금형 온도 120℃ 이상에서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충전재를 함유하고,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하, PC 수지로 약기한다) 조성물은, (A) 방향족 PC 수지 60 내지 90질량부와, (B) 상기 방향족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40 내지 1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0.05 내지 2.0질량부, (D)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0.03 내지 1.0질량부, (E) 광택 입자 0.05 내지 7.0질량부, 및 (F) 착색제 0.0001 내지 3질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은 UL94에 준거한 난연성 평가로 1.5mm V-0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A) 성분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2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A) 성분인 PC 수지는 그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2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부터 용액법(계면 중축합법) 또는 용융법(에스터 교환법)에 의해 제조된 것, 즉 말단 정지제의 존재 하에 2가 페놀과 포스젠을 반응시키는 계면 중축합법, 또는 말단 정지제의 존재 하에 2가 페놀과 다이페닐 카보네이트 등을 반응시키는 에스터 교환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2가 페놀로서는 다양한 것을 들 수 있지만,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 A],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3,5-다이메틸페닐)프로페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알케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및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하이드로퀴논, 레졸신 및 카테콜 등을 들 수도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지만, 이들 중에서 비스(하이드록시페닐)알케인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비스페놀 A가 적합하다.
한편, 카보네이트 전구체로서는, 카보닐 할라이드, 카보닐 에스터 또는 할로포메이트 등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포스젠, 2가 페놀의 다이할로포메이트, 다이페닐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및 다이에틸 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한편, 이 PC 수지는 분기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고, 분기제로서는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α,α',α"-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1,3,5-트라이아이소프로필벤젠, 플로로글리신, 트라이멜리트산 및 아이사틴비스(o-크레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PC 수지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Mv)은 통상 10,000 내지 50,000, 바람직하게는 13,000 내지 3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0,000이다.
이 점도 평균 분자량(Mv)은, 우벨로데(Ubbelohde)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0℃에서의 염화 메틸렌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 점도[η]를 구하여, 다음 식으로 산출하는 것이다.
[η]=1.23×10-5Mv0.83
상기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에 있어서의 분자 말단기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말단 정지제인 1가 페놀 유래의 기이어도 좋지만, 탄소수가 10 내지 35인 알킬기를 갖는 1가 페놀 유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말단이 탄소수 10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페놀 유래의 기이면, 얻어지는 난연성 PC 수지 조성물은 양호한 유동성을 갖고, 또한 탄소수 35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페놀 유래의 기이면, 얻어지는 난연성 PC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탄소수 10 내지 35의 알킬기를 갖는 1가 페놀로서는, 예컨대 데실페놀, 운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트라이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펜타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헵타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노나데실페놀, 아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테트라코실페놀, 헥사코실페놀, 옥타코실페놀, 트라이아콘틸페놀, 도트라이아콘틸페놀 및 펜타트라이아콘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페놀의 알킬기는 하이드록실기에 대하여 o-, m- 및 p- 중 어느 위치이어도 좋지만, p- 위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기는 직쇄상, 분기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이 치환기로서는, 적어도 1개가 상기 탄소수 10 내지 35의 알킬기이면 좋고, 다른 4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할로젠 원자 또는 무치환이어도 좋다.
탄소수가 10 내지 35인 알킬기를 갖는 1가 페놀에 의한 말단 밀봉은 편말단 및 양말단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한 말단 변성률은 얻어지는 PC 수지 조성물의 고유동화의 관점에서 전체 말단에 대하여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다른 말단은 하이드록실기 말단, 또는 하기의 다른 말단 정지제를 이용하여 밀봉된 말단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다른 말단 정지제로서는, PC 수지의 제조에서 상용되고 있는 페놀, p-크레졸, p-tert-뷰틸페놀, p-tert-옥틸페놀, p-큐밀페놀, p-노닐페놀, p-tert-아밀페놀, 브로모페놀, 트라이브로모페놀 및 펜타브로모페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 문제로부터 할로젠을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는 상기 PC 수지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테레프탈산 등의 2작용성 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형성 유도체 등의 에스터 전구체의 존재 하에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스터-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공중합체, 또는 그 밖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유리 충전재는, 그의 굴절률과 상기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의 굴절률의 차이가 0.002 이하일 것을 요한다. 이 굴절률 차이가 0.002를 초과하면, PC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성형품의 투명성이 불충분해진다. 상기 굴절률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0.001 이하이며, 특히 유리 충전재의 굴절률과 (A)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방향족 PC 수지의 굴절률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리 충전재를 구성하는 유리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유리 I 및 유리 II를 들 수 있다.
