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468A -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468A
KR20100069468A KR1020080128159A KR20080128159A KR20100069468A KR 20100069468 A KR20100069468 A KR 20100069468A KR 1020080128159 A KR1020080128159 A KR 1020080128159A KR 20080128159 A KR20080128159 A KR 20080128159A KR 20100069468 A KR20100069468 A KR 2010006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nsor
door
locking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468A/ko
Publication of KR2010006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걸림부; 및 외부 충격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제1걸림부에 걸리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구비되는 수납물 보관함의 도어가 충격에 의해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차량,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Description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LOCKING DEVCIE OF KEEPER BOX}
본 발명은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사고와 같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제공되는 편의장치로는 담뱃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시가라이터, 재떨이 또는 음료수나 컵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컵 홀더 및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의 승객룸에서 필요한 물품(예를 들면 카세트 테이프, 담배, 손전등, 장갑, 도로안내책자)을 보관할 수 있는 콘솔박스 및 글로브박스와 같은 수납물 보관함이 있다. 이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 따라서 차량에는 여러 가지 편의장치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일측에서 조수석측의 전방에 위치하여 일정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을 커버하도록 도어가 힌지 결합한다. 도어는 록킹장치를 통해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을 개폐하고, 도어에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걸림홈과 결합 및 분리되는 스트라이커를 구비하는 노브부재가 포함된다.
차량이 운행되면서 충돌 등이 발생하면 수납물 보관함의 도어에 구비된 노브부재는 노브부재의 작동방향과 관성 하중의 작용방향이 일치하여 걸림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이에 따라, 도어는 사용자의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쉽게 개방되며, 수납물 보관함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인출되어 조수석측 탑승자에게 상해를 가할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도어측으로 헤드임펙트 시험용 쇠공이 충돌되면 노브가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구비되는 수납물 보관함의 도어가 충격에 의해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걸림부; 및 외부 충격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잠금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어 상 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를 갖는 중량센서; 및 상기 제2걸림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중량센서를 탄성 지지하는 중량센서지지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센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중량센서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중량센서는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중량센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량센서가 설치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에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고정부재의 폭보다 크도록 상기 관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구비되는 수납물 보관함의 도어가 충격에 의해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의 잠금부와 도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의 잠금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100)는, 개구부(111)를 갖는 하우징(110)과,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도어(120)와, 도어(120)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걸림부(121)와, 외부 충격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제1걸림부(121)에 걸리는 잠금부(130)를 구비한다.
인스트루먼트패널(미도시)의 내측에 장착되는 하우징(110)은 내측으로 소품 등을 넣어 놓고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으로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개구된 전방에는 상측이 힌지결합되는 도어(120)가 구비되어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우징(110)을 개방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120)의 하측에는 스트라이커(미도시)를 구비하는 노브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하측에는 스트라이커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이 구비된다. 노브부재의 작동에 의해 스트라이커는 걸림홈에 결합 및 분리되어 도어(120)를 개폐한다.
제1걸림부(121)는 도어(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120)와 별도로 형성되어 도어(120)에 체결될 수도 있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이와 같이, 제1걸림부(121)는 도어(12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로 작동되면, 제1걸림부(121)는 도어(120)와 연동하여 함께 이동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걸림부(121) 또한 도어(120)와 연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외부 충격시, 잠금부(130)는 관성에 의해 제1걸림부(121)측으로 이동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고, 도어(120)의 하측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제1걸림부(121)는 잠금부(130)에 걸리게 된다.
잠금부(130)는,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제1걸림부(121)에 걸리는 제2걸림부(133)를 갖는 중량센서(131)와, 제2걸림부(133)가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중량센서(131)를 탄성 지지하는 중량센서지지부(135)를 구비한다.
중량센서(131)는 외부 충격시 중량센서지지부(135)의 탄성계수를 넘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소정의 무게를 갖는다. 중량센서지지부(135)의 일단은 하우징(110)에 장착되고, 중량센서지지부(135)의 타단은 중량센서(131)의 일단부에 장착된다. 중량센서지지부(135)는 일 예로 스프링이며, 외부충격이 발생시 중량센서(131)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여 중량센서지지부(135)의 길이는 연장되고, 충격이 없어지면 중량센서지지부(135)는 중량센서(131)를 제1위치로 복원시킨다.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10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중량센서(1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1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115)의 안내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예로, 가이드부(115)의 상단에 중량센서(1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된다. 가이드부(115)의 안내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중량센서(131)는 관성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중량센서(13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중량센서(131)는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137)을 구비한다.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100)는 관통홀(137)에 체결되어 중량센서(131)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140)를 더 구비한다. 고정부(140)는,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중량센서(131)가 설치되는 리브(141)와, 리브(141)에 형성되는 체결홀(143)과, 관통홀(137)을 통해 체결홀(14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45)를 더 구비한다.
일 예로, 중량센서(131)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37)이 형성되고, 고정부 재(145)는 볼트이며, 고정부재(145)의 일단부는 중량센서(131)가 이탈되지 않도록 중량센서(131)의 외측에 구비되고, 고정부재(145)의 타단부는 체결홀(143)에 볼트결합된다.
관통홀(137)은, 고정부재(145)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관통부(138)와, 고정부재(145)의 폭보다 크도록 관통부(138)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139)를 구비한다. 단차부(139)에는 고정부재(145)의 일단부가 구비되고, 관통부(138)에는 고정부재(145)의 타단부가 삽입 돌출되어 체결홀(143)에 볼트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어(120)의 상단부는 하우징(110)에 힌지결합되고, 도어(120)의 하단부는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110)을 개폐하며, 도면을 기준으로 도어(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을 개방하면 이와 연동하여 제1걸림부(12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충격이 없으며 하우징(110)이 개폐될 때, 잠금부(130)는 제1위치에 구비되어 제1걸림부(121)를 간섭하지 않으며, 제1걸림부(121)는 도어(120)와 연동하여 회동한다.
충격이 발생되면, 중량센서(131)는 관성이 작용하여 가이드부(115)의 안내면을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고, 도어(120)의 전방으로 헤드임펙트 시험용 쇠공과 같은 물체가 충돌하면 도어(120)가 회전되면서 제1걸림부(121)가 제2걸림부(133)에 걸려 도어(120)의 개방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10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구비되는 도어(120)가 충격에 의해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조수석측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의 잠금부와 도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의 잠금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110...하우징
120...도어 121...제1걸림부
130...잠금부 131...중량센서
133...제2걸림부 135...중량센서지지부
140...고정부 141...리브

