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814A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814A
KR20100068814A KR1020080127293A KR20080127293A KR20100068814A KR 20100068814 A KR20100068814 A KR 20100068814A KR 1020080127293 A KR1020080127293 A KR 1020080127293A KR 20080127293 A KR20080127293 A KR 20080127293A KR 20100068814 A KR20100068814 A KR 20100068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ubber
contact terminal
elastic
electrical contact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735B1 (ko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7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 상기 탄성고무의 길이 방향의 외부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탄성고무 코팅층; 및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외부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경사지게 감겨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에 접착되는 유연성 있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표면에 위치한 상기 금속 부재는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고, 이면에 위치한 상기 금속 부재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솔더링 되어, 상기 대상물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고무 및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이 탄성을 제공한다.
전기접촉단자, 탄성, 리플로우 솔더링, 표면실장, 경화, 코팅, 금속 와이어, 전기전도성 필름, 연성 금속 적층필름, FCCL, 기울기, 피치, Pitch, 권취, Spiral winding, 덮임율, Coverage, 커버리지

Description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Solderable Elastic Conductive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인쇄회로기판을 탄성을 갖으며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연결하면서 인쇄회로기판 위에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 특히, 본 발명은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 크림과 리플로우 솔더링(Reflow soldering)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솔더링(Reflow soldering)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전기 전도도가 좋고, 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며 솔더링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로는 미국 고어 사의 미국특허 7,129,421호가 있다. 이 특허에 의하면, 압축 구멍이 형성된 전기전도성 개스킷 재료의 압축 구멍에 접힘 공정(crimp)을 갖는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전도성 지지층이 형성되어, 전기전도성 지지층을 압축구멍에 삽입한 후 접힘을 할때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일본 신에츠 폴리머 사의 국내 공개 번호 특2000-0071258호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도전 세선이 절연성 발포 엘라스 토머의 이면에 형성되지 않아 표면의 전기 전도성을 이면에 제공할 수 없고, 절연 보호 고무판에는 솔더링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서로 인접한 금속 세선들은 각각 절연을 유지하므로 각각의 금속 세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본 발명가가 한국에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 제0783588호 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의 유연성 및 탄성은 탄성고무보다 열악하므로, 상기 내열 폴리머 필름으로 탄성고무의 폭 방향에 이음매 부위가 있게 탄성고무를 연속적으로 감싸면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유연성 및 탄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탄성고무의 치수는 정밀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폭을 가진 상기 내열 폴리머 필름으로 탄성고무를 감싸면 상기 내열 폴리머 필름의 이음매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전기접촉단자 표면의 전기전도성을 여러개의 금속 부재를 통하여 이면까지 신뢰성 있게 제공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부재가 일정한 절연간격을 갖고 사선으로 연속적으로 감겨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이 좋은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 강도와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부재가 탄성고무 코팅층과 접착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이 적은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 강도와 탄성력을 경제성 있게 조정할 수 있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픽업에 의한 표면 실장과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식별표시 없이도 이면과 표면의 구별이 용이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접촉단자의 납오름 현상을 향상시켜 솔더링 강도가 강한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접촉단자의 자중을 증가시키고, 솔더링 면적을 크게하여 리플로우 솔더링 시 움직임이 적은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 상기 탄성고무의 길이 방향의 외부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탄성고무 코팅층; 및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외부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경사지게 감겨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에 접착되는 유연성 있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표면에 위치한 상기 금속 부재는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고, 이면에 위치한 상기 금속 부재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솔더링 되어, 상기 대상물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고무 및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이 탄성을 제공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 및 상기 탄성고무의 외부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경사지게 감기며, 내열 탄성고무 점착제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고무에 접착되는 유연성 있는 금속 부재; 및 상기 탄성고무의 표면에 위치한 상기 금속 부재는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고, 이면에 위치한 상기 금속 부재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솔더링 되어, 상기 대상물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고무가 탄성을 제공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고무는 그 이면의 폭이 표면의 폭보다 크고, 이면과 표면의 일부가 평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나 탄성고무 코팅층의 이면과 금속 부재 사이에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거나, 또는 탄성고무나 탄성고무 코팅층의 표면과 금속 부재 사이에 내열 필름이 개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열 지지대와 내열 필름에는 솔더링 조건을 만족하는 실리콘 점착제가 코팅될 수 있다.
