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106A -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106A
KR20100062106A KR1020080120543A KR20080120543A KR20100062106A KR 20100062106 A KR20100062106 A KR 20100062106A KR 1020080120543 A KR1020080120543 A KR 1020080120543A KR 20080120543 A KR20080120543 A KR 20080120543A KR 20100062106 A KR20100062106 A KR 2010006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door
motor
eleva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7867B1 (ko
Inventor
방효무
Original Assignee
방효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효무 filed Critical 방효무
Priority to KR102008012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8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66B13/125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4Door or gate operation of swinging 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전동식으로 승강하며, 케이지도어를 갖춘 케이지와; 이 케이지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에 가까운 각 층의 상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도어;를 포함하는 승강기에 구비된 도어개폐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모터 및, 이 모터와 상기 안전도어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쇄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안전도어가 케이지도어의 개방과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하여서, 케이지가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전도어의 개방이 방지되어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설치 및 작동이 간단하게 되어 수송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예컨대 건설현장에서 작업자나 부자재의 수송을 위하여 축조 중인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산업용 승강기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 각 층에 설치되는 안전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쇄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안전도어가 케이지도어의 개방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들 중 산업용 승강기는 다층으로 축조 중인 건축물의 전장 높이에 걸쳐 조립식으로 가설되어, 작업자 또는 부자재들을 원하는 층으로 수송하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산업용 승강기는, 통상 축조 중인 건축물의 외측에서 전장 높이에 걸쳐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전동식으로 승강하는 케이지를 설치하는 한편, 건축물의 각 층의 상판(床板) 단부에는 케이지의 승강 경로와 일치되는 위치에다 케이지도어에 대응되게 이중으로 설치되는 안전도어를 설치하여서, 케이지의 도착시 작업자가 케이지도어 및 안전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한 후 탑승하거나 부자재 를 운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기의 안전도어는 별도의 제어 없이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작업자 또는 탑승자들이 케이지의 도착과 무관하게 안전도어를 개방시키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단 개방은 작업자들의 추락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케이지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안전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술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어서 아직도 건설현장에서는 수동으로 안전도어를 개폐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 대부분의 산업용 승강기는 건설현장에서 탑승 및 하차가 용이하도록 하나의 케이지 내에 케이지도어가 전면과 후면에 구비되는 관통형 케이지가 설치되는데, 작업자가 한쪽 케이지도어를 통해 다대한 부자재를 싣고서 승강한 후 반대쪽 케이지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좁은 케이지 내를 이동하는 것과, 케이지도어 또는 안전도어를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방하는 것이 아주 번거롭고 불편하여서, 수송작업의 용이성과 신속성 등을 떨어뜨리고, 결국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에도 악영향을 끼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케이지의 도착에 따라 안전도어의 개폐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수단을 갖추어, 폐쇄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안전도어가 케이지도어의 개방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가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전도어의 개방이 방지되어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층의 상판에 이중으로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도어의 잠금장치를 없앨 수 있고 설치 및 작동이 간단하게 되어, 수송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면서 궁극적으로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전동식으로 승강하며, 케이지도어를 갖춘 케이지와; 이 케이지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에 가까운 각 층의 상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도어;를 포함하는 승강기에 구비된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모터 및, 이 모터와 상기 안전도어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도 1에서 폐쇄상태일 때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가 적용된 케이지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주로 축조 중인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산업용 승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개보수 중인 건축물 또는 완성된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10)가 적용되는 산업용 승강기는, 축조 중인 건축물의 외측에서 전장 높이에 걸쳐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전동식으로 승강하며, 케이지도어(2)를 갖춘 케이지(1)와; 상기 건축물의 각 층의 상판 단부에서 케이지(1)의 승강 경로와 일치되는 위치에다 케이지도어(2)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프레임(11)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도어(1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은 문(門)형상 또는 사각형상을 갖도록 금속제로 된 비임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1)의 측면부재의 하단에는 상판(床板) 단부에 안전도어(12)를 직립되게 지탱하기 위한 지지부(21)를 구비하는 한편, 측면부재의 상단에는 해당 층의 천장에 고정되는 소위 종발이라 불리우는 고정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1)은 힌지(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도어(12)를 갖추며, 이 안전도어(12)는 사각형상의 틀에 안전망이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문형 안전도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문형 안전도어에도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10)는, 프레임(11)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모터(13)와, 이 모터(13)와 안전도어(12)를 연결하는 연결기구(14)가 주요 특징부를 이루고 있다.
