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223Y1 - 압접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압접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223Y1
KR200394223Y1 KR20-2005-0016328U KR20050016328U KR200394223Y1 KR 200394223 Y1 KR200394223 Y1 KR 200394223Y1 KR 20050016328 U KR20050016328 U KR 20050016328U KR 200394223 Y1 KR200394223 Y1 KR 200394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insulating
polymer film
insulating polymer
electrically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6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2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전기절연 탄성체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압접형 전기 커넥터{Press-contact typed electric connector}
본 고안은 압접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을 상호접속시키거나 또는 회로기판들 간을 상호 접속시키는데 사용되는 압접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압접형 전기 커넥터의 종류는 다양하나,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와 회로기판을 상호 접속시키거나 또는 회로기판들 간을 상호 접속시키는데 "U"자형 금속선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00-722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의 요지를 살펴보면, 단면이 대략 "U"자형인 주상(columnar shape)으로 형성된 절연성 발포 엘라스토머와; 절연성 발포 엘라스토머의 외주면을 감싸고, 단면이 대략 "U"자형인 절연성 고무판과; 절연성 고무판 상에 대략 "U"자형으로 고정되고, 절연성 발포 엘라스토머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방향을 향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열배열하는 다수의 도전세선을 포함하고, 절연성 발포 엘라스토머의 양단면은 절연성 노출면으로 각각 형성되며, 절연성 발포 엘라스토머의 외주면의 잔여부분상에 노출상태로 고경도의 절연보호 고무판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여러 가지의 단점이 발생한다.
먼저, 구조적으로 탄성체인 절연성 고무판 위에 도전세선이 형성되므로 변형억제 고무판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변형억제 고무판을 적용하더라도 강한 접촉력이 가해질 때에는 탄성체의 변형으로 도전세선 사이의 피치가 불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대향물과 마찰시 도전세선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전세선의 50% 정도가 탄성체 내부에 매설되어야 하므로 탄성체는 외부의 힘으로 쉽게 변형되도록 경도가 낮기 때문에 대향물과의 물리적 마찰이 수 회 반복됨으로써 탄성체가 마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전세선은 일정한 피치를 가질 수는 있으나, 여러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도전세선을 회전드럼 또는 기타의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배열하므로, 배열의 특성상 폭과 피치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형억제 고무판 등의 적용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면서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도록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여러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고, 미세한 폭과 피치를 구현할 수 있는 압접형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압접형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 예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전기절연 탄성체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도전패턴은,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위에 스퍼터링이나 도금으로 금속박을 형성하고 금속박을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전기절연 탄성체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 및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체층의 표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도전패턴은,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체층 위에 금속박을 접착하고, 금속박을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전기절연 탄성체의 하나의 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는 전기절연 탄성체의 하나의 측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상면에 도전패턴을 덮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보강용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보다 좁은 폭으로 접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전기절연 탄성체의 전체 표면들을 감싸는 탄성 접착제층; 접착제층의 어느 한 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표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 및 탄성 접착제층의 어느 한 측면에 전기도전패턴들과 이격되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접착되는 표면실장용 금속박을 포함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전기절연 탄성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포되는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 전기절연 탄성체와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을 감싸고 전기절연 탄성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표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탄성체는 발포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체에는 페라이트 파우더 또는 연자성 금속파우더가 분산 혼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대상은 "대상물"이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10)의 표면에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이 접착되고,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표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기도전패턴들(22)이 배열된다.
이 전기커넥터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 대상물들이 가압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도전패턴들(22)의 패턴 피치는 각 대상물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기절연 탄성체(10)로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바람직하게 실리콘고무 스폰지가 적용될 수 있고,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가 적용되며, 바람직하게 대략 3-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절연 탄성체(10)로 발포 탄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전기절연 탄성체(10)내에는 페라이트나 연자성 금속파우더가 분산 혼합될 수 있다. 혼합되는 페라이트나 연자성 금속파우더의 양은 전기절연성을 유지하는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페라이트 파우더는 니켈/망간이나 아연/마그네슘일 수 있으며, 연자성 파우더는 니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우더의 크기는 1 내지 30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라이트나 연자성 금속파우더를 분산 혼합함으로써, 전극패턴들(22) 사이에 발생하는 전파의 상호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기절연 탄성체(10) 자체가 전파흡수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은 전기절연 탄성체(10)의 경화 또는 발포 경화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전기절연 탄성체(10)에 접착된다.
