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837A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837A
KR20100064837A KR1020080123449A KR20080123449A KR20100064837A KR 20100064837 A KR20100064837 A KR 20100064837A KR 1020080123449 A KR1020080123449 A KR 1020080123449A KR 20080123449 A KR20080123449 A KR 20080123449A KR 20100064837 A KR20100064837 A KR 2010006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passenger
airbag cushion
sewin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621B1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도록 입구부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과, 메인패널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각각 리테이너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고정홀을 갖는 상,하단외부테더와, 상기 상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상부 봉제부와, 상기 상부 봉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20)의 타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하부 봉제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에 벤트홀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벤트홀부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1세 어린이 승객에 대해 후반부 머리를 짖눌러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성인 승객이 있는 경우 상기 벤트홀부를 막아 기존 에어백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여 성능 감소가 없는 이점이 있다.
압력조절수단, 벤트홀부, 벤트홀 커버부, 차폐부, 가스 안내부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Passenger air ba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최적의 에어백 쿠션의 전개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안면과 가슴 등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에어백은 통상 성인남성의 표준체형을 기준체형으로 하여 설계 및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준체형에서 벗어난 체형을 가진 탑승자의 경우에는 상기 에어백에 의해 최적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백에 의해 오히려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특히, 기준체형의 조건 이외의 발생 가능한 여러 조건 중 에어백 전개 시에 가장 많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조건을 OOP (Out Of Position, 비정상 착좌)조건이 라 한다.
또한, OOP 조건에 맞추도록 듀얼백이나 특수한 기능을 가진 외부테더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 개선중이고, 상기 외부테더 역시 OOP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OPF(Occupant Protection Flap)로 불리며, 상기 쿠션이 인플레이터로부터 전개가스를 주입 받아 전개될 때 일정부위가 탑승객을 향해 공격적으로 전개되지 않도록, 즉 아웃 오브 포스(Out of Force)현상을 방지하여 탑승객이 상기 쿠션으로부터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쿠션 외측에 감싸 지지대어 상기 쿠션의 초기 전개력을 약화시키고 상기 쿠션의 전개를 양옆으로 향하게 하여 승객의 상해를 저감하고 이후 티어라인이 떨어져서 정상 전개되어 일반 승객에 대해서도 정상적인 에어백 성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의 전개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의 외부테더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입에 의해 전개되는 쿠션(1)과, 리테이너(2)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쿠션(1) 외부를 덮어 지지하며 전개를 지연시키는 외부테더(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테더(3)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쿠션(1)이 팽창되면 파단되는 티어라인(5)과, 상기 외부테더(3)의 양측에는 상기 리테이너(2)와 결합되는 고정홀(4)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테더(3)의 일부를 잡아 당겨 상기 리테이너(2)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쿠션(1)의 전개에 따른 편차에도 순차적으로 파단 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1)은 메인패널(미도시)에 복수회 접힌 채로 수납되고, 인플레이터(미도시)의 가스분출구(미도시)와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외부테더(3)는 직사각형 형상의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테더(3)의 양측에 끝단이 상기 리테이너(2)와 결합되도록 고정홀(4)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외부테더(3)의 고정홀(4)을 상기 리테이너(2)에 체결하도록 스터드볼트(미도시)에 끼워서 고정시킴으로 상기 외부테더(3)의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테더(3)는 상기 쿠션(1)의 전개 중심부를 상하방향으로 감싸 지지함으로써, 상기 쿠션(1)의 전개시 일시적으로 전개면의 일부의 팽창이 지연되고, 상기 쿠션(1)의 전개를 전면 양측으로 유도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3~6세의 어린이 승객에 대해서는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력을 제어하여 만족을 할 수 있으나, 1세 어린이 승객의 경우 차량의 충돌 성능의 만족을 위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 내려 누르는 힘에 의하여 목이 눌려서 심각한 상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1세 어린이 승객의 경우 충격저감 성능에 대해서는 초기 전개력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압력을 줄여 목이 눌려서 심각한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도록 입구부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 메인패널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각각 리테이너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고정홀을 갖는 상,하단외부테더; 상기 상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상부 봉제부; 상기 상부 봉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하부 봉제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에 벤트홀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외부테터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벤트홀부와; 상기 벤트홀부를 덮도록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는 벤트홀 커버부와; 상기 벤트홀 커버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봉제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벤트홀 커버부는 승객과 같은 장애물이 없는 경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가스가 승객을 향해 배출되지 않게 막도록 형성된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의 좌우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벤트홀 커버부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부착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의 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봉제의 강도로 조정하여 일정거리 이격되게 봉제되는 임시봉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승객이 있는 