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130A -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130A
KR20100069130A KR1020080127727A KR20080127727A KR20100069130A KR 20100069130 A KR20100069130 A KR 20100069130A KR 1020080127727 A KR1020080127727 A KR 1020080127727A KR 20080127727 A KR20080127727 A KR 20080127727A KR 20100069130 A KR20100069130 A KR 2010006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user group
content
closed user
selecti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호
오세훈
박상윤
최성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스미디어
Priority to KR102008012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130A/ko
Publication of KR2010006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피티브이(IPTV)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결합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구성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단계,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아이피티브이(IPTV), 폐쇄 사용자 그룹, 컨텐츠

Description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S TO CLOSED USER GROUP USING IPTV}
본 발명은 아이피티브이(IPTV)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결합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가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하여 아이디(ID) 또는 아이피(IP) 주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Closed User Group)을 결정하여,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미리 편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이피티브이(IPTV)란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티브이(TV)로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하며, 인터넷과 티브이를 융합시킨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아이피티브이에 의하여 티브이를 보면서 인터넷 검색, 홈 뱅킹, 온라인 게임, 홈쇼핑 등 기존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아이피티브이 서비스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과 관련하여, 특히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에 지하철, 엘리베이터 등에서 동영상 광고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불특정 다수인 유동 인구를 대상으로 미리 정해진 광고를 반복적,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른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광고에 대해 흥미가 없는 소비자에게는 거부감을 일으킬 우려도 있으며,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심 있는 소비자 그룹에게 그 관심 영역과 상관없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는 전혀 광고로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을 사용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주된 관심에 부합하는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적절하게 제공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이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선택한 내용을 이용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폐쇄 사용자 그룹의 선호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와 아이피 주소로 구성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주로 사용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컨텐츠를 편성할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집된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화된 컨텐츠를 편성할 수 있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결합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아이피티브이(IPTV)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구성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단계,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ID) 또는 아이피(IP)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와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폐쇄 사용자 그룹으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TV 프로그램, 음악, 영화 또는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미리 편성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선택 메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선택 메뉴 응답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수신한 컨텐츠에 포함된 메뉴 중에서 원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된 것임- 및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시간, 지역, 성별,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생성한 선택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계의 컨텐츠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미리 저장된 특징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징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시간대별 이용 데이터 또는 지역별 이용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결합되며 아이피티브이(IPTV)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구성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동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 결정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선택 메뉴 정보 생성부-여기서, 상기 선택 메뉴 응답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수신한 컨텐츠에 포함된 메뉴 중에서 원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된 것임- 및 상기 생성한 선택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선택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결정 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인터넷 망(300)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과 결합된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에 TV 프로그램, 음악, 영화 또는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아이피티브이 또는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한정된 공간 안에 존재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해서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비록 도 1에서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하나의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 마트라는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해서 각 지점의 수만큼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넷 망(300)은 아이피티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으로서, 아이피티브이는 인터넷 망을 통해서 제공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송수신부(101), 식별 정보 획득부(103), 폐쇄 사용자 그룹 결정부(105),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107), 컨텐츠 선택부(109)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11)로 구성된다.
