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04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045A
KR20100063045A KR1020107004210A KR20107004210A KR20100063045A KR 20100063045 A KR20100063045 A KR 20100063045A KR 1020107004210 A KR1020107004210 A KR 1020107004210A KR 20107004210 A KR20107004210 A KR 20107004210A KR 20100063045 A KR20100063045 A KR 2010006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creen
display
scroll
scro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661B1 (ko
Inventor
히로코 아사부
미나코 다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찾아내어, 그 기능을 재빨리 기동시킬 수 있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단말기는, 박스체(8)에 디스플레이(5)가 구비 배치됨과 동시에, 당해 디스플레이(5)의 화면을 덮어 터치패널 입력장치(6)가 구비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유저가 선택한 하나의 동작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5) 화면에 스크롤 라인(9)을 표시하여, 유저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당해 스크롤 라인(9)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스크롤 라인(9)의 위치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한 후, 유저의 모드 확정 조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동작 모드를 확정하고, 조작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키의 조작에 따라 당해 동작 모드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성이 양호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에서는,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어, 전화기능이나 전자메일 기능 외에, TV 화면 표시기능, 음악 재생기능, 웹 사이트 표시기능 등, 많은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기능화에 따라, 유저가 원하는 하나의 기능(동작 모드)을 기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조작의 회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어, 조작성 악화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필기 입력기능의 구비에 의해 조작성을 개량선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2000-278391호)나, 2개의 박스체의 힌지부에 조작부를 설치하여 당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통신상대의 수신인 정보를 탐색하도록 한 전화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2002-252689호) 등, 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기에서, 유저가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은, 기능의 명칭이나 아이콘을 나열한 단순한 메뉴에 지나지 않고, 선택한 기능은 기동시키지 않는 한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능인지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하나의 기능을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여, 원하는 기능을 기동시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원하는 기능(동작 모드)를 용이하게 찾아내어, 그 기능을 재빨리 기동시킬 수 있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통신단말기에서는, 박스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 배치과 동시에, 당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 투광성의 터치 패널 입력장치가 구비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유저가 선택한 하나의 동작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당해 화면 상을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크롤 라인을 표시하여, 유저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당해 스크롤 라인을 상기 일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라인 표시수단과,
유저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스크롤 라인의 위치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당해 스크롤 라인을 경계선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영역과 조작영역을 형성하여, 표시영역에는, 선택된 하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한편, 조작영역에는, 당해 동작 모드에서 사용하는 1 또는 복수의 조작 키를 표시하는 모드 선택 제어수단과,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유저의 모드 확정 조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동작 모드를 확정하고, 조작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키의 조작에 따라 당해 동작 모드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그 동작 화면을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모드 실행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스크롤 라인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조작을 행함으로써, 미리 스크롤 라인의 위치에 대응지어져 있는 하나의 동작 모드가 차례로 선택되어, 화면의 표시영역에는, 복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 예를 들면 모드 선택 시에 있어서의 동작 화상(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이 변환 표시된다.
그래서 유저는, 원하는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이 표시된 시점에서, 모드 확정조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동작 모드가 기동된다. 당해 동작 모드에서는, 화면의 조작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키의 압하(壓下;press)에 따라, 당해 동작 모드가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저는, 복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원하는 동작 모드를 찾아낼 수 있어, 원하는 동작 모드를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서, 상기 스크롤 라인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모드 선택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은, 스크롤 라인이 하나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스크롤 라인의 표시상태와, 모드 선택 위치 사이를 이동 중인 스크롤 라인의 표시상태에, 시각적인 차이를 만든다.