탄성고무는 절연 비발포 실리콘고무일 수 있으며, 탄성고무 코팅층은 전기전도성 또는 전기 비전도성 실리콘고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 부재는 원형의 연성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금속 부재의 외부 면은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도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 부재는 권취(Spiral winding), 니팅(knitting) 또는 편조(brad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감길 수 있다.
또한, 탄성고무나 탄성고무 코팅층과 금속 부재 위에 걸쳐 추가로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이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진공 픽업에 따른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조 및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전기접촉단자의 이면과 표면의 일부는 대략 평면이어서 진공 픽업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
전기접촉단자 표면의 여러 개의 금속 부재는 대향하는 대상물과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며, 동시에 이면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더링된다.
일정한 절연간격을 갖고 사선으로 연속적으로 감긴 유연성 있는 금속 부재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반복된 압축에 대해서도 신뢰성 있는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을 갖는다.
탄성고무 코팅층에 접착된 금속 부재는 외부 힘에서 제공되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또한 탄성 고무 코팅층과 함께 움직인다.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은 전기전도성을 향상 시키고 또한 금속 부재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감소시킨다.
탄성고무 및 탄성고무 코팅층의 재료, 구조 및 치수를 조정하여 전기접촉단자의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을 조정하기가 용이하다.
금속 부재의 재료, 개수, 치수 및 간격을 조정하여 전기접촉단자의 탄성력, 복원력, 유연성, 전기전도도 및 솔더링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금속 부재로 직경이 가는 연성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솔더링 강도가 좋고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
금속 부재로 두께가 얇고 폭이 넓은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 픽업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고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
탄성고무 코팅층과 금속 부재 사이에 내열 지지대 또는 내열 필름 등을 개재 하여 솔더링 강도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열 지지대 및 내열 필름에 내열 점착제를 코팅하여 작업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탄성고무(core; 10), 비발포 탄성고무 코팅층(20) 및 금속 부재(30)가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10); 탄성고무(10)의 길이 방향의 외부 면을 감싸며 탄성고무에 접착되는 비발포 탄성고무 코팅층(20); 및 탄성고무 코팅층(20)의 외부 면에 경사지게 권취되어 탄성고무 코팅층(20)을 연속적으로 감싸며 접착되는 유연성 있는 금속 와이어(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며, 소정의 절연 간격으로 감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100) 표면에 위치한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30)는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탄성 접촉하여 이면의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30)에 전기를 전달해주고, 또한 이면에 위치한 다 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30)는 솔더링이 가능하며, 탄성고무(10)와 탄성고무 코팅층(20)은 솔더링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전기접촉단자(100)에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특히, 탄성고무(10)의 이면이 평면이어서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하고,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이어서 진공 픽업이 용이하다.
또한, 탄성고무(10)의 재료, 구조 및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전기접촉단자(100)의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을 조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직경이 가는 연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30)는 탄성고무 코팅층 위에 일부 매립되게 접착되어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감김으로써 전기접촉단자(100)는 신뢰성 있는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을 갖는다. 즉, 폭 방향을 기준으로 약간 비스듬하게 탄성고무 코팅층(20)에 감긴 연성의 금속 와이어(30)는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힘을 일부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탄성고무 코팅층(20)에 일부분이 매립되어 접착된 금속 와이어(30)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움직임이 적고 또한 탄성고무 코팅층(20)과 함께 움직여 일정한 정도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는다.
또한, 금속 와이어(30)는 금속 자체, 예를 들어 구리 99.9%로 이루어져 전기 저항이 매우 낮고 솔더링이 잘된다. 더욱이 하나의 금속 와이어(30)가 좁은 피치를 갖으며 연속적으로 감기므로 솔더링 후 외부의 힘에 의해 끊어짐이 적다.
