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147B1 -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147B1
KR101925147B1 KR1020180037773A KR20180037773A KR101925147B1 KR 101925147 B1 KR101925147 B1 KR 101925147B1 KR 1020180037773 A KR1020180037773 A KR 1020180037773A KR 20180037773 A KR20180037773 A KR 20180037773A KR 101925147 B1 KR101925147 B1 KR 10192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hopping
information
biometric authentication
pro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영
이재형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옥타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타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옥타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쇼핑 비용 결제를 리모콘에 설치된 생체인증 모듈(예: 지문, 홍채)을 통해 처리할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을 통해 여러 채널의 홈쇼핑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여러 사람들의 구매정보를 사용자에게 공유해줌으로써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필터링 조건에 대한 여러 홈쇼핑 상품들을 개인 사용자를 위해 비교 추천해주는 것이 가능한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쇼핑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를 리모콘의 생체인증 모듈을 통해 완료할 수 있어 리턴 채널이 없거나 보안성이 약한 홈쇼핑 환경에서 이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통해 홈쇼핑 상품에 관련된 정보가 개인 사용자에게까지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여러 홈쇼핑 채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을 비교한 후에 그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홈쇼핑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를 높여 홈쇼핑의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blockchain-based home shopping data processing system utilizing biometric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생체인증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홈쇼핑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홈쇼핑 비용 결제를 리모콘에 설치된 생체인증 모듈(예: 지문, 홍채)을 통해 처리할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을 통해 여러 채널의 홈쇼핑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여러 사람들의 구매정보를 사용자에게 공유해줌으로써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필터링 조건에 대한 여러 홈쇼핑 상품들을 개인 사용자를 위해 비교 추천해주는 것이 가능한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홈쇼핑 채널을 시청하다가 제품을 구매할 마음이 생기면 해당 홈쇼핑 방송 화면에 표시된 홈쇼핑사에 전화를 걸어 상품 구매에 따른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홈쇼핑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쇼핑은 상품 주문에 따른 결제 처리와 배송 관리가 번거로우며, 그에 따라 각 홈쇼핑사는 제품을 구매한 고객에 대한 여러 정보를 연결하여 고객번호를 등록하고 이후의 홈쇼핑 제품 구매 주문시 활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홈쇼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특히 결제 처리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홈쇼핑 시스템에서는 시청자(고객)가 홈쇼핑사에 전화를 걸어 콜센터 상담원 혹은 ARS와 통화하면서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방식은 매우 번거롭고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며 조금만 부주의하면 사람이 실수하여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홈쇼핑 환경은 인터넷과는 달리 단방향 통신이기 때문에 결제 처리를 개선하기가 쉽지는 않다.
또한, 홈쇼핑 채널이 상당히 많기에 이들이 서로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사한 개념의 상품에 대해 홈쇼핑 채널들마다 패키지 구성품과 조건을 조금씩 달리하여 여러가지 상품을 제시한다. 그로 인해, 고객으로서는 자신이 지금 구매를 고민하고 있는 홈쇼핑 상품이 진정으로 좋은 조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그로 인해, 고객들은 합리적인 구매라는 확신이 없어 구매 결정을 미루게 되며, 이처럼 주저하는 고객들을 유혹하기 위해 쇼핑 호스트의 자극적인 멘트만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홈쇼핑 분야는 아직 합리적인 소비 환경이 정착되지 못하였으며 상품 구매를 결정하더라도 결제 과정의 불편함으로 인해 고객들이 구매를 후회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구매를 취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궁극적으로 홈쇼핑 시장의 확대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생체인증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홈쇼핑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홈쇼핑 비용 결제를 리모콘에 설치된 생체인증 모듈(예: 지문, 홍채)을 통해 처리할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을 통해 여러 채널의 홈쇼핑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여러 사람들의 구매정보를 사용자에게 공유해줌으로써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필터링 조건에 대한 여러 홈쇼핑 상품들을 개인 사용자를 위해 비교 추천해주는 것이 가능한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은, 홈쇼핑 방송과 연동하여 판매 광고가 이루어지는 상품 구매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특정의 상품 구매 요청과 연동하여 생체 센서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함으로써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하며, 그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로 전달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며, 생체인증형 리모콘으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를 제공받아 홈쇼핑 관제 서버로 전달하고,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홈쇼핑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특정의 필터링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공하는 스마트 에이전트부(300); 스마트 에이전트부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를 제공받으면 홈쇼핑 결제 서버와 협조 동작하여 상품 구매 요청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 에이전트부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홈쇼핑 관제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220);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구매자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 처리하는 생체인증 처리부(250);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로 전달하는 스마트앱 연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으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리모콘 연동부(310); 그 수신한 생체 인증 결과를 홈쇼핑 관제 서버로 전달하는 홈쇼핑 연동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스마트 에이전트부로부터 수신한 생체 인증 결과를 상품 구매 요청과 연결시키는 구매요청 처리부(520); 상품 구매 요청 및 생체 인증 결과에 대응하여 홈쇼핑 결제 서버와 결제 연동 처리하는 결제서버 연동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홈쇼핑 방송을 통해 제시된 특정의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을 발생시키는 상품구매 요청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앱 연동부(260)는 생체 인증 결과와 함께 상품 구매 요청을 스마트 에이전트부로 더 전달하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생체 인증 결과와 함께 상품 구매 요청을 홈쇼핑 관제 서버로 더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미리 설정된 리모콘 조작 시퀀스에 의해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하여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생체인증형 