여기서 표시상태의 시각적인 차이란, 휘도의 대소(大小), 점멸의 유무, 색의 차이, 발광시키는 선의 굵기 차이 등을 의미하고 있고, 스크롤 라인 이외의 화면의 표시상태(휘도의 대소, 그라데이션 처리의 유무 등)의 상대적인 관계로 결정되는 개념이며, 유저가, 이동 중인 스크롤 라인과, 모드 선택 위치 또는 그 근방 위치에 도달한 스크롤 라인을,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모든 표시상태의 차이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스크롤 라인이 소정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롤 라인이 하나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당해 스크롤 라인을 발광시키고, 모드 선택 위치 사이의 이동 중은 당해 스크롤 라인의 발광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스크롤 라인은, 모드 선택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발광하지 않고, 하나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발광하기때문에, 스크롤 라인이 소정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구성에서,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영역에, 확정된 동작 모드의 동작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당해 동작 화면에 포함되는 조작 아이콘을 확대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저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동작 화면 상의 원하는 조작 아이콘을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구체적인 구성에서,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영역에, 확정된 동작 모드의 동작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당해 동작 화면의 스크롤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표시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당해 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함과 동시에, 동작 화면을 스크롤시킨다.
당해 구체적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동작 화면을 용이하게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구성에서,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영역에, 확정된 동작 모드의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의 조작영역에, 당해 동작 화면의 화상 또는 음성의 설정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표시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당해 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함과 동시에, 화상 또는 음성의 설정을 변화시킨다.
당해 구체적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TV 방송 수신 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동작 화면(TV 화면)의 채널을 용이하게 변환하고, 또는 음성 볼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서,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스크롤 조작과 모드 확정 조작을 위한 조그 다이얼이 구비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을 압하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조작을 스크롤 조작으로서 인식한다.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의 압하를 해제하는 조작을 모드 확정 조작으로서 인식한다.
따라서, 유저는, 조그 다이얼을 압하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을 변환하여 표시하고, 원하는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이 표시된 시점에서, 당해 조그 다이얼의 압하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동작 모드를 기동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의 압하를 해제하는 조작을 모드 확정 조작으로서 인식하는 한편, 당해 조그 다이얼을 압하 해제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한다.
따라서, 유저는, 하나의 동작 모드의 실행 중에, 조그 다이얼을 압하하지 않고, 회전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TV 방송 수신 시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TV 화면의 채널을 용이하게 변환하고, 또는 음성 볼륨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구성에서는,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유저가 미리 선택한 복수의 동작 모드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에 의한 모드의 선택과,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에 의한 모드의 기동이 가능하다.
당해 구체적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개개의 기호에 따라, 선택·기동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동작 모드의 기동을 더욱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찾아내어, 그 기능을 재빨리 기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당해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당해 휴대 전화기에서의 모드 변환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음악 재생 모드, Web 화면 표시 모드, 및 가로로 긴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의 변환을 설명하는 도,
도 5는 통상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 메일 작성 모드, 및 풀 키보드 모드의 변환을 설명하는 도,
도 6은 표시영역에 스크롤 바 표시부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조작영역에 음량 바 표시부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TV 시청 모드에서의 채널 변환과 기능 선택을 위한 키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실시한 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는,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체(8)를 구비하고, 당해 박스체(8)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화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1)와,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회로(2)와, 상대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3)와, 유저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4)이 구비 배치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2)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5)와, 터치 입력을 행하기 위한 투명한 터치 패널 입력장치(6)와, 뒤에서 설명하는 스크롤 조작 및 모드 확정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7)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3)와 