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335A -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335A
KR20100066335A KR1020090084835A KR20090084835A KR20100066335A KR 20100066335 A KR20100066335 A KR 20100066335A KR 1020090084835 A KR1020090084835 A KR 1020090084835A KR 20090084835 A KR20090084835 A KR 20090084835A KR 20100066335 A KR20100066335 A KR 2010006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sheet
high frequency
waterproof
bas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수
박진상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ublication of KR2010006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탕면에 접착시켜 그 표면을 방수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된 통상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하부면에 마련되며, 고주파에 의하여 발열하도록 된 발열체가 전체적으로 혼합분포되어 발열체 발열 시 겔화되어 접착력이 강화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착층 내측에 고주파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 또는 발열층이 구성된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접착시키기 위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시공장치를 제공하여, 방수시공 시 유해물질 방지 및 폐자재발생을 방지하며 작업공수 단축 및 작업의 편리성과 함께 인건비를 절약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를 제공한다.
방수시트, 고주파, 방수공법, 고주파시공장치

Description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A high frequency construction device to construct an environmental GeonSik older brother waterproofing sheet and this waterproofing sheet to have hanged and the GeonSik older brother waterproofing method that used they waterproofing sheet and a high frequency construction device}
본 발명은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이 방수시트를 시공하기 위한 고주파장치 및 이들 방수시트와 고주파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고주파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층이 구성된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접착시키기 위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시공장치를 제공하여, 방수시공시 유해물질 방지 및 폐자재발생을 방지하고, 작업공수 단축 및 작업의 편리성과 함께 인건비를 절약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이 방수시트를 시공하기 위한 고주파장치 및 이들 방수시트와 고주파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수시공에는 완성된 바탕면에 방수액 또는 방수시트를 접착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형과 미완의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적층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라브의 내부로 잠식되는 비노출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아울러, 종래의 방수시트는 아스팔트로 구성된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저면에 아스팔트가 열에 의해 변형됨을 예방하기 위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수시트의 시공공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먼저 바탕면을 정리한 후 방수시트를 바탕면의 면적에 맞춰 재단을 하고, 재단이 완료되면 이들을 순서에 맞춰 적층하여 바탕면을 비워두며 이 후 비워진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아울러, 프라이머 도포가 완료되면 순서에 맞춰 바탕면에 재단된 방수시트를 덮는다.
이때 바탕면과 방수시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방수시트의 저면에 마련된 이형지를 탈피시키면서 토오치 또는 열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를 겔(Gel)화시켜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에 부착시키고, 이때 부착된 방수시트의 상면을 눌러주워 견고한 접착이 이루어지며, 외부로 방수시트가 노출되는 노출형과 상기 방수시트가 접착된 바탕면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시키면 비노출형으로 되는 방수시공을 완료하였다.
상기한 방수시공은 옥상 또는 구조물의 옥상이나 지하주차장 구조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시공상의 순서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에서는 상술한 시공방법 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한 방수시트에 의한 방수시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외부환경 즉, 날씨에 따라 방수시공 날짜를 결정한다.
가령, 우기 또는 습기가 많은 날씨나 특히, 바탕면이 건조되지 않은 습기를 가지고있는 경우에는 방수시공이 어렵다.
이는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접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방수시트의 저면에 토오치 또는 열풍기를 이용하여, 접착층에 열을 가하여 겔화시킨 후 바탕면에 접착하게 되고, 이렇게 열을 가지는 방수시트가 바탕면에 접착할 때 상기 열은 습기를 가지는 바탕면에 전도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바탕면의 습기는 수증기를 발생하고, 이러한 수증기는 상승하면서 바탕면과 방수시트 사이의 접착이 불능한 공간으로 모여짐에 따라 압력상승으로 방수시트 면이 볼록하게 뛰어나오는 에어포켓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에어포켓은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기타 공구들에 의해 터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에어포켓의 떠짐 공간에 의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방수의 불량성을 초래하였다.
