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718A -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718A
KR20100068718A KR1020080127173A KR20080127173A KR20100068718A KR 20100068718 A KR20100068718 A KR 20100068718A KR 1020080127173 A KR1020080127173 A KR 1020080127173A KR 20080127173 A KR20080127173 A KR 20080127173A KR 20100068718 A KR20100068718 A KR 2010006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refractory
blast furnace
lifting devi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201B1 (ko
Inventor
송석렬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켐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켐텍
Priority to KR102008012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관 제철소에서 원광석을 용해하기 위한 건설되는 용광로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고로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데크와; 상기 데크에 구비된 회전축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선회빔과; 상기 선회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선회빔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고로를 건설하기 위해 내화물을 축조하는 데에 걸리는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고,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 및 생산력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고로, 내화물, 축조, 리프팅 장치, 데크, 선회빔, 이송레일

Description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APPARATUS FOR CONSTRUCTING REFRACTORIES IN A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일관 제철소에서 원광석을 용해하기 위한 건설되는 용광로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원광석(철광석)을 고온을 가열하여 용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로는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원광석을 용해시키기 위해서 높은 온도의 분위기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고온을 유지하여야만 하는 내부에는 내화물이 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로에 축조되는 내화물은 고로 본체를 설치한 후, 고로의 내부에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고, 고로의 출선구측으로 내화물을 반입시켜 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고로의 바닥에 배치되는 내화물은 벽면을 이루게 되는 내화물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더 크고 더 무거운 중량의 내화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한 리프팅 장치로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로의 하부 둘레는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리프팅 장치로는 내화물이 배치되어야만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리프팅 장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중량이 무거운 내화물의 위치 선정을 위해서 작업자가 개입되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작업자는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더욱이, 고로의 하부 측벽을 이루는 내화물을 축조하는 경우, 일반적인 리프팅 장치로는 축조되어야만 하는 위치의 선정이 더욱 어렵고, 따라서, 신속한 작업의 수행이 불가능하다.
한편,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동시에 복수의 위치에서 축조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복수의 리프팅 장치가 요구된다. 이 경우, 리프팅 장치 간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는 데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만일, 복수의 리프팅 장치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리프팅 장치 간에 간섭으로 인한 자재의 손상 또는 안전사고의 발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광로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로를 건설하기 위해 내화물을 축조하는 데에 걸리는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의 축조를 위한 리프팅 장치가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최대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고로의 하부 둘레의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시 인력에 의하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이 축조되어야하는 위치에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축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내화물의 축조시 자재의 손상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가 직진 및 선회에 의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고로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와;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데크와; 데크에 구비된 회전축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선회빔과; 선회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선회빔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회빔의 단부 영역과 대면하는 데크의 영역에는 이송레일이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선회빔에는 데크에 구비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가 더 구비될 수도있다.
한편, 어느 하나 이상의 선회빔에는 데크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다른 선회빔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부는 고로의 높이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크는 각 높이에 배치된 결합부로 이동되어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고로의 내부에는 상기 데크를 다른 높이에 배치된 결합부로 이동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곤도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느 일 이상의 결합부에는 리프팅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있다. 이 경우, 결합부에는 이송레일이 더 구비될 수도 있고, 리프팅 장치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선회빔에는 작업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대는 선회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를 건설하기 위해 내화물을 축조하는 데에 걸리는 공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물의 축조를 위한 작업에 접합한 수의 리프팅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의 하부 둘레의 영역에 대한 내화물의 축조시 인력에 의하지 않고 축조가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물이 축조되어야하는 위치에 최대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송되어 축조될 수 있게 되므로 생산력의 조기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품질향상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팅 장치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내화물의 축조시 자재의 손상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 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가 직진 및 선회에 의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한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가 고로 본체(11)의 내부에 장착된 고로(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로(10)는 본체(11)가 금속재질의 쉘(shell) 타입으로 지지부(12)에 의해 지지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에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내화물을 축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는 고로 본체(11)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로 본체(11) 내부의 어느 일 위치에 장착되어 일정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한 후, 다른 일 위치(예를 들어, 더 높은 위치)로 이동시켜 장착된 후, 고로 본체(11) 내부의 다른 일정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로 본체(11)의 내부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는 내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리프팅 장치 등)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데크(Deck : 120)가 구비되고, 상기 데크(120)는 결합부(111,112)에 의해 고로 본체(11)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111,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로 본체(11)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11,112)는 환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 둘레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브라켓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고로 본체(11)의 내부 둘레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111,112)가 일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단일의 상기 데크(120)가 상기 어느 일 결합부(111)에서 다른 일 결합부(112)로 이동하여 장착되도록 하여 고로 본체(11)의 내부 영역에 내화물의 축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고로(10)는 본체(11)의 내경이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일 내화물 축조용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해서 위치에 따라 장착되는 결합부(111,112)의 폭이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로 본체(11) 는 하부 영역의 내경이 상부 영역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부 영역의 바닥과 측면 영역은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인력이 투입되어 왔다.