연결기구(14)는 모터(13)와 연결되어 있음과 더불어 프레임(11)의 상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는바, 모터(13)와 연결된 회전축(24)과, 이 회전축(24)의 모터 반대쪽 끝에 장착된 스터드볼트(25)와, 이 스터트볼트(25)의 외주면을 따라 선형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너트(26)와, 이 너트(26)에 선회되게 고정된 아암(27)과, 이 아암(27)에 연결되어 길게 뻗어 있는 샤프트(28) 및, 이 샤프트(28)에 연결되고서 상기 안전도어(12)의 상부선단에 고정된 브라켓(29)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24)은 프레임(11)의 한쪽 측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부시 또는 베어링에 수평으로 끼워져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이 회전축(24)은 모터(13)의 모터축 끝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예컨대 도 2 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와 회전축(24) 사이에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감속기(31)와, 이 감속기(31)에서 나오는 출력축과 회전축(24)의 회전중심을 맞추기 위해 장착되는 U형상의 조인트(32)를 구비하여, 이들을 매개로 모터(1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13)와 상기 감속기(31)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 또는 하우징이 프레임(11)의 외측 선단에 구비되면 좋다.
스터드볼트(25)는 상기 회전축(24)의 끝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어댑터를 매개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양문형인 경우에는 스터드볼트(25)의 나사산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즉 절반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26)는 모터(13)와 회전축(24) 및 스터드볼트(25)가 회전함에 따라 스터드볼트(25)의 길이방향으로 선형이동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28)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힌지볼트(30)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10)는, 안전도어(12)의 완전한 개폐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안전도어(1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했는지를 감지하거나, 너트(26)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했는지를 감지하거나, 아암(27) 또는 브라켓(29)이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했는지를 감지하는, 예컨대 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감지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지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별도의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수단을 매개로 하여 무선으로 케이지(1)에 배치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어서 모터(1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1)는 사각단면의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금속제로 된 비임으로 형성되고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바닥판과 4측면(케이지도어도 포함)에 안전망 등을 구비하는 한편, 전면에만 또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케이지도어(2)가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케이지의 승강방식 및 이에 따른 승강구조, 그리고 케이지도어의 작동관계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지(1)의 케이지도어(2)가 상하로 개폐되게 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케이지(1)의 상부에 장착된 구동모터(3)와, 이 구동모터(3)의 모터축 또는 감속기에 연결된 스프로킷(4) 및, 케이지도어(2)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프로킷(4)과 맞물리게 되는 퍼포레이션(5)을 구비하여서, 구동모터(3)에 연결된 스프로킷(4)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맞물리는 퍼포레이션(5)과 함께 케이지도어(2)가 위로 올라가 케이지(1)가 개방되고, 구동모터(3)가 역회전하여 스프로킷(4)이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퍼포레이션(5) 및 케이지도어(2)가 내려오면서 폐쇄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도어(2)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폐쇄를 보다 완만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로킷(4)과 동축 상으로 설치되되 케이지(1)의 외부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도르래부재(6) 및, 이 도르래부재(6)에 장착되고서 일단은 케이지도어(2)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추(7)에 연결되는 와이어(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지도어(2)의 개폐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지도어(2)를 상하로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는 한, 다른 개폐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10)가 적용되는 산업용 승강기의 케이지도어(2)에는 이 케이지도어(2)의 개폐를 감지하는 예컨대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감지장치(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감지장치(9)로부터 신호를 받고 구동모터(3)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케이지(1)에 장착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전체 감지장치와, 제어부, 모터 등을 위한 전원은 케이지를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도어용 개폐장치(10)에 의해 안전도어(12)가 폐쇄된 상태로 되고서 케이지(1)가 승강 경로 내에서 승강 또는 하강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지(1)가 해당 층에 도착 완료되어, 작업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구동모터(3)와 연결된 스프로킷(4)이 회전하게 되면, 이 스프로킷(4)과 맞물리게 되는 퍼포레이션(5)과 함께 케이지도어(2)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케이지(1)와 감지장치(9) 사이의 접촉이 떨어지게 된다.