또한, 금속 와이어(30)의 직경 및 피치를 조정함으로써 전기접촉단자(100)의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 전기전도성 및 솔더링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가는 금속 와이어(30)의 절연 간격을 조정하여 진공 픽업기에 의한 진공 픽업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고무 코팅층(20)은 실리콘고무 접착제로 이루어져, 경화 후에는 다시 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으므로 솔더링 전후에 신뢰성 있는 접착력 및 유연성을 유지한다.
또한, 솔더링 되는 탄성고무(10) 이면의 폭이 표면의 폭보다 커서 솔더링 강도가 좋고, 더욱이 상하 구별이 용이하여 진공 픽업에 의한 릴 포장과 표면 실장이 용이하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1 탄성고무(10)
전기접촉단자(100)의 최 내부에 위치한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10)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튜브 형상의 비발포 탄성고무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력, 눌리는 힘 또는 크기 등을 고려하여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발포 탄성고무나 비발포 탄성고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기접촉단자(100)의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은 탄성고무(10)의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에 많이 의존하고, 탄성고무(10)의 재료 및 구조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복원속도가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예에서, 탄성고무(10)는 이면과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을 이루고, 이면의 폭이 표면의 폭보다 넓은 튜브 형상의 실리콘고무이고, 치수는 대략 폭 은 2㎜, 높이는 2㎜ 및 길이는 3㎜ 이다.
탄성고무(10)의 재료는 적당한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기 위해 내열 절연 비발포 실리콘고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을 갖으며 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고 또한 약 280℃ 이내에서 실시되는 솔더링에 견디는 탄성고무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 재료의 경도는 Shore A 20 내지 80이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는 압출 공정에 의해 릴 (Reel) 형태로 연속적으로 제조되어 완전 경화된 후 절단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의 이면은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하게 평면을 이루고, 탄성고무(10)의 이면과 양 측면이 만나는 부분은 솔더링 강도가 좋게 가능한 직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의 양 측면은 대칭을 이루며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해 좁아지는 형상을 하여 대향하는 대상물과 신뢰성 있는 전기적 및 기구적 접촉을 이루게 해준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의 상부 양측 모서리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전기접촉단자(100)가 인쇄회로기판 등에 솔더링 된 후 대향하는 대상물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양측 모서리에서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의 이면의 폭이 표면의 폭보다 커서 진공 포장시 상하 구별이 용이하고, 리플로우 솔더링 할 때 바람에 의해 적게 움직이며 또한 솔 더링 강도가 좋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0)의 내부 또는 이면에 탄성고무(10)의 자중을 늘이기 위하여 또는 리플로우 솔더링 수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탄성고무(10)를 압출할 때,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금속 판이나 금속 와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1.2 탄성고무 코팅층(20)
탄성고무 코팅층(20)은 탄성고무(10)와 금속 와이어(30)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고무(10)와 금속 와이어(30)를 신뢰성 있게 탄성을 갖고 접착시킨다.
이 실시 예에서는, 탄성고무 코팅층(20)은 열에 의해 경화되는 실리콘고무 코팅층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솔더링 온도를 견디며 솔더링 전,후에 접착력을 유지하는 내열 탄성고무 점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고무 코팅층(20)은 한번 경화 후 열에 의해 다시 용융되지 않으므로 솔더링 전후에 접착력을 유지하며 항시 탄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금속 와이어(30)의 일부 면은 탄성고무 코팅층(20)에 신뢰성 있게 매립되어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 코팅층(20)의 경도는 Shore A 20 내지 60이며 두께는 약 0.02 내지 0.2㎜ 이다.
이 실시 예에서, 탄성고무 코팅층(20)은 비발포 절연 탄성고무 코팅층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비발포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일 수 있다. 탄성고무 코팅층(20)이 비발포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인 경우, 전기접촉단자(100)의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며, 더욱이 표면에서 이면으로 연결되는 금속 와이어(30)에서 발 생하는 전자파(EMI)를 감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은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금속 파우더를 중량 대비 50% 이상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 코팅층(20)은 액상 실리콘고무가 경화에 의해 형성되며,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열에 의해 완전 경화하는 타입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신뢰성 있는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접착력 강화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접착하려는 대상물 즉, 탄성고무(10) 또는 금속 와이어(30)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의 실시 예인 도 1을 참조하면, 탄성고무 코팅층(20)은 탄성고무(10)와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30) 사이에 개재되어 솔더링 전,후에 탄성고무(10)와 금속 와이어(30)를 탄성을 갖고 접착시킨다.