리모콘에 등록하는 생체정보 등록부(230);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생체정보 저장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510);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는 상품정보 블록체인부(5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상품목록 블록체인부(331);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획득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목록 저장부(341);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구매 희망 상품의 속성이 조합된 필터링 조건을 식별하고, 상품목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필터링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시하는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 표시된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특정의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식별하고, 생체인증형 리모콘으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 및 그 수신된 생체 인증 결과를 홈쇼핑 관제 서버로 전달하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센서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 처리하고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로 제공하며,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스마트 에이전트부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 및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홈쇼핑 결제 서버와 협조 동작하여 추천 상품 항목의 구매 비용을 생체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구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540);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된 구매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는 구매정보 블록체인부(5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구매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구매기록 블록체인부(332);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획득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매기록 저장부(3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는 구매기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구매 정보로부터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각각 관련되어 있는 하나이상의 구매정보 항목을 식별하고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링크 설정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쇼핑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를 리모콘의 생체인증 모듈을 통해 완료할 수 있어 리턴 채널이 없거나 보안성이 약한 홈쇼핑 환경에서 이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통해 홈쇼핑 상품에 관련된 정보가 개인 사용자에게까지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여러 홈쇼핑 채널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상품을 비교한 후에 그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홈쇼핑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를 높여 홈쇼핑의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홈쇼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의 처리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하여 홈쇼핑 구매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 에이전트부가 홈쇼핑 상품을 비교 추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에이전트부가 비교 추천한 홈쇼핑 상품 중에서 하나의 상품을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하여 구매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생체인증형 리모콘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에이전트부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홈쇼핑 관제 서버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이 수행하는 전체적인 처리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고객과 상담원 사이에 전화 통화하는 방식을 제거하고 그 대신 생체인증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홈쇼핑에 관한 결제 처리 및 부가 서비스를 구현하는 점이 특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 스마트 에이전트부(300),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구성되며 방송수신 단말(100), 홈쇼핑 방송 서버(400), 홈쇼핑 결제 서버(600)는 종래기술의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먼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방송수신 단말(100)을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로서 생체 센서(220), 예컨대 지문 센서나 홍채 센서가 구비된 점이 특징이다. 이때, 생체 센서(220)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에 기구적으로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시청자가 현재 홈쇼핑 방송 중인 상품을 구매 요청하기 위한 구매확인 버튼(21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상품 구매 요청은 다양한 채널, 예컨대 전화나 문자 메세지 등을 통해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될 수 있다.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홈쇼핑 방송 시청 중에 사용자가 예컨대 구매확인 버튼(210)을 눌러 상품 구매를 요청한 경우에 이와 연동하여 생체 센서(220)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의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함으로써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하며, 그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전달한다.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센서(2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이렇게 획득한 생체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지 않고 내부에만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리모콘 내부에 저장해두었다가 상품 구매 단계에서 입력되는 구매자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등록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를 외부, 즉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301)에 예컨대 앱(APP)의 형태로 설치 및 구현되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과 홈쇼핑 관제 서버(500) 사이를 매개하고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한다.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으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과 연관된 생체 인증 결과를 제공받아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함으로써 홈쇼핑 관제 서버(500)가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블록체인을 통해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홈쇼핑 채널이 다수 존재하는데, 홈쇼핑 관제 서버(500)가 이들 홈쇼핑 채널의 상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취합하였다가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공유해준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된 거래 정보가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에 공유되는 노드 수만큼 복제되어 분산 저장되는 공개 디지털 거래 장부라는 개념을 갖는다. 블록체인 기술은 현재는 암호화폐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홈쇼핑 관제 서버(500)가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수집한 후에 실시간으로 개별 사용자들에게 공유해주는 데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려고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다수의 스마트 단말들(301)이 피어(peer)로서 블록체인의 디지털 원장 관리에 참여한다.