케이지(1)의 케이지도어(2)가 개방되기 시작하면서 감지장치(9)로부터 제어부가 신호를 받게 되고, 이어서 이 제어부로부터 해당 층의 모터(13)를 구동시키는 신호가 케이지(1) 및 건축물에 설치되는 별도의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전달되 게 된다. 즉, 제어부가 모터(13)에 전원을 인가하여 그 모터축이 회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모터(13)에 직접 또는 감속기(31) 및 조인트(32)를 매개로 연결되는 회전축(24)과 이 회전축(24) 끝에 장착된 스터드볼트(25)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26)가 스터드볼트(25)의 길이방향으로 선형이동하게 되고, 너트(26)에 선회되게 고정된 아암(27)과 이에 연결된 샤프트(28) 및 브라켓(29)이 선회하면서 결국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도어(12)가 개방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안전도어(1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되면, 감지장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케이지(1)에 배치된 제어부로 전달되어서 모터(13)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케이지도어(2)가 최상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 케이지도어(2)의 하부에 장착된 감지장치(9)가 케이지(1)에 닿게 되면서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케이지(1)에 배치된 제어부로 전달되어서 구동모터(3)도 정지시키게 된다.
또, 케이지로의 탑승 또는 케이지로부터의 하차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어 모터(13)를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모터(13)와 회전축(24) 및 스터드볼트(2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너트(26)도 역방향으로 선형이동하며 아암(27)과 샤프트(28) 및 브라켓(29)이 역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결국 안전도어(12)가 폐쇄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구동모터(13)도 역회전하여 스프로킷(4)이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 면, 퍼포레이션(5) 및 케이지도어(2)가 내려오면서 폐쇄되게 된다.
안전도어(1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완전히 폐쇄될 때, 그리고 케이지도어(2)가 최하 위치로 하강할 때에도, 각각의 감지장치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케이지(1)에 배치된 제어부로 전달되어서 구동모터(3) 및 모터(13)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지도어(2) 및 안전도어(12)가 폐쇄되면, 케이지(1)가 폐쇄된 상태로 대기하거나 다른 층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도어의 개폐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수단을 갖추어, 폐쇄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안전도어가 케이지도어의 개방과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가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전도어의 개방이 방지되어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층의 상판에 이중으로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고 스터드볼트와 너트 등의 연결기구를 통해서만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별도의 잠금장치를 없앨 수 있고, 지지부와 고정부로 인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더구나, 작동이 간단하게 되어, 수송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면서 궁극적으로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도어용 개폐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위 여닫이문 형태의 안전도어에 대해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미닫이문 형태의 안전도어에도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 모터의 모터축과 스터드볼트가 수평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모터축이 스터드볼트에 대해 수직하게 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폐쇄상태일 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가 적용된 케이지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9)

  1.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레일을 타고 전동식으로 승강하며, 케이지도어를 갖춘 케이지와; 이 케이지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에 가까운 각 층의 상판 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도어;를 포함하는 승강기에 구비된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선단에 설치되는 모터 및, 이 모터와 상기 안전도어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끝에 장착된 스터드볼트와; 이 스터트볼트의 외주면을 따라 선형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너트와; 이 너트에 선회되게 고정된 아암과; 이 아암에 연결되어 길게 뻗어 있는 샤프트 및; 이 샤프트에 연결되고서 상기 안전도어의 상부선단에 고정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감속기와; 이 감속기에서 나오는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중심을 맞추기 위해 장착되는 조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힌지볼트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안전도어가 양문형일 때, 상기 스터드볼트의 나사산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즉 절반은 왼나사로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의 완전한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 