1.3 금속 와이어(30)
이 실시 예에서, 전기접촉단자(100)의 최 외부면에는 연성의 구리 재질의 금속 와이어(30)가 감기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좁은 폭과 얇은 두께를 가지며, 유연성이 있고 솔더링 온도를 견딜 수 있는 금속 부재, 예를 들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가령, 연성 금속 적층필름(FCCL) 또는 구리 와이어가 매우 가는 내열 폴리머 실에 감싼 복합 금속 와이어일 수도 있다.
금속 와이어(30)는 권취(Sprial winding), 니팅(knitting) 또는 편조(Braiding)에 의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감길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금속 와이어(30)는 연성 구리 와이어이고, 직경은 0.03 내지 0.12㎜ 이다. 또한 금속 와이어(30) 대신에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가 적용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30)의 외부는 부식 방지 및 솔더링 강도를 좋게 하기 위해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가 도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30)의 경사진 각도는, 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30)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으로 감겨 탄성고무 코팅층(20)에 일부 매립되어 접착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움직임이 적고 또한 탄성고무 코팅층(20)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솔더링 강도가 좋게 또한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촉을 위해, 금속 와이어(30) 직경의 1/3 이상은 탄성고무 코팅층(20)에 매립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30)는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서로 접촉하면서 감길 수 있고 또는 일정한 절연 간격을 갖고 감길 수 있다. 금속 와이어(30) 사이의 절연 간격이 넓으면 탄성 복원력이 좋고, 절연 간격이 좁으면 솔더링 강도가 좋다.
이와 같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사선의 기울기를 가지며 연속적으로 접착되어 감긴 여러 가닥의 연성의 금속 와이어(30)는, 금속 와이어(30) 표면의 전기전도성을 이면까지 신뢰성 있게 제공해 주며 또한 금속 와이어(30)의 이면에는 솔더링이 된다. 또한 금속 와이어(30)는 탄성고무(10)와 탄성고무 코팅층(20)에 의해 물리적으로 보호되면서 적당한 탄성을 갖는다.
1.4 전기접촉단자(100)의 제조방법
이하 상기의 전기접촉단자(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면과 표면의 일부가 평면을 이루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경화된 탄성고무(10)를 열 경화성 액상의 탄성고무 코팅액, 예를 들어 액상의 실리콘고무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탄성고무(10) 위에 액상의 탄성고무 코팅액을 얇게, 예를 들어 0.03㎜ 두께로 코팅한 후, 연속적으로 고온을 통과하면서, 예를 들어 100℃에서 20초 정도, 액상의 탄성고무 코팅액 표면을 일부 경화시켜 액상의 탄성고무 코팅액의 표면이 손으로 만질 때는 끈적거림이 없고, 내부는 끈적거림을 갖게 한다.
이후, 직경이 0.08㎜인 주석이 도금된 연성 구리 와이어를 권취기(Spiral Winder)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탄성고무 코팅층 위에 권취하여 감는다.
이때, 구리 와이어는 일정한 피치를 갖으며 감기므로 구리 와이어는 일정한 각도의 사선을 가지며 연속적으로 감기게 된다.
바람직하게, 구리 와이어를 감는 각도 및 덮임율은 탄성 전기접촉단자(100)의 탄성력 및 솔더링 강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외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전기접촉단자(100)에 힘을 가했다가 힘을 제거할 때, 전기접촉단자(100)가 신뢰성 있게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이때, 탄성고무(10)와 탄성고무 코팅층의 경도는 구리 와이어(30) 보다 매우 낮으므로, 금속 와이어(30)를 힘을 주어 감으면, 구리 와이어(30)는 일부 경화된 탄성고무 코팅층에 완전 매몰되어 감겨 구리 와이어는 전기 절연된 상태가 되므로 적당한 힘으로 감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구리 와이어의 일부 면은 탄성고무 코팅층에 매립되고, 나머지 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감긴다.
바람직하게, 구리 와이어의 직경 1/3 이상은 탄성고무 코팅층에 매립되지 않는다.
