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387B1 - 자동차의 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387B1
KR100428387B1 KR10-2001-0035203A KR20010035203A KR100428387B1 KR 100428387 B1 KR100428387 B1 KR 100428387B1 KR 20010035203 A KR20010035203 A KR 20010035203A KR 100428387 B1 KR100428387 B1 KR 10042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ver
trim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7405A (ko
Inventor
전해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3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 본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손쉽게 초기 위치 즉, 닫힌 위치로 복귀되며, 또한 충돌 사고시에도 개방된 트레이 본체가 닫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부 트림류에 설치되며, 내부에 가이드 공간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공간부(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부(210)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200)와; 트레이 본체(20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위치를 견고히 유지시키고 푸쉬 및 충돌 사고시 트레이 본체(200)를 하우징(100) 내부로 내장시키는 개폐수단 (3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레이{TRA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대쉬보드상에는 스피도미터를 포함한 각종 계기판등이 설치되며, 어느정도 부피를 갖고 있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등이 설치된다.
또한 근래에 들어와서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대쉬보드(D)의 대략 중심 부분에 센터 페시아(center facea;1)를 마련하고, 이에 오디오 시스템이나 공조장치의 컨트롤을 위한 노브 등을 배열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센터 페시아에는 흡연(吸煙)시 담배재을 수거하거나 또는 동전이나 카드등 부피가 작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트레이(tray;10)를 채용하고 있다.
이때 트레이(10)는 센터 페시아(1) 뿐만 아니라 콘솔(20)상에도 적용하고 있는등 다양한 위치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트레이(10)가 센터 페시아(1)상에 채용될 경우에는 센터 페시아(1) 내부에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미도시)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을 중심으로 트레이 본체(11)를 이송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물품의 수납이나 담배재 등을 수거하도록 하고 있다. 즉, 트레이 본체(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콘솔(20) 등에 채용할 경우에는, 트레이 본체(11)를 콘솔(20)에 내장 시키고, 이 트레이 본체(11)에 회동 가능한 커버(미도시)를 채용함으로써 회동 방식으로 트레이 본체(11)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트레이에 있어서는, 충돌사고시 트레이 본체(11)에 사용자가 부딪침으로써 상해를 당할 우려가 야기된다.
즉, 사용자가 트레이 본체(11)를 개방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이 야기되면, 트레이 본체(11)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머리 부분등이 부딪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트레이 본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푸쉬에 의해 손쉽게 초기 위치 즉, 닫힌 위치로 복귀되며, 또한 충돌 사고시에도 개방된 트레이 본체가 닫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부 트림류에 설치되며, 내부에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위치를 견고히 유지시키고, 닫거나 충돌 사고시 트레이 본체를 하우징 내부로 내장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센터 페시아 20 : 콘솔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 공간부 200 : 트레이 본체 210 : 수납 공간부
300,500 : 개폐수단 310 : 플랜지부 311 : 걸림홈
320 : 회동 레버 330 : 가이더 340 : 랙
350 : 피니언 360 : 판 스프링 400 : 커버
410 : 토오션 스프링 510 : 로드 520 : 회동 레버
530 : 가이더 B : 볼 S : 스프링
먼저, 도 2는 트레이(10)가 센터 페시아(1) 등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내부 트림류(예컨대 센터 페시아)에는 내부에 가이드 공간부(110)가 형성된 하우징(housing;100)이 내장 설치된다.
그리고 이 하우징(100)의 가이드 공간부(110)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트레이 본체(200)가 설치되며, 이 트레이 본체(200)의 상면에는 내부에 물품 및 담배재 등을 수거할 수 있는 수납 공간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 본체(20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즉, 개방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닫거나 충돌 사고시 트레이 본체(200)를 하우징(100)의 가이드 공간부(110) 내로 신속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개폐수단(300)이 마련된다.
