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857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857A
KR20100061857A KR1020107010244A KR20107010244A KR20100061857A KR 20100061857 A KR20100061857 A KR 20100061857A KR 1020107010244 A KR1020107010244 A KR 1020107010244A KR 20107010244 A KR20107010244 A KR 20107010244A KR 20100061857 A KR20100061857 A KR 20100061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attery
cover member
hous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345B1 (ko
Inventor
다카아키 와타나베
다츠야 야노
야스히토 가네마키
미치아키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01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1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0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11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0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1137B2/ja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6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로 카드를 삽입 이탈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휴대전화기(1)는, 배터리(17)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9)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부(21)와, 배터리 수용부(19)를 덮는 커버 부재(23)를 갖는다. 배터리 수용부(19)에는,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되었을 때에 배터리(17)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이며, 또한,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 가려지는 영역에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카드 삽입부(27)는, 제2 카드(C2)가 삽입된 상태로, 배터리(17)와 함께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 가려진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IC(Integrated Circuit) 카드를 삽입 이탈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IC 카드를 삽입 이탈 가능한 휴대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휴대전화기에 삽입되는 IC 카드에는, 예를 들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U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있다.
SIM 카드나 UIM 카드는,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면서, 휴대전화기를 교환 가능하게 하거나, 복수의 휴대전화기를 이용 가능하게 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며, 전화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러한 카드는, 휴대전화기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로 삽입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카드의 삽입부(개구)는, 배터리를 휴대전화기로부터 분리한 상태가 아니면 카드를 삽입 이탈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하우징의 배터리 수용부의 내벽에, SIM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설치한 휴대전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유저의 조작에 따라, 악곡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이 적절히 기록되거나, 독출되거나 하는 IC 카드로서,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는, 휴대전화기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삽입 이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부는, 상술한 SIM 카드나 UIM 카드의 삽입부와는 달리,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4-222170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배터리가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삽입 이탈되는 카드(메모리 카드)의 삽입부가,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드의 삽입부가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삽입부를 가려 삽입부로부터의 티끌 등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캡이 설치된다. 이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고, 또, 디자인상의 제약도 생긴다. 특허문헌 1의 휴대전화기는, SIM 카드와 메모리 카드를 적층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카드를 하우징 외부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SIM 카드의 삽입부까지도 하우징 외부의 근처에 배치할 필요가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낮다. 메모리 카드의 삽입부를 SIM 카드의 삽입부와 동일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하면,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로부터 분리하지 않으면 메모리 카드를 삽입 이탈할 수 없게 되어, 불편하다.
따라서, 디자인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로 카드를 삽입 이탈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 내에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가려지는 영역에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는,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와 함께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가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로 카드를 삽입 이탈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의 휴대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열림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전화기를 닫힘 상태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전화기를 커버 부재 및 배터리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전화기를 커버 부재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전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전화기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전화기의 서브 기판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전화기의 커버 부재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버 부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휴대전화기의 하우징 본체부 및 커버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XI선 및 XIIb-XII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수용부 내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휴대전화기의 신호 처리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비교예의 휴대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 장치로서의 휴대전화기(1)의 외관을 열림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휴대전화기(1)의 외관을 열림 상태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휴대전화기(1)의 외관을 닫힘 상태로 도시한 배면도(도 1(a)의 지면 안쪽으로부터, 도 1(b)의 지면 우측으로부터의 도면)이다.
휴대전화기(1)는, 이른바 2축 힌지를 갖는 휴대전화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기(1)는,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5)(도 1(a) 및 도 1(b))과, 연결 하우징(7)(도 1(a) 및 도 1(b))을 갖고 있다. 연결 하우징(7)은, 제1 회전축 A(도 1(a))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하우징(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연결 하우징(7)은, 제2 회전축 B(도 1(a))를 중심으로 하여 제2 하우징(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3), 제2 하우징(5) 및 연결 하우징(7)은, 휴대전화기(1) 전체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다.
제1 하우징(3) 및 제2 하우징(5)은, 예를 들면, 대개 박형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하우징(3) 및 제2 하우징(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서로의 윤곽이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3)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하우징(7)과는 반대측의 제1 영역부(3a)와, 연결 하우징(7)측의, 제1 영역부(3a)보다 두꺼운 제2 영역부(3b)와, 제1 영역부(3a)와 제2 영역부(3b)의 경계부(3c)를 갖고 있다.
제1 하우징(3)에는,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5)과 대향하는 면에, 통화용의 마이크로폰(87)(도 15 참조)의 수음구멍(收音孔)(9),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3)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5)의 반대측이 되는 배면(3f)에, 착신의 통지 등을 행하는 스피커(85)(도 15 참조)의 방음구멍(放音孔)(10), 촬상부(12), 휴대전화기(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음구멍(10), 촬상부(12) 및 충전 단자(14)는, 제2 영역부(3b)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5)에는,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용의 스피커(83)(도 15 참조)의 방음구멍(13), 도형이나 문자 등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우징(5)의 배면에는, 예를 들면, 도시 생략의 서브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휴대전화기(1)에 있어서의 SIM 카드 등의 IC 카드나 메모리 카드의 착탈 방법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3(a)는, 닫힘 상태의 휴대전화기(1)를, 일부의 부재를 분리하여, 제1 하우징(3)의 배면측(도 2와 동일한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1 하우징(3)은, 내부에 배터리(17)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우징(3)은, 배터리(17)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9)가 설치된 하우징 본체부(21)(하우징의 일례)와, 배터리 수용부(19)를 덮는, 하우징 본체부(21)에 착탈 가능한 커버 부재(23)를 갖고 있다.
배터리 수용부(19)는, 제1 영역부(3a) 및 경계부(3c)에 있어서, 배면측을 오목하게 하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3)는, 배터리 수용부(19)에 씌워져 있다. 커버 부재(23)는, 제1 하우징(3)의 배면(3f)(도 2의 지면 앞쪽의 면. 도 3(a)에서는 지면 위쪽의 면) 중, 제1 영역부(3a) 및 경계부(3c)에 있어서의 부분을 구성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부(21)는, 제2 영역부(3b)에 있어서의 부분이, 제1 영역부(3a)에 있어서의 부분보다 두껍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b)는, 배터리 수용부(19)의 내벽 중, 제2 영역부(3b)측의 내벽(21a) 부근을 나타내고 있다.
내벽(21a)에는, 제1 카드(C1)가 삽입되는 제1 카드 삽입부(25), 및, 제2 카드(C2)가 삽입되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카드 삽입부(27)는, 제1 카드 삽입부(25)에 대해, 도 3(b)의 지면 위쪽(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지는 측)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제1 카드(C1)는, 예를 들면, SIM 카드나 UIM 카드이다. 제1 카드(C1)는,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면서, 휴대전화기를 교환 가능하게 하거나, 복수의 휴대전화기를 이용 가능하게 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카드(C1)는,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로서,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나 가입자를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제1 카드(C1)는, 예를 들면 대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카드(C2)는, 예를 들면, SD 카드 등의 메모리 카드이다. 메모리 카드는, 유저의 조작부(11)에 대한 조작에 따라, 악곡이나 화상 등의 정보가 적절히 기록되거나, 독출되거나 하는 것이다. 제2 카드(C2)는, 예를 들면 대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a)는, 도 3(a)의 상태로부터, 배터리(17)를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배터리(17)는, 예를 들면, 대개 박형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부(19)의 평면 형상은, 배터리(17)가 끼워맞춰지는 형상, 즉, 대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부(19)는, 제1 영역부(3a)에 있어서, 배터리(17)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의 깊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17)의 도 4(a)의 지면 위쪽(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지는 측)의 면은, 하우징 본체부(21)의 제1 영역부(3a)에 있어서의 도 4(a)의 지면 위쪽의 면과 대개 한 면이 된다.