송수신부(101)는 인터넷 망(300)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200)과 연동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송수신부(101)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 선택 메뉴 응답 및 특징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 요청 신호, 선택 메뉴 응답 및 특징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식별 정보 획득부(103)는 송수신부(101)에서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아이디(ID) 또는 아이피(IP)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 며, 이와 관련하여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폐쇄 사용자 그룹 결정부(105)는 식별 정보 획득부(103)가 획득하여 전송한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설명한 식별 정보 획득부(103)와 마찬가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107)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 선택부(109)는 폐쇄 사용자 그룹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11)는 컨텐츠를 각각의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의 구성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301),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S303). 여기서, 식별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ID) 또는 아이피(IP) 주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단계 303에서 획득한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 한다(S305). 즉, 단계 305는 앞선 단계에서 획득한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한다. 단계 303 내지 단계 305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한 경우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미리 편성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한다(S307). 여기서, 컨텐츠는 TV 프로그램, 음악, 영화 또는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단계 303 내지 단계 30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다수의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단계 303 내지 단계 305에 의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는 모두 5개의 폐쇄 사용자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를 들고 있다. 다시 말해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한 결과 도 4와 같이 A마트, B치킨, C은행, D커피점 및 E극장의 5개의 폐쇄 사용자 그룹으로 결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ID) 또는 아이피(IP) 주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함으로써, 특정 클라이언트 단말이 어느 폐쇄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가 AAA인 경우에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은 A 마트의 폐쇄 사용자 그룹으로 결정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각각의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각기 다른 편성표 1 내지 편성표 5가 결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의 편성표는 각각의 폐쇄 사용자 그룹의 성격을 고려하여 해당 폐쇄 사용자 그룹의 주된 관심사에 부합하는 컨텐츠 위주로 하여 컨텐츠를 결정 및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편성표 1은 A마트에 대한 컨텐츠의 편성표이므로, 그 컨텐츠의 내용은 쇼핑에 관련된 정보나 상품에 대한 광고, 설명 등이 주된 내용일 것이며, C 은행에 대한 컨텐츠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특성에 맞게 금융, 재테크 등에 관련된 컨텐츠가 주된 내용일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컨텐츠 제공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도 2의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에 컨텐츠를 제공받은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 경우에, 이를 수신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도 5에서는 선택 메뉴 정보 생성부(113) 및 선택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5)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선택 메뉴 정보 생성부(113)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에 대한 특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선택 메뉴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선택 메뉴 정보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선택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15)는 생성한 선택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도 5의 구성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S601),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 601에 의해 발생한 선택 메뉴 응답을 수신한다(S603). 여기서, 선택 메뉴 응답이란,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수신한 컨텐츠에 포함된 메뉴 중에서 원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된다. 한편,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605). 여기서,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시간, 지역, 성별,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생성된다. 단계 605에 의해 생성된 선택 메뉴 정보에 대하여 상응하는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607), 이를 선택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S609). 도 6에서는 단계 607이 단계 609의 앞 단계로 표현되었으나, 이러한 단계 607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단계 609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의 A마트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 경우에(S307), 수신한 컨텐츠가 광고라고 가정하면, 해당 컨텐츠의 내용은 도 7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A마트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A 화장품에 대한 광고를 편성한 경우에, A마트의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A화장품에 대한 광고가 제공될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폐쇄 사용자 그룹은 A마트로 결정되나, 이러한 A마트의 매장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폐쇄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전국적으로 다수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폐쇄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A마트의 고객은 해당 광고 화면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광고를 보고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7에서와 같은 구매 내역 입력창 등을 통해서 광고된 A 화장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 내역, 배송 및 결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단계 601을 수행하여 입력한 내용은 선택 메뉴 응답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된다(S603).
도 8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를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메뉴에 상응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생성한 선택 메뉴 응답을 수신한 후에,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시간대별, 지역별, 성별, 연령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도 7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하나의 폐쇄 사용자 그룹인 A마트는 전국적으로 지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A1, A2, A3,...)이 컨텐츠 제공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A마트에서 고객 이 A 화장품을 구매한 경우에, 해당 구매자의 구매 내역 등의 정보에 시간, 지역, 성별, 연령 등의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매시마다 선택 메뉴 응답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A마트의 A1 클라이언트 단말의 매장에 제공된 A 화장품에 대한 광고 결과, PM 7~PM 8시 사이에 서울에서 구매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A2 매장의 경우는 경기도 거주하는 20~30대의 남성이 구매하였다는 정보를 얻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선택 메뉴 정보는 저장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러한 누적된 선택 메뉴 정보를 이용하면, 각 클라이언트 단말이 위치하는 매장마다 고객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역시 도 5의 컨텐츠 제공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도 5의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에 특징 데이터 생성부(117)와 컨텐츠 결정부(119)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앞선 도 5에서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특징 데이터 생성부(117)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시간대별 이용 데이터 또는 지역별 이용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 결정부(119)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미리 지정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의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앞선 구성과는 달리 도 9 내지 도 10은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한 후에 수행되는 과정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과는 상관없이 특정 시점마다 발생한 이용 데이터를 집계하여 이를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결정하는 절차에 관한 것이다.