이와 달리,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은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40)을 개재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40)은 액상의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를 열경화 또는 습기경화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기절연 탄성체(10)와 전기도전패턴(22)이 형성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을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제작하고 이들을 접착시키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도전패턴들(22)은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 위에 구리 등의 금속을 스퍼터링이나 도금으로 형성한 후, 원하는 패턴으로 에칭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형성되는 전기도전패턴의 두께가 3㎛ 이하인 경우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반면에 전기도전패턴의 두께가 8㎛ 이상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과 같은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30)을 형성하고,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30) 위에 금속박을 접착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하여 전기도전패턴(22)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도전패턴(22) 위에는 금(Au) 등이 도금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도전패턴들(22)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 위에 형성되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에 의해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신축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이에 따라 전기도전패턴들(22)의 피치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변형억제고무판 등을 적용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대상물과 접촉되는 면이 종래와 같이 탄성체가 아니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낮아 마모가 되지 않는다.
특히, 에칭에 의해 전기도전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패턴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폭과 피치를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 대상물들이 가압 접촉하기 때문에 전기도전패턴들(22)의 패턴 피치는 각 대상물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일측면(여기서는 하부면)을 제외한 외표면을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이 감싸서 접착된다. 따라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은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룬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이 더 많은 면적에서 전기절연 탄성체(10)에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면적의 증가에 비례하여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신축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이 더욱 억제되므로, 이에 따라 전기도전패턴들(22)의 피치가 더욱 변형되지 않는다.
전기도전패턴(22)은 접촉하는 대상물에 대응하는 피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하나의 대상물과 접촉하는 전기도전패턴(22)은 길이 L1을 갖는데 비해, 다른 하나의 대상물과 접촉하는 전기도전패턴(22)은 L1보다 짧은 길이 L2를 갖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양단부는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일측면(여기서는 하부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상물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누를 때,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양단부는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일측면(여기서는 하부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 전기절연 탄성체(10) 부분이 누르는 힘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양단부가 눌려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기둥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외표면은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40)에 의해 감싸지고, 이 접착제층(40)의 일측면(여기서는 하부면)을 제외한 부분에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이 접착되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외표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기도전패턴들(22)이 배열된다.
또한, 탄성 접착제층(40)의 일측면(즉, 하부면)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표면실장용 금속박(50)이 접착되며, 전기도전패턴들(22)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된다.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40)은 액상의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를 열경화 또는 습기경화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표면 실장용 금속박(50)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 등에 표면실장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상부면의 일부에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60)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일단에서 타단으로 보강용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60)이 접착되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 자체가 변형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양측 단부는 전기절연 탄성체(10)의 폭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도전패턴들의 일부(14)는 연장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a) 위에 연장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전기도전패턴들(22) 중에, 예를 들어, 접지패턴(14)을 전기절연 탄성체(10)의 하부면까지 연장하여,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기둥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상면과 하면은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40)에 의해 코팅되고, 이 접착제층(40)을 포함하여 전체 외측면에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이 접착되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외측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전기도전패턴들(22)이 배열된다. 따라서,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양 측면과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은 접착이 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를 이룬다.