경우 승객의 몸이 상기 에어백 쿠션과 접촉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가 눌려져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게 되어 상기 에에백 쿠션이 정상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도록 입구부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과, 메인패널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각각 리테이너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고정홀을 갖는 상,하단외부테더와, 상기 상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상부 봉제부와, 상기 상부 봉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20)의 타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하부 봉제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에 벤트홀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벤트홀부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1세 어린이 승객에 대해 후반부 머리를 짖눌러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성인 승객이 있는 경우 상기 벤트홀부를 막아 기존 에 어백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여 성능 감소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압력조절수단이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서 승객이 없거나 1세 어린이 승객이 탑승시 에어백 쿠션의 전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승객의 탑승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도록 입구부(12)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10)과; 메인패널(20)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각각 리테이너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고정홀(34)(44)을 갖는 상,하단외부테더(30)(40)와, 상기 상단외부테더(30)와 상기 메인패널(20)의 일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상부 봉제부(32)와, 상기 상부 봉제부(3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20)의 타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하부 봉제부(42)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측에 벤트홀부(60)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60)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압력조절수단(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100)은 상기 에어백 쿠션(10)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외부테터(40)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벤트홀부(60)와, 상기 벤트홀부(60)를 덮도록 상기 벤트홀부의 전방에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고정되는 벤트홀 커버부(50)와, 상기 벤트홀 커버부(50)와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봉제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를 고정하는 고정부(7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는 승객과 같은 장애물이 없는 경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시 가스가 승객을 향해 배출되지 않게 막도록 형성된 차폐부(52)와, 상기 차폐부(52)의 좌우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안내부(5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트홀 커버부(50)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부착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의 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봉제의 강도로 조정하여 일정거리 이격되게 봉제되는 임시봉제부(86)(88)를 포함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수단(100)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시 승객이 있는 경우 승객의 몸이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접촉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가 눌려져 상기 벤트홀부(60)가 막히게 되어 상기 에에백 쿠션(10)이 정상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봉제부(82) 및 후방 봉제부(84)는 상기 상단외부테더(30)와 상기 하단외부테더(40)의 각각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막고,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일정 힘에 의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도록 에어백 쿠션(10) 전개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또한, 메인패널(20)의 일측에 이격 배치하고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각각 리테이너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고정홀(34)(44)을 갖는 상단외부테더(30)와, 하단외부테더(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단외부테더(30)와 상기 메인패널(20)의 일측을 봉제하여 형성한 상부 봉제부(32)와, 상기 상부 봉제부(3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단외부테더(40)와 상기 메인패널(20)의 타측에 봉제하여 하부 봉제부(4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일측에 벤트홀부(60)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60)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압력조절수단(1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수단(100)은 상기 에어백 쿠션(10) 전방에 형성하고, 상기 하단외부테터(40)의 내측에 대향되게 벤트홀부(6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100)은 상기 벤트홀부(60)를 덮도록 상기 벤트홀부 의 전방에 전방에 배치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10)와 고정 결합하는 벤트홀 커버부(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100)은 상기 벤트홀 커버부(50)와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봉제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를 고정하는 고정부(70)를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는 승객과 같은 장애물이 없는 경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시 가스가 승객을 향해 배출되지 않게 막도록 차폐부(5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벤트홀 커버부(50)는 상기 차폐부(52)의 좌우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안내부(5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트홀 커버부(50)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에 부착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의 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롤 강도로 조정하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 봉제하는 임시봉제부(86)(88)를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수단(100)은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전개 시 승객이 있는 경우 승객의 몸이 상기 에어백 쿠션(10)과 접촉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50)가 눌려져 상기 