유리 I은 이산화 규소(SiO2) 50 내지 60질량%, 산화 알루미늄(Al2O3) 10 내지 15질량%, 산화 칼슘(CaO) 15 내지 25질량%, 산화 타이타늄(TiO2) 2 내지 10질량%, 산화 붕소(B2O3) 2 내지 8질량%, 산화 마그네슘(MgO) 0 내지 5질량%, 산화 아연(ZnO) 0 내지 5질량%, 산화 바륨(BaO) 0 내지 5질량%, 산화 지르코늄(ZrO2) 0 내지 5질량%, 산화 리튬(Li2O) 0 내지 2질량%, 산화 나트륨(Na2O) 0 내지 2질량% 및 산화 칼륨(K2O) 0 내지 2질량%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산화 리튬(Li2O)과 상기 산화 나트륨(Na2O)과 상기 산화 칼륨(K2O)의 합계가 0 내지 2질량%인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리 II는 이산화 규소(SiO2) 50 내지 60질량%, 산화 알루미늄(Al2O3) 10 내지 15질량%, 산화 칼슘(CaO) 15 내지 25질량%, 산화 타이타늄(TiO2) 2 내지 5질량%, 산화 마그네슘(MgO) 0 내지 5질량%, 산화 아연(ZnO) 0 내지 5질량%, 산화 바륨(BaO) 0 내지 5질량%, 산화 지르코늄(ZrO2) 2 내지 5질량%, 산화 리튬(Li2O) 0 내지 2질량%, 산화 나트륨(Na2O) 0 내지 2질량% 및 산화 칼륨(K2O) 0 내지 2질량%를 함유하고, 산화 붕소(B2O3)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고, 또한 상기 산화 리튬(Li2O)과 상기 산화 나트륨(Na2O)과 상기 산화 칼륨(K2O)의 합계가 0 내지 2질량%인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I 및 II에 있어서, SiO2의 함유량은 유리 충전재의 강도 및 유리 제조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50 내지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l2O3의 함유량은 내수성 등의 화학적 내구성 및 유리 제조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10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은 유리 제조시의 용해성 및 결정화 억제의 관점에서 15 내지 2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I에 있어서는, E 유리와 같이 B2O3를 2 내지 8질량%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TiO2의 함유량은 굴절률의 향상 효과 및 실투 억제 등의 관점에서 2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II에 있어서는, 내산성이나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ECR 유리 조성과 같이 B2O3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TiO2의 함유량은 굴절률 조정의 관점에서 2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ZrO2의 함유량은 굴절률의 증대, 화학적 내구성의 향상 및 유리 제조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2 내지 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I 및 II에 있어서, MgO는 임의 성분이며, 인장 강도 등의 내구성의 향상 및 유리 제조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0 내지 5질량% 정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ZnO 및 BaO는 임의 성분이며, 굴절률의 증대 및 실투 억제의 관점에서 각각 0 내지 5질량% 정도 함유시킬 수 있다.
유리 I에 있어서는, ZrO2는 임의 성분이며, 굴절률의 증대 및 유리 제조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0 내지 5질량% 정도 함유시킬 수 있다.
유리 I 및 II에 있어서, 알칼리 성분인 Li2O, Na2O 및 K2O는 임의 성분이며, 각각 0 내지 2질량% 정도 함유시킬 수 있고, 또한 그들의 합계 함유량은 0 내지 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합계 함유량이 2질량% 이하이면, 내수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 I 및 II는 알칼리 성분이 적기 때문에,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의 분해에 의한 분자량 저하를 억제하고, 성형품의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리 I 및 II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 성분 이외에, 방사성(紡絲性), 내수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예컨대 유리의 굴절률을 높이는 성분으로서 란타늄(La), 이트륨(Y), 가돌리늄(Gd), 비스무트(Bi), 안티몬(Sb), 탄탈럼(Ta), 니오븀(Nb) 또는 텅스텐(W) 등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유리의 황색을 없애는 성분으로서, 코발트(Co), 구리(Cu) 또는 네오디뮴(Nd) 등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유리 I 및 II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 원료에는, 착색을 억제하기 위해, 불순물로서 산화물 기준으로 Fe2O3 함유량이 유리 전체에 대하여 0.01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B) 성분인 유리 충전재는, 상기 유리 조성을 갖는 유리 I 및 II 중에서, 사용하는 (A) 성분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굴절률과의 차이가 0.002 이하인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원하는 형태의 것을 제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유리 충전재의 형태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다양한 형태의 유리 충전재, 예컨대 유리 섬유, 밀드 섬유, 유리 분말, 유리 플레이크, 유리 비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지만,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성형품의 기계 강도, 내충격성, 투명성 및 성형성 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유리 섬유 및/또는 밀드 섬유가 적합하다.