이후, 탄성고무 코팅층 위에 구리 와이어의 일부가 매립되어 감긴 채로 오븐을 통과시켜 일부 경화된 탄성고무 코팅층을 완전 경화하면, 일부 경화된 탄성고무 코팅층은 완전히 경화된 탄성고무 코팅층(20)이 되면서 금속 와이어(30)와 탄성고무(10)를 접착한다.
이후, 절단기를 사용하여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한다.
이후, 도 1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접촉단자(100)의 양단의 금속 와이어(30)가 풀리지 않도록 솔더링 처리를 할 수 있다.
이후, 절단된 전기접촉단자(100)를 진공 포장기를 이용하여 릴 테이핑(Reel taping)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전기접촉단자(100)에 의하면, 탄성고무 코팅층(20)의 표면에 위치한 금속 와이어(30)는 대향 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하고, 이면에 위치한 금속 와이어(30)는 인쇄회로기판 위에 솔더링 되어, 대상물과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탄성고무 및 탄성고무 코팅층은 탄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전기접촉단자(100)는 이면이 평면이고, 표면의 일부도 평면이어서, 진공 픽업에 의한 솔더 크림과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
2. 제 2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10)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서 전기접촉단자(100)의 표면의 일부에서 금속 와이어(30)가 넓은 피치를 갖고 감기며, 이 부분에서는 탄성고무 코팅층(20)이 외부로 많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많이 노출된 탄성고무 코팅층 부분(21)은 전기접촉단자(110)의 진공픽업을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
바람직하게, 전기접촉단자(110) 표면의 부분(21)의 크기는 진공픽업을 하는 노즐의 내경보다 크다.
탄성고무 코팅층 부분(21)의 형성방법은, 금속 와이어(30)를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권취하여 감을 때 일정한 도구를 사용해 해당 부분(21)에서 금속 와이어(30)의 피치를 조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3. 제 3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2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고무 코팅층(20)의 이면과 금속 와이어(10) 사이에 전 기접촉단자(12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시트 형상의 내열 지지대(40)가 개재된다.
내열 지지대(40)의 폭은 탄성고무 코팅층(20)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열 지지대(40)는 금속 시트이거나 솔더링에 견디는 내열 폴리머 시트일 수 있으며, 두께는 대략 0.02 내지 0.3㎜ 사이일 수 있다.
내열 지지대(40)의 표면이나 이면에는 솔더링에 견디는 내열 실리콘 점착제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이면에서 내열 지지대(40)에 의하여 금속 와이어(30)가 탄성고무 코팅층(20)에 매립되지 않아, 더욱 신뢰성 있는 전기전도성 및 솔더링 강도를 제공한다.
또한, 내열 지지대(40)에 의해 전기접촉단자(120)의 이면이 더욱 신뢰성 있게 수평을 이루어 리플로우 솔더링의 수율이 좋다.
또한, 내열 지지대(40)가 금속 시트인 경우, 금속 시트가 구비한 강도에 의해 더욱 강한 솔더링 강도를 갖는다.
또한, 내열 지지대(40)에 의해 전기접촉단자의 하부 양측 모서리의 각을 직각에 가깝도록 신뢰성 있게 형성함으로써 납 오름성을 향상시켜 솔더링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내열 지지대(40) 자체의 무게에 의해 전기접촉단자(120)의 자중을 증가시켜 리플로우 솔더링 시 움직임을 적게 해준다.
또한, 내열 지지대(40)의 표면이나 이면에 코팅되는 내열 실리콘 점착제에 의해 작업성이 용이하다.
형성방법을 보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금속 와이어(30)를 감을 때, 탄성고무 코팅층(20)의 이면에 내열 지지대(40)를 위치시키고 금속 와이어(30)를 감는다.
4. 제 4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3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고무 코팅층(20)의 표면과 금속 와이어(30) 사이에 전기접촉단자(130)의 폭 방향의 일부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시트 형상의 내열 필름(50)이 개재된다.