이처럼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블록체인을 통해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받는데,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여러 홈쇼핑 채널을 통해 판매 중인 혹은 판매하였거나 판매 예정인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가 구매를 고민하는 속성에 맞는 상품을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보고있는 상품이 과연 좋은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사용자가 구매하기를 희망하는 속성을 입력받아 조합하여 필터링 조건을 구성한 후,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이 필터링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속성에 전부 혹은 일부 부합하는 홈쇼핑 유사상품들을 추출해낸다. 이들 홈쇼핑 유사상품에 관한 정보가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단말(30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 표시된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 중에서 사용자 조작(예: 화면 터치 입력)에 의하여 특정의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식별하면 그에 대한 상품 구매 및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통해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데, 그 생체 인증에 성공하면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에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으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그 선택된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 및 그 수신된 생체 인증 결과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하여 상품 구매 및 결제 처리가 진행되도록 한다.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홈쇼핑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각종 액티비티의 정보를 취합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다수 사용자와 정보를 공유하며 상품 구매 및 결제 처리를 완료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먼저,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를 제공받으면 홈쇼핑 결제 서버(600)와 협조 동작하여 상품 구매 요청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상품 구매 요청은 방송수신 단말(100) 상에 홈쇼핑 채널을 통해 방송 중인 제품에 대한 구매 요청일 수도 있고, 스마트 단말(301) 상에 표시된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의 추천 상품 항목을 선택하여 구매를 요청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품 구매 요청이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한가지로 한정하지 않는다. 즉,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은 생체 인증 결과와 함께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홈쇼핑 분야에서 고객이 상품 구매 요청을 홈쇼핑 기간 시스템으로 제공하기 위한 채널은 종래에도 있었고 향후로도 다양하게 제안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않으려 한다.
또한,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 및 이들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한 구매 정보(예: 사람들의 구매 빈도, 구매 후기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들 상품 정보와 구매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이처럼 홈쇼핑 관제 서버(500)가 블록체인으로 공유해주는 정보를 활용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처리 프로세스를 살펴본다.
단계 (S1000) : 먼저, 홈쇼핑 방송 서버(400)가 여러 홈쇼핑사로부터 정보를 취합하여 채널 별로 홈쇼핑 방송을 송출하며, 각 가정에 설치된 방송수신 단말(100)이 홈쇼핑 방송을 텔레비전 화면에 표시한다.
단계 (S1100) :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이?, 실시간으로 공유한다는 것은 일정 범위의 시간 지연 이내에서 정보를 공유한다는 의미이다.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도 자신의 스마트 단말(301)에 설치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를 통해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계 (S1200) : 사용자가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예컨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10)을 조작하여 현재 방송에서 노출되고 있는 특정의 방송 상품 항목, 예컨대 특정의 디지털 TV 제품 혹은 특정의 여행 상품에 대해 상품 구매 요청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에 설치되어 있는 생체 센서(220)를 통해 자신의 지문 혹은 홍채 등을 스캐닝하여 생체 정보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는 상품 구매 요청과 관련하여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결제 처리를 요청하는 것이다.