도 10(b)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상부와 하부에 대상물들이 각각 접촉되어 압력이 가해지면, 전기절연 탄성체(10)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은 곡면을 이루면서 양 측면과 큰 간격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대상물에 의해 전기절연 탄성체(10)가 눌려질 때, 도 1과 같이 양 측면에 접착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이 꺽여 그 위의 전기도전패턴(22)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10)의 폭을 아주 작게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에 의해 대상물과 전기도전패턴들(22)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를 실제 적용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10)의 일부가 분리되어 더미(dummy) 전기절연 탄성체(110)를 구성하며, 더미(dummy) 전기절연 탄성체(110)는 전기절연 탄성체(10)에 결합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글래스 기판(100)과 FPC(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절연 탄성체(10)의 내면에는 전기절연성 탄성접착제(40), 전기절연성 폴리머 필름(20)이 순차로 적층되고,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전기도전패턴들(22)이 배열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일방향(여기서는 좌측방향)으로, 예를 들어, LCD 모듈의 글래스 기판(100)의 단자부를 삽입하고, 이에 직교하는 방향(여기서는 상부방향)으로 FPC(200)의 단자부를 삽입한 후, 더미(dummy) 전기절연 탄성체(110)를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더미 전기절연 탄성체(110)와 전기절연 탄성체(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적절한 고정구를 이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를 실제 적용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커넥터가 이용될 수 있다.
최외부에 "ㄷ"자형으로 감싸는 플라스틱 하우징(50)은 내부의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호부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절연 탄성체(10)는 경화되면서 한 면이 플라스틱 하우징(50) 내면에 부착되고, 다른 면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이면에 부착된다.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표면에는 핫멜트 접착제 등과 같은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30)이 형성되고, 이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30) 위에 전기도전패턴들(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도전패턴들(22)은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30)을 따라 "ㄷ"자 형태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상부 전기도전패턴(22)과 접촉하도록 LCD 모듈의 글래스 기판(100)의 단자부를 삽입하고, 하부 전기도전패턴(22)과 접촉하도록 FPC(200)의 단자부를 삽입한 후, 더미(dummy) 전기절연 탄성체(110)를 이들 사이에 끼워 고정시킨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를 실제 적용하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전기도전패턴들(미도시)과 LCD 모듈의 글래스 기판(100)의 단자부 및 FPC(200)의 단자부가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 하우징(60)을 끼워 접촉상태를 고정시킨다.
이 예에 따르면, 더미 전기절연 탄성체가 별도로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 제조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전기절연성 탄성접착제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형상의 금형 내에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전기도전패턴이 형성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을 장착하고, 액상의 탄성고무를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전기도전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넣은 후 경화 또는 발포 경화시킨다.
이때, 액상의 탄성고무가 경화되면서, 전기도전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부착되어 자연적으로 접착되어 최종적으로 제품이 완성된다. 이때, 경화조건은 사용되는 탄성고무의 종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절연 탄성체에 액상의 전기절연 비발포용 탄성 접착제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이 위에 전기도전패턴이 형성된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열이나 습기 경화 공정을 수행한다.
액상의 탄성 접착제는 경화되어 전기절연 탄성체와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을 단단하게 부착시킨다.
이때,사용되는 탄성 접착제는 탄성체와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과의 부착강도가 좋은 실란(sila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를 중심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면서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전기도전패턴들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위에 형성되어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에 의해 전기절연 탄성체의 신축이나 뒤틀림 등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이에 따라 전기도전패턴들의 피치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상물과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대상물과 접촉되는 면이 종래와 같이 탄성체가 아니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낮아 마모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도전패턴을 에칭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여러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고, 미세한 폭과 피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표면 실장용 금속박을 이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등에 표면실장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다.
또한, 도전패턴들 중에 접지패턴과 같이 원하는 도전패턴에만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인쇄회로기판 등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변형된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를 실제 적용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전기커넥터를 실제 적용하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Claims (14)

  1. 압접형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위에 스퍼터링이나 도금으로 금속박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박을 에칭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3. 압접형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 및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체층의 표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체층 위에 금속박을 접착하고, 상기 금속박을 에칭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은 상기 전기절연 탄성 접착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 위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6. 압접형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하나의 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표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양측 가장자리는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상기 하나의 측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상면에 상기 도전패턴을 덮도록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보강용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이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보다 좁은 폭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9. 압접형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전체 표면들을 감싸는 탄성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의 어느 한 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표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 및
    상기 탄성 접착제층의 어느 한 측면에 상기 전기도전패턴들과 이격되도록 상기 일단에서 타단으로 접착되는 표면실장용 금속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10. 압접형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사각기둥 형상의 전기절연 탄성체;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포되는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와 전기절연 탄성 접착제층을 감싸고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에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표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11. 단면이 "ㄷ"자 형상인 기둥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한 면이 부착되는 전기절연 탄성체;
    상기 전기절연 탄성체의 다른 면에 한 면이 접착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다른 면에 형성되는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의 내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전기도전패턴들; 및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제 1 및 제 2 대상물의 단자부가 각각 상기 전기도전패턴들 중 상기 전기절연 폴리머 접착제층이 양 측에 형성되는 전기도전패턴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물의 단자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더미 전기절연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어셈블리.