특히, 이러한 에어포켓에 의한 방수불량은 비노출형의 경우 어떠한 공간에서 방수불량이 일어났는지를 알 수 없게 만듦으로써, 방수시트에 타설된 콘크리트 타설면을 제거한 후 방수시트를 재시공해야되는 방수 불량 및 재시공에 따른 번잡성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에어포켓에 의한 방수불량은 노출형의 경우, 사용방법에 따라 구두 보행 또는 둔기 등과 같은 중량물에 의해 방수층이 파손될 우려가 크며, 이로 인한 누수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노출형 또는 비노출형에 관계없이 부분적으로 방수부위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이 부분에 대한 하자보수 공사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완벽한 시공을 위해서는 부분공사보다는 일정 영역을 드러내고 재 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부분적 방수부위의 하자는 대부분이 방수시트와 방수시트를 연결이음하는 조인트 부분에서 많이 발생하는 데, 이 조인트 시공 시 방수시트와 방수시트간 또는 방수시트와 바탕면간에 완벽한 접합 및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해당 부분을 드러내야 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둘째, 폐자재 및 환경오염 물질이 발생하였다.
방수시트 시공 전에 접착층에 덮여진 이형지를 탈피시킴에 따른 폐자재인 이형지를 발생하였다.
또한,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해 상기 프라이머가 저장된 폐저장용기가 발생하였다.
또한, 방수시트의 접착층을 겔화시키기 위한 토오치 또는 열풍가열시 직접적인 가열로 인해 접착층이 녹으면서 유해물질 발생 및 최근 쿄토의정서에 의한 온실가스의 배출제한으로 온실가스를 최소화하여야 하지만 온실가스를 배출함에 따른 향후 대체 시공공법이 개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고인력, 즉 고 숙력자에 의해서만 접착시공이 이루어져야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방수시트의 접착층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접착층을 겔화시키는 것은 고 숙력자의 몫으로 가령, 초보 또는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가 시행할 경우 직접적인 열에 의해 접착층이 타는 방수시트의 변형 및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복잡한 작업공수와 함께 작업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바탕면의 면적에 따라 미리 재단하고, 이를 제거한 후 프라이머를 도포 한 후 제차 방수시트를 깔면서 고 숙련자를 통한 접착공정이 이루어지는 고 숙련자와 이를 보조하는 비숙련자의 인원이 필요하고, 이러한 인건비 추가 및 작업공수의 추가로 방수시트에 의한 작업의 번잡성 및 작업단가의 상승으로 제품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층, 성형층과 열전도층 및 접착층으로 형성된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에 고주파에 의한 간접적인 열을 제공하는 고주파시공장치를 제공하여, 비노출형 또는 노출형에 무관하게 사용가능하고, 비 숙련자도 용이하게 방수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열에 의해 바탕면과 방수시트가 접착됨에 따른 작업공수의 단축과 함께 작업의 편리성 및 유해가스의 방지로 인한 인건비 절약 및 유해가스의 방지등에 따른 작업능률 상승 및 방수 불량을 최소화하는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이 방수시트를 시공하기 위한 고주파장치 및 이들 방수시트와 고주파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바탕면에 접착시켜 그 표면을 방수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된 통상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하부면에 마련되며, 고주파에 의하여 발열하도록 된 발열체가 전체적으로 혼합분포되어 발열체 발열 시 겔화되어 접착력이 강화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방수층의 상부면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 폭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에 혼합분포되는 발열체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금속분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방수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층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성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바탕면에 접착시켜 그 표면을 방수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된 통상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방수층의 응집력 향상 및 하방에서 열이 상기 방수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형층과; 상기 성형층의 하방에 마련되고 고주파에 의해 유도가열 또는 유전가열로 발열하는 발열층과; 상기 발열층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발열층의 발열로 접착성을 가지도록 겔화되어 바탕면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층의 상, 하방에는 성형층 및 접착층 각각이 상기 발열층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보조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층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열층은, 일정크기로 간격을 가지며 다수 분포된 열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매쉬형태의 매쉬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하방에 다수의 바퀴 및 상방에 손잡이가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수단; 및 상기 고주파수단의 후방으로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고주파에 의해 바탕면에 접착되는 방수시트의 상면을 가압시켜 방수시트의 접착이 완료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에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삽입되어 승강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마련되어 방수시트의 상면을 눌러주는 강압판으로 구성된 강압부와; 