마이크로폰(4)은, 전화 통화를 위해 박스체(8)의 양쪽 끝부에 배치되나, 액정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대하여 좌우의 위치에, TV 방송의 음성을 출력하는 한 쌍의 스피커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 디스플레이(5)는, 도 1(a)와 같이 박스체(8) 표면의 대략 전역에 노출되는 화면을 가지고, 당해 화면의 전역을 덮어 터치 패널 입력장치(6)가 구비 배치되어 있으며, 박스체(8)의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실제로 접촉하는 것 같은 감각으로 터치 조작함으로써,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 입력장치(6)의 표면에는, 그 하반(下半)영역에, 격자형상의 홈 패턴(9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조그 다이얼(7)은, 도 1(b)와 같이 박스체(8)의 배면 중앙부에 구비 배치되어 있고, 누름(depression operation)조작과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그 다이얼(7)의 좌우에도, 상황에 따라 조그 다이얼(7)과 함께 조작되는 압하 키가 구비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음악 재생 모드와, 도 4(b)에 나타내는 Web 화면 표시 모드와, 도 4(c)에 나타내는 가로로 긴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와, 도 5(a)에 나타내는 통상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와, 도 5(b)에 나타내는 메일 작성 모드와, 도 5(c)에 나타내는 풀 키보드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표시되는 스크롤 라인(9)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음악 재생 모드에서는, 음악뿐만 아니라, 동화상이 있는 음악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크롤 라인(9)은, 상기 홈 패턴(90)의 격자 피치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소정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발광하고, 모드 선택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발광이 정지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스크롤 라인(9)을 가장 아래쪽의 모드 선택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음악 재생 모드가 선택된다. 음악 재생 모드에서는, 스크롤 라인(9)의 윗쪽에 표시영역(91)이 형성됨과 동시에, 아래쪽에 조작영역(92)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91)에는, 재생 중인 음악이나 동화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자켓의 화상과, 재생 가능한 복수의 음악 또는 동화상의 자켓을 선택하는 선택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92)에는, 되감기(반대로 보내기), 재생, 앞으로 감기의 조작 키가 표시된다.
상기 조그 다이얼(7)을 압하 상태에서 회전 조작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 라인(9)을 1개 위의 모드 선택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Web 화면표시 모드가 설정된다. Web 화면 표시 모드에서는, 스크롤 라인(9)의 윗쪽에 표시영역(91)이 형성됨과 동시에, 스크롤 라인(9)의 아래쪽에 조작영역(92)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91)에는, Web 화면이 표시됨과 함께, 당해 Web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툴바 아이콘이 확대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92)에는, Web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키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조그 다이얼(7)을 압하 상태에서 회전 조작하고,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 라인(9)을 1개 위의 모드 선택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가로로 긴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가 설정된다. 가로로 긴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에서는, 스크롤 라인(9)의 윗쪽에 표시영역(91)이 형성됨과 동시에, 스크롤 라인(9)의 아래쪽에 조작영역(92)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91)에는, TV 화면이 가로방향으로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92)에는, TV 시청상태(채널, 음성 볼륨 등)를 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키가 가로방향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조그 다이얼(7)을 압하 상태에서 회전 조작하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롤 라인(9)을 1개 위의 모드 선택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통상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가 설정된다. 통상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에서는, 스크롤 라인(9)의 윗쪽에 표시영역(91)이 형성됨과 동시에, 스크롤 라인(9)의 아래쪽에 조작영역(92)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91)에는, TV 화면이 통상의 방향으로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92)에는, 다른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동화상 섬 네일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조그 다이얼(7)을 압하 상태에서 회전조작하고, 도 5(b)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스크롤 라인(9)을 1개 위의 모드 선택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메일 작성 모드가 설정된다. 메일 작성 모드에서는, 스크롤 라인(9)의 윗쪽에 표시영역(91)이 형성됨과 동시에, 스크롤 라인(9)의 아래쪽에 조작영역(92)이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영역(91)에는, 작성한 메일 문장이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92)에는, 문장 입력을 위한 복수의 조작 키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조그 다이얼(7)을 압하 상태에서 회전조작하고, 도 5(c)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스크롤 라인(9)을 최상위의 모드 선택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풀 키보드 모드가 설정된다. 풀 키보드 모드에서는, 스크롤 라인(9)의 윗쪽에 형성되어야 하는 표시영역(91)은 소실하고, 스크롤 라인(9)의 아래쪽, 즉 화면 전역으로 확대되는 조작영역(92)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영역(92)에는, 문장 입력을 위한 복수의 조작 키가 표시됨과 동시에, 입력한 문장의 일부가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7)의 압하 스크롤 조작에 의하여 스크롤 라인(9)이 소정의 모드 선택 위치까지 이동하여,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액정 디스플레이(5)에는, 선택된 동작 모드의 모드 선택 시에 있어서의 동작 화상(초기화면)이 표시되나, 이 시점에서는 당해 동작 모드는 미확정 상태이며, 그 후의 조그 다이얼(7)의 누름 해제에 의하여, 당해 동작 모드가 확정되게 된다.