도 4(b)는, 도 4(a)의 내벽(21a) 부근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부(21)는, 제2 영역부(3b)에 있어서의 부분이, 제1 영역부(3a)에 있어서의 부분보다 두껍다. 또, 배터리(17) 및 하우징 본체부(21)의 제1 영역부(3a)에 있어서의 부분은, 도 4(b)의 지면 위쪽의 면이 대개 한 면이 된다. 따라서, 내벽(21a)은,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되어도, 도 4(b)의 지면 위쪽의 영역이, 배터리(17)의 두께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배터리(17)의 측면에 대향하지 않고) 노출된다. 즉, 내벽(21a)은, 배터리(17)의 두께에 의해 가려지는 피복 영역 S1과, 배터리(17)의 두께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노출 영역 S2(도 3(b))를 갖는다.
그리고, 도 3(b)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카드 삽입부(25)는 피복 영역 S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카드 삽입부(27)는 노출 영역 S2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카드(C1)는, 배터리(17)를 배터리 수용부(19)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만, 제1 카드 삽입부(25)로의 삽입 이탈이 허용된다. 그 한편으로, 제2 카드(C2)는, 배터리(17)를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한 상태여도 제2 카드 삽입부(27)로의 삽입 이탈이 허용된다.
단, 제2 카드 삽입부(27)는, 커버 부재(23)가 하우징 본체부(21)에 부착되면, 배터리(17)와 함께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 가려진다(도 2 및 도 11 참조).
이하, 상술한 제1 카드(C1) 및 제2 카드(C2)에 관한 휴대전화기(1)의 내부 구조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제1 하우징(3)을 분해하여 닫힘 상태의 휴대전화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하우징(3)에 있어서는, 도 5의 지면 아래쪽(제1 하우징(3)의 정면측,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2 하우징(5)과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하우징 본체부(21)의 정면측을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29), 고주파 회로 등을 실드하는 실드 케이스(31),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된 메인 기판(33), 전자 부품의 유지 등에 이용되는 프레임 부재(35), 제1 카드(C1) 및 제2 카드(C2)가 장착되는 서브 기판 어셈블리(37),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측을 구성하는 리어 케이스(39), 상술한 배터리(17) 및 커버 부재(23)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3)에 있어서는, 그밖에도, 실드 케이스(31)의 프론트 케이스(29)측의 면에 적층되고, 복수의 가압 스위치 등이 설치된 FPC, FPC에 씌워지며, 키탑(41)(도 1)이 고착되는 키시트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29) 및 리어 케이스(39)는, 예를 들면, 각각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29) 및 리어 케이스(39)는, 예를 들면, 한쪽(예를 들면 리어 케이스(39))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 통과된 도시 생략의 나사가 다른 쪽(예를 들면 프론트 케이스(29))에 형성된 나사 보스에게 나사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서로 대향 배치된 프론트 케이스(29) 및 리어 케이스(39)가 서로 고정됨으로써, 그 사이에 배치되는, 키시트, 실드 케이스(31), 메인 기판(33) 등의 각종의 부품은, 프론트 케이스(29) 및 리어 케이스(39)의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이에 의해, 각종의 부품은, 프론트 케이스(29) 및 리어 케이스(39)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고정된다.
실드 케이스(31)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수지 표면에 금속막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도전성을 갖고 있다. 실드 케이스(31)는, 메인 기판(33)의 그라운드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31)는, 메인 기판(33)측으로 돌출되고, 메인 기판(33)에 접촉하는 리브를 갖고 있다. 당해 리브는, 메인 기판(33)을 구획하도록 종횡으로 연장되어 있다.
메인 기판(33)은, 예를 들면, 경질의 수지를 베이스로 한 이른바 리지드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인 기판(33)은, 예를 들면, 제1 영역부(3a) 및 제2 영역부(3b)에 걸친 넓이를 갖고 있다. 메인 기판(33)에는, 예를 들면, 배터리(17)로부터 급전을 받는 전지 단자(43)나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도시 생략의 고주파 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 단자(43)는, 단자 하우징(43a)과, 단자 하우징(43a)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자(43b)(도 13 참조)를 갖고 있다. 접촉자(43b)는, 단자 하우징(43a) 내에 설치된 도시 생략의 탄성 가압 부재(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전지 단자(43)는, 휴대전화기(1)가 조립되면, 접촉자(43b)가 돌출되는 측이, 내벽(21a)에 설치된 단자용 개구(44)(도 13 참조)로부터 노출된다. 그리고,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되면, 접촉자(43b)는 배터리(17)의 내벽(21a)측의 단면에 설치된 도시 생략의 급전 단자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단자용 개구(44)는, 내벽(21a)의 메인 기판(33)측의 가장자리부에 노치가 형성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 단자용 개구(44)는, 제1 카드 삽입부(25) 및 제2 카드 삽입부(27)에 인접하고 있다.
상술한 배터리 수용부(19)는, 내벽(내벽(21a)을 포함한다)이 리어 케이스(3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카드 삽입부(25) 및 제2 카드 삽입부(27)도, 리어 케이스(39)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39)에는, 배터리 수용부(19)가 형성되는 부분에 빠짐 구멍(21h)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기판(33)은, 빠짐 구멍(21h)으로부터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측으로 노출되고, 배터리 수용부(19)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또한, 메인 기판(33)의, 빠짐 구멍(21h)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절연성의 시일 등이 부착되어도 된다.
도 6(a)는, 프레임 부재(35)를 제1 하우징(3)의 배면(3f)측(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프레임 부재(35)를 메인 기판(33)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프레임 부재(35)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대개 박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를 배면(3f)측에 유지하는 제1 유지부(35a), 착신의 통지 등을 행하는 스피커(85)(도 15 참조)를 배면(3f)측에 유지하는 제2 유지부(35b), 제1 하우징(3) 내의 전자 회로와 제2 하우징(5) 내의 전자 회로를 접속하는 도시 생략의 케이블 등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35d) 등을 갖고 있다.
제1 유지부(35a)는,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베이스부(35e)의 주위에 측벽부(35f)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유지부(35a)에는, 서브 기판 어셈블리(37)측에 오목부(35g)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5g)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이다.
프레임 부재(35)에는, 나사(45)(도 13 참조)가 삽입 통과되는 구멍부(35h)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45)는, 구멍부(35h), 메인 기판(33)에 형성된 구멍부(33h)(도 5)에 삽입 통과되고, 실드 케이스(31)에 형성된 암나사부(31h)(도 5)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이것으로부터, 프레임 부재(35)는, 메인 기판(33)과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35)와 메인 기판(33)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33)에 실장된 전자 부품의 배치 공간이 형성된다(도 11 참조).
도 7은,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를 배면(3f)측(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는, 서브 기판(47)과, 제1 카드(C1)가 장착되는 제1 카드 홀더(49)와, 제2 카드(C2)가 장착되는 제2 카드 홀더(51)를 갖고 있다. 제1 카드 홀더(49)는, 서브 기판(47)의 한쪽의 면(도 7의 지면 아래쪽의 면, 프레임 부재(35)측의 면)에 실장되어 있다. 제2 카드 홀더(51)는, 서브 기판(47)의 다른 쪽의 면(도 7의 지면 위쪽의 면, 리어 케이스(39)측의 면)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는, 그밖에도, 서브 기판(47)에 실장되는, 촬상부(12)를 구동하는 IC 등의 적절한 부품을 갖고 있다.
서브 기판(47)은, 예를 들면, 경질의 수지를 베이스로 한 이른바 리지드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카드 홀더(49) 및 제2 카드 홀더(51)는,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카드 홀더(49)에는, 제1 카드(C1)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공간 내에는, 제1 카드(C1)와 서브 기판(47)을 접속하는 도시 생략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 카드 홀더(51)에는, 제2 카드(C2)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공간 내에는, 제2 카드(C2)와 서브 기판(47)을 접속하는 도시 생략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카드 홀더(51)는, 이른바 Push-Push 방식에 의해 제2 카드(C2)를 삽입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카드(C2)의 삽입 시에 있어서는, 제2 카드(C2)는, 일정 위치보다 안쪽에 삽입됨으로써, 제2 카드 홀더(51) 내에 로크된다. 제2 카드(C2)의 드로잉 시에는, 제2 카드(C2)는, 일정 위치보다 안쪽으로 재차 밀어 넣어짐으로써, 로크가 해제되어 드로잉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카드(C2)는, 스프링 등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2 카드 홀더(51)로부터 소정량 돌출된다. 따라서, 제2 카드(C2)는,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된 상태로,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제1 카드(C1)를 제1 카드 홀더(49)에 대해 삽입 이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는, 제1 카드 홀더(49)가 프레임 부재(35)의 제1 유지부(35a)에 형성된 오목부(35g)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이 때, 서브 기판(47)은, 제1 유지부(35a)의 측벽부(35f)에 올려놓여(적층)진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29)와 리어 케이스(39)가 고정되면, 서브 기판(47)이 측벽부(35f)와 리어 케이스(39)의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고,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는 제1 하우징(3)에 대해 고정된다.