상기 강압부의 승강축 상단에 마련되고 바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축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캠축; 및 상기 승강축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의 어느 일측에는 바퀴와 연동되는 캠축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여 바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캠축으로 전달 또는 차단됨에 따라 강압부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하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캠축의 회전으로 강압부의 승강축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승강캠; 및 상기 강압부의 승강축은 상기 다수의 승강캠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캠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캠축의 회전으로 강압부의 승강축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승강캠을 마련하고, 상기 강압부의 승강축은 상기 다수의 승강캠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하되, 상기 캠축과 강압부는 방수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강압부는 상호 중첩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방수시트를 접착시키고자 하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청소단계와; 상기 청소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의 크기에 맞춰 내측에 발열층이 구비된 방수시트를 재단하여 바탕면을 덮는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단계를 통해 바탕면을 덮은 방수시트의 상면에서 고주파시공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고주파시공장치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층이 발열하면서 방수시트와 바탕면 사이에서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접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건식형 방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방수층, 성형층 및 접착층으로 형성된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에 고주파에 의한 간접적인 열을 제공하는 고주파시공장치를 제공하여, 비노출형 또는 노출형에 무관하게 사용가능하고, 비 숙련자도 용이하게 방수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열에 의해 바탕면과 방수시트가 접착됨에 따른 작업공수의 단축과 함께 작업의 편리성 및 유해가스의 발생방지로 인한 인건비 절약 및 유해가스의 방지 등의 따른 작업능률 상승 및 방수 불량을 최소화하는 제품 경쟁력을 극 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부분적인 방수 하자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부분의 불완전한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하자부분을 드러내지 않고 고주파를 제공하여 이미 시공된 방수시트의 접합 또는 조인트 부분이 겔화되어 접찹력이 강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자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재시공에 따른 비용 부담을 해소하고,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방수시트의 적층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110)은 통상적으로 제조 및 시공되는 것으로서, 그 재료적 특성 및 소재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제조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채택 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110)의 하방에 형성되는 접착층(130)은, 방수시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겔(Gel) 타입의 방수재에 고주파에 의하여 발열하도록 된 발열체(도시하지 않음)가 전체적으로 혼합분포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 겔 타입의 방수재 내부에 혼합된 발열체가 고주파에 의하여 발열됨으로써, 방수재의 접착성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바탕면과의 접착력이 강화됨은 물론, 방수재가 더욱 더 교질화됨으로써, 불규칙한 바탕면에 대응하여 보다 면밀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방수층(110)의 상부면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도 소정 폭(조인트 시공)으로 마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적인 방수시공은 넓은 면적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하나의 방수시트(10)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장의 방수시트(10)가 서로 연결시공되는 바, 이때, 방수시트(10)와 방수시트(10)를 연결시공함에 있어서, 오버랩 되는 부분에 접착층(130)이 형성되게 하여 연결부분(조인트)의 강력한 접착은 물론 방수재의 교질화 강화로 미세한 틈새마저도 접착층(130)이 면밀하게 접착되게 함과 동시에 조인트 시공의 간편화 및 시공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착층(130)에 혼합분포되는 발열체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금속분말을 고르게 혼합시키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선을 무작위로 혼합하여 고주파에 대한 발열체의 발열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금속선을 매쉬구조로 구성하여 방수재에 함입시키는 방법은 제조사의 선택에 의하여 얼마든지 변경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을 방수재에 혼합분포시킴으로써, 금속분말, 금속선 보다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발열체가 구비되게 하여 발열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사는 상기한 금속분말과 금속선 및 금속판을 서로 조합하여 발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 