바람직하게, 내열 필름(50)은 두께가 0.05㎜ 이하인 금속층이 형성된 연성 금속 적층기판(FCCL), 폴리이미드 또는 테프론 등의 내열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열 필름(50)의 표면과 이면에는 내열 실리콘 점착제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내열 필름(50)에 의하여 금속 와이어(30)는 표면의 탄성고무 코팅층(20)에 매립되지 않아 대향하는 대상물과 더욱 신뢰성 있는 전기접촉을 제공한다.
또한, 내열 필름(50)이 전기전도성인 경우 전기접촉단자(130)는 더욱 좋은 전기전도성을 갖는다.
또한, 내열 필름(50)의 내열 실리콘 점착제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다.
형성방법을 보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금속 와이어(30)를 사선으로 권취하여 감을 때, 탄성고무 코팅층(20)의 표면에 내열 필름을 삽입하면서 감는다.
5. 제 5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40)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수 가닥의 금속 와이어 쌍(31, 32, 33)은 일정한 경사각과 피치로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권취되어 감긴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 쌍(31, 32, 33)은 2가닥 이상이고, 직경과 재질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직경이 가는 단선의 금속 와이어(30)를 사용하여 감는 것에 비해 작업속도가 매우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도 5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 전기접촉단자(140)의 절단 부위는 절단된 금속 와이어 쌍(31, 32, 33)이 풀리지 않게 솔더링 처리 등을 한다.
형성방법을 보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금속 와이어 쌍(31, 32, 33)을 단일의 금속 와이어로 가정하여 권취하여 감을 수 있다.
6. 제 6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50)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금속 와이어(30) 대신에,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이 권취에 의해 일정한 경사각과 피치를 갖고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접착되게 감긴다.
이때,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의 금속층은 반드시 전기접촉단자(15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감긴다.
바람직하게,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은 전기접촉단자(150)의 유연성 및 작업성을 위하여 두께가 0.08㎜ 이하이고 폭은 3㎜ 이하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은 솔더링이 가능한 연성 적층기판(FCC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열 폴리머 필름(35)은 폴리이미드(Polyimid)이고, 금속층은 구리가 주성분으로 구리의 외부에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가 도금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의 전기저항은 0.1ohm 이하이고 솔더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 또는 금속 박은 두께가 얇고 비교적 폭이 넓기 때문에 유연성이 좋고 전기접촉단자(150)의 탄성력, 복원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권취에 의해 일정한 절연 간격을 갖고 경사지게 사선으로 감기므로, 유연성이 좋고, 작은 치수의 제품이라도 제조하기 용이하다.
또한, 단선의 금속 와이어(30)보다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의 폭은 매우 넓으므로 작업 속도가 빠르다.
또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의 표면은 매끄러워 진공 픽업이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고무(10) 위에 탄성고무 코팅층(20)의 역할을 하는 내열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을 연속하여 경사지게 감을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접촉단자(150)는 탄성고무(10)의 외부면 전부에 탄성고무 코팅층(20)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의 이면에만 내열 탄성고무 점착제(21)가 형성되어, 탄성고무 코팅층(20)의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고무 점착제(21)는 탄성고무 코팅층(20)과 같이 열 경화에 의해 접착하는 것은 아니나, 솔더링 조건을 만족하면서, 솔더링 전, 후에 점착력을 유지하고 또한 탄성 및 유연성을 가지므로 탄성고무 코팅층(20)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 점착제(21)는 그 두께가 0.02 내지 0.08㎜일 수 있고, 내열 실리콘고무 점착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탄성고무 코팅층(20)을 탄성고무(10) 위에 형성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생산성이 좋고, 신뢰성 있는 전기접촉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덧붙여, 탄성고무(10)의 이면에 내열 지지대(40)인 금속 시트를 위치시킨 후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 름(35)을 연속하여 경사지게 감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는 금속 시트에 의하여 더욱 좋은 솔더링 강도를 갖고 또한 리플로우 솔더링 수율이 좋다.
형성방법을 보면, 탄성고무 코팅층(20) 위에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을 경사지게 감거나, 또는 탄성고무(10) 위에 내열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을 경사지게 감는다.