  12.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제 1 및 제 2 대상물의 단자부가 제 1 항의 압접형 전기커넥터의 전기절연 폴리머 필름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전기도전패턴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대상물의 단자부와 상기 전기커넥터를 수납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접형 전기커넥터 어셈블리.
  13. 제 1 항, 제 3 항, 제 6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발포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압접형 커넥터.
  14. 제 1 항, 제 3 항, 제 6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는 페라이트 파우더 또는 연자성 금속파우더가 분산 혼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압접형 커넥터.
KR20-2005-0016328U 2005-05-24 2005-06-08 압접형 전기 커넥터 KR200394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328U KR200394223Y1 (ko) 2005-05-24 2005-06-08 압접형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670 2005-05-24
KR20-2005-0016328U KR200394223Y1 (ko) 2005-05-24 2005-06-08 압접형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223Y1 true KR200394223Y1 (ko) 2005-09-01

Family

ID=4369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328U KR200394223Y1 (ko) 2005-05-24 2005-06-08 압접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22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38B1 (ko) 2008-06-09 2009-03-12 조인셋 주식회사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WO2010134734A3 (ko) * 2009-05-18 2011-03-03 두성산업주식회사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101018735B1 (ko) * 2008-12-15 2011-03-04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514919B1 (ko) * 2014-02-25 2015-04-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58846B1 (ko) * 2020-01-15 2021-06-01 조인셋 주식회사 압접형 전기 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38B1 (ko) 2008-06-09 2009-03-12 조인셋 주식회사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18735B1 (ko) * 2008-12-15 2011-03-04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WO2010134734A3 (ko) * 2009-05-18 2011-03-03 두성산업주식회사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101054251B1 (ko) 2009-05-18 2011-08-08 두성산업 주식회사 기판 표면 실장용 도전성 접촉 단자
KR101514919B1 (ko) * 2014-02-25 2015-04-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와 리셉터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58846B1 (ko) * 2020-01-15 2021-06-01 조인셋 주식회사 압접형 전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3752B2 (ja)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KR100600688B1 (ko) 이방성 도전체, 표시 장치,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도전성 부재
US77149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848255B1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oring the same
US7537459B2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EP1895585A2 (en) Chip film package and display panel assembly having the same
CN217721588U (zh) 层叠体
CN103140052B (zh) 电子模块
KR200394223Y1 (ko) 압접형 전기 커넥터
US4993958A (en) High density planar interconnect
KR200390440Y1 (ko)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
JP5374510B2 (ja) 接続端子、コネクタ、ソケット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
KR200442294Y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876292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0999545A (zh) 柔性印刷电路板
KR20220071981A (ko) 시트 커넥터, 시트 세트, 전기 검사 장치 및 전기 검사 방법
KR101759713B1 (ko) 전기접촉단자
JP2011253979A (ja) 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配線板接続体及び電子機器
US10426029B1 (en) Micro-pad array to thread flexible attachment
JP5006162B2 (ja) 電気接続部材
JP5113101B2 (ja) 電気回路の接続構造および電気回路の接続方法
JPH058831B2 (ko)
KR102258846B1 (ko) 압접형 전기 커넥터
KR100852371B1 (ko) 이방성 도전성 접착 필름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04089047A1 (ja) 電気接続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