이와 같이, 내화물의 축조를 위하여 일반 리프팅 장치가 적용되기 어려운 영역을 위하여, 고로 본체(11)의 하부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는 경우, 인력을 요구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111)에는 리프팅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로 본체(11)의 하부 영역에 장착되는 결합부(111)에는 상기 본체(11)의 내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송레일(131)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레일(1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팅 장치(132)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레일(131)을 따라 선회하면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리프팅 장치(132)는 이송대차와 같은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상기 이송레일(131)에 매달리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레일(131)은 효율적인 구성을 위하여 모노레일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장치(132)는 호이스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1)에는 데크(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데크(120)의 구성에 관한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형의 프레임(121)에 가로부재(122)와 세로부재(123)가 격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데크(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은 조립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반입 및 반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데크(120)는 상부의 일정 영역에 발판(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작 업자가 축조 작업을 관리 및 감독, 그리고 다른 부대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데크(120)에는 중앙부 영역에 회전축(125)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2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회빔(12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은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125)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일 단부가 고로 본체(11)의 내측면에 인접한 영역을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선회빔(126)이 회전축(125)에 결합되는 경우, 각 선회빔(126)은 회전축(125)의 축방향으로 차례로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선회빔(126)에는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리프팅 장치(12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프팅 장치(129)는 호이스트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129)는 상기 선회빔(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고, 리프팅 장치(129)는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가일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대차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선회빔(126)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과 리프팅 장치(129)에 구비되는 이동대차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이드 레일과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선회빔(126)은 외부에서 반입되는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내화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즉, 고로 본체(11)의 중심과 내부 측면 위치의 이동과 함께 고로 본체(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 방향의 이동을 통해 다양한 위치로 내화물을 이동시켜 축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회빔(126)은 리프팅 장치(132)에 의해 들려지는 내화물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선회하게 되는 단부 영역이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상기 데크(120)에 의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데크(120)에는 상기 회전하는 선회빔(126)의 단부 영역과 대면하는 영역에는 이송레일(127)을 더 구비하고, 사기 선회빔(126)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데크(120)에 구비되는 이송레일(127)에 매달리어 이동하게 되는 이송대차(128)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로 본체(11)의 영역에 장착된 결합부(111)에 선회빔(126)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데크(120)가 장착되어 고로 본체(11)의 바닥과 측면에 내화물을 축조한 후, 상대적으로 높은 고로 본체(11)의 측면 영역에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상기 데크(12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된 결합부(112)의 위치로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된 결합부(112)에는 도 4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설명된 데크(120)가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크(120)는 리프팅 장치(129)가 구비되는 선회빔(12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의 예는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선회빔(126)이 구비되는 데크(12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곤도라(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로 본체(11)의 내부에는 내화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종래의 리프팅 장치(20)가 함께 구비되어 내화물을 축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회빔(126)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어느 일 이상의 선회빔(126)에 다른 선회빔(126)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126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26b)는 내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회빔(126)이 회전할 때, 다른 어느 일 선회빔(126)과 간섭을 방지하여 내화물의 충돌로 인한 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126b)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페이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간격유지부재(126b)는 다른 일 선회빔(126)과 접하게 되는 단부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충격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선회빔(126)에는 작업대(126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작업대(126a)는 상기 선회빔(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빔(126)에는 작업대(126a)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26a)는 이송대차가 구비되어 상기 선회빔(12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이송대차와 가이드 레일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이드 레일과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구성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작어대(126a)에서 내화물을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내화물이 축조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되도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가 구비된 고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영역의 결합부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에 데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영역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영역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를 구성하는 선회빔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내화물 축조용 장치 111,112 ... 결합부
120 ... 데크 125 ... 회전축
126 ... 선회빔 126a ... 작업대
126b ... 간격유지부재 127,131 ... 이송레일
128 ... 이송대차 129,132 ... 리프팅 장치