이때, 금속 와이어(30)에 비해 비교적 폭이 넓은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이 감기므로, 감기는 과정에서 내열 폴리머 필름(35)의 일부분은 주기적으로 주름이 잡히나, 내열 폴리머 필름의 두께가 비교적 얇으므로 일정한 지그를 통과하면서 주름을 최소화시키며 제조한다.
7. 제 7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60)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이나 금속 박이 내부가 충진된 탄성고무(11) 위에 일정한 경사각으로 연속적으로 감겨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1)는 비발포 절연 탄성고무이고 경도는 Shore A 50 내지 80이며, 탄성고무(11)의 폭과 높이는 3㎜ 이하의 비교적 작은 제품이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11)의 이면과 표면의 일부는 평면을 이루며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하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의 폭은 1.5㎜ 이내이고 두께는 0.04㎜ 이내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내부가 충진되고 경도가 높은 탄성고무(11)는 누르는 힘이 많이 들고 또한 복원력이 좋기 때문에, 전기접촉단자(160)가 빠른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7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구조에 덧붙여, 탄성고무(11)의 이면에 내열 지지대인 금속 시트를 위치시킨 후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을 감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는 금속 시트에 의해 더욱 좋은 솔더링 강도를 갖고 또한 리플로우 솔더링 수율이 좋다.
형성방법은, 상기의 제 6 실시 예와 동일하다.
8. 제 8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70)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기접촉단자(170)의 탄성고무(11)와 그 위에 경사지게 감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을 감싸도록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22)이 추가로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 대신에 금속 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 코팅층(22)의 재료는 전기전도성 실리콘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내면에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탄성고무(11) 위에 경사지게 감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에 의해 전기접촉단자(100)에 탄성력, 복원력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접촉단자(170)의 외면을 구성하는 탄성고무 코팅층(22)은 대향하는 대상물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탄성 접촉한다.
또한, 전기접촉단자(170)의 외면에 형성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탄성고무 코팅층(22)에 의해 진공 픽업이 용이하다.
여기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과 탄성고무(11) 사이에는 탄성고무 점착제(21)가 개재되지 않고, 이들을 감싸는 탄성고무 코팅층(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9. 제 9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180)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고무(11) 이면에 내열 지지대(40)인 금속 시트를 위치시킨 후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으로 권취하여 감은 후, 전기접촉단자(170)의 양 측면과 표면에서 탄성고무(11)와 그 위에 경사지게 감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을 감싸도록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22)이 추가로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 대신에 금속 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고무 코팅층(22)의 재료는 전기전도성 실리콘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내면에 탄성고무 점착제(21)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탄성고무(11) 이면에 설치된 내열 지지대(40)인 금속 시트에 의하여 더욱 좋은 솔더링 강도를 갖고 또한 리플로우 솔더링 수율이 좋다.
또한, 탄성고무 코팅층(22)은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을 더욱 안정적으로 탄성고무(11)에 접착시켜주고 또한 외부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기접촉단자(170)의 표면에 형성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탄성고무 코팅층(22)에 의해 진공 픽업이 용이하다.
또한, 전기접촉단자(170)의 이면에는 탄성고무 코팅층(22)이 형성되지 않고, 내열 지지대(40)이 금속 시트가 위치함으로써 솔더링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과 탄성고무(11) 사이에는 탄성고무 점착제(21)가 개재되지 않고, 탄성고무 코팅층(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정한 체적을 갖고 이면과 표면의 일부가 평면인 탄성고무(11)를 릴 상태로 준비한 후, 탄성고무(11)의 이면에 금속 시트의 내열 지지대(40)를 넣고 권취기를 사용하여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을 사선의 기울기를 갖게 권취하여 감는다.
이후, 표면과 양 측면에서 탄성고무(11)와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35) 위에만 액상의 전기전도성 실리콘고무를 디핑하여 코팅하는데, 이를 위해 솔더링이 되는 이면에는 보호 테이프를 사용하여 액상의 실리콘고무가 코팅되지 않게 한다.
이후, 액상의 실리콘 고무 액을 열 경화시킨다.