도 8은, 커버 부재(23)의 내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23)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커버 부재(23)는, 전체적으로 대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부재(23)는, 제1 영역부(3a)의 배면을 구성하는 평판형상의 평판부(23a)와, 경계부(3c)의 배면을 구성하고, 평판부(23a)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부(23b)와, 제1 하우징(3)의 제1 영역부(3a)측의 단부 배면을 구성하는 곡면형상의 곡면부(23c)를 갖고 있다.
평판부(23a)의 내측면에는, 커버 부재(23)를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하우징 본체부(21)의 길이 방향(도 8의 지면 좌우 방향, 제2 카드(C2)의 삽입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피가이드부(23d)가 설치되어 있다. 피가이드부(23d)는, 예를 들면, 평판부(23a)의 측방쪽에 있어서 평판부(23a)의 가장자리부를 따른 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부(21)에 설치된 도시 생략의 가이드홈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23)는, 하우징 본체부(2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고, 하우징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된다.
커버 부재(23)에는, 커버 부재(23)를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하우징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하우징 본체부(21)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피걸어맞춤부가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곡면부(23c)에는, 커버 부재(23)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측 피걸어맞춤부(23e)가 설치되어 있다. 단부측 피걸어맞춤부(23e)는, 하우징 본체부(21)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21e)(도 4(a))에 삽입되고,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배면측(도 4(a)의 지면 위쪽, 도 8의 지면 아래쪽)으로 걸어맞춰지며, 커버 부재(23)의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배면측으로의 이간을 저지한다. 또, 예를 들면, 피가이드부(23d)의 측면에는, 커버 부재(23)의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배면측으로의 이간을 저지하는 L자형상의 측방쪽 피걸어맞춤부(23f)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커버 부재(23)의 경사부(23b) 부근을 내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하우징 본체부(21)의 내벽(21a) 부근 및 커버 부재(23)의 경사부(23b) 부근을 외측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경사부(23b)에는, 상술한 단부측 피걸어맞춤부(23e) 등과 동일하게, 커버 부재(23)를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하우징 본체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하우징 본체부(21)에 걸어맞춰지는 내벽측 피걸어맞춤부(23g)와,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가 설치되어 있다.
내벽측 피걸어맞춤부(23g)는, 경사부(23b)로부터 도 9 및 도 10의 지면 위쪽(제2 영역부(3b)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벽측 피걸어맞춤부(23g)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벽(21a)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1g)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23)의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배면측으로의 이간은 저지된다.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는, 경사부(23b)로부터 도 9 및 도 10의 지면 위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m)와, 연장부(23m)로부터 커버 부재(23)의 외측면쪽(도 9의 지면 안쪽, 도 10의 지면 앞쪽)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돌출부(23n)를 갖고 있다. 한편, 내벽(21a)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가 삽입되는 걸어맞춤구멍(21j)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21j)의, 도 10의 지면 위쪽의 개구 가장자리부(21n)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하우징 본체부(21)의 내측면으로부터 걸어맞춤구멍(21j)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3)를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도 10의 지면 위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연장부(23m)나 경사부(23b)의 연장부(23m)의 밑바닥 부분(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가 설치된 영역) 등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걸어맞춤 돌출부(23n)는, 개구 가장자리부(21n)를 넘는다. 그리고, 걸어맞춤 돌출부(23n)는, 개구 가장자리부(21n)에 대해 내벽(21a)의 내측(도 10의 지면 위쪽)으로부터 외측(도 10의 지면 아래쪽)으로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23)의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분리 방향(도 10의 지면 아래쪽으로의 방향)의 슬라이드가 금지된다.
또, 커버 부재(23)를 하우징 본체부(2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유저는, 경사부(23b)의, 연장부(23m)의 밑바닥 부분을 커버 부재(23)의 외측면쪽으로부터 내측면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경사부(23b)가 탄성 변형되고, 걸어맞춤 돌출부(23n)의 개구 가장자리부(21n)에 대한 걸어맞춤이 약해져, 커버 부재(23)는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분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해진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의 외측면에는, 연장부(23m)의 밑바닥 부분, 즉,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의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걸어맞춤을 약하게 할 수 있는 부분에, 유저의 가압 조작을 촉진하기 위한 가압 표지부(標識部)(23k)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표지부(23k)는, 예를 들면, 커버 부재(23)와 일체 성형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21j),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 및 가압 표지부(23k)는,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측(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에서 볼 때, 제2 카드 삽입부(27)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제1 카드 삽입부(25) 및 제2 카드 삽입부(27)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1 카드 삽입부(25)는, 제1 카드(C1)를,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지는 측의 면, 도 10의 지면 앞쪽의 면)에 면하도록 하우징 본체부(21)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카드 삽입부(25)는, 도 10의 지면 좌우 방향(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 및 내벽(21a)에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슬릿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 카드 삽입부(27)는, 제2 카드(C2)를,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에 면하도록 하우징 본체부(21)에 삽입 가능하게, 도 10의 지면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슬릿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2 카드 삽입부(27)에는, 제2 카드(C2)의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7a)가, 배터리 수용부(19)측(도 10의 지면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도 13도 참조). 가이드부(27a)는, 제2 카드(C2)의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27a)는, 제2 카드(C2)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제2 카드(C2)를 가이드하는 2개의 측방 가이드부(27b)와, 제2 카드(C2)의 커버 부재(23)와는 반대측에 접촉하여 제2 카드(C2)를 가이드하는 내측 가이드부(27c)를 갖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1과 대체로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0의 XIIb-XIIb선에 있어서의 휴대전화기(1)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부(3a)에 있어서는, 메인 기판(33) 상에, 배터리(17) 및 커버 부재(23)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또, 제2 영역부(3b)에 있어서는, 메인 기판(33) 상에, 프레임 부재(35), 제1 카드 홀더(49), 서브 기판(47), 제2 카드 홀더(51) 및 리어 케이스(39)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카드 홀더(49)에는 제1 카드(C1)가, 제2 카드 홀더(51)에는 제2 카드(C2)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카드 홀더(49)는, 제1 카드 삽입부(25)에 연속되어 있다. 제1 카드(C1)는, 제1 카드 삽입부(25)로부터 삽입되어 제1 카드 홀더(49)에 장착된다. 동일하게, 제2 카드 홀더(51)는, 제2 카드 삽입부(27)에 연속되어 있다. 제2 카드(C2)는,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 삽입되어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카드 홀더(51)는 Push-Push식의 홀더이다. 따라서, 제2 카드 삽입부(27) 및 제2 카드 홀더(51)는, 제2 카드(C2)가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카드(C2)의 단부가 내벽(21a)으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제2 카드(C2)의 단부는, 가이드부(27a)로부터는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커버 부재(23)측의 면만이 노출되어 있다.
배터리(17)는,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되면, 내벽(21a)측의 단부가, 메인 기판(33)과 가이드부(27a)의 사이에 끼워맞춰진다. 바꿔 말하면, 가이드부(27a)는, 배터리(17)에 대해, 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하다.