유리 섬유는 종래 공지된 유리 장섬유의 방사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용융로에서 유리 원료를 연속적으로 유리화하여 앞로(forehearth)에 도입하고, 앞로의 밑바닥부에 부싱(bushing)을 부착하여 방사하는 다이렉트 멜트(DM)법, 또는 용융된 유리를 마블(marble), 컬릿(cullet) 또는 막대(rod) 형상으로 가공하고 나서 재용융하여 방사하는 재용융법 등의 각종 방법을 이용하여 유리를 섬유화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직경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3 내지 2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직경이 3㎛ 이상이면, 난반사를 억제하여 성형품의 투명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25㎛ 이하이면, 양호한 강도를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밀드 섬유는 종래 공지된 밀드 섬유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유리 섬유의 스트랜드를 해머 밀이나 볼 밀로 분쇄함으로써 밀드 섬유로 할 수 있다. 밀드 섬유의 섬유 직경 및 애스펙트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섬유 직경은 3 내지 25㎛ 정도, 애스펙트비는 2 내지 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 분말은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다. 예컨대, 용융로에서 유리 원료를 용융하고, 이 융액을 물 중에 투입하여 수쇄(水碎)하거나, 냉각 롤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시트를 분쇄하거나 하여 원하는 입경의 분말로 할 수 있다. 유리 분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내지 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 플레이크는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얻어진다. 예컨대, 용융로에서 유리 원료를 용융하고, 이 융액을 튜브 형상으로 꺼내서 유리의 막 두께를 일정하게 한 후, 롤로 분쇄함으로써 특정 막 두께의 프릿을 얻고, 그 프릿을 분쇄하여 원하는 애스펙트비를 갖는 플레이크로 할 수 있다. 유리 플레이크의 두께 및 애스펙트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두께가 0.1 내지 10㎛ 정도이고 애스펙트비가 5 내지 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 비드는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다. 예컨대, 용융로에서 유리 원료를 용융하고, 이 융액을 버너로 분무하여 원하는 입경의 유리 비드로 할 수 있다. 유리 비드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유리 충전재는, (A) 성분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친화성을 높이고 밀착성을 향상시켜 공극 형성에 의한 성형품의 투명성이나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제로서는, 실레인계 커플링제, 보레인계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또는 타이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방향족 PC 수지와 유리 충전재의 접착성이 양호한 점에서 실레인계 커플링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레인계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에톡시실레인, 바이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레인,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β-(1,1-에폭시사이클로헥실)나이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클로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레인, N-메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바이닐벤질-γ-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트라이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유레이도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4,5-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릴)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헥사메틸다이실라제인,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마이드, N,N-비스(트라이메틸실릴)유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등의 아미노실레인 및 에폭시실레인이다.
이러한 커플링제를 이용하여 상기 유리 충전재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은 통상의 공지된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컨대, 상기 커플링제의 유기 용매 용액 또는 현탁액을 이른바 사이징제(sizing agent)로서 유리 충전재에 도포하는 사이징 처리법, 또는 헨쉘(Henschel) 믹서, 슈퍼 믹서, 레디게(Redige) 믹서, V형 블렌더 등을 이용하는 건식 혼합법, 스프레이법, 인테그럴 블렌드(integral blend)법, 건식 농축법 등 가스 충전재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지만, 사이징 처리법, 건식 혼합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A) 성분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의 함유 비율은 그들의 합계량 100질량부를 기준으로 (A) 성분이 60 내지 90질량부이고, (B) 성분이 40 내지 10질량부일 것을 요한다. (B) 성분의 함유량이 10질량부 미만이면 강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또한 40질량부를 초과하면 비중이 커짐과 동시에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강성, 내충격성 및 비중 등의 관점에서 상기 (A) 성분과 (B) 성분의 함유 비율은 (A) 성분이 70 내지 90질량부이고, (B) 성분이 30 내지 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난연성의 추가적인 향상 등의 목적으로, (C) 성분으로서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이 첨가된다.
상기 (C) 성분인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이하,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는, 예컨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본 구조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반응성 작용기를 나타낸다. 이 반응성 작용기로서는, 예컨대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폴리옥시알킬렌기, 수소기, 하이드록실기, 카복시기, 실란올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에폭시기 및 바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알콕시기, 하이드록실기, 수소기, 에폭시기 및 바이닐기가 바람직하다.
R2는 탄소수 1 내지 12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이 탄화수소기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12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각종 뷰틸기, 각종 펜틸기, 각종 헥실기, 각종 옥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벤질기, 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a 및 b는 0<a≤3, 0<b≤3, 0<a+b≤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수를 나타낸다. R1이 복수 있는 경우, 복수의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고, R2가 복수 있는 경우, 복수의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반응성 작용기를 복수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 및 상이한 반응성 작용기를 복수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본 구조를 갖는 폴리오가노실록세인 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는, 그의 반응성 작용기(R1) 수/탄화수소기(R2) 수의 비가 통상 0.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은 첨가시의 투광성을 유지하기 위해 굴절률이 1.45 내지 1.65, 바람직하게는 1.48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은 액상물, 분말 등이지만 용융 혼련에 있어서 분산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실온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500,000mm2/s 정도인 액상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이 액상이더라도 조성물에 균일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성형시 또는 성형품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것(bleeding)이 적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 (C) 성분인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은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0질량부를 함유시킬 것을 요한다. 상기 (C) 성분의 함유량이 0.05질량부 미만이면 연소시의 용융 적하(dripping) 방지 효과가 불충분하며, 또한 2.0질량부를 초과하면 혼련시에 스크류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공급을 잘 할 수 없고 생산 능력이 저하된다. 용융 적하 방지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상기 (C)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1 내지 1.0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2 내지 0.8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난연성 부여 등의 목적으로 (D) 성분으로서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이 첨가된다.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유기산 또는 유기산 에스터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이 통상 이용된다.