또한, 조그 다이얼(7)의 스크롤 조작에는, 순방향의 조작과 역방향의 조작이 있고, 역방향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역방향의 스크롤처리, 및/또는 역방향의 동작 모드 변환처리가 실행된다.
음악 재생 모드에서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영역(91)에, 하나의 앨범에 수록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의 표시를 스크롤시키기 위한 제 1 스크롤 바 표시부(97)와, 복수의 앨범의 표시를 스크롤시키기 위한 제 2 스크롤 바 표시부(98)가 표시된다.
어느 앨범의 선택 아이콘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상태, 또는, 표시영역(91)에 크게 표시되고, 선택되어 있는 앨범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제 1 스크롤 바 표시부(97)가 유효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그 다이얼(7)을 누름 해제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악곡이 스크롤 표시된다. 이것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앨범의 선택 아이콘을 압하하여, 당해 앨범을 선택한 상태에서는, 제 2 스크롤 바 표시부(98)가 유효가 되고, 상기 조그 다이얼(7)을 누름 해제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앨범의 표시를 스크롤시키고, 다른 앨범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로로 긴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에서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영역(92)에, 채널 변환을 위한 조작 키가 표시됨과 동시에, 음성 볼륨의 조정값(음량)을 표시하는 음량 바 표시부(99)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그 다이얼(7)을 누름 해제한 채로 회전시키면, 음성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통상 화면에 의한 TV 시청 모드에서는, 조작영역(92)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동화상 섬 네일 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동화상 섬 네일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변환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10초 정도)의 사이에 스크롤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은, 선택된 채널이 원하는 채널이 아니기 때문에 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환하는 경우의 조작이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다른 채널을 시청하고 싶은 경우의 조작이라고 판단하여, 다른 채널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조작영역(92)에 표시되어 있는 "MENU"키를 누름 조작하면,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녹화예약이나 자막설정 등의 기능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키가 표시되고, 그 중의 "TV"키를 누름 조작하면, 도 8(a)의 채널 변환 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3은, 상기 제어회로(2)가 실행하는 모드 변환을 위한 수속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단계 S1에서는, 어떠한 키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 단계 S2로 이행하고, 조그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스크롤 조작 이외의 키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3으로 이행하고, 통상의 키 조작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 S2에서 NO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4로 이행하여, 그 스크롤 조작이 조그 다이얼의 압하 상태에서의 압하 스크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NO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9로 이행하고, 채널 변환이나 음량 조정 등의 동작 모드에서의 통상의 스크롤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단계 S10에서는, 모드에 따른 스크롤 표시를 행한 후, 단계 S2로 되돌아간다.
조그 다이얼이 압하 상태에서 스크롤 조작되고, 단계 S4에서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5로 이행하고, 현재의 표시영역과 조작영역의 경계선(스크롤 라인)을 발광에 의해 강조 표시한다. 이 때, 아울러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흐릿하게 한 표시로 변환하거나, 표시 휘도를 떨어뜨림으로써, 스크롤 라인의 발광을 더욱 강조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단계 S6에서는, 스크롤의 방향에 따라 모드 변환을 행함과 동시에, 현재의 표시영역과 조작영역의 경계선(스크롤 라인)의 이동을 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7에서는, 조그 다이얼의 압하 스크롤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NO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서, 모드 변환과 경계선의 이동을 반복한다.