하우징 본체부(21) 및 커버 부재(23)에는, 내벽(21a) 부근에 있어서 휴대전화기(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부(23b)의 내측면에는, 하우징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리브(53)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53)는, 배터리(17)의 커버 부재(23)측의 면에 접촉 가능한 배터리 접촉 리브(53a)와, 내측 가이드부(27c)의 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에 접촉 가능한 가이드 접촉 리브(53b)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측의 단부에 외력 F1(도 11 및 도 12(b))이 가해지면, 그 하중은, 리브(53)를 통해, 내측 가이드부(27c) 및 배터리(17)에 지지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접촉 리브(53a)는, 예를 들면,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측의 단부를 따른 방향으로 커버 부재(23)를 횡단하는 직선형상 부분과, 그 직선형상 부분보다 내벽(21a)측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또, 가이드 접촉 리브(53b)는, 예를 들면, 배터리 접촉 리브(53a)보다 내벽(21a)측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접촉 리브(53b)는, 제2 카드 삽입부(27)에 삽입된 제2 카드(C2)의 배터리 수용부(19)측의 단부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가이드 접촉 리브(53b)가 접촉 가능한, 제2 카드 삽입부(27)에 삽입된 제2 카드(C2)는,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된 상태의 것이어도 되고, 제2 카드 홀더(51)에 완전히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카드 삽입부(27)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의 것이어도 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된 상태의 것이다.
또,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측방 가이드부(27b)는, 커버 부재(23)의 내측면에 접촉 가능하다. 따라서,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측의 단부에 외력 F1(도 11 및 도 12(b))이 가해지면, 그 하중은, 2개의 측방 가이드부(27b)에 지지된다. 즉, 커버 부재(23)는, 제2 카드 삽입부(27)의 길이 방향 양단에 있어서 가이드부(27a)에 지지된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에는,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에 맞닿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커버측 연장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측 연장부(55)는, 도 11 및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카드 삽입부(27)로 들어가,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부(제2 카드(C2)를 덮는 부분)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의 내벽(21a) 부근에 외력 F2가 가해지면, 그 하중은, 커버측 연장부(55)를 통해 커버 부재(23)에 지지된다.
도 10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부(21)에는, 내벽(21a)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측 연장부(57)(도 13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측 연장부(57)는,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에 맞닿은 단부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3)의 배면의 내벽(21a) 부근에 외력 F1이 가해지면, 그 하중은, 하우징측 연장부(57)를 통해 하우징 본체부(21)에 지지되고, 제2 카드 홀더(51)의 방향 등으로 분산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측 연장부(55)는, 예를 들면, 커버 부재(23)가 하우징 본체부(21)에 부착되었을 때에 제2 카드 삽입부(27)의 길이 방향의 대개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측 연장부(57)는, 예를 들면, 제2 카드 삽입부(27)의 길이 방향의 양단(커버측 연장부(55)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카드(C2)는, 제2 카드 삽입부(27)의 커버 부재(23)측의 지면 위쪽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측 연장부(55) 및 하우징측 연장부(57)는, 제2 카드(C2)의 배터리 수용부(19)측의 단부에 중첩되어 있다.
리브(53)는, 외력 F1이나 외력 F2가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부(27a)나 배터리(17)에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또, 리브(53)는, 외력 F1이나 외력 F2가 가해졌을 때에, 제1 하우징(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하도록, 비교적 미소한 클리어런스로 가이드부(27a)나 배터리(17)에 근접하고 있어도 된다. 단, 클리어런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리브(53)와, 가이드부(27a)나 배터리(17)의 클리어런스는, 제2 카드(C2)의 내벽(21a)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와,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에 맞닿은 단부의 클리어런스보다 작게 설정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카드 홀더(51)도 외력 F1 및 외력 F2를 받아 제2 카드(C2)를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제2 카드 홀더(51)는, 외력 F1이나 외력 F2가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부(21)에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제2 카드 홀더(51)는, 외력 F1이나 외력 F2가 가해졌을 때에, 하우징 본체부(2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하도록, 비교적 미소한 클리어런스로 하우징 본체부(21)에 근접하고 있어도 된다. 단, 클리어런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2 카드 홀더(51)와 하우징 본체부(21)의 클리어런스는, 제2 카드(C2)의 내벽(21a)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와, 하우징 본체부(21)(혹은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에 맞닿은 단부)의 클리어런스보다 작게 설정된다.
도 13은, 내벽(21a) 부근을, 배터리 수용부(19)로부터 배터리(17)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서브 기판 어셈블리(37)를 생략하는 등, 각 도면에서는, 적절히 부품이 생략되어 있다.
휴대전화기(1)는, 제1 카드(C1)를 제1 카드 삽입부(25) 내로 반송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59)를 갖고 있다. 제1 카드(C1)는, 슬라이드 부재(59)의 커버 부재(23)측(도 13 및 도 14의 지면 위쪽)의 면에 올려놓여지고, 슬라이드 부재(59)와 함께, 제1 카드 삽입부(25)를 통해 제1 카드 홀더(49)에 삽입된다.
슬라이드 부재(59)는, 전체적으로 대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제1 카드 삽입부(25) 및 제1 카드 홀더(49) 내로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9)의 측방 가장자리부로부터는, 제1 카드 홀더(49)의 측면에 형성된 규제홈(49a)(도 7)에 삽입되는 피규제부(59a)가 돌출되어 있다. 규제홈(49a)은, 제1 카드(C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59)는, 휴대전화기(1)의 조립 시에 있어서, 노치부(59b)(도 13)를 작게 하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제1 카드 삽입부(25)로부터 제1 카드 홀더(49)에 삽입된다. 그리고, 피규제부(59a)는 규제홈(49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59)의 가동 범위는, 피규제부(59a)가 규제홈(49a) 내를 이동 가능한 범위로 규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홈(49a)의 폭은, 중앙부에 있어서 서브 기판(47)과는 반대측으로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59)는, 인출 한도 및 삽입 한도에 있어서는 서브 기판(47)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상하 방향(슬라이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여유량이 작아져, 그 중간에 있어서는 서브 기판(47)으로부터 이간 가능해진다. 그 결과, 슬라이드 부재(59)에 제1 카드(C1)를 올려놓을 때(인출 한도)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59)의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1 카드(C1)를 올려놓기 쉽다. 슬라이드 부재(59)를 삽입 이탈하는 중도(인출 한도와 삽입 한도의 사이)에 있어서는, 제1 카드(C1)와 서브 기판(47)의 마찰을 저감하여, 삽입의 용이화나 제1 카드(C1)의 보호가 도모된다. 그리고, 삽입 한도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부재(59)의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1 카드(C1)가 단자에 확실하게 접촉된다. 또한, SIM 카드나 UIM 카드는, 카드의 일면(예를 들면 서브 기판(47)측의 면)에 평면형상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59)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드로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피조작부(59c)가 설치되어 있다. 피조작부(59c)는, 슬라이드 부재(59)의 판형상부의 배터리 수용부(19)측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판형상부로부터 커버 부재(23)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피조작부(59c)는, 유저가 손톱이나 손가락 끝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제1 카드 삽입부(25)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35)의 제1 카드 삽입부(25)측의 단부에는, 제1 카드 삽입부(25)에 삽입되어 내벽(21a)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35c)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5c)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카드 삽입부(25)의 길이 방향의 하우징 중앙에 가까운 단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단자(43)측의 단부)에 있어서, 제1 카드 삽입부(25)에 삽입되어 있다. 걸어맞춤부(35c)는, 예를 들면, 제1 카드 삽입부(25)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도 13의 지면 아래쪽(메인 기판(33)측, 커버 부재(23)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대해 걸어맞춰져 있다. 걸어맞춤부(35c)는, 예를 들면, 메인 기판(33)측만큼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돌출되는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가 내벽(21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프레임 부재(35)의 리어 케이스(39)에 대한 이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메인 기판(33)은, 나사(45)에 의해 프레임 부재(35)(도 6의 구멍부(35h))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메인 기판(33)의 리어 케이스(39)로부터의 이간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35c) 및 구멍부(35h)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드 부재(59)의 피조작부(59c)는, 슬라이드 부재(59)의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5c)에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59)가 삽입 한도로 이동하면, 걸어맞춤부(35c)는 피조작부(59c)에 의해 가려진다.
도 15는, 휴대전화기(1)의 신호 처리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전화기(1)는, CPU(71), 메모리(73), 통신 처리부(75), 음향 처리부(77) 및 화상 처리부(79)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부는 예를 들면 메인 기판(33)에 설치된 I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CPU(71) 및 메모리(73)는, 조작부(11) 등의 각종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고, 화상 처리부(79) 등의 각종 수단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통신 처리부(75)는, 고주파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처리부(75)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시스템(전화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다른 휴대 단말 장치나 서버와의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처리부(75)는, CPU(71)에서 처리된 음향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안테나(81)를 통해 송신한다. 또, 통신 처리부(75)는, 안테나(81)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CPU(71)에 출력한다.