여기서, 유기산 또는 유기산 에스터로서는, 유기 설폰산, 유기 카복실산, 폴리스타이렌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및 세슘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서는,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나트륨, 칼륨 및 세슘의 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그 유기산의 염은 불소, 염소 및 브롬과 같은 할로젠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각종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이나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중의 유기 설폰산으로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케인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Figure pct00002
(식 중, c는 1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리튬, 나트륨, 칼륨 및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또는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을 나타내고, d는 M의 원자가를 나타낸다.)
이들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고 소47-404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해당한다.
화학식 2에 있어서, 퍼플루오로알케인설폰산으로서는, 예컨대 퍼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 퍼플루오로에테인설폰산, 퍼플루오로프로페인설폰산, 퍼플루오로뷰테인설폰산, 퍼플루오로메틸뷰테인설폰산, 퍼플루오로헥세인설폰산, 퍼플루오로헵테인설폰산 및 퍼플루오로옥테인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들의 칼륨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밖에, 알킬설폰산, 벤젠설폰산, 알킬벤젠설폰산, 다이페닐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2,5-다이클로로벤젠설폰산, 2,4,5-트라이클로로벤젠설폰산, 다이페닐설폰-3-설폰산, 다이페닐설폰-3,3'-다이설폰산, 나프탈렌트라이설폰산 및 이들의 불소 치환체, 및 폴리스타이렌설폰산 등의 유기 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설폰산으로서는, 퍼플루오로알케인설폰산 및 다이페닐설폰산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폴리스타이렌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로서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설폰산염기 함유 방향족 바이닐계 수지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X는 설폰산염기를 나타내고, m은 1 내지 5를 나타낸다. Y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은 몰분율을 나타내고, O<n≤1이다.)
여기서, 설폰산염기는 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이며, 금속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루비듐, 세슘,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및 바륨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Y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m은 1 내지 5이고, n은 0<n≤1의 관계이다. 즉, 설폰산염기(X)는 방향환에 대하여 전체 치환된 것이어도 좋고, 부분 치환된 것 또는 비치환된 것을 포함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이 난연성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설폰산염기의 치환 비율은 설폰산염기 함유 방향족 바이닐계 수지의 함유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100% 치환된 것이 이용된다.
한편, 폴리스타이렌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에 있어서, 설폰산염기 함유 방향족 바이닐계 수지는 상기 화학식 3의 설폰산염기 함유 방향족 바이닐계 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타이렌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여기서, 산염기 함유 방향족 바이닐계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a) 상기 설폰산기 등을 갖는 방향족 바이닐계 단량체, 또는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방법, (b) 방향족 바이닐계 중합체, 또는 방향족 바이닐계 단량체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 중합체를 설폰화하고,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 중화하는 방법이 있다.
예컨대, (b)의 방법으로서는, 폴리스타이렌 수지의 1,2-다이클로로에테인 용액에 진한 황산과 무수 아세트산의 혼합액을 가하고 가열하여 수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스타이렌설폰산화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설폰산기와 당몰량의 수산화 칼륨 또는 수산화 나트륨으로 중화함으로써 폴리스타이렌설폰산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설폰산염기 함유 방향족 바이닐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0 정도이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유기 카복실산으로서는, 예컨대 퍼플루오로카복실산, 퍼플루오로메테인카복실산, 퍼플루오로에테인카복실산, 퍼플루오로프로페인카복실산, 퍼플루오로뷰테인카복실산, 퍼플루오로메틸뷰테인카복실산, 퍼플루오로헥세인카복실산, 퍼플루오로헵테인카복실산 및 퍼플루오로옥테인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유기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이 이용된다. 알칼리 금속염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은 상기와 동일하다.
유기 알칼리 금속염 및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에 있어서, 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설폰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폴리스타이렌설폰산 알칼리 금속염 및 폴리스타이렌설폰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은 1종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 (D) 성분인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은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1.0질량부를 함유시킬 것을 요한다. 상기 (D) 성분의 함유량이 0.03질량부 미만이면, 난연성의 발현이 불충분하고, 또한 1.0질량부를 초과하면,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난연성 발현 및 투명성 유지의 관점에서, 상기 (D)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5 내지 0.4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1 내지 0.3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E) 성분인 광택 입자로서, 마이카, 금속 입자, 금속 황화물 입자,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입자, 및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유리 플레이크를 들 수 있다.