이러한 개폐수단(3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트레이 본체(200)의 후측 일면에는 하면에 소정깊이의 걸림홈(311)이 형성된 플랜지부(310)가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트림 즉, 센터 페시아(1)의 내면에는 회동 레버(320)가 위치되는 바, 이 회동 레버(320)는 센터 페시아(1)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양단은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회동 레버(320)의 수직 상단부에는 가이더(guider;330)가 위치되는 바, 이 가이더(330)는 스프링(S)을 통해 차량 후방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이며, 사용자가 트레이 본체(200)를 푸쉬하였을 때 또는 충돌 발생시 관성력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회동 레버(320)의 수평 단부측에는 스프링(S)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볼(B)이 위치되는 바, 이 볼(B)은 전술한 플랜지부(310)의 걸림홈(311)에 선택적으로 걸림된다.
즉, 이 볼(B)에 의해 트레이 본체(200)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트레이 본체(200)를 하우징(100)의 가이드 공간부(110)상으로 이송시키는 구동원으로써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랙(340)이 마련되며, 이 랙(340)과 이 맞물림되도록 센터 페시아(1) 내측에는 피니언(350)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또한 피니언(350)의 전면에는 이에 동축적으로 지지되며, 트레이 본체(200)의 개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피니언(35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360)이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트레이 본체(200)를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트레이 본체(200)상에 일체로 마련된 플랜지부(310)의 걸림홈(311)에 스프링(S)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볼(B)이 위치됨으로써 트레이 본체(20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레이 본체(200)를 닫거나 또는 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회동 레버(320)의 수직단부에 설치된 가이더(330)가 스프링(S)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푸쉬 또는 충돌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회동 레버(320)를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회동 레버(320)가 회동되면, 회동 레버(320)의 수평 단부에 위치된 볼(B)이 하부로 이동되고, 동시에 볼(B)과 플랜지부(310)의 걸림홈(311)간의 걸림력이 해제된다.
동시에 피니언(350)은 판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이 맞물림된 랙(340)을 갖는 트레이 본체(200)가 신속하게 하우징(100)의 가이드 공간부(110) 내로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 부분등이 접촉되지 않게됨으로써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회동 방식을 채용한 트레이를 나타내 보였는 바, 트레이 본체(200)는 트림류 예컨대 콘솔(20)상에 내장 설치된 상태이며, 이 트레이 본체(200)의 상면에는 커버(cover;400)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 결합 부위에는 토오션 스프링(410)이 개재되어 있어, 커버(400)는 항시 밀폐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커버(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견고히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닫거나 충돌시 커버(400)를 토오션 스프링(410)의 스프링력을 통해 밀폐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단(500)이 마련된다.
이러한 개폐수단(5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커버(400)의 힌지 결합 부위측에는 트림 즉, 콘솔(20) 내측을 향해 로드(rod;510)가 연장 형성되는 바, 이 로드(510)는 커버(400)와 함께 회동된다.
그리고 콘솔(20) 내부에는 회동 레버(520)의 중심면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은 로드(510)와 인접되도록 연장되고, 타단은 콘솔(20)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때 로드(510)와 회동 레버(520) 사이에는 스프링(S)에 의해 로드(510)와 인접된 트림 즉, 콘솔(20)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된 가이드 리브(21)의 일측면으로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된 볼(B)이 개재되는 바, 이 볼(B)의 외측으로 로드(51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되어진다.