통신 처리부(75)에 의해, 전화망을 통해 통신이 행해질 때에는, 제1 카드(C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독출되어 사용된다. 즉, CPU(71)는, 제1 카드(C1)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카드(C1)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독출한다. CPU(71)는, 독출한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하는 신호를 선별하거나, 송신하는 신호에 송신원(제1 카드(C1)에 대응된 전화번호)을 특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또한, 전화번호는, 기본적으로는 전화망의 가입자에 대응되어 있으며, 전화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는, 가입자를 특정 가능한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음향 처리부(77)는, CPU(71)로부터의 음향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기 신호를 통화용의 스피커(83), 착신 등을 알리기 위한 스피커(85)에 출력한다. 스피커(83) 및 스피커(85)는, 음향 처리부(77)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그 음향을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로폰(87)은, 입력된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기 신호를 음향 처리부(77)에 출력한다. 음향 처리부(77)는, 마이크로폰(87)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음향 데이터를 CPU(71)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79)는, CPU(7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그 화상 신호를 메인 표시부(15) 등의 표시부에 출력한다. 또, 소정의 카메라 모듈(89)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화상 데이터)를 소정 포맷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CPU(71)에 출력한다.
제2 카드(C2)는, 유저의 조작부(11)에 대한 조작에 따라, 적절히 정보가 기록됨과 더불어, 적절히 정보가 독출된다. 예를 들면, 제2 카드(C2)에는, 통신 처리부(75)를 통해 다운로드된 악곡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카메라 모듈(89)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 예를 들면, CPU(71)는, 제2 카드(C2)에 기록된 악곡 데이터를 독출하여, 그 악곡 데이터를 음향 처리부(77)에 출력하거나, 제2 카드(C2)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79)에 출력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관점에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휴대전화기(1)는, 배터리(17)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9)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부(21)와, 배터리 수용부(19)를 덮는 커버 부재(23)를 갖는다. 배터리 수용부(19)의 내벽의 하나인 내벽(21a)에는,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납되었을 때에 배터리(17)의 측면에 대향하지 않는 영역이며, 또한,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 가려지는 영역 S2에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전화기(1)는, 제2 카드 삽입부(27)에 제2 카드(C2)를 삽입한 상태로, 커버 부재(23)를 배터리 수용부(19)에 부착 가능하다. 따라서, 배터리(17)를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한 채로, 바꿔 말하면, 휴대전화기(1)에 전원을 투입한 채로, 제2 카드(C2)는 출입 가능하다. 또, 배터리(17)를 피복하는 커버 부재(23)를 제2 카드 삽입부(27)의 피복에 겸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제2 카드(C2) 삽입부 전용으로 캡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지므로, 외관상의 디자인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부품수가 삭감된다.
제2 카드 삽입부(27)에는,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7a)가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3)는, 제2 카드 삽입부(27)로 들어가, 하우징 본체부(21)의 제2 카드(C2)를 덮는 부분(배면부)을 제2 카드(C2)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커버측 연장부(55)를 갖는다. 가이드부(27a)는, 커버 부재(23)의 피복 방향에 있어서 제2 카드(C2)에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 의해 커버 부재(23)를 배터리 수용부(19)의 내부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부(21)의 제2 카드(C2)를 덮는 부분에 가해진 외력 F2는, 커버측 연장부(55)를 통해 커버 부재(23)로 전달되고, 또한, 가이드부(27a)의 제2 카드(C2)에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제2 카드(C2)로는 외력 F2가 전해지기 어려워, 제2 카드(C2)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2 카드(C2)는,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카드 홀더(51)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부 중, 커버 부재(23)측의 부분이 가압되면, 제2 카드(C2)는,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꺾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러한 파손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또, 당연히, 커버 부재(23)에 외력 F1(도 12(b))이 가해졌을 때에도, 가이드부(27a)에 의해 커버 부재(23)가 지지됨으로써, 제2 카드(C2)의 보호가 도모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비교예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커버 부재(123)는, 가이드부(27a)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다. 한편, 제2 카드(C2)는,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2 카드 홀더(51)에 장착된 상태로 단부가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당해 단부에는, 커버 부재(123)의 단부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123)의 단부에 외력 F1이 가해지면, 커버 부재(123)가 도 16의 지면 아래쪽으로 휘어져 제2 카드(C2)의 단부에 접촉하여, 제2 카드(C2)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23)에 외력 F1이 가해져도, 커버 부재(23)는 가이드부(27a)에 지지되므로, 제2 카드(C2)의 파손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커버 부재(23)의 휘어짐이 저감되므로, 삐걱거리는 소리가 저감된다. 커버측 연장부(55)에 의해, 내벽(21a)과 커버 부재(23) 사이의 방수성이 향상된다. 커버측 연장부(55)에 의해, 하우징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의 연면 거리가 길어지므로, 내벽(21a)과 커버 부재(23)의 사이로부터 정전기가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제2 카드 삽입부(27)는, 제2 카드(C2)가 장착되었을 때에,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된 내벽(21a)으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제2 카드(C2)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3)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된 내벽(21a)에 단부가 맞닿고, 당해 단부가 제2 카드(C2)의 단부에 중첩되도록 하우징 본체부(21)에 부착된다. 하우징 본체부(21)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된 내벽(21a)으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연장되고, 내벽(21a)에 맞닿은 커버 부재(23)의 단부를 지지 가능한 하우징측 연장부(57)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 부재(23)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도 제2 카드(C2)는 보호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123)의 단부에 외력 F1이 가해지면 제2 카드(C2)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부재(23)의 단부가 하우징측 연장부(57)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23)의 휘어짐이 저감되어, 제2 카드(C2)가 보호된다. 또, 하우징측 연장부(57)는, 상술한 커버측 연장부(55)와 동일하게, 방수성의 향상, 정전기의 침입의 저감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제2 카드 삽입부(27)는, 커버 부재(23)를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개구되어 있다. 가이드부(27a)는, 제2 카드 삽입부(27)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커버 부재(23)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력 F2가 가해진 하우징 본체부(21)를 지지하는 커버측 연장부(55)는, 가이드부(27a)에 의해 양단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확실하게 외력 F2를 제2 카드(C2)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분산시킬 수 있어, 제2 카드(C2)의 보호가 도모된다.
가이드부(27a)는,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된 배터리(17)에 대해 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7a)는, 제2 카드(C2)의 가이드 및 커버 부재(23)의 지지뿐만 아니라, 배터리(17)의 가압도 겸하게 된다. 또, 외력 F1이나 외력 F2가 가해졌을 때에는, 하우징 본체부(21)의 배면이나 커버 부재(23)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7a)가, 배터리(17)에 지지되게 되므로, 휴대전화기(1)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 결과, 휴대전화기(1)의 소형화 및 강도 향상이 한층 도모된다.
커버 부재(23)는, 커버 부재(2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터리(17)의 커버 부재(23)측의 면에 접촉 가능함과 더불어, 제2 카드 삽입부(27)에 삽입된 제2 카드(C2)의 배터리 수용부(19)측의 단부에 삽입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리브(53)를 갖는다. 따라서,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부(21)에 가해진 외력 F2나 커버 부재(23)에 가해진 외력 F1을 배터리(17)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카드(C2)의 빠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제2 카드(C2)의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의 돌출량이 저감된다). 커버 부재(23)를 하우징 본체부(21)에 부착할 때에, 제2 카드(C2)가 제2 카드 홀더(51)에 완전히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드(C2)의 제2 카드 삽입부로부터의 돌출량은 커진다. 그러나, 커버 부재(23)의 내벽(21a)측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제2 카드(C2)는 리브(53)에 의해 밀어 넣어진다. 즉, 제2 카드(C2)의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의 돌출량은 축소된다. 제2 카드(C2)의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의 돌출량이 일정 이하로 억제됨으로써, 제2 카드(C2)의 배터리 수용부(19)측의 단부는, 커버 부재(23)의 경사부(23b)의 낮은 곳이나 평판부(23a)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제2 카드(C2)의 단부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일이 적어져, 제2 카드(C2)의 파손의 발생이 저감된다.