금속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니켈, 타이타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분말;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산화 타이타늄으로 피복한 운모 타이타늄, 및 삼염화 비스무트로 피복한 운모와 같은 금속 산화 피막 운모계의 것; 금속 황화물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황화 니켈, 황화 코발트, 황화 망간 등의 금속 황화물 분말;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유리 플레이크에 이용되는 금속으로서는, 금, 은, 백금, 팔라듐, 니켈, 구리, 크로뮴, 주석, 타이타늄, 규소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E) 성분으로서의 광택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10 내지 300㎛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E) 성분인 광택 입자의 배합량은 (A) 및 (B)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7.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부이다. 0.05질량부 미만이면, 표면 외관으로서 메탈릭조의 모양이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7.0질량부를 초과하면, 광택 입자 자신의 표면으로 떠오르는 양이 많아져 외관이 손상됨과 동시에 난연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F) 성분인 착색제로서는, 은폐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 좋고, 예컨대 메틴계 염료, 피라졸론계 염료, 페리논계 염료, 아조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F) 성분인 착색제의 배합량은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3.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질량부이다. 0.0001질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색조가 얻어지지 않고, 3.0질량부를 초과하면, 은폐성이 높아져 메탈릭조 외관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성분, (E) 성분 및 (F)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형광 증백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유리 충전재의 표면 처리를 건식 혼합법으로 행하는 경우) 등을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인계 산화방지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컨대 트라이에틸렌 글리콜-비스[3-(3-tert-뷰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세인다이올-비스[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라이메틸-2,4,6-트리스(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N,N-헥사메틸렌비스(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마이드), 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다이에틸 에스터, 트리스(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벤질)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3,9-비스[1,1-다이메틸-2-[β-(3-tert-뷰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온일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케인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컨대 트라이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ert-뷰틸페닐)포스파이트, 트라이데실 포스파이트, 트라이옥틸 포스파이트, 트라이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다이데실모노페닐 포스파이트, 다이옥틸모노페닐 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모노페닐 포스파이트, 모노뷰틸다이페닐 포스파이트, 모노데실다이페닐 포스파이트, 모노옥틸다이페닐 포스파이트, 비스(2,6-다이-tert-뷰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다이-tert-뷰틸페닐)옥틸 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er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다이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방지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그의 첨가량은 상기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5 내지 1.0질량부 정도이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즈옥사진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3',5'-다이-tert-뷰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tert-뷰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뷰틸)-6-(2H-벤조트라이아졸-2-일)페놀),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다이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er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5-트라이플루오로메틸-2-(2-하이드록시-3-(4-메톡시-α-큐밀)-5-tert-뷰틸페닐)-2H-벤조트라이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이 바람직하다.
트라이아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하이드록시페닐 트라이아진계의 예컨대 상품명 티누빈(TINUVIN) 400(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사제)이 바람직하다.
벤즈옥사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메틸-3,1-벤즈옥사진-4-온, 2-뷰틸-3,1-벤즈옥사진-4-온, 2-페닐-3,1-벤즈옥사진-4-온, 2-(1- 또는 2-나프틸)-3,1-벤즈옥사진-4-온, 2-(4-바이페닐)-3,1-벤즈옥사진-4-온, 2,2'-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4,4'-다이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2,6 또는 1,5-나프탈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1,3,5-트리스(3,1-벤즈옥사진-4-온-2-일)벤젠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2,2'-p-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이 바람직하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2'-카복시벤조페논, 2,4-다이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이 바람직하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그의 첨가량은 상기 (A) 성분과 (B)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5 내지 2.0질량부 정도이다.
이형제로서는,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고급 지방산 에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급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탄소수 10 내지 30의 포화 지방산의 부분 에스터 또는 완전 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포화 지방산의 부분 에스터 또는 완전 에스터로서는,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르산 모노솔비테이트, 베헨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트리톨 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팔미틸 팔미테이트, 뷰틸 스테아레이트, 메틸 라우레이트, 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이형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그의 첨가량은 상기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5.0질량부 정도이다.
대전방지제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14 내지 30의 지방산의 모노글리세라이드,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을, 또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터 블록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형광 증백제로서는, 예컨대 스틸벤계, 벤즈이미다졸계, 나프탈이미드계, 로다민계, 쿠마린계, 옥사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비텍(UVITEX, 상품명, 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사제), OB-1(상품명, 이스트만사제), TBO(상품명, 스미토모정화(주)제), 케이콜(Kcoll, 상품명, 니폰소다(주)제), 카야라이트(Kayalight, 상품명, 니폰카야쿠(주)제), 류코프어 EGM(Leucophor EGM, 상품명, 클라이언트 재팬(주)제)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상기에서 예시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A) 성분인 방향족 PC 수지, (B) 성분인 유리 충전재, (C) 성분인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 (D) 성분인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E) 성분인 광택 입자, (F) 성분인 착색제,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상기 각종 임의 성분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배합 및 혼련은 통상 이용되고 있은 기기, 예컨대 리본 블렌더, 드럼 텀블러 등으로 예비혼합하여, 헨쉘 믹서, 밴버리 믹서,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다축 스크류 압출기 및 코니더 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혼련시의 가열 온도는 통상 24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정된다.
한편, 방향족 PC 수지 이외의 함유 성분은, 미리 상기 방향족 PC 수지의 일부와 용융 혼련한 것, 즉 마스터 배치로서 첨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조제된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은 UL94에 준거한 난연성 평가로 1.5mm V-0이어서, 우수한 난연성을 갖고 있다. 한편, 난연성 평가 시험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은 전술한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때, PC 수지 조성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mm 정도로 하고, 상기 성형품의 용도에 따라서 상기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정된다.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각종 성형 방법, 예컨대 사출 성형법, 사출 압축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진공 성형법 및 발포 성형법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금형 온도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에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출 성형에 있어서의 수지 온도는 통상 240 내지 300℃ 정도,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280℃이다.