Claims (8)

  1.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걸림부; 및
    외부 충격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를 갖는 중량센서; 및
    상기 제2걸림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중량센서를 탄성 지지하는 중량센서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센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센서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중량센서는 이동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중량센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량센서가 설치되는 리브;
    상기 리브에 형성되는 체결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체결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재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고정부재의 폭보다 크도록 상기 관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1020080128159A 2008-12-16 2008-12-16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20100069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159A KR20100069468A (ko) 2008-12-16 2008-12-16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159A KR20100069468A (ko) 2008-12-16 2008-12-16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468A true KR20100069468A (ko) 2010-06-24

Family

ID=4236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159A KR20100069468A (ko) 2008-12-16 2008-12-16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052A (zh) * 2017-09-21 2019-03-29 本田技研工业(中国)投资有限公司 惯性锁定机构及座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052A (zh) * 2017-09-21 2019-03-29 本田技研工业(中国)投资有限公司 惯性锁定机构及座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701B2 (en) Storag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US6213533B1 (en) Device having a pop-out part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KR10083790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JP3314903B2 (ja) 車両用小物収納装置
US7399008B2 (en) Safety locking device for a container in a vehicle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20100069468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100930797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KR102251713B1 (ko) 특히 차량 대시보드용 보관 기기 및 대응하는 차량
KR20100069469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US20220316245A1 (en) Vehicl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lid locking device
KR100683206B1 (ko) 차량의 트레이 래치구조
KR101467368B1 (ko) 자동차 글로브박스용 도어 걸림 장치
KR101234322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안전장치
KR20090131482A (ko) 글로브박스개폐장치
KR20100089571A (ko) 수납물 보관함
KR20100069739A (ko) 수납장치
US20240059226A1 (en) A console box for a vehicle
JP6791071B2 (ja) 車載用収納装置
JP2009154749A (ja) 車両用収納装置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KR100428387B1 (ko) 자동차의 트레이
KR0126081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덮개 고정구조
KR100568744B1 (ko) 콘솔 리드의 스토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