하우징 본체부(21)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된 내벽(21a)에 걸어맞춤부로서의 개구 가장자리부(21n)를 갖는다. 커버 부재(23)는,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와, 가압 표지부(23k)를 갖는다.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는, 커버 부재(23)가 하우징 본체부(21)에 부착되었을 때에 개구 가장자리부(21n)에 걸어맞춰진다. 또,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는, 커버 부재(2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버 부재(23)의 내측면으로 위치할수록 개구 가장자리부(21n)에 대한 걸어맞춤이 약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 표지부(23k)는,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가 설치된 영역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가압 표지부(23k)는, 제2 카드 삽입부(27)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3)를 분리할 때에 제2 카드 삽입부(27) 부근에 힘이 가해지는 일이 적어져, 제2 카드(C2)가 보호된다.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되는 내벽(21a)에는, 가이드부(27a)에 대해 커버 부재(23)에 덮여지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위치에, 제1 카드 삽입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벽(21a)에 제1 카드 삽입부(25)가 개구됨으로써 내벽(21a)의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내벽(21a)은 가이드부(27a)를 통해 배터리(17)에 지지되므로, 내벽(21a)의 강도가 보상된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관점에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휴대전화기(1)는, 배터리(17)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9)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부(21)와, 배터리 수용부(19)를 덮는 커버 부재(23)를 갖는다. 배터리 수용부(19) 내에는,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되었을 때에, 배터리(17)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제1 카드 삽입부(25)가, 배터리(17)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에 제2 카드 삽입부(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 카드 삽입부(27)는, 배터리(17)와 함께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 가려진다. 따라서, 전원이 들어가 있을 때에 삽입 이탈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제1 카드(C1)와, 전원이 들어가 있을 때에 삽입 이탈이 행해져도 되는 제2 카드(C2)의 쌍방이 적합하게 삽입 이탈된다. 또한, 제2 카드 삽입부(27)를 위한 캡이 불필요해져, 부품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제2 카드 삽입부(27)는, 배터리 수용부(19)의 내벽의 하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부(19)가 박형의 것(내벽이 낮고, 바닥면이 넓은 형상)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배터리 수용부(19)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양태에 비교하여, 휴대 단말 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또, 예를 들면, 배터리 수용부(19)가 깊은 것(내벽이 높고, 바닥면이 좁은 형상)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배터리 수용부(19)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양태에 비교하여, 배터리 수용부(19)의 깊숙이까지 삽입할 필요가 없어, 삽입 이탈이 용이하다.
제1 카드 삽입부(25)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된 내벽(21a) 중,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17)의 측면에 대향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2 카드 삽입부(27)가 내벽(21a)에 설치되는 것에 의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 즉, 박형화나 착탈 용이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카드(C1) 및 제2 카드(C2)는 동일 면에 대해 삽입 이탈되고, 인접하여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하우징 전체적으로, 구조의 간소화, 착탈 용이화 및 소형화가 도모된다.
휴대전화기(1)는, 하우징 본체부(21) 내에 설치된 서브 기판(47)과, 제1 카드 삽입부(25)에 연속되고, 제1 카드 삽입부(25)로부터 삽입된 제1 카드(C1)가 장착되는 제1 카드 홀더(49)와, 제2 카드 삽입부(27)에 연속되고,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 삽입된 제2 카드(C2)가 장착되는 제2 카드 홀더(51)를 갖는다. 제1 카드 홀더(49)는, 서브 기판(47)의 한쪽의 면에 실장되고, 제2 카드 홀더(51)는, 서브 기판(47)의 다른 쪽의 면에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카드(C1) 및 제2 카드(C2)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전체적으로 소형화됨과 더불어 휴대전화기(1)의 조립도 용이화된다. 제1 카드 홀더와 제2 카드 홀더를 적층하고, 또한, 제1 카드 삽입부를 배터리 수용부 내에 개구시키며, 제2 카드 삽입부를 하우징 외부에 개구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제2 카드 홀더까지 하우징 외부측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설계의 자유도가 낮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벽(21a)을 따른 위치이면, 적절한 위치에 제2 카드 홀더(51)를 배치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2 카드 삽입부(27)에는,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7a)가 배터리 수용부(19)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7a)는,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된 배터리(17)에 대해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지는 측으로부터 걸어맞춤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7a)가 배터리(17)의 가압에도 겸용되게 되어, 부재수의 삭감이나 휴대전화기(1)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적층된 제1 카드 홀더(49) 및 제2 카드 홀더(51)에 대해 배터리(17)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조가 되므로, 전체적으로 매우 콤팩트화되어 있다.
휴대전화기(1)는,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된 내벽(21a)으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로 노출되고, 배터리(17)에 대해 접촉하여 배터리(17)로부터 급전을 받는 전지 단자(43)를 갖는다. 전지 단자(4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배터리(17)와 전지 단자(43)는 확실하게 도통된다. 배터리(17)는, 배터리 수용부(19)에 장착될 때에는, 내벽(21a)측의 단부로부터 배터리 수용부(19)로 끼워 넣어지고, 당해 단부가 전지 단자(43)에 압착된 후, 내벽(21a)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배터리 수용부(19)로 끼워 넣어진다. 이 때, 전지 단자(4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배터리(17)의 내벽(21a)측의 단부가 들뜨는 것이 가이드부(27a)에 의해 저감되어, 배터리(17)가 용이하게 장착된다.
커버 부재(23)는, 커버 부재(2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터리(17)의 커버 부재(23)측의 면에 접촉 가능함과 더불어, 제2 카드 삽입부(27)에 삽입된 제2 카드(C2)의 배터리 수용부(19)측의 단부에 삽입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리브(53)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카드(C1)의 빠짐의 발생은 배터리(17)에 의해 저감된다. 또, 배터리(17)의 들뜸 및 제2 카드(C2)의 빠짐의 발생은 커버 부재(23)에 의해 저감된다. 즉, 커버 부재(23)에 의해 제1 카드(C1) 및 제2 카드(C2)의 빠짐의 발생이 저감되게 되어, 휴대전화기(1)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휴대전화기(1)는, 통신 시스템(전화망 등)을 통해 다른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CPU(71) 및 통신 처리부(75))와,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11)를 갖는다. 제1 카드(C1)는, CPU(71)에 참조되는,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전화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는 카드이다. 제2 카드(C2)는, 조작부(11)로의 입력 조작에 따라 기록 및 독출이 이루어지는 카드이다. 따라서, 휴대전화기(1)는, 전원이 투입된 상태로 삽입 이탈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SIM 카드 등이나 전원이 투입된 상태로 삽입 이탈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한 SD 카드 등을 적합하게 장착 가능하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3 관점에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휴대전화기(1)는, 배터리(17)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9)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부(21)와, 배터리 수용부(19)를 덮는 커버 부재(23)와, 하우징 본체부(21) 내에 설치된 메인 기판(33)과, 하우징 본체부(21) 내에 설치되고, 제1 카드(C1)가 삽입되는 제1 카드 홀더(49)와, 하우징 본체부(21) 내에 설치되고, 메인 기판(33)에 고정되며, 제1 카드 홀더(49)를 유지하는 프레임 부재(35)를 갖는다. 배터리 수용부(19)의 내벽의 하나인 내벽(21a)에는, 제1 카드 홀더(49)에 연속되는 제1 카드 삽입부(25)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제1 카드 삽입부(25)에 삽입되어 내벽(21a)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35c)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카드 홀더(49)를 유지하는 프레임 부재(35)를 통해 메인 기판(33)의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한 변위가 축소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 본체부(21)의 중앙측에 나사 보스를 형성하거나, 나사를 삽입 통과시키거나 하여, 메인 기판(33)을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고정하는 것은, 하우징 본체부(21)의 내부 공간의 확보나 하우징 표면의 디자인의 관점에서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교적 하우징 본체부(21)의 중앙측에 설치된 내벽(21a)에 대해, 제1 카드 삽입부(25)의 개구를 이용하여 메인 기판(33)을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걸어맞추게 한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 하우징 본체부(21)의 내부 공간의 축소, 및, 하우징 본체부(21) 표면의 디자인의 자유도 저하 등의 불이익을 초래하지 않고, 메인 기판(33)을 하우징 본체부(21)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를 낙하시켰을 때 등, 휴대전화기(1)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메인 기판(33)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거나, 휘어져 파손되거나 하는 일이 저감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기판(33)은, 휴대전화기(1)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제2 영역부(3b)로부터 제1 영역부(3a)에 걸쳐 설치되고, 배터리 수용부(19)의 바닥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인 기판(33)은, 배터리(17)의 하중에 의해 리어 케이스(39)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휘어지기 쉬워지고 있다. 그러나, 메인 기판(33)의 중앙에 있어서 리어 케이스(39)로부터의 이간이 발생하기 어려워짐으로써, 박형화에 의한 강도 저하가 보상되어, 박형화 및 강도 유지의 양립이 도모된다.