또한 회동 레버(520)의 타단과 콘솔(20)의 일측 내벽면 사이에는 스프링(S)에 의해 차량 후방을 향해 탄성 지지된 가이더(530)가 개재되는 바, 이 가이더(530)는 사용자가 커버(400)를 닫거나 또는 충돌 사고시의 관성력을 통해 차량 전방을 향하 슬라이딩 이송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트레이 본체(200)의 수납 공간부(210)상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커버(400)를 회동시키면, 로드(510)가 함께 회전되고, 동시에 어느 일정 시점에서 스프링(S)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볼(B)의 외측면에서 탄력적으로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물품의 수납 및 취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400)를 밀폐 방향으로 닫거나 또는 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가이더(530)는 차량 전방을 향해 이송되고, 이에따라 이 가이더(530)가 결합된 회동 레버(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동 레버(5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볼(B)이 하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로드(510)의 걸림력이 해제되고, 결과적으로 커버(400)는 토오션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 본체(200) 상면으로 신속하게 이동되면서 수납 공간부(2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에의해 충돌사고시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 본체 또는 이 트레이 본체의 커버가 개방된상태에서 주행하는 과정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될 때 트레이 본체 또는 커버가 신속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관성력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 이동시 트레이 본체나 커버와의 접촉에 의한 신체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내부 트림류에 설치되며, 내부에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위치를 견고히 유지시키고 닫거나 충돌 사고시 트레이 본체를 하우징 내부로 내장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트레이 본체의 후측 일면에 일체로 마련되며, 하면에 소정깊이의 걸림홈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트림의 일측 내면에 중심면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이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타단이 수평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회동 레버와;
    상기 회동 레버의 수직 상단부에 위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차량 후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푸쉬 및 충돌시의 관성력에 따라 차량 전방으로 이동되는 가이더와;
    상기 회동 레버의 수평 일단부에 위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플랜지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볼과;
    상기 트레이 본체의 하부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과;
    상기 트림상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채 랙과 이 맞물림되며, 전면에는 트레이의 개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이 개재된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이.
  3. 자동차 내부의 트림상에 내장 설치되며 내면에 소정깊이로 물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수납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며, 토오션 스프링에 의해 밀폐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커버와;
    상기 트레이 본체를 중심으로 커버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닫거나 정면 충돌시 커버를 회동시켜 수납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커버의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트림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커버와 함께 회동되는 로드와;
    중심면이 트림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일단이 로드와 인접되게 위치되고 타단이 트림 하면과 인접되도록 연장된 회동 레버와;
    상기 로드와 회동 레버의 일단 사이에 개재되며, 스프링에 의해 로드와 인접된 트림상에 소정높이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되며, 로드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볼과;
    상기 회동 레버의 타단과 트림 사이에 개재되며, 스프링에 의해 차량 후방을 향해 탄성 지지되고, 충돌시 관성력에 의해 충돌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이.
KR10-2001-0035203A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트레이 KR10042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203A KR100428387B1 (ko)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203A KR100428387B1 (ko)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05A KR20020097405A (ko) 2002-12-31
KR100428387B1 true KR100428387B1 (ko) 2004-04-28

Family

ID=2771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203A KR100428387B1 (ko) 2001-06-20 2001-06-20 자동차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3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05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170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having movable storage compartment
JP3314903B2 (ja) 車両用小物収納装置
JP4294623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20040118851A1 (en) Receptacle
US6003925A (en) Overhead console with drop-down door
US6213533B1 (en) Device having a pop-out part for installation in a motor vehicle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KR100473501B1 (ko) 슬라이드 및 회동운동 가이드기구와 상기 가이드기구를이용한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상기 개폐기구를 이용한차량 탑재용 내장품
US4902061A (en) Glove box with convenience tray
KR100921299B1 (ko)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US20070013202A1 (en) Vehicle interior accessory having a pivotable door
JP4020755B2 (ja) 自動車の小物入れ兼用カップホルダ装置
US9090208B2 (en) End cap door assembly
EP3072745B1 (en) Vehicle storage assembly
US7318615B2 (en) Holder for a food and/or beverage container
US6830277B2 (en) Arrangement for holding beverage cans or similar receptacles in the interior of vehicles
KR100428387B1 (ko) 자동차의 트레이
JP4429005B2 (ja) 蓋装置及び収納装置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KR10047078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JP2000135950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JP4290079B2 (ja) 車両用収納物保持装置
KR101929551B1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KR20100069739A (ko) 수납장치
GB2445741A (en) Lid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torage ca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