감지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케이지의 제어부로 전달되어서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지의 상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스프로킷 및; 케이지도어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프로킷과 맞물리게 되는 퍼포레이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과 동축 상으로 설치되되 케이지의 외부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도르래부재 및; 이 도르래부재에 장착되고서 일단은 케이지도어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추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도어의 완전한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 감지장치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케이지의 제어부로 전달되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KR1020080120543A 2008-12-01 2008-12-01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KR10103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543A KR101037867B1 (ko) 2008-12-01 2008-12-01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543A KR101037867B1 (ko) 2008-12-01 2008-12-01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106A true KR20100062106A (ko) 2010-06-10
KR101037867B1 KR101037867B1 (ko) 2011-05-31

Family

ID=4236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543A KR101037867B1 (ko) 2008-12-01 2008-12-01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799A (zh) * 2018-11-05 2019-04-05 张家港市荣达建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联锁装置及联锁层门
CN112141861A (zh) * 2020-09-30 2020-12-29 苏州美嘉智选电梯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自动平开门
KR20220117644A (ko) * 2021-02-17 2022-08-24 최용환 출입자 감지용 센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자동개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35B1 (ko) 2013-07-18 2015-03-20 이상설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KR102106464B1 (ko) 2019-12-24 2020-05-04 주식회사 리코 산업용 승강기 안전문 개폐장치
KR102419931B1 (ko) 2021-01-18 2022-07-12 방효무 산업용 승강기의 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432Y1 (ko) * 1986-12-26 1989-09-22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개폐장치
JP2003184417A (ja) 2001-12-18 2003-07-03 Ryobi Ltd ドアクローザのアーム部材連結構造
JP2008063018A (ja) * 2006-09-04 2008-03-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804065B1 (ko) * 2006-11-15 2008-02-18 주식회사 리프텍 접이식 발판 및 그 접이식 발판을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799A (zh) * 2018-11-05 2019-04-05 张家港市荣达建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联锁装置及联锁层门
CN112141861A (zh) * 2020-09-30 2020-12-29 苏州美嘉智选电梯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自动平开门
CN112141861B (zh) * 2020-09-30 2021-07-30 苏州美嘉智选电梯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自动平开门
WO2022067983A1 (zh) * 2020-09-30 2022-04-07 苏州美嘉智选电梯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自动平开门
KR20220117644A (ko) * 2021-02-17 2022-08-24 최용환 출입자 감지용 센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의 자동개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867B1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867B1 (ko)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JP5827347B2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5841950B2 (ja) 水門扉の昇降開閉装置
KR101009540B1 (ko) 승강기의 도어개폐장치
JP440499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193018B1 (ko) 산업용 승강기의 출입 안전장치
KR10084851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JP41074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2668914U (zh) 一种施工电梯出料门自动化翻转板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856765B1 (ko) 화물용 승강기의 승강장도어 개폐장치
JP5808196B2 (ja) 開閉制御装置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JP3117520U (ja) エレベータの自動着床装置
JPH03284590A (ja) 工事用の高速人荷兼用エレベータ
KR100778251B1 (ko) 덤웨이터의 도어장치
KR0137096Y1 (ko) 주차설비의 파레트 낙하방지 및 리프트 위치고정 장치
CN220578666U (zh) 施工电梯轿厢结构
JP747189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3049974A (ja) 立体駐車装置
JPH04140298A (ja) 乗客用コンベアの乗降口カバー装置
KR100335987B1 (ko) 승강기식 주차설비
KR200378514Y1 (ko) 건축공사용 승강기
JP200624863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KR20040096958A (ko)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