이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진공 픽업에 의해 릴 포장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전기접촉단자(100)가 본 발명의 제 2 내지 9 실시 예의 구조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고 또한 여러 실시 예를 동시에 조립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Claims (18)

  1.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
    상기 탄성고무의 길이방향의 외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탄성고무 코팅층; 및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외면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감겨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에 접착되는 유연성 있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무와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에 의해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2. 일정한 체적을 갖는 탄성고무; 및
    상기 탄성고무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감기는 유연성 있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고무에 의해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내열 탄성고무 점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탄성고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이면과 상기 금속 부재 사이에 솔더링 가능한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표면과 상기 금속 부재 사이에 내열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의 이면과 상기 금속 부재 사이에 솔더링 가능한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고무의 표면과 상기 금속 부재 사이에 내열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내열 지지대는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는 절연 비발포 실리콘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은 전기전도성 또는 전기 비전도성 실리콘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원형의 연성 금속 와이어,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 또는 금속 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과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추가로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1.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와 상기 금속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추가로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외부 면은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금속 와이어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1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권취(Spiral winding), 니팅(knitting) 또는 편조(brading)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 코팅층의 이면과 상기 금속 부재 사이에 솔더링 가능한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는 경우, 상기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지 않은 부분을 덮도록 추가로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의 이면과 상기 금속 부재 사이에 솔더링 가능한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는 경우, 상기 내열 지지대가 개재되지 않은 부분을 덮도록 추가로 전기전도성 탄성고무 코팅층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18. 청구항 1, 2, 4, 5, 16, 또는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080127293A 2008-12-15 2008-12-15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1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93A KR101018735B1 (ko) 2008-12-15 2008-12-15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93A KR101018735B1 (ko) 2008-12-15 2008-12-15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814A true KR20100068814A (ko) 2010-06-24
KR101018735B1 KR101018735B1 (ko) 2011-03-04

Family

ID=4236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293A KR101018735B1 (ko) 2008-12-15 2008-12-15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7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88B1 (ko) * 2011-05-31 2013-02-01 김선기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00029B1 (ko) * 2010-09-15 2014-05-28 김선기 탄성 부재 및 탄성고무 개스킷
WO2016153116A1 (ko) * 2015-03-23 2016-09-29 조인셋 주식회사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13956A (ko) * 2015-03-23 2016-10-04 조인셋 주식회사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87B1 (ko) * 2020-01-23 2021-06-30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개스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223Y1 (ko) * 2005-05-24 2005-09-01 조인셋 주식회사 압접형 전기 커넥터
KR100839893B1 (ko) * 2008-03-07 2008-06-19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29B1 (ko) * 2010-09-15 2014-05-28 김선기 탄성 부재 및 탄성고무 개스킷
KR101228888B1 (ko) * 2011-05-31 2013-02-01 김선기 탄성단자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6153116A1 (ko) * 2015-03-23 2016-09-29 조인셋 주식회사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13956A (ko) * 2015-03-23 2016-10-04 조인셋 주식회사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5990728A (zh) * 2015-03-23 2016-10-05 卓英社有限公司 提高耐环境性的弹性电接触端子及其制造方法
US10128584B2 (en) 2015-03-23 2018-11-13 Joinset Co., Ltd. & Sun-Ki Kim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with improved environmental resistan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105990728B (zh) * 2015-03-23 2019-12-27 卓英社有限公司 提高耐环境性的弹性电接触端子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735B1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253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JP4733752B2 (ja)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KR100839893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0428000Y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 접촉단자
KR100892720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84282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54251B1 (ko)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JP4427565B2 (ja)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US20120026659A1 (en) Ceramic chip assembly
KR101022037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01354B1 (ko)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10093258A (ja) セラミックチップアセンブリ
KR101018735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297369B1 (ko) 전기적 성능을 갖는 적층구조의 탄성고무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5792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6121583B2 (ja) 弾性電気接触端子
KR101178869B1 (ko) 전자파 차폐 가스켓
KR200442294Y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46765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52948B1 (ko) 납땜이 가능하고 탄력성을 갖는 전기전도성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07809012A (zh) 适合于低高度的无芯弹性电接触端子
KR101400029B1 (ko) 탄성 부재 및 탄성고무 개스킷
KR20100041975A (ko) 표면 실장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591658B1 (ko)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KR20170135626A (ko)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