금형 온도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에서 사출 성형함으로써, 유리 충전재가 가라앉아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는 등의 장점이 얻어진다. 보다 바람직한 금형 온도는 125℃ 이상 14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0℃이다.
성형 원료인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은 상기 용융 혼련 방법에 의해 펠릿 형상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출 성형 방법으로서는, 외관의 싱크 마크(sink mark) 방지를 위한, 또는 경량화를 위한 가스 주입 성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의 광학 특성은, 가시광에 대한 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2% 이상이며,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통상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학 특성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을 금형 온도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40℃에서 사출 성형하여, 바람직하게는 두께 0.3 내지 10mm의 성형품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PC 수지의 굴절률과 굴절률이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한 유리 충전재를 함유하고, 투명성, 기계 강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난연성이 부여되어 있고,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은 투명성, 난연성, 기계 강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은, 예컨대
(1) 텔레비전, 라디오 카세트,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 오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에어컨, 휴대전화, 디스플레이, 컴퓨터, 레지스터, 전자계산기,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각종 부품, 외판 및 하우징재 등의 전기·전자 기기용 부품,
(2) PDA, 카메라, 슬라이드 프로젝터, 시계, 계측기, 표시 기계 등의 정밀 기계 등의 케이스 및 커버류 등의 정밀 기기용 부품,
(3)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부 가니시, 라디에이터 그릴, 스피커 그릴, 휠 커버, 선루프, 헤드램프 리플렉터, 도어 바이저, 스포일러, 리어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등의 자동차 내장재, 외장품 및 차체 부품 등의 자동차용 부품,
(4) 의자, 테이블, 책상, 블라인드, 조명 커버, 인테리어 기구류 등의 가구용 부품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각 예에서 얻어진 PC 수지 조성물 펠릿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해서 시험편을 성형하여, 여러 특성을 평가하였다.
(1) 기계 특성
펠릿을 100t 사출 성형기[도시바기계(주)제, 기종명 「IS100E」]를 이용하여 금형 온도 130℃, 수지 온도 280℃에서 사출 성형하여 소정 형상의 각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험편에 대하여, 인장 특성(파단 강도, 신도)을 ASTM D638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굴곡 특성(강도, 탄성률)을 ASTM 790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를 ASTM D256에 준거하고, 하중 휨 온도를 ASTM D648에 준거하고, 비중을 ASTM D792에 준거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2) 난연성
펠릿을 45t 사출 성형기[도시바기계(주)제, 기종명 「IS45PV」]를 이용하여 금형 온도 130℃, 수지 온도 280℃에서 사출 성형하여 127×12.7×1.5mm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에 대하여, 난연성을 UL94(Underwriters Laboratories Subject 94)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3) 광학 특성
펠릿을 80t 사출 성형기[(주)고마쓰제작소제, 기종명 「FK80HG」]를 이용하여 금형 온도 130℃, 수지 온도 280℃에서 사출 성형하여 12.7×127×0.4mm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편에 대하여, 380 내지 780nm의 가시광 영역의 전광선 투과율을, 분광광도계[(주)히타치제작소제, 기종명 「U-4100」]를 이용하여 JIS K 7105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60° 경면 광택도는 광택계를 사용하여 JIS K 7105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즉, 경면 광택도는 광택계[니폰덴쇼쿠(주)제, 기종명 「VGS-Σ901」]를 사용하여, JIS K 7105에 따라서, 시료면에 규정된 입사각으로 규정 개구 각의 광속을 입사시키고, 경면 반사 방향으로 반사되는 규정 개구 각의 광속을 수광기로 측정하여, 표준면의 광택도와 표준면으로부터의 경면 반사 광속을 기초로 산출한 것이고, 60° 경면 광택도는 이 때의 입사각을 60± 0.2°로 한 것이다.
또한, PC 수지 조성물 펠릿의 제작에 이용한 각 성분의 종류를 이하에 나타낸다.