단계 (S1300) : 사용자의 이와 같은 상품 구매 요청 및 결제 처리 요청에 대응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 홈쇼핑 관제 서버(500), 홈쇼핑 결제 서버(600)가 협조 동작하여 상품 구매에 대한 비용 결제를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좀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단계 (S1400) :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구매 정보(예: 사람들의 구매 빈도, 구매 후기 등)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구매 정보를 공유한다.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도 자신의 스마트 단말(301)에 설치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를 통해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행하는 제품 구매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단계 (S1500) :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앞서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된 상품 정보와 구매 정보에 특정 필터링 조건을 적용하여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시한다. 유사한 개념의 상품(예: 일본 오사카 벚꽃 여행)에 대해 홈쇼핑 채널들마다 패키지 구성품과 조건을 조금씩 달리하여 여러가지 상품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구매 예정자)로서는 상당히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이에, 홈쇼핑 기간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스마트 단말(301) 상에서 이들을 바로 대비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해주려는 것이다.
단계 (S1600, S1700) :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301)에서 터치 조작 등을 통하여 비교추천 상품 목록 상에서 특정의 추천 상품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그 직후에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에서 이루어지는 생체 인증 결과에 대응하여 그 선택된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 및 생체 인증 결과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한다. 그에 대응하여,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홈쇼핑 결제 서버(600)가 협조 동작함으로써 추천 상품 항목의 구매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과 관련하여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홈쇼핑 구매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00) : 먼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이 예컨대 방송수신 단말(100)의 사용자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의 리모콘 조작 시퀀스에 의해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하고, 이 상태에서 생체 센서(220)를 통해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내부 메모리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 단말(100)을 처음 설치할 때에 설치 엔지니어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특수하게 조작하여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해당 가정의 어른들의 지문을 등록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렇게 등록된 생체 정보를 '레퍼런스 생체정보(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이라고 부른다. 생체 정보 보안을 위하여 레퍼런스 생체정보는 생체 정보가 최초 획득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의 내부 메모리 공간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10) : 사용자가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홈쇼핑 방송에 제시된 특정의 상품이 마음에 드는 경우에 예컨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의 특정 버튼(210)을 조작하여 상품 구매 요청을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특정 홈쇼핑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생성하여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다만, [도 4]에서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이 상품 구매 요청을 발생시켜 전자적으로 전달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단계 (S120) :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센서(220)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한다. 이번에 상품 구매 요청을 발생시키 사람이 그러한 조작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미리 등록해둔 사람이 맞는지 여부를 생체 정보, 예컨대 지문이나 홍채 등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단계 (S130, S140) : 생체 인증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생체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통해 생체 인증 실패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종료한다. 예를 들어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에 마련된 붉은 색의 LED가 깜빡이는 형태로 인증 실패를 표시한다.
단계 (S150, S160) : 반대로, 생체 인증에 성공한 경우라면,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상품 구매 요청과 생체 인증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제공하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상품 구매 요청과 생체 인증 결과를 다시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 구매 요청을 생체 인증 결과와는 별도로 다른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가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하는 실시예도 구현 가능하다.
단계 (S170, S180) : 홈쇼핑 관제 서버(500)가 상품 구매 요청과 생체 인증 결과에 대응하여 홈쇼핑 결제 서버(600)와 결제 연동 처리한다.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상품 구매 요청에 기초하여 어떠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고 얼마를 결제 처리해야 하는지 식별한다.
또한,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생체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정상적으로 진행해도 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결제 처리를 위한 정보와 인프라는 홈쇼핑 결제 서버(60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홈쇼핑 결제 서버(600)와 결제 연동 처리한다. 홈쇼핑 결제 서버(600)가 결제 처리 수단을 특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생체 인증 결과에 해당 고객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품 구매 요청이 들어오는 경로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결제 처리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제공하여 스마트 단말(301)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푸시 메시지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를 거쳐 결제 처리 결과를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으로 전달하여 리모콘에 설치된 녹색 LED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상품 속성에 대응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여러 홈쇼핑 채널의 상품들을 필터링하여 비교 추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200, S210) : 홈쇼핑 관제 서버(500)가 여러 홈쇼핑사들이 제공하는 상품들에 대한 정보와 이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 이에,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공유한다. 또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된 구매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공유한다.