우선,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특정 시점마다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시간대별 이용 데이터 또는 지역별 이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집계하고(S1001),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1003).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S1005), 생성한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200)로 전송할 컨텐츠를 결정하고(S1005), 결정된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S1009). 이러한 도 10의 절차를 앞서 설명한 도 7 내지 도 8의 예로써 설명해 보면, 폐쇄 사용자 그룹에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으므로, A마트에는 전국적으로 지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 경우에 A마트의 각 지점을 클라이언트 단말 A1, A2, A3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지점을 방문한 고객들이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시간대별 또는 지역별로 구 매 내역을 집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집계된 구매 내역을 본 발명에서는 시간대별 이용 데이터 또는 지역별 이용 데이터라고 정의한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 A1이 서울에 위치하고, A2는 부산, A3는 인천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주말 밤에는 주류 판매가 증가하며, 아침 시간대에는 패스트 푸드류의 판매가 증가한다는 등의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많이 판매되는 상품의 종류라던지, 특정 상품의 매출이 증가하는 시간대라던지 등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특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대에 판매가 증가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별도로 편성하여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게 되며, 각 클라이언트 단말이 있는 해당 매장에 방문한 고객들은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한 광고를 볼 수 있으며, 구매 의욕을 자극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변형, 부가, 수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구성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단계 303 내지 단계 30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구성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도 6의 단계 601 내지 단계 60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의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결합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아이피티브이(IPTV)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구성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단계;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아이디(ID) 또는 아이피(IP)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와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식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폐쇄 사용자 그룹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TV 프로그램, 음악, 영화 또는 광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미리 편성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선택 메뉴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선택 메뉴 응답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수신한 컨텐츠에 포함된 메뉴 중에서 원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된 것임-; 및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시간, 지역, 성별,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생성한 선택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4 단계의 컨텐츠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미리 저장된 특징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의 시간대별 이용 데이터 또는 지역별 이용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인터넷 망을 통하여 결합되며 아이피티브이(IPTV)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구성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동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 결정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폐쇄 사용자 그룹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결정된 폐쇄 사용자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를 포함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 메뉴 응답을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선택 메뉴 정보를 생성하는 선택 메뉴 정보 생성부-여기서, 상기 선택 메뉴 응답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수신한 컨텐츠에 포함된 메뉴 중에서 원하는 특정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된 것임-; 및
    상기 생성한 선택 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선택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속해 있는 폐쇄 사용자 그룹별로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080127727A 2008-12-16 2008-12-16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69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727A KR20100069130A (ko) 2008-12-16 2008-12-16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727A KR20100069130A (ko) 2008-12-16 2008-12-16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130A true KR20100069130A (ko) 2010-06-24

Family

ID=4236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727A KR20100069130A (ko) 2008-12-16 2008-12-16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1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5366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Closed group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ovisioning
CN114726893A (zh) * 2022-03-31 2022-07-08 慧之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可支持多种底层承载协议的物联网应用层接入方法和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5366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Closed group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ovisioning
US9591463B2 (en) 2010-09-14 2017-03-07 Nokia Technologies Oy Closed group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ovisioning
CN114726893A (zh) * 2022-03-31 2022-07-08 慧之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可支持多种底层承载协议的物联网应用层接入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182B1 (ko)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Moriuchi et al.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of repeat online consumer within the Japanese online supermarket trade
KR100883700B1 (ko) 구매가능 상품추출을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34970A1 (en) User-generated quick recommendations in a media recommendation system
KR101532593B1 (ko) 셋톱박스 id 기반 데이터방송 홈쇼핑의 추천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564824B1 (ko) 광고 시스템, 광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정보 기억 매체
JP66692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925147B1 (ko)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KR20210063458A (ko) 프로그래밍 콘텐츠에 관련되는 아이템들을 홍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6236014A (ja) 買い物リストを利用した買い物支援システム
TW201319981A (zh) 電視廣告產品資訊顯示系統、方法及其記錄媒體
JP2023113953A (ja) データ連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47776A1 (ja) 商品提示サーバおよび商品提示方法
CN102708119A (zh) 信息提供系统、信息提供方法和程序
JP2013210964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074635B1 (ko) Iptv 기반의 호스피탤러티 서비스 사용자 맞춤형 미디어 커머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면세상품 구매방법
East et al. The decay of positive and negative word of mouth after product experience
KR101375147B1 (ko)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9130A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JP5986120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施設装置及び配信システム
KR20120008346A (ko) 고객군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808315B (zh) 数据对象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220050744A (ko) 이사 준비 단계부터 이사 이후 단계까지의 전 주기를 포괄하는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150011659A (ko) 실시간으로 상품이미지를 데이터화 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캡쳐 이미지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5488B1 (ko) 음성정보 기반 판매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