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1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방수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층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성형층(150)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방수시트(10)의 기능이 발열체에 의하여 저하되지 않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도 3a, 도 3b, 도 3c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는 방수층(110)과, 상기 방수층(110)의 하방에 마련되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층(120)과, 상기 발열층(120)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발열층(120)의 발열로 겔화되어 바탕면에 접착되는 접착층(13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방수층(110)과 발열층(120), 및 발열층(120)과 접착층(130) 사이에는 상호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접착층(140)이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수층(110)의 하방에는 성형층(150)을 더 구성하며, 상기 성형층(150)은 방수층(110)의 응집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발열층(120)의 발열로 방수층(110)으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방수층(110), 및 접착층(130)은 아스팔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120)은 고주파에 의한 유도가열 또는 유전가열 등에 의해 발열되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금속재 중 철, 구리,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120)은 박판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접착층(140)은 방수층(110)과 발열층(120) 및 접착층(130) 사이를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형층(150)은 부직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열층(120)의 열이 상방의 방수층(110)에 전도됨을 차단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수시트(10)는 바탕면의 크기에 맞춰 재단하고, 이를 바탕면에 덮은 후 그 방수시트(10)의 상면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면 상기 고주파에 의해 방수시트(10)의 내측에 구성된 발열층(120)이 유도가열 또는 유전가열 됨에 따라 발열되고, 이러한 발열로 상기 발열층(120)의 하방에 형성된 접착층(130)이 겔화됨에 따라 바탕면에 접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수시트(10)는 종래의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접착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와 같은 별도의 유해물질을 도포할 필요가 없는 유해물질 발생의 방지 및 작업공수를 단축하였으며, 이형지와 같은 폐자재 발생을 예방하였고, 특히 가스토오치 또는 열풍기와 같은 직접적인 열원으로 접착층을 녹임에 따라 발생하는 유해가스 또는 화재발생을 방지하는 작업공수 단축, 인건비 절감 및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3b,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3b는 다수의 열판, 3c는 천공판인 것으로, 상기 발열층(120')은 박판의 금속이면서 간격을 가지며 일정크기의 열판(122)이 다수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 다.
또는, 3c와 같이 발열층(120")은 박판의 금속이면서 다수의 통공(124)이 형성된 타공판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방수시트(10)를 바탕면에 시공할 때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바탕면의 내부가 수분이 있으면, 고주파에 의해 발열층(120)이 발열되고 이를 통해 접착층(130)을 겔화시키면서 바탕면에 접착되면, 상기 겔화된 접착층(130)과 바탕면 사이 온도차이 및 고온에 의해 바탕면의 수분이 증기로 변이됨에 따라 증발되어 상기 바탕면과 접착층(130) 사이에 포집되어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등의 바탕면과 방수시트의 접착상태를 방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발열층(120')(120")이 다수의 열판(122) 또는 타공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간격을 가지며 구성된 열판(122') 또는 통공(124)이 형성되지않은 면에서만 발열됨에 따라 그 발열된 위치에서 바탕면과 접착층(130)이 접착되고, 그 외의 공간은 남아 있으므로, 증기압에 의한 에어포켓 발생을 방지하는 방수시트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는 방수시공이 이미 완료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하자부분에 대한 하자보수를 함에 있어서, 방수시트를 들어내지 않고 해당 부분에 고주파로 재가열하여 접착부분이 겔화되도록 한 후 가압함으로써, 접착력이 떨어진 부분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더욱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적인 재시공은 종래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조인트 부분에 서 발생하는 하자를 보수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시공시에도 신뢰성 있는 접착력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후 재시공시에도 기 시공된 방수시트의 접착력을 활성화시켜 최초 시공과 동일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데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시공장치의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수단의 간격유지부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부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클러치부에 의해 바퀴와 캠축이 연결된 상태, b는 클러치부에 의해 바퀴와 캠축이 분리된 상태로서, 이를 참조한다.