단계 (S220) :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스마트 단말(301)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구매 희망하는 상품의 속성에 관련된 항목들을 입력받고 이들을 조합하여 필터링 조건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관심있는 상품 속성에 대한 키워드(예: 일본, 오사카, 여행)를 입력받은 후에 이들을 조합하여 필터링 조건을 식별한다.
단계 (S230) :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앞서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특정 필터링 조건을 적용하여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획득한다. 복수의 홈쇼핑 채널들이 다루는 다수의 상품들 중에서 위 상품 속성에 전부 혹은 일부 매칭되는 것들을 추출해내는 것이며, 이러한 추출 결과를 '홈쇼핑 유사상품'이라고 부른다.
단계 (S240) :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앞서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된 구매 정보로부터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각각 관련된 구매정보 항목을 식별한다. 즉, 그 추출된 홈쇼핑 유사상품에 대해 기존에 발생하였던 구매 정보를 식별해내는 것이다.
단계 (S250) :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시한다. 종래기술에서는 비슷한 테마의 상품에 대해서 홈쇼핑 채널 별로 패키지 구성품과 조건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고객들이 제대로 비교해서 판단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단계 (S250)에서 제시되는 비교추천 상품 목록은 위 필터링 속성에 맞는 것들을 추출하여 비교 정렬한 것이기에 사용자는 패키지 구성과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교추천 상품 목록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 즉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 및 구매 정보가 블록체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에 공유되어 있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의 속성상 홈쇼핑사 한군데에서 정보가 수정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해당 정보가 공유되는 것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그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다. 또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로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가공하기 때문에 정보 처리 속도와 효율도 우수하다.
단계 (S260) :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 포함된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각각 관련된 구매정보 항목을 링크 설정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구매정보를 확인하고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구매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공유하고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 반영하는 것은 부차적인 사항이며, 정보처리 속도를 감안하여 제외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비교 추천한 홈쇼핑 상품 중에서 하나의 상품을 사용자가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구매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300) : 먼저,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 표시된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 중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301)에 대한 터치 입력 등을 통하여 특정의 추천 상품 항목을 선택하였음을 식별한다.
단계 (S310) : 추천 상품 항목을 선택하는 것에 이어서 사용자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에 자신의 생체 정보를 제공한다.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센서(220)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한다.
단계 (S320, S330) : 생체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인증 결과를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제공하고,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그 선택된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 및 생체 인증 결과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한다.
단계 (S340) : 이어서,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홈쇼핑 결제 서버(600)가 협조 동작하여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 처리한다. 이에 대해서는 단계 (S17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6]의 동작 시나리오는 다양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홈쇼핑 상품 목록이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실시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송수신 단말(100)을 통해 홈쇼핑 채널을 시청하지 않고도 홈쇼핑 상품을 구매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홈쇼핑 업체로서는 방송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것과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홈쇼핑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홈쇼핑 매출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생체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상품구매 요청부(210), 생체정보 획득부(220), 생체정보 등록부(230), 생체정보 저장부(240), 생체인증 처리부(250), 스마트앱 연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을 구성하는 각 기능성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상품구매 요청부(210)는 예컨대 버튼 등으로 구현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홈쇼핑 방송을 통해 제시된 특정의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을 발생시킨다.
생체정보 획득부(220)는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등과 같은 생체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모듈이다.
생체정보 등록부(230)는 예컨대 제품 최초 설치시에 담당 설치 엔지니어가 매뉴얼에 따라 입력하는 미리 설정된 리모콘 조작 시퀀스에 의해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하여 생체정보 획득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에 등록한다.
생체정보 저장부(240)는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생체인증 처리부(250)는 생체정보 획득부(220)를 통해 획득된 구매자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구매자 생체정보가 정당 사용자의 것인지 여부를 인증 처리한다.
스마트앱 연동부(260)는 생체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와 상품 구매 요청을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전달한다. 생체인증형 리모콘(200)과 스마트 에이전트부(300) 간에는 유무선 통신 경로가 미리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리모콘 연동부(310), 홈쇼핑 연동부(320), 블록체인 단말처리부(330), 블록체인 수집처리부(340),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블록체인 단말처리부(330)는 상품목록 블록체인부(331)와 구매기록 블록체인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블록체인 수집처리부(340)는 상품목록 저장부(341)와 구매기록 저장부(342)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리모콘 연동부(310)는 스마트 단말(301)과 생체인증형 리모콘(200) 간에 유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으로부터 생체 인증 결과와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홈쇼핑 연동부(320)는 스마트 단말(301)과 홈쇼핑 관제 서버(500) 간에 무선 통신 경로를 형성하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인증 결과와 상품 구매 요청을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한다.