(1) PC 수지: 점도 평균 분자량 19000인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이데미쓰고산(주)제, 상품명 「타플론(TARFLON) FN1900A」, 굴절률 1.585]
(2) 굴절률 개량 GF1: 굴절률 1.585인 φ13㎛×3mm의 촙드 스트랜드(chopped strand)로 이루어지는 유리 섬유[아사히 파이버글라스(주)제, 유리 조성: SiO2 57.5질량%, Al2O3 12.0질량%, CaO 21.0질량%, TiO2 5.0질량%, MgO 2.5질량%, ZnO 1.5질량%, Na2O+K2O+Li2O=0.5질량%]
(3) 굴절률 개량 GF2: 굴절률 1.585인 φ13㎛×3mm의 촙드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유리 섬유를 밀링한 밀드 섬유[아사히 파이버글라스(주)제, 유리 조성은 상기 (2)와 동일]
(4) GF1: 굴절률 1.555인 E 유리제의 φ13㎛×3mm의 촙드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유리 섬유[아사히 파이버글라스(주)제, 상품명 「03MA409C」, 유리 조성: SiO2 55.4질량%, Al2O3 14.1질량%, CaO 3.2질량%, B2O3 6.0질량%, MgO 0.4질량%, Na2O+K2O+Li2O=0.7질량%, Fe2O3 0.2질량%, F2 0.6질량%]
(5) GF2: 굴절률 1.579인 ECR 유리제의 φ13㎛×3mm의 촙드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유리 섬유[아사히 파이버글라스(주)제, 유리 조성: SiO2 58.0질량%, Al2O3 11.4질량%, CaO 22.0질량%, TiO2 2.2질량%, MgO 2.7질량%, ZnO 2.7질량%, Na2O+K2O+Li2O=0.8질량%, Fe2O3 0.2질량%]
(6) 안정화제 1: 산화방지제. 옥타데실 3-(3,5-다이-ter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사제(주)제, 상품명 「이르가녹스(Irganox) 1076」]
(7) 안정화제 2: 산화방지제. 트리스(2,4-다이-tert-뷰틸페닐)포스파이트[치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주)제, 상품명 「이르가포스(Irgafos) 168」]
(8) 이형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리켄 비타민(주)제, 상품명 「EW440A」]
(9) 난연제 1: 퍼플루오로뷰테인설폰산 칼륨[다이니폰 잉크화학공업(주)제, 상품명 「메가팍(Megafac) F114」]
(10) 난연제 2: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이며, 또한 설폰화율이 100%인 폴리스타이렌설폰산 나트륨의 농도 30질량%의 수용액[라이온(주)제, 상품명 「레오스타트(LEOSTAT) FRPSS-N430」]
(11) 난연 조제 1: 굴절률이 1.51이며, 작용기로서 바이닐기 및 메톡시기를 갖는 반응성 실리콘 화합물[신에츠화학공업(주)제, 상품명 「KR-219」]
(12) 난연 조제 2: 굴절률이 1.49이며, 작용기로서 바이닐기 및 메톡시기를 갖는 반응성 실리콘 화합물[도레이 다우코닝(주)제, 상품명 「DC3037」]
(13) 난연 조제 3: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아사히가라스(주)제, 상품명 「CD076」]
(14) 광택 입자 1: 산화 타이타늄을 코팅한 유리 플레이크[니폰판유리(주)제, 상품명 「MC1030RS」]
(15) 광택 입자 2: 산화 타이타늄 및 산화 규소를 코팅한 유리 플레이크[MERCK사제, 상품명 「미라발(Miraval) 5411」]
(16) 광택 입자 3: 착색재를 코팅한 알루미늄박[니혼보시츠공업(주)제, 상품명 「아스트로플레이크(Astroflake)」]
(17) 착색제 1: 안트라퀴논계 오렌지 염료[미쓰비시화학(주)제, 상품명 「다이아 레진 오렌지(Dia Resin Orange) HS」]
(18) 착색제 2: 안트라퀴논계 그린 염료[스미토모화학(주)제, 상품명 「스미플라스트 그린(Sumiplast green) G」]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9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2축 압출기[도시바기계(주)제, 기종명 「TEM-35B」]를 이용하여, 280℃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써 각 PC 수지 조성물 펠릿을 제작하였다.
이 각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시험편을 성형하여, 기계 특성, 난연성 및 광학 특성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pct00004
[표 1-2]
Figure pct00005
[표 1-3]
Figure pct00006
표 1로부터,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7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반응성 작용기 함유 실리콘 화합물,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광택 입자 및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메탈릭조 외관을 가진 투명성, 강도 및 내열성을 유지한 채로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및 2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또는 이에 유기 금속염 화합물을 첨가한 조성물에서는, 양호한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 강도 및 내열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충분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으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유기 금속염 화합물,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난연 조제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를 첨가한 조성물에서는, 강도, 내열성 및 난연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양호한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유기 금속염 화합물, 반응성 실리콘,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서는, 광택 입자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도 및 내열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충분한 난연성 및 양호한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유기 금속염 화합물, 반응성 실리콘,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서는, 착색제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도, 내열성 및 충분한 난연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양호한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 및 7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E 유리(굴절률 1.555) 또는 ECR 유리(굴절률 1.579)로 이루어지는 유리 충전재, 유기 금속염 화합물,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난연 조제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를 첨가한 조성물에서는, 강도, 내열성 및 난연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양호한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8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유기 금속염 화합물, 반응성 실리콘,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서는, 유기 금속염 화합물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백탁(白濁)되어 버리고, 강도, 내열성 및 난연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양호한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9로부터, 방향족 PC 수지와, 상기 PC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유기 금속염 화합물, 반응성 실리콘, 광택 입자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서는, 유기 금속염 화합물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강도, 내열성 및 메탈릭조 외관(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 또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은 유지할 수 있지만 충분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PC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PC 수지의 굴절률과 굴절률이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한 유리 충전재, 반응성 실리콘,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광택 입자 및 착색제를 함유하고, 투명성, 기계 강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난연성이 부여되어 있고,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PC 수지 성형품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9)

  1.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 내지 90질량부와, (B)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002 이하인 유리 충전재 40 내지 1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0.05 내지 2.0질량부, (D) 유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 및/또는 유기 알칼리 토류 금속염 화합물 0.03 내지 1.0질량부, (E) 광택 입자 0.05 내지 7.0질량부, 및 (F) 착색제 0.0001 내지 3질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인 유리 충전재가 유리 섬유 및/또는 밀드 섬유(milled fiber)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인 유리 충전재가 굴절률 1.584 내지 1.586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성분인 광택 입자가, 마이카, 금속 입자, 금속 황화물 입자,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입자, 및 표면을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피복한 유리 플레이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6. 제 5 항에 있어서,