고주파시공장치(20)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고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수단(220)과, 상기 고주파수단(220)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고주파수단(220)이 고주파에 의해 발열로 바탕면과 방수시트(10)의 가접착된 면을 가압시켜 접착시키는 가압수단(230), 및 상기 프레임(21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모터(240)와, 발전기(25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0)의 하방에는 다수의 바퀴(212)와 상방에는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214)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210)에 구성된 모터(240)는 바퀴(212)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인력에 상관없이 프레임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모터(240)는 정, 역회전되어 고주파시공장치(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14)에는 좌, 우측의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주파수단(220)은 방수시트(10)의 발열층(120)을 발열시킬 수 있는 고주파를 발진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고주파수단(220)에는 전면 또는 프레임(210)의 전면에는 바탕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브러쉬 또는 밀착판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주파수단(220)에는 바탕면과 고주파수단(220)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222)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222)는 바탕면의 평탄상태 및 기울기에 무관하게 상기 바탕면과 고주파수단(220)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고주파에 의해 방수시트(10)의 발열층(120)의 발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간격유지부(222)는 일단이 고주파수단(220)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 일부는 프레임(210)에 삽입되는 지지봉(2222)과 상기 지지봉(2222)의 하단에 마련되는 바퀴(2224)와 상기 프레임(220)과 지지봉(2222) 사이에 마련되는 스프링(22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프레임(210)을 전진시키면 상기 지지봉(2224)의 바퀴(2226)가 구름되면서 바탕면의 평탄상태 또는 기울기에 따라 승강되고, 이는 바퀴(2226)의 지지봉(2224)에 일단이 고정된 고주파수단(220)을 승강시켜, 결국 바탕면의 평타상태 또는 기울기에 맞춰 항상 일정한 간격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가압수단(230)은 방수시트(10)를 눌러주는 가압부(2310)와, 상기 가압 부(2310)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캠축(2320), 및 상기 가압부(2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2310)는 프레임(210)에 일부가 삽입된 승강축(2312), 및 상기 승강축(2312)의 하단에 구성되는 가압판(23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캠축(2320)은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바퀴(2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연동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퀴(2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가압부(2310)가 승강되도록 승강력을 제공한다.
상기 캠축(2320)에는 승강캠(2322)이 구성되어 상기 승강캠(2322)의 캠선도에 따라 가압부(2310)의 승강축(2312)를 하강 및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2310)는 방수시트(10)의 폭 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캠축(2320)의 승강캠(2322)도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2310)와 승강캠(2322)은 방수시트(10)의 폭 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1 폭 방향의 제1 가압부(2310)의 가압판(2314)의 간격을 제2 폭 방향의 제2가압부(2310)가 중첩되게 형성됨에 따라 빈공간이 없이 방수시트(10) 전면에 가압력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제1 및 제2 가압부와 같이 복열로 구성된 가압부(2310)는 상호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 즉, 어느 하나가 하강하면 다른 하나는 상승하는 작동관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축(2320)의 어느 일측에는 바퀴(212)를 통해 제공되는 회전력을 선별하여 제공하도록 클러치부(2340)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부(2340)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바퀴(212)의 회전력을 선별적으로 캠축(232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퀴(212)의 회전력을 캠축(2320)에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거싱든 사용 가능하다.
물론, 상기 캠축(2320)의 회전은 모터(240)에 직접 연결하여, 상기 모터(240)의 정, 역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모터를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발전기(250)는 프레임(2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자체 발전으로 발생된 전류를 모터(240) 및 고주파수단(220)으로 공급하는 수단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전류를 인가받아 이를 모터(240) 및 고주파수단(220)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210)의 손잡이(214)에는 모터(24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고주파시공장치(20)의 진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스위치와, 상기 모터(240)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여 고주파시공장치(20)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하는 진행스위치와, 상기 고주파수단(220)으로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고주파스위치와, 클러치부(2340)의 클러칭을 제어하여 가압수단(23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가압스위치가 구성된 조작패널을 더 구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방수시공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와 구성된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접착시키는 건식형 방수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청소단계(S10)는 방수시트를 접착시키고자 하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로 서, 이는 바탕면에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방수시트(10)의 용이한 전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재단단계(S20)는 상기 청소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의 크기에 맞춰 내측에 발열층이 구비된 방수시트를 재단하여 바탕면을 덮는 단계로서, 이는 바탕면의 면적에 맞춰 방수시트(10)를 재단하여 덮는다.
이때, 바탕면에 한 줄의 방수시트(10)를 다른 한 줄의 방수시트(10)를 덮을 때 상기 각각의 방수시트(10)들은 일정 폭만큼 상호 적층되도록 덮는 것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종래에는 바탕면에 맞춰 방수시트를 재단한 후 재단작업이 완료되면 재단된 방수시트를 순서에 맞춰 적층시키고, 상기 바탕면에는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공수의 추가 및 작업의 번잡성과 함께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접착단계(S30)는 상기 재단단계를 통해 바탕면을 덮은 방수시트의 상면에서 고주파시공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고주파시공장치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층이 발열하면서 방수시트와 바탕면 사이에서 접착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는 바탕면의 크기에 맞춰 덮은 방수시트(10)의 상면에 고주파시공장치(10)를 올려놓고 상기 고주파시공장치(2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방수시트(10)와 바탕면이 접착되도록 한다.