블록체인 단말처리부(330)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스마트 단말(301) 측에서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블록체인 단말처리부(330)는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하려는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품목록 블록체인부(331)와 구매기록 블록체인부(332)를 구비한다. 상품목록 블록체인부(331)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실시간 공유 형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매기록 블록체인부(332)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한 구매 정보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와 실시간 공유 형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수집처리부(340)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스마트 단말(301)이 확보한 정보를 수집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블록체인 수집처리부(340)는 그 수집 처리하려는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품목록 저장부(341)와 구매기록 저장부(342)를 구비한다. 상품목록 저장부(341)는 상품목록 블록체인부(331)가 블록체인을 통해 확보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구매기록 저장부(342)는 구매기록 블록체인부(332)가 블록체인을 통해 확보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한 구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한다.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는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확보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홈쇼핑 상품을 검색한 후에 비교 추천한다.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는 키워드 입력과 같은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구매 희망 상품의 속성이 조합된 필터링 조건을 식별한 후에, 상품목록 저장부(341)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정보에 필터링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속성에 매칭되는 여러 홈쇼핑사의 상품들, 즉 홈쇼핑 유사상품을 추출하여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시한다.
이와 같은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는 비슷한 패키지 구성을 갖는 여러 상품들이 나열되어 있기 마련이다. 이와 관련하여 각 상품별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상품 구매를 하는지, 그리고 그 상품을 구매한 사람들의 평가는 어떠하였는지에 관한 정보, 즉 구매정보를 링크하여 제공한다면 사용자에게 참조가 될 것이다. 그에 따라,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는 구매기록 저장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구매 정보로부터 비교추천 상품 목록의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각각 관련되어 있는 하나이상의 구매정보 항목을 식별하고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링크 설정하여 제공한다. 사용자가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서 개별 홈쇼핑 유사상품을 클릭하면 그에 연결되어 있는 구매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홈쇼핑 관제 서버(5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510), 구매요청 처리부(520), 결제서버 연동부(530),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540), 블록체인 서버처리부(550)를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블록체인 서버처리부(550)는 상품정보 블록체인부(551)와 구매정보 블록체인부(552)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홈쇼핑 관제 서버(5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51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한다.
구매요청 처리부(520)는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부터 수신한 생체 인증 결과를 상품 구매 요청과 연결시키며, 이를 통해 결제 대상 금액, 결제 대상 계정, 결제 처리 개시 여부의 정보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제서버 연동부(530)는 상품 구매 요청 및 생체 인증 결과에 대응하여 홈쇼핑 결제 서버(600)와 결제 연동 처리한다. 외부의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기술은 인터넷 분야에서는 주지관용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54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구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서버처리부(550)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홈쇼핑 관제 서버(500) 측에서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블록체인 서버처리부(550)는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하려는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품정보 블록체인부(551)와 구매정보 블록체인부(552)를 구비한다. 상품정보 블록체인부(551)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실시간 공유 형식으로 제공한다. 구매정보 블록체인부(552)는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된 구매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여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실시간 공유 형식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방송수신 단말
200 : 생체인증형 리모콘
210 : 상품구매 요청부
220 : 생체정보 획득부
230 : 생체정보 등록부
240 : 생체정보 저장부
250 : 생체인증 처리부
260 : 스마트앱 연동부
301 : 스마트 단말
300 : 스마트 에이전트부
310 : 리모콘 연동부
320 : 홈쇼핑 연동부
330 : 블록체인 단말처리부
331 : 상품목록 블록체인부
332 : 구매기록 블록체인부
340 : 블록체인 수집처리부
341 : 상품목록 저장부
342 : 구매기록 저장부
350 : 상품검색 비교추천부
400 : 홈쇼핑 방송 서버
500 : 홈쇼핑 관제 서버
510 :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520 : 구매요청 처리부
530 : 결제서버 연동부
540 :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550 : 블록체인 서버처리부
551 : 상품정보 블록체인부
552 : 구매정보 블록체인부
600 : 홈쇼핑 결제 서버

Claims (7)

  1.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홈쇼핑 방송을 제공하는 홈쇼핑 관제 서버(500) 및 홈쇼핑 방송을 화면 표시하는 방송수신 단말을 조작하기 위한 생체인증형 리모콘(200) 간에 홈쇼핑 상품 구매를 매개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500) 간에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그 공유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비교추천 상품목록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가 상기 비교추천 상품목록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식별되면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 간의 협조 동작을 통해 상기 선택 입력된 상품에 대한 구매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은,
