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451A - 스토마 확장기 - Google Patents

스토마 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451A
KR20100061451A KR1020107003958A KR20107003958A KR20100061451A KR 20100061451 A KR20100061451 A KR 20100061451A KR 1020107003958 A KR1020107003958 A KR 1020107003958A KR 20107003958 A KR20107003958 A KR 20107003958A KR 20100061451 A KR20100061451 A KR 2010006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lator
expander
base
expander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090B1 (ko
Inventor
나단 크리스토퍼 그리피스
도날드 제이 맥마이클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6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5/0668Guide tubes splittable, tear a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스토마 확장기(stoma dilator)는 베이스 확장기와,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배치된 복수의 확장기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허브와, 그를 통한 개구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위치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관형 바디를 갖고, 각각의 말단부의 일부분이 또 다른 확장기 아래로부터 노출되며 보다 작은 직경의 확장기가 보다 큰 직경의 확장기 내부에 접근가능하지 않게 되도록 보건 진료원에 의해 파지가능하도록 확장기 포지셔너에 의해 분리된 절첩식 위치에 보유된다.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최외측 확장기 위에 위치설정된 중공형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복수의 확장기에 의해 형성된 조직 개구를 개방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 및 복수의 확장기가 제거되는 한편, 덮개는 조직 개구 내에 유지된다. 상기 덮개를 통해 또 다른 장치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덮개는 그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토마 확장기{STOMA DILATOR}
본 발명은, 스토마(stoma)를 형성하여 큰 캐뉼라의 후속적인 삽입, 장관내 공급관(enteral feeding tube) 등을 허용하도록, 조직 개구(tissue opening)의 순차적인 경피적 확장(sequential percutaneous dilation)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점증되는 사이즈를 갖는 일련의 절첩식 확장기를 이용하는 순차적인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병원, 진료소 등에서는 소직경의 캐뉼라(cannulae)를 하루에 수천 번 배치하지만, 혈관이나 중공 기관(hollow organs) 내에 보다 큰 캐뉼라와 부피가 큰 장치를 배치하는 것은 제한된다. 최근에는, 작은 경피적 개구를 소망하는 큰 사이즈로 점차로 확장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개발되어 있는 테이퍼진 확장기는 팁부에서 작게 형성되며 직경을 소정의 확장 반경으로 증대시킨다. 큰 캐뉼라를 위한 이와 같이 테이퍼진 설계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위장 등의 중공 기관을 확장하기에는 너무 길다. 따라서, 극도로 테이퍼진 구성을 갖는 확장기에 의해 큰 캐뉼라를 도입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은 새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스토마 확장기를 위한 일련의 절첩식 튜브를 포함하는 몇 가지의 장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다중 튜브 확장 시스템에서, 보다 큰 튜브 내에 배치된 보다 작은 튜브는 때때로 보다 큰 튜브에 마찰식으로 맞물리게 되므로, 특히 확장기를 환자 내부에 위치시킨 후에 튜브를 분리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다른 확장기 조립체에서, 절첩식 튜브는 절첩 관계로서 양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으며, 보다 큰 튜브의 구멍 내에서 보다 작은 튜브 단부가 미끄러지므로, 보건 진료원이 조립체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해 작은 튜브를 파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다 작은 튜브 각각은 보다 큰 튜브보다 실질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고, 기본적으로 다음의 튜브를 위한 가이드 와이어로서 작동한다. 증대되는 직경을 갖는 튜브의 길이를 줄이는 패턴에서는, 보건 진료원이 절첩부의 소정의 배치하는 위치에 대해 추측해야 한다. 명백하게, 초기에 정확한 위치가 적용되더라도, 정확한 위치설정이 환자 사용 동안에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특성은 환자에 대한 위험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근무하는 보건 진료원에게 고충을 주게 된다.