    금형 온도 120℃ 이상에서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60° 경면 광택도가 80 이상이고, 또한 가시광에 대한 전광선 투과율이 40% 이상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L94에 준거한 난연성 평가법으로 1.5mm V-0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금형 온도 120℃ 이상에서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20107008687A 2007-10-25 2008-10-07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69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8058 2007-10-25
JP2007278058A JP5305632B2 (ja) 2007-10-25 2007-10-25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696A true KR20100069696A (ko) 2010-06-24

Family

ID=4057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687A KR20100069696A (ko) 2007-10-25 2008-10-07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8513B2 (ko)
JP (1) JP5305632B2 (ko)
KR (1) KR20100069696A (ko)
CN (1) CN101835844B (ko)
TW (1) TW200936686A (ko)
WO (1) WO20090542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811A (ko) * 2013-06-25 2015-01-05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란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147776A (ko) * 2014-04-14 2016-12-23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강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또는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2767B2 (ja) * 2007-11-13 2013-11-13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557158B2 (en) 2011-08-23 2013-10-1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olded article having enhanced aesthetic eff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he molded article
WO2014084180A1 (ja) * 2012-11-28 2014-06-0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CN105246974B (zh) * 2013-03-13 2017-11-24 科思创有限公司 具增强的光泽度的聚合物与聚合物共混物
CN103665815A (zh) * 2013-12-19 2014-03-26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低翘曲增强聚碳酸酯合金及其制备方法
WO2015194224A1 (ja) * 2014-06-18 2015-12-23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蓄光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6428161B2 (ja) * 2014-06-18 2018-11-28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蓄光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20200190321A1 (en) * 2017-04-28 2020-06-18 Idemitsu Kosan Co., Ltd Glass filler-containing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638A (ja) 1991-12-06 1993-06-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組成物
JP2825722B2 (ja) * 1993-01-20 1998-11-18 帝人化成株式会社 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746519B2 (ja) * 1993-05-28 1998-05-0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5449710A (en) * 1993-05-18 1995-09-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Flame retardativ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3185905B2 (ja) * 1993-05-18 2001-07-1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726227B2 (ja) 1993-10-26 1998-03-11 帝人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3435273B2 (ja) 1995-12-14 2003-08-11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00006648A1 (en) * 1998-07-27 2000-02-10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rubber-modified graft copolymer resin blend having a metallic appearance
JP3888777B2 (ja) * 1998-08-19 2007-03-07 帝人化成株式会社 透明性及び摺動性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WO2001070882A1 (fr) * 2000-03-22 2001-09-27 Teijin Limited Composition polycarbonate aromatique
JP5054259B2 (ja) * 2001-01-25 2012-10-24 出光興産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4212959B2 (ja) * 2002-08-26 2009-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EP1757422B1 (en) * 2004-05-13 2012-09-26 Asahi Fiber Glass Company, Limited Glass fiber for reinforcing polycarbonat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formed article
JP4777622B2 (ja) * 2004-07-09 2011-09-21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4777621B2 (ja) * 2004-07-09 2011-09-21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US7119140B2 (en) 2004-07-22 2006-10-10 Ronald Basham Transparent films,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666459B2 (ja) * 2004-12-14 2011-04-06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4817680B2 (ja) 2005-03-11 2011-11-16 帝人化成株式会社 ガラス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5013798B2 (ja) * 2005-11-11 2012-08-29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用ガラスフィラー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8013105B2 (en) 2006-10-16 2011-09-06 Idemitsu Kosan Co., Ltd.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carbonate resin molded article
CN101522804B (zh) * 2006-10-16 2011-07-20 出光兴产株式会社 阻燃性聚碳酸酯树脂组合物、聚碳酸酯树脂成形品及其制造方法
JP5463001B2 (ja) * 2007-12-11 2014-04-09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811A (ko) * 2013-06-25 2015-01-05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란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60147776A (ko) * 2014-04-14 2016-12-23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강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또는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38513B2 (en) 2012-12-25
TW200936686A (en) 2009-09-01
CN101835844B (zh) 2013-04-17
JP5305632B2 (ja) 2013-10-02
US20100256279A1 (en) 2010-10-07
JP2009102589A (ja) 2009-05-14
CN101835844A (zh) 2010-09-15
WO2009054257A1 (ja)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5916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5915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3001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300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9696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5305631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289056B2 (ja)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564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1636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5342767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163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