    특정의 구매확인 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홈쇼핑 광고 중인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을 식별하고, 상기 상품 구매 요청과 연동하여 생체 센서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하며, 그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제 1 연동하여 상기 인증 성공에 따른 제 1 생체 인증 결과를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전달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20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연동에 의해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로 전달하고,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상기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특정의 필터링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공하는 스마트 에이전트부(300);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부터 상기 제 1 생체 인증 결과를 제공받으면 홈쇼핑 결제 서버와 협조 동작하여 상기 상품 구매 요청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홈쇼핑 관제 서버(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상기 비교추천 상품 목록에 표시된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특정의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을 식별하고, 상기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과 제 2 연동하여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으로부터 제 2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 및 상기 제 2 생체 인증 결과를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500)로 전달하며,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와의 상기 제 2 연동에 대응하여 생체 센서를 통해 구매자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 처리하고 그에 따른 상기 제 2 생체 인증 결과를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 제공하며,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로부터 상기 추천 상품 항목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 및 상기 제 2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면 홈쇼핑 결제 서버와 협조 동작하여 상기 추천 상품 항목의 구매 비용을 상기 생체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생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정보 획득부(220);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구매자 생체정보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레퍼런스 생체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구매자 생체정보를 인증 처리하는 생체인증 처리부(250);
    상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 그에 따른 생체 인증 결과를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로 전달하는 스마트앱 연동부(2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생체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리모콘 연동부(310);
    상기 수신한 생체 인증 결과를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로 전달하는 홈쇼핑 연동부(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로부터 수신한 생체 인증 결과를 상기 상품 구매 요청과 연결시키는 구매요청 처리부(520);
    상기 상품 구매 요청 및 상기 생체 인증 결과에 대응하여 홈쇼핑 결제 서버와 결제 연동 처리하는 결제서버 연동부(5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홈쇼핑 방송을 통해 제시된 특정의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요청을 발생시키는 상품구매 요청부(2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앱 연동부(260)는 상기 생체 인증 결과와 함께 상기 상품 구매 요청을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로 더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상기 생체 인증 결과와 함께 상기 상품 구매 요청을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로 더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200)은,
    미리 설정된 리모콘 조작 시퀀스에 의해 사용자 등록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생체인증형 리모콘에 등록하는 생체정보 등록부(230);
    상기 레퍼런스 생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생체정보 저장부(2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510);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는 상품정보 블록체인부(55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상품목록 블록체인부(331);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획득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목록 저장부(341);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구매 희망 상품의 속성이 조합된 필터링 조건을 식별하고, 상기 상품목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상품 정보에 상기 필터링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유사상품을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비교추천 상품 목록으로서 제시하는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500)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구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540);
    상기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서 발생된 구매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는 구매정보 블록체인부(55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에이전트부(3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구매 정보를 상기 홈쇼핑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구매기록 블록체인부(332);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획득한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구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매기록 저장부(34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품검색 비교추천부(350)는 상기 구매기록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홈쇼핑 채널에 대한 구매 정보로부터 상기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각각 관련되어 있는 하나이상의 구매정보 항목을 식별하고 상기 홈쇼핑 유사상품 별로 링크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KR1020180037773A 2018-03-30 2018-03-30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KR10192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73A KR101925147B1 (ko) 2018-03-30 2018-03-30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73A KR101925147B1 (ko) 2018-03-30 2018-03-30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147B1 true KR101925147B1 (ko) 2018-12-04

Family