카테터(catheter)의 적절한 배치, 장관내 공급관 등을 위해 보건 진료원에 의해 극도의 주의를 하지 않는 환자 캐뉼레이션(patient cannulation)에 대한 단순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는 증대하는 사이즈의 일련의 절첩식 튜브(즉, 짧고 테이퍼진 팁부를 갖고, 반경방향 링 또는 정지부를 가지며, 다음의 보다 큰 튜브가 이전의 튜브 위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함)에 대한 도입을 허용한다. 또한, 반경방향 정지부는 조직 개구를 통한 도입을 위해 보건 진료원이 다음의 튜브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음에 이동하는 튜브에 대한 충분한 영역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확장기 조립체에서, 유도기 바늘(introducer needle)에 의해 배치된 초기의 가이드 와이어 상에 공급하도록 유도기(introducer) 또는 베이스 확장기가 구성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확장기의 대향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일련 그룹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바아가 베이스 확장기의 외측 원주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바아의 그룹 각각은 증대되는 직경, 바람직하게 튜브의 절첩 순서에서 다음의 보다 큰 튜브의 외경을 가질 것이다. 바아는 갭에 의해 분리될 것이다. 바아는 각각의 튜브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튜브 상의 유지 링(retaining rings)이 바아 상의 갭 내로 끼워 맞춰지는 한편, 바아 그룹 각각은 바아의 외경과 직경 면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튜브의 단부와 접촉할 것이다. 이로써, 일련의 절첩식 튜브는 적절한 일련의 전개를 조장할 것이며, 이러한 설계는 환자의 스토마의 형성 동안 또는 그 후에 하나 이상의 튜브를 마찰식으로 맞물리게 하여 분리가능하지 못하게 할 가능성을 줄일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스토마를 형성하는 혈관 또는 기관으로의 관강 억세스(luminal access)를 허용하도록 루어락 끼워맞춤부(luer lock fittin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스토마 확장기의 일부로서 필-어웨이형 덮개(peel-away sheath)가 제공된다. 초기에 확장기에 부착되는 동안의 필-어웨이형 덮개는 확장기가 제거된 한편, 덮개가 스토마에 대한 소정의 확장을 유지하게 하도록 쉽게 탈착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덮개는 장관내 공급관(enteral feeding tube) 등의 또 다른 장치가 덮개를 거쳐 환자 내에 위치되게 할 것이다. 그 다음, 덮개는 나머지 장치와의 간섭 없이 스토마로부터 제거되기 위해 2개 이상의 부재로 쉽게 분리, 바람직하게 나누어질 것이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다(예컨대, comprise, comprises, comprising 및 comprise의 변형체)"는 임의의 기술된 특징부, 요소,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개방적인 용어로 의도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요소,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용어 "구비하다(include, includes, has 및/또는 have 그리고 그 변형체)"는 용어 "포함하다"와 같은 것으로 해석되며, 임의의 기술된 특징부, 요소,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는 개방적인 용어로 의도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요소,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탄성(resilient, resilience 및/또는 resiliency 그리고 그 변형체)"는 탄성 한계점을 초과하지 않을 정도로 만곡, 압축 또는 신축 등의 변형된 후에 원래의 형태, 형상 및/또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물체 및/또는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언급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합하다(couple)"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2가지 물건을 일체 또는 그 사이에 맞물림, 연결, 고정, 연계 또는 연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구성하다(configure 또는 configuration 및 그 변형체)"는 특정 적용 또는 용도로 설계, 배치, 설정 또는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거친 지형을 위해 구성된 군용 차량은 시스템의 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substantially)"는 큰 정도, 즉 상당량으로 수행된 어떤 것을 지칭하며, 예컨대 본원에서의 "실질적으로"는 70%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정렬(alignment)"은 물건을 직선 또는 평행선으로 배치 또는 위치설정함으로써 생기는 공간적 특성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배향(orientation)" 또는 "위치설정(position)"은 어떤 것(예컨대, 시계를 손에 위치시키는 것)을 배치하는 장소 또는 방법의 공간적 특성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about)"은 기술된 숫자 또는 기술 혹은 암시된 범위의 ±10%의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환자 조직(patient tissue)"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환자의 위장 또는 장기관(intestinal tract) 등의 중공 기관, 및 정맥 및/또는 동맥 등의 혈관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또 다른 용어로도 정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문제점에 대하여 스토마 확장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갖는 베이스 확장기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의 근접 단부 상에는 허브가 배치되고,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허브를 구비한다. 상기 말단부는 그 상에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그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적층된다.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구비한다.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다른 부분은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의 위에 배치된다.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확장기를 배치하도록 연동함으로써 각각의 확장기의 말단부 각각의 부분이 보건 진료원에 의해 운동을 위해 파지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의 정지부와 상기 복수의 확장기 상의 하나 이상의 정지부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가 전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스토마 확장기의 말단부에 연속적인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연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마 확장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갖는 베이스 확장기를 구비한다. 상기 근접 단부 상에는 허브가 배치되고,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허브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그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적층된 복수의 확장기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말단부 각각의 부분이 또 다른 확장기 아래로부터 노출되며, 보다 작은 직경의 확장기가 보다 큰 직경의 확장기 내부에 접근가능하도록 보건 진료원에 의해 운동을 위해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다른 부분에 의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마 확장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갖는 베이스 확장기를 구비한다. 상기 근접 단부 상에는 허브가 배치되고,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허브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그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적층된 복수의 확장기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말단부 각각의 부분이 또 다른 확장기 아래로부터 노출되며, 보다 작은 직경의 확장기가 보다 큰 직경의 확장기 내부에 접근가능하도록 보건 진료원에 의해 운동을 위해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다른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토마 확장기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최외측 확장기 위에 배치된 중공형 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는 상기 허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접 단부에 한 쌍의 핸들을 갖는다. 상기 덮개는 최외측 확장기 위에서 이동가능한 뭉툭한 말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근접 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에에는 덮개 바디가 제공된다. 상기 덮개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와 복수의 확장기가 상기 덮개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확장기에 의해 형성되는 조직 개구를 개방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덮개를 통해 삽입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벗겨내도록 상기 덮개 바디를 통해 슬릿을 형성하도록 상기 핸들을 거쳐 분리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요약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로서 의도된다.