즉, 고주파시공장치(20)의 발전기(250)를 통해 전류를 생산하면, 손잡이(214)에 구성된 조작패널의 진행스위치를 전진방향으로 온(ON)시키고 또한 속도스위치의 속도를 조절하면, 모터(240)에서는 상기 진행스위치와 속도스위치의 제어 신호에 맞춰 회전력을 발생하고 이는 바퀴(212)로 전달되어 구름되며, 이 경우 조작패널의 가압스위치에서 작동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가압수단(230)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주파시공장치(20)는 전진한다.
그리고 조작패널의 고주파스위치를 온(ON)시키면, 이 온(ON)신호에 의해 고주파수단(220)은 작동하면서 고주파를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고주파는 방수시트(10)의 내측에 구성된 발열층(120)에 영향을 미쳐 상기 발열층(120)은 발열하면서 상기 발열층(120)의 하방에 구성된 접착층(130)을 겔화시켜 결국, 바탕면과 접착층(130)은 가접착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조작패널의 가압스위치를 온(ON)시키면, 이 온(ON)신호에 의해 클러치부(2340)가 작동하여 바퀴(212)의 회전력이 캠축(2320)으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캠축(2320)이 회전하며, 상기 캠축(2320)의 승강캠(2322)의 회전으로 상기 승강캠(2322)에 승강력을 제공받는 가압부(2310)가 승강하면서 상기 가압부(2310)의 가압판(2314)이 방수시트(10)의 상면을 눌러주어 바탕면과 방수시트(10) 사이가 접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캠(2322)의 캠선도는 유선형의 상승과 하강곡선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가압부가 부드럽게 하강하였다가 상승하는 작동하게 됨에 따라 건식형 방수시공할 때 바탕면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즉, 종래에는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바이브레이터와 같은 별도의 장비로 바탕면을 타격하듯이 가격하여 상기 바탕면이 울렸으며, 특히 상기 바탕면이 건물의 옥상의 경우 소음공해 발생으로 제한적인 작업시간에 한정적으로 작 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고주파시공장치(20)를 이용하여 바탕면과 방수시트(10)의 접착이 완료되면 조작패널의 진행스위치를 후진시키면 상기 고주파시공장치(20)는 후진하게 되고, 이때 가압스위치는 계속 온(ON) 상태이므로 가압수단(230)이 계속 작동상태를 유지하여 바탕면과 방수시트(10)를 더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건물 옥상에 노출공법 또는 비노출공법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지하 외벽방수는 물론 내벽방수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방수공법에 활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제공되는 고주파시공장치가 아니더라도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고주파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충분히 시공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주파시공장치는 방수시공의 편의 및 공수절감과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고주파시공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의 조인트 부분에 고주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 후에 롤러(301)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고주파발생장치(302)를 장착한 고주파시공장치(300)와 같은 기기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극대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이 방수시트를 시공하기 위한 고주파장치 및 이들 방수시트와 고주파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수시트의 시공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적층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3a는 다수의 열판, 3b는 천공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시공장치의 측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수단의 간격유지부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부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7a는 클러치부에 의해 바퀴와 캠축이 연결된 상태,
도 7b는 클러치부에 의해 바퀴와 캠축이 분리된 상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방수시공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방수시트 110: 방수층
120: 발열층 130: 접착층
140: 보조접착층 150: 성형층
20: 고주파시공장치 210: 프레임
212: 바퀴 214: 손잡이
220: 고주파수단 222: 간격유지부
2222: 지지봉 2224: 바퀴
2226: 스프링 230: 가압수단
2310: 가압부 2312: 승강축
2314: 가압판 2320: 캠축
2322: 승강캠 2330: 스프링
2340: 클러치부

Claims (15)

  1. 바탕면에 접착시켜 그 표면을 방수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된 통상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하부면에 마련되며, 고주파에 의하여 발열하도록 된 발열체가 전체적으로 혼합분포되어 발열체 발열 시 겔화되어 접착력이 강화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방수층의 상부면의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 폭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 혼합분포되는 발열체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금속분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방수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층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성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
  5. 바탕면에 접착시켜 그 표면을 방수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된 통상의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방수층의 응집력 향상 및 하방에서 열이 상기 방수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형층과;
    상기 성형층의 하방에 마련되고 고주파에 의해 유도가열 또는 유전가열로 발열하는 발열층과;