ID=6466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773A KR101925147B1 (ko) 2018-03-30 2018-03-30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1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7244A (zh) * 2018-12-06 2019-04-05 青岛宇硕云联信息科技有限公司 云手机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711842A (zh) * 2018-12-29 2019-05-03 莆田市烛火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平行链定期汇合的区块链网络的账本记账方法
CN110177109A (zh) * 2019-06-04 2019-08-27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标识密码和联盟链的双代理跨域认证系统
CN110599181A (zh) * 2019-09-26 2019-12-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设备及存储介质
CN110658730A (zh) * 2019-10-21 2020-01-07 陕西理工大学 一种智能家居设备管理辅助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00092448A (ko) * 2019-01-04 2020-08-04 에스케이 주식회사 인공지능 대화형 홈쇼핑 전화 주문 시스템
KR20200128789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상품 프로모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44228B1 (ko) * 2021-08-03 2022-09-16 주식회사 팜듀에이아이 Blt요법에 근거한 인공지능 활용 개인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453A (ja) * 1999-01-19 2000-07-28 Hitachi Ltd 放送受信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及びその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と放送受信装置
KR101436413B1 (ko) 2013-03-06 2014-09-02 조윤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쇼핑 및 구매 시스템 및 방법과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453A (ja) * 1999-01-19 2000-07-28 Hitachi Ltd 放送受信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及びその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と放送受信装置
KR101436413B1 (ko) 2013-03-06 2014-09-02 조윤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쇼핑 및 구매 시스템 및 방법과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7244A (zh) * 2018-12-06 2019-04-05 青岛宇硕云联信息科技有限公司 云手机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587244B (zh) * 2018-12-06 2022-04-19 青岛网信信息科技有限公司 云手机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711842A (zh) * 2018-12-29 2019-05-03 莆田市烛火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平行链定期汇合的区块链网络的账本记账方法
CN109711842B (zh) * 2018-12-29 2021-04-09 西安纸贵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平行链定期汇合的区块链网络的账本记账方法
WO2020141883A3 (ko) * 2019-01-04 2020-10-01 에스케이 주식회사 인공지능 대화형 홈쇼핑 전화 주문 시스템
KR20200092448A (ko) * 2019-01-04 2020-08-04 에스케이 주식회사 인공지능 대화형 홈쇼핑 전화 주문 시스템
KR102212093B1 (ko) * 2019-01-04 2021-02-03 에스케이 주식회사 인공지능 대화형 홈쇼핑 전화 주문 시스템
KR20200128789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상품 프로모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82351B1 (ko) * 2019-05-07 2021-07-28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상품 프로모션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177109A (zh) * 2019-06-04 2019-08-27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标识密码和联盟链的双代理跨域认证系统
CN110599181A (zh) * 2019-09-26 2019-12-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设备及存储介质
CN110658730A (zh) * 2019-10-21 2020-01-07 陕西理工大学 一种智能家居设备管理辅助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444228B1 (ko) * 2021-08-03 2022-09-16 주식회사 팜듀에이아이 Blt요법에 근거한 인공지능 활용 개인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147B1 (ko) 생체인증형 리모콘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홈쇼핑 정보처리 시스템
US20150371303A1 (en) Localized merchant system with alerting to incoming customers' voluntary disclosure
US8744901B2 (en) Comprehensive information market exchange
AU2020220187A1 (en) Method of implementing a loyalty award program
US201102188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the purchase of deliverable goods & services
AU2016284700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US10902400B2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20200089186A (ko) 리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503505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scan-able codes to obtain a service
JP2017224198A (ja) コンテンツ視聴効果測定システム
US20020046139A1 (en) Commerc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commerce information managing method
US20190333117A1 (en) Method for donating content and purchasing donated content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KR20140105059A (ko) 통합 위시리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93916B1 (ko) 유무선 전화망 및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배송시간 결정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22036A1 (ja) データ連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58802A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버디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1659A (ko) 실시간으로 상품이미지를 데이터화 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캡쳐 이미지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8304B1 (ko) 지역가맹점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3544A (ko) 메신저 기반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10662A (ko) Ppl 광고상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74788B1 (ko) 실시간 개별상담 가능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KR20120075621A (ko) 양방향 정보매칭 컨설팅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8965A (ko)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9130A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폐쇄 사용자 그룹에 대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42171A (ko) 가맹점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