벤트홀부(60)가 막히게 되어 상기 에에백 쿠션(10)이 정상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봉제부(82) 및 후방 봉제부(84)는 상기 상단외부테더(30)와 상기 하단외부테더(40)의 각각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막고, 상기 에어백 쿠션(10)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일정 힘에 의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형성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앞쪽 부분에 벤트홀부(60)를 형성하여 앞쪽 부분에 승객이 없는 경우 지속적으로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벤트홀부(60)가 벤팅(VENTING)이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을 작게 하여 1세 어린이 승객에 대한 후반부 머리를 짖누르는 힘을 적게 함으로써 1세 어린이의 머리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고, 승객이 있는 경우 상기 벤트홀부(60)의 상기 벤트홀 커버부(50)가 승객에 의해 눌려져 막힘으로 충돌 성능 또한 기존 조수석 에어백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의 조건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최적의 상해 성능을 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전개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외부테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압력조절수단이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백 쿠션 12 : 입구부
20 : 메인패널 30 : 상단외부테더
32 : 상부 봉제부 34 : 고정홀
40 : 하단외부테더 42 : 하부 봉제부
44 : 고정홀 50 : 벤트홀 커버부
52 : 차폐부 54 : 가스 안내부
60 : 벤트홀부 70 : 고정부
82 : 전방 봉제부 84 : 후방 봉제부
86, 88 : 임시봉제부 100 : 압력조절수단

Claims (5)

  1.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 전개되도록 입구부가 형성된 에어백 쿠션;
    메인패널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어느 일단이 각각 리테이너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고정홀을 갖는 상,하단외부테더;
    상기 상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상부 봉제부;
    상기 상부 봉제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단외부테더와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봉제되어 형성된 하부 봉제부;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일측에 벤트홀부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승객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거나 열리게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외부테터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벤트홀부와;
    상기 벤트홀부를 덮도록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정되는 벤트홀 커버부와;
    상기 벤트홀 커버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봉제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수석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 커버부는 승객과 같은 장애물이 없는 경우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가스가 승객을 향해 배출되지 않게 막도록 형성된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의 좌우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안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 커버부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에 부착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의 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봉제의 강도로 조정하여 일정거리 이격되게 봉제되는 임시봉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승객이 있는 경우 승객의 몸이 상기 에어백 쿠션과 접촉되어 상기 벤트홀 커버부가 눌려져 상기 벤트홀부가 막히게 되어 상기 에에백 쿠션이 정상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0080123449A 2008-12-05 2008-12-05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37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449A KR101371621B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449A KR101371621B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837A true KR20100064837A (ko) 2010-06-15
KR101371621B1 KR101371621B1 (ko) 2014-03-07

Family

ID=4236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449A KR101371621B1 (ko) 2008-12-05 2008-12-05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0103B2 (en) 2019-10-28 2021-11-23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systems
US11235731B2 (en) 2017-10-05 2022-02-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905A (ja) 2000-09-08 2002-03-19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30016896A (ko) * 2001-08-23 2003-03-03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전개 크기 조절부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
JP5045017B2 (ja) 2005-08-24 2012-10-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8179337A (ja) 2006-08-04 2008-08-07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5731B2 (en) 2017-10-05 2022-02-0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US11180103B2 (en) 2019-10-28 2021-11-23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621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EP2263921B1 (en) Airbag device
KR102545853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KR101241156B1 (ko) 차량의 무릎에어백
KR20130065137A (ko) 차량용 에어백
KR100941262B1 (ko) 에어백 쿠션
JP2007161201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999804B1 (ko) 사이드 에어백
KR102661047B1 (ko) 에어백 장치
KR101430191B1 (ko) 차량의 에어백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9352720B2 (en) Airbag for vehicle
KR101241159B1 (ko) 자동차용 통합 에어백 장치
KR20140012849A (ko) 에어백 장치
EP3912867B1 (en) Side air bag for vehicle
KR20180071437A (ko) 차량용 전방 에어백
KR10137162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54913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11667260B2 (en) Airbag device
KR20100031370A (ko) 에어백 모듈
KR102435980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20200104031A (ko) 탑승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20210056683A (ko) 에어백 장치
KR100491047B1 (ko) 간헐고정부가 구비된 에어백 쿠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