한편, 단계 S7에서 YES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8로 이행하고, 선택되어 있는 모드를 확정하여, 모드 변환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모드 변환처리에 의하여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5(a), 도 5(b), 도 5(c)에 나타내는 압하 스크롤에 의한 모드변환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통상 스크롤에 의한 동작 변경이 실행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조그 다이얼(7)의 압하 스크롤 조작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스크롤 라인(9)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미리 스크롤 라인(9)의 위치에 대응지어져 있는 하나의 동작 모드가 차례로 선택되고, 화면의 표시영역(91)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복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이 변환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복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원하는 동작 모드를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유저는, 원하는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그 다이얼(7)의 압하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동작 모드를 신속하게 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드 선택 시에 표시해야 할 초기화면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모드 선택 시의 동작 화면, 예를 들면 그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실제의 Web 화면이나, 그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채널의 실제의 TV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 외, 각 동작 모드의 내용을 나타내는 소정의 디폴트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또, 스크롤 라인(9)으로서는, 표시영역(91)과 조작영역(92)의 경계선을 발광시키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영역(91)과 조작영역(92)의 경계 위치를 나타내는 여러가지 표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모드 선택 위치 사이의 이동 중에 스크롤 라인을 발광시키고, 하나의 모드 선택 위치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통과할 때, 이 스크롤 라인을 한층 강하게 발광시켜도 된다. 또한, 스크롤 라인의 이동 중은 그 이동을 강조하기 위하여, 스크롤 라인 이외의 화면표시를 흐릿하게 하거나, 휘도를 떨어뜨리는 등, 화면 전체를 제어하여, 스크롤 라인을 강조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전화기능에 관하여 유저에게 통지해야 할 표시, 예를 들면, 수신 레벨, 착신, 메일 수신, 전지 잔량, 현재 시각 등의 표시는, 스크롤 라인의 이동 중에도 통상의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그 다이얼(7)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스크롤 라인이 이동함으로써 동작 모드가 변환하는 일례를 설명하였으나, 조그 다이얼(7)에의한 입력 대신, 터치 패드에 의한 입력으로 하고, 예를 들면 스크롤 라인을 복수의 손가락으로 잡도록 하여 스크롤 라인을 이동시키는 조작이나, 스크롤 라인을 손가락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조작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스크롤 라인의 이동을 실현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그 다이얼(7)의 압하 스크롤 조작으로부터 조그 다이얼(7)의 압하를 해제하는 조작을, 모드 확정 조작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조그 다이얼(7)의 스크롤 조작 중에 다른 키를 조작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확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5 : 액정 디스플레이 6 : 터치 패널 입력장치
9 : 스크롤 라인 91 : 표시영역
92 : 조작영역

Claims (9)

  1. 박스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 배치됨과 동시에, 당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 투광성의 터치 패널 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유저가 선택한 하나의 동작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당해 화면 상을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크롤 라인을 표시하고, 유저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당해 스크롤 라인을 상기 일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라인 표시수단과,
    유저의 스크롤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스크롤 라인의 위치에 대응지어진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당해 스크롤 라인을 경계선으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영역과 조작영역을 형성하여, 표시영역에는, 선택된 하나의 동작 모드의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한편, 조작영역에는, 당해 동작 모드에서 사용하는 1 또는 복수의 조작 키를 표시하는 모드 선택 제어수단과,
    하나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유저의 모드 확정 조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의 동작 모드를 확정하고, 조작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키의 조작에 따라 당해 동작 모드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그 동작 화면을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모드 실행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라인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모드 선택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은, 스크롤 라인이 하나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스크롤 라인의 표시상태와, 모드 선택 위치 사이를 이동 중인 스크롤 라인의 표시상태에, 시각적인 차이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은, 스크롤 라인이 하나의 모드 선택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당해 스크롤 라인을 발광시키고, 모드 선택 위치 사이의 이동 중은 당해 스크롤 라인의 발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영역에, 확정된 동작 모드의 동작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당해 동작 화면에 포함되는 조작 아이콘을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영역에, 확정된 동작 모드의 동작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당해 동작 화면의 스크롤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표시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당해 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함과 동시에, 동작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디스프레이 화면의 표시영역에, 확정된 동작 