제1 카드 삽입부(25)는, 배터리 수용부(19)의 내벽 중 배터리(17)가 배터리 수용부(19)에 수용되었을 때에 배터리(17)의 측면에 대향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카드 삽입부(25)로부터 하우징 내부측으로의 티끌이나 수분의 침입은 배터리(17)에 의해 억제된다. 따라서, 제1 카드 삽입부(25)가, 제1 카드(C1)만을 삽입 가능한 크기로부터, 또한 걸어맞춤부(35c)를 삽입 가능한 크기로 확장되었다고 해도, 티끌이나 수분은 침입하기 어렵다.
제1 카드 삽입부(25)가 설치되는 내벽(21a)에는, 배터리(17)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 또한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여지는 영역 S2에, 제2 카드 삽입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부(21) 내에는, 제2 카드 삽입부(27)로부터 삽입된 제2 카드(C2)가 장착되는 제2 카드 홀더(5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부(19)에 배터리(17)가 수용된 상태로, SD 카드 등의 제2 카드(C2)의 삽입 이탈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1 카드 삽입부(25)에 삽입된 걸어맞춤부(35c)는 배터리(17)에 가려져 있으며, 제2 카드(C2)를 삽입 이탈할 때에 걸어맞춤부(35c)가 눈으로 인식되는 일은 없으므로, 걸어맞춤부(35c)에 의해 디자인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다.
휴대전화기(1)는, 하우징 본체부(21) 내에 설치되는 서브 기판(47)을 갖는다. 제1 카드 홀더(49)는, 서브 기판(47)의 한쪽의 면에 실장되어 있고, 제2 카드 홀더(51)는, 서브 기판(47)의 다른 쪽의 면에 실장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서브 기판(47)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카드 삽입에 관한 구조의 소형화 및 조립의 용이화가 도모된다. 또, 프레임 부재(35)의 내벽(21a)으로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1 카드 홀더(49) 및 제2 카드 홀더(51)의 제1 카드 삽입부(25) 및 제2 카드 삽입부(27)로의 위치 결정도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제1 카드(C1) 및 제2 카드(C2)의 삽입 이탈이 불가능해지는 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휴대전화기(1)는, 제1 카드(C1)가 올려놓여지고, 제1 카드 홀더(49)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제1 카드 삽입부(25)에 삽입 이탈되는 슬라이드 부재(59)를 갖는다. 슬라이드 부재(59)는, 제1 카드 삽입부(25)를 경유하여 배터리 수용부(19)에서 노출되는 피조작부(59c)를 갖는다. 피조작부(59c)는,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걸어맞춤부(35c)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부(35c)는, 피조작부(59c)가 제1 카드 삽입부(25)의 깊숙이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스토퍼로서도 기능한다. 그 결과,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제1 카드(C1)의 드로잉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1)는, 통신 시스템(전화망 등)을 통해 다른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CPU(71) 및 통신 처리부(75))를 갖는다. 제1 카드(C1)는, CPU(71)에 참조되는,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전화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는 카드이다. 따라서, 종래의 SIM 카드 등을 삽입 이탈하기 위한 삽입부에 의해 휴대전화기(1)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전화기(1)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이고, 하우징 본체부(21)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일례이며, 제2 카드 삽입부는 본 발명의 제1 카드 삽입부의 일례이고, 제1 카드 삽입부는 본 발명의 제2 카드 삽입부의 일례이며, 제2 카드 홀더(51)는 본 발명의 제1 카드 홀더의 일례이고, 제1 카드 홀더(49)는 본 발명의 제2 카드 홀더의 일례이며, 서브 기판(47)은 본 발명의 회로 기판의 일례이고, 개구 가장자리부(21n)는 본 발명의 커버용 걸어맞춤부의 일례이며, 슬라이드 피걸어맞춤부(23j)는 본 발명의 커버용 피걸어맞춤부의 일례이고, CPU(71) 및 통신 처리부(75)는 본 발명의 통신부의 일례이며, 걸어맞춤부(35c)는 본 발명의 프레임용 걸어맞춤부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양태로 실시되어도 된다.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전화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PDA, 디지털 카메라, 게임기여도 된다. 하우징은, 박형 직육면체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 하우징(제1 하우징(3) 또는 하우징 본체부(21))은, 두께가 다른 2개의 영역(제1 영역부(3a) 및 제2 영역부(3b))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균일한 두께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는 카드 삽입부(제1 카드 삽입부(25))는, 필수의 요건은 아니다.
카드 삽입부는, 배터리 수용부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는 제2 카드 삽입부는, 배터리의 측면에 대향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카드 삽입부나 제2 카드 삽입부는, 배터리 수용부의 바닥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단, 제1 카드 삽입부 및 제2 카드 삽입부가, 배터리 수용부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으면, 제1 카드 삽입부와 제2 카드 삽입부를 적층적으로 설치하여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화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한 등의 메리트가 있다.
배터리는, 박형 직육면체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배터리 수용부는, 내벽이 낮고, 바닥부가 넓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카드 삽입부가 배터리의 두께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두께는, 배터리의, 배터리 수용부의 깊이 방향(내벽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가리키며, 배터리가 박형 직육면체 등인 경우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 중 두께 방향의 두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동일하게, 카드 삽입부가 배터리의 측면에 대향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측면은, 배터리의, 배터리 수용부의 내주면(바닥면이 아닌 면)에 대향하는 면을 가리키며, 배터리가 박형 직육면체 등인 경우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주면 및 측면 중 측면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카드는, 메모리 기능만을 갖는 것, CPU가 탑재된 것, 로직이 첨부된 것(액세스 제어 기능을 갖는 것 등) 등, 적절한 것이면 된다. 카드의 배치 자세는, 커버 부재에 덮여지는 측에 면하는 배치 자세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카드 삽입부는, 커버 부재를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개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드의 배치 자세는, 커버 부재에 대해 직교하는 것이어도 된다. 단, 카드의 배치 자세가, 커버 부재에 덮여지는 측에 면하는 것인 쪽이, 내벽을 낮게 하여 하우징을 박형화하는데 유리하다.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7a)는,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되고, 카드의 하우징 내부측의 면 및 측방에 접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방 가이드부(27b) 및 내측 가이드부(27c)의 어느 한쪽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커버 부재의 내측면은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되고, 리브(53)는 필수의 요건은 아니다. 리브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리브의 형상은 적절한 형상으로 되면 된다.
가압 표지부는, 커버 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압 표지부는 오목부여도 되고, 커버 부재에 부착된 시일 등의 모양이어도 된다. 단, 가압 표지부가 돌출부이면, 커버 부재를 면을 따라 슬라이드시키도록 가압 표지부에 힘을 들이는 것이 용이하다.
커버 부재의 가압 표지부에 의해 걸어맞춤이 약해지는 피걸어맞춤부(23j)는, 커버 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의 피걸어맞춤부에 구멍부가 설치되고, 하우징(하우징 본체부)에 그 구멍부에 커버 부재의 외측면쪽으로부터 내측면쪽으로 삽입되어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프레임 부재가 걸어맞춰지는 카드 삽입부는,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는, 제2 카드 삽입부(27)에 걸어맞춰져도 된다.
전지 단자는, 실시 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 핀이나 스프링 단자 등의 적절한 것에 의해 구성되면 된다.