    상기 발열층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발열층의 발열로 접착성을 가지도록 도 3a화되어 바탕면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의 상, 하방에는 성형층 및 접착층 각각이 상기 발열층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보조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일정크기로 간격을 가지며 다수 분포된 열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매쉬형태의 매쉬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9. 하방에 다수의 바퀴 및 상방에 손잡이가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공급장치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수단; 및
    상기 고주파수단의 후방으로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고주파에 의해 바탕면에 접착되는 방수시트의 상면을 가압시켜 방수시트의 접착이 완료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에 정, 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삽입되어 승강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마련되어 방수시트의 상면을 눌러주는 강압판으로 구성된 강압부와;
    상기 강압부의 승강축 상단에 마련되고 바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축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캠축; 및
    상기 승강축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어느 일측에는 바퀴와 연동되는 캠축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여 바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캠축으로 전달 또는 차단됨에 따라 강압부의 승강을 제어하도록 하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캠축의 회전으로 강압부의 승강축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승강캠; 및
    상기 강압부의 승강축은 상기 다수의 승강캠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련되어 캠축의 회전으로 강압부의 승강축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승강캠을 마련하고,
    상기 강압부의 승강축은 상기 다수의 승강캠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하되, 상기 캠축과 강압부는 방수시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의 강압부는 상호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시공장치.
  15. 방수시트를 접착시키고자 하는 바탕면을 정리하는 청소단계와;
    상기 청소단계를 통해 정리된 바탕면의 크기에 맞춰 내측에 발열층이 구비된 방수시트를 재단하여 바탕면을 덮는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단계를 통해 바탕면을 덮은 방수시트의 상면에서 고주파시공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고주파시공장치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층이 발열하면서 방수시트와 바탕면 사이에서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접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건식형 방수공법.
KR1020090084835A 2008-12-09 2009-09-09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 KR20100066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4584 2008-12-09
KR1020080124584 2008-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35A true KR20100066335A (ko) 2010-06-17

Family

ID=4236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35A KR20100066335A (ko) 2008-12-09 2009-09-09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63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506B1 (ko) 아스팔트 보강재, 이것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시공방법
CN107379718B (zh) 一种防水现场生产施工装置
FI3056823T3 (fi) Eristysmatto ja lämmönvaihtokokoonpano
KR101442455B1 (ko) 벨크로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149745B1 (ko) 천공 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층 구조 및 이 천공 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층 시공방법
KR100909036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 장치
KR20100066335A (ko) 친환경적 건식형 방수시트와 고주파시공장치를 이용한 건식형 방수공법 및 고주파시공장치
EP2219866B1 (en) Method of applying a thermally settable coating to a patterned substrate
JP7082537B2 (ja) トンネルのタイル撤去方法及び補修用加熱装置
KR100552454B1 (ko)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CN208803648U (zh) 一种用于防水卷材铺设的装置
CN104818837A (zh) 抹灰机联动执行装置
CN211036733U (zh) 一种桥梁工程施工用灌缝装置
KR100979184B1 (ko) 열선융착과 폐우레탄 칩을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건식형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CN204728184U (zh) 贴缝带压边施工机
KR200451437Y1 (ko) 도료 살포장치
KR100817300B1 (ko) 반턱 칼라시트와 방수공법
CN206942151U (zh) 一种小型地面整平机
KR101499751B1 (ko)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이용한 옥상 방수구조와 공법
KR100870382B1 (ko) 장식용 모티브 제작장치
CN204544829U (zh) 砖车清扫装置
JP4116196B2 (ja) 屋根の下葺材
KR101873375B1 (ko) 로봇 팔을 이용한 열선 매트 제조 장치 및 상기 로봇 팔을 이용한 열선 매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열선 매트
CN211313433U (zh) 防水卷材半自动铺设机
JP3885192B2 (ja) 環境対応の防水シートとその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