모드의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의 조작영역에, 당해 동작 화면의 화상 또는 음성의 설정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표시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당해 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함과 동시에, 화상 또는 음성의 설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스크롤 조작과 모드 확정 조작을 위한 조그 다이얼이 구비 배치되고,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을 압하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조작을 스크롤 조작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의 압하를 해제하는 조작을 모드 확정 조작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스크롤 조작 및 모드 확정 조작을 위한 조그 다이얼이 구비 배치되고,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을 압하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조작을 스크롤 조작으로서 인식하고,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은, 당해 조그 다이얼의 압하를 해제하는 조작을 모드 확정 조작으로서 인식하는 한편, 당해 조그 다이얼을 압하 해제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준비 되어 있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에서 유저가 미리 선택한 복수의 동작 모드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모드 선택 제어수단에 의한 동작 모드의 선택과, 상기 모드 실행 제어수단에 의한 동작 모드의 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7004210A 2007-08-31 2008-08-27 휴대 단말기 KR101129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5134A JP5086005B2 (ja) 2007-08-31 2007-08-31 携帯端末機
JPJP-P-2007-225134 2007-08-31
PCT/JP2008/065263 WO2009028533A1 (ja) 2007-08-31 2008-08-27 携帯端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045A true KR20100063045A (ko) 2010-06-10
KR101129661B1 KR101129661B1 (ko) 2012-03-29

Family

ID=4038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210A KR101129661B1 (ko) 2007-08-31 2008-08-27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8812B2 (ko)
JP (1) JP5086005B2 (ko)
KR (1) KR101129661B1 (ko)
WO (1) WO2009028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1979A (ja) * 2009-05-22 2010-12-02 Toshiba Corp 携帯端末
US8532585B2 (en) * 2010-05-11 2013-09-10 Harris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rotary knob multi-functional control
JP5618858B2 (ja) * 2011-02-16 2014-11-05 株式会社Nttドコモ 表示装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83869B2 (ja) * 2014-05-08 2014-09-03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
JP5625133B1 (ja) * 2014-07-16 2014-11-12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253B2 (ja) 1992-09-08 2005-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2000278391A (ja) 1999-03-26 2000-10-06 Nec Saitama Ltd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2001174271A (ja) * 1999-12-21 2001-06-29 Kenwood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82769B2 (ja) * 2002-06-21 2008-11-1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321915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311224A (ja) * 2005-04-28 2006-11-09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4815927B2 (ja) * 2005-07-27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メニュー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009099B2 (ja) * 2007-08-30 2012-08-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EP2129084B1 (en) * 2008-05-29 2010-11-24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14241A1 (en) 2010-08-26
JP5086005B2 (ja) 2012-11-28
KR101129661B1 (ko) 2012-03-29
US8558812B2 (en) 2013-10-15
WO2009028533A1 (ja) 2009-03-05
JP2009060319A (ja)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8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RU2396727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и вертикальным отображением структуры меню и подменю
US7587683B2 (en) Display method,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rogram
KR1006527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와 방법
KR101924835B1 (ko)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47835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US20090051666A1 (en) Portable terminal
JP2005122271A (ja) 携帯型電子装置
US7450111B2 (en) Key functionality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29661B1 (ko) 휴대 단말기
US7605801B1 (en) Portable device
JP2012203349A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6078375B2 (ja)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20110055696A (ko) 정보가 표시되도록 출력을 제공하는 제어기,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6514061B2 (ja) 電子機器
JP5932563B2 (ja)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での処理実行方法
JP5467064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9253772A (ja) 入力装置、入力方法、携帯端末装置の入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7050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매니저 표시방법
JP5951719B2 (ja) 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携帯電子装置の制御方法
US20100333023A1 (en) Device with e-mail function
JP2004179870A (ja) 携帯端末装置
JP4161561B2 (ja) 移動体端末、そのポイ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211266A (ja) 携帯電話機
JP5774931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