Claims (9)

  1. 고로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부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데크와;
    상기 데크에 구비된 회전축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선회빔과;
    상기 선회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선회빔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빔의 단부 영역과 대면하는 데크의 영역에는 이송레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선회빔에는 데크에 구비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대차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선회빔에는 데크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다른 선회빔과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고로의 높이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데크는 각 높이에 배치된 결합부로 이동되어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의 내부에는 상기 데크를 다른 높이에 배치된 결합부로 이동시켜 장착시키기 위한 곤도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 이상의 결합부에는 리프팅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이송레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 장치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빔에는 작업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선회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KR1020080127173A 2008-12-15 2008-12-15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KR10105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173A KR101050201B1 (ko) 2008-12-15 2008-12-15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173A KR101050201B1 (ko) 2008-12-15 2008-12-15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718A true KR20100068718A (ko) 2010-06-24
KR101050201B1 KR101050201B1 (ko) 2011-07-19

Family

ID=4236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173A KR101050201B1 (ko) 2008-12-15 2008-12-15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952A (ko) 2020-01-13 2021-07-21 (주)진우테크 스트랜드잭을 이용한 고로용 안전작업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로의 개수방법
KR20230077987A (ko) * 2021-11-26 2023-06-02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로용 보수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244B2 (ja) * 1999-04-19 2008-01-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炉煉瓦積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952A (ko) 2020-01-13 2021-07-21 (주)진우테크 스트랜드잭을 이용한 고로용 안전작업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로의 개수방법
KR20230077987A (ko) * 2021-11-26 2023-06-02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로용 보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201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201B1 (ko) 고로의 내화물 축조용 장치
KR20110019976A (ko) 토페도 레이들 카의 커버 개폐구조
KR100909508B1 (ko) 고로 노체의 철거 방법
KR100810878B1 (ko) 용접비드의 슬래그 제거장치
MX2010012404A (es) Sistema de horno.
JP2012218848A (ja) 走行式スタッカのトリッパ支持構造及び走行式荷役装置
FI127067B (fi) Siirtolaite
JP2018030718A (ja) クレーンおよびカウンタバラストキャリアプレート
US2933918A (en) Method of lining furnaces
KR101022715B1 (ko) 고로의 내화물 축조방법
KR100794561B1 (ko) 연속주조설비의 쉬라우드 노즐 이송장치
KR20150120007A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KR100679129B1 (ko)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JP2007167958A (ja) 形鋼圧延機のガイド組替え機構
KR101375625B1 (ko) 로드바 교환장치
RU23494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ертыван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ковшей
KR20210090952A (ko) 스트랜드잭을 이용한 고로용 안전작업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로의 개수방법
US4476564A (en) Gas exhaust nozzle for arc furnaces
JP3975187B2 (ja) 溶鋼処理ライン
FI127366B (fi) Menetelmä kappaleiden siirtämiseksi jauhinmyllyyn
JP2000234869A (ja) 耐火物解体装置
CN112944922B (zh) 一种环式冷却机受料溜槽更换的方法
JP2007262499A (ja) 転炉炉体の交換方法
JP4150694B2 (ja) 取鍋搬送用ローラーテーブル
KR200380964Y1 (ko) 리클레이머의 지브핀 교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