통신 시스템은, 전화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은 인터넷이어도 된다. 또, 통신 시스템은,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나 서버를 통해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 단말 장치끼리 직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1 : 휴대전화기(휴대 단말 장치) 17 : 배터리
19 : 배터리 수용부 21 : 하우징 본체부(하우징)
21a : 내벽 23 : 커버 부재
25 : 제1 카드 삽입부 27 : 제2 카드 삽입부
27a : 가이드부 33 : 메인 기판
35c : 걸어맞춤부 35 : 프레임 부재
49 : 제1 카드 홀더 51 : 제2 카드 홀더
C1 : 제1 카드 C2 : 제2 카드

Claims (15)

  1.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수용부 내에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가려지는 영역에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는, 카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와 함께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가려지는, 휴대 단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내벽의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대향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는,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로 들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카드를 덮는 부분을 상기 카드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커버측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카드에 중첩되지 않는 부분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는, 장착된 상기 카드의 단부가, 당해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된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용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된 상기 내벽에 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며, 그 맞닿은 단부가 상기 카드의 단부에 중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된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용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맞닿은 상기 커버 부재의 단부를 상기 배터리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하우징측 연장부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는, 상기 커버 부재를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상기 커버 부재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는,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에 대해, 상기 커버 부재에 덮여지는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된 상기 내벽으로부터 상기 배터리 수용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터리에 대해 접촉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급전을 받는 전지 단자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는,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는, 당해 커버 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기 커버 부재측의 면에 접촉 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카드의 상기 배터리 수용부측의 단부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리브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된 상기 내벽에 커버용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커버 부재는,
    당해 커버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커버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며, 당해 커버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당해 커버 부재의 내측에 위치할수록 상기 커버용 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이 약해지도록 구성된 커버용 피걸어맞춤부와,
    상기 커버용 피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영역의 당해 커버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압 표지부(標識部)를 가지며,
    상기 가압 표지부는,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 내에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배터리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제2 카드 삽입부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드 삽입부는, 상기 제1 카드 삽입부가 설치된 상기 내벽 중,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대향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 연속되고, 상기 제1 카드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카드가 장착되는 제1 카드 홀더와,
    상기 제2 카드 삽입부에 연속되고, 상기 제2 카드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카드가 장착되는 제2 카드 홀더와,
    한쪽의 면에 상기 제1 카드 홀더가 실장되고, 다른 쪽의 면에 상기 제2 카드 홀더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을 통해 다른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제1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는 카드는, 상기 통신부에 참조되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기억하는 카드이며,
    상기 제2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는 카드는, 상기 조작부로의 입력 조작에 따라 기록 및 독출이 이루어지는 카드인, 휴대 단말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메인 기판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카드 삽입부로부터 삽입된 카드가 장착되는 제2 카드 홀더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카드 홀더를 유지하는 프레임 부재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2 카드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벽에 걸어맞춰지는 프레임용 걸어맞춤부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카드가 올려놓여지고, 상기 제2 카드 홀더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카드 삽입부에 삽입 이탈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올려놓여진 카드가 상기 제2 카드 홀더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 카드 삽입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서 노출되는 피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피조작부는, 슬라이드 방향에서 상기 프레임용 걸어맞춤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107010244A 2007-10-29 2008-10-23 휴대 단말 장치 KR101157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0136 2007-10-29
JP2007280135A JP5301138B2 (ja) 2007-10-29 2007-10-29 携帯端末装置
JPJP-P-2007-280134 2007-10-29
JPJP-P-2007-280135 2007-10-29
JP2007280136A JP5301139B2 (ja) 2007-10-29 2007-10-29 携帯端末装置
JP2007280134A JP5301137B2 (ja) 2007-10-29 2007-10-29 携帯端末装置
PCT/JP2008/069187 WO2009057496A1 (ja) 2007-10-29 2008-10-23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857A true KR20100061857A (ko) 2010-06-09
KR101157345B1 KR101157345B1 (ko) 2012-06-15

Family

ID=4059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44A KR101157345B1 (ko) 2007-10-29 2008-10-23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02299B2 (ko)
KR (1) KR101157345B1 (ko)
WO (1) WO2009057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064B (zh) * 2009-06-25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电池安装结构
KR20120068772A (ko) * 2009-09-16 2012-06-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136655B (zh) * 2010-01-27 2014-10-29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芯片卡锁持结构
US8792249B2 (en) * 2010-05-14 2014-07-29 Sony Corporation Waterproofing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JP4799673B1 (ja) * 2010-05-21 2011-10-2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848356B2 (en) * 2010-10-15 2014-09-30 Trail Tech, Inc. Externally accessible memory card reader for GPS device
BR202012004686Y1 (pt) 2011-07-13 2019-05-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redução de impacto reforçada.
KR200471325Y1 (ko) 2011-07-13 2014-02-1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강화된 공차 누적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BR202012004687U8 (pt) * 2011-07-13 2016-11-22 Motorola Mobility In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hassi aperfeiçoado
BR202012004685Y1 (pt) 2011-07-13 2019-04-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ositivo eletrônico móvel com construção laminada aprimorada
JP5789560B2 (ja) * 2012-04-13 2015-10-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160234358A9 (en) * 2012-05-09 2016-08-11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lternate form-factor handheld smart phone device
CN102651464B (zh) * 2012-05-25 2016-01-27 深圳市万拓电子技术有限公司 可拆式触点电源
US9332329B2 (en) 2012-09-28 2016-05-0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9282668B2 (en) * 2012-09-28 2016-03-0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137918B2 (en) * 2012-09-28 2015-09-15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8964406B2 (en) * 2012-12-11 2015-02-24 ESPi LLC Battery backup cover system
JP6079473B2 (ja) * 2013-06-25 2017-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無線給電システム、車両側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携帯機器
CN103747641A (zh) * 2014-01-26 2014-04-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
JP2016068203A (ja) * 2014-09-30 2016-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
KR102376981B1 (ko) * 2015-04-22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N108471687B (zh) * 2017-02-23 2021-02-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水结构及应用该防水结构的电子装置
CN108737602B (zh) * 2018-05-18 2020-07-17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移动通讯终端
US10910743B2 (en) * 2018-11-06 2021-02-0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and method
US11537197B2 (en) 2020-12-03 2022-12-27 Lear Corporation Vehicle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removable vehicle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531A (ja) 1994-11-02 1996-05-21 Hitachi Ltd 可搬式コンピュータ装置
JPH1065357A (ja) * 1996-08-22 1998-03-06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3923310B2 (ja) * 1999-10-25 2007-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US20050191970A1 (en) 2002-07-01 2005-09-01 Mist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ll phone
JP2004222170A (ja) 2003-01-17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子装置
KR100549608B1 (ko) * 2003-07-11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장 카드용 커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CN1728462B (zh) 2004-02-18 2010-06-16 泛泰株式会社 用于存储介质的双连接装置和包含该装置的移动通讯终端
KR100573284B1 (ko) * 2004-08-10 2006-04-2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드장착소켓
JP2007109036A (ja) * 2005-10-14 2007-04-26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496A1 (ja) 2009-05-07
KR101157345B1 (ko) 2012-06-15
US20100258626A1 (en) 2010-10-14
US8602299B2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345B1 (ko) 휴대 단말 장치
JP4720824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0391735B1 (ko) 착탈식 부속품용 전기 커넥터
US7986982B2 (en) Handset device
US7746635B2 (en) Chip card catch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937340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カード保持構造
US8478365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4126877A (ja) カード保持構造
KR10057600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JP2007180218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用撮像装置ユニット
JP4796904B2 (ja) データ通信装置
US7372136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8254135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JP5547898B2 (ja) 蓋開閉装置
JP5301139B2 (ja) 携帯端末装置
JP5301138B2 (ja) 携帯端末装置
JP4454285B2 (ja) 機能拡張カード
US20070128914A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5301137B2 (ja) 携帯端末装置
JP4787719B2 (ja) 撮像装置
JP5085223B2 (ja) 電子機器
JP4811379B2 (ja) カードコネクタ付き携帯端末装置
JP5269547B2 (ja) 携帯電子機器
US20100035135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14053788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