도 1은 베이스 확장기, 제 2, 3 및 4 확장기, 및 덮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스토마 확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토마 확장기의 측면도로서, 환자의 피부와 복부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위장 내에 위치설정된 베이스 확장기를 도시함,
도 3은 도 2와 유사한 측면도로서, 베이스 확장기 위에 위치설정된 2개의 추가적인 확장기를 도시함,
도 4는 스토마를 통해 위치설정된 스토마 확장기의 덮개의 측면도로서, 베이스 확장기와 복수의 확장기가 덮개 내로부터 제거되어 있음,
도 5는 스토마 확장기의 모든 확장기에 테이퍼를 제공하도록 연동하는 각각의 확장기 상에 제공된 말단부 및 정지부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도 1의 부분 단면도로서, 확장기 포지셔너를 도시함,
도 7은 7-7선으로 취한 도 1의 단면도,
도 8은 덮개의 측면도로서, 덮개를 그 내에 삽입된 장치로부터 벗겨내게 하도록 덮개를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는 핸들을 도시함,
도 9는 도 7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베이스 확장기 및 제 2, 3 및 4 확장기를 갖는 스토마 확장기를 도시하며, 상기 확장기가 제 1 확장기 또는 베이스 확장기의 말단부 쪽으로 전개됨으로써 연속적인 테이퍼를 형성하며 조직 개구 또는 스토마를 형성하도록 전개한 상태를 도시함,
도 10은 10선으로 취한 도 9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세부 사항이 기재될 것이며, 그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해 제공되며, 본 발명에 대한 제한 사항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 또는 기술된 특징부는 또 다른 실시예를 산출하는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직 개구의 순차적인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마 확장기가 도시되어 있다. 스토마 확장기(10)는 제 1 도입 단부 또는 제 1 단부(14),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도 6 및 도 7), 및 신장된 관형의 바디(18)를 구비하는 도입부의 또는 베이스의 신장된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는 테이퍼진 숄더(20)를 구비한다. 숄더(20)는 도입 단부(14)와 중간 바디(18) 사이에 형성된다. 숄더(20)는 도입부의 제 1 단부(14)의 작은 직경으로부터 신장된 관형의 바디(18)의 큰 직경으로 외측으로 연장 또는 테이퍼진다. 링 또는 정지부(stop)(22)는 숄더(20)와 관형 바디(18)의 교차점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위치설정된다. 개구(24)(도 6)는 베이스 확장기(12)의 길이를 통해 연장된다. 개구는 확장기(10), 특히 베이스 확장기(12)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중공 기관 등의 소정의 조직 목표물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 와이어(도시하지 않음) 상에 위치되도록 크기설정된다. 가이드 와이어는 스토마 확장기(10) 내에 수용되는 일련의 절첩식 튜브에서의 가장 작은 직경인 베이스 확장기(12)가 와이어 상에 그리고 조직 개구를 통해 그리고 목표 조직, 예컨대 환자의 위장 내에 위치설정되게 한다. 베이스 확장기(12)는 바람직하게 스토마 확장기(10)를 포함하는 다른 튜브보다 긴 길이(26)(도 7)를 가지므로, 위장 내로의 초기 도움을 허용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마 확장기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4개의 추가적인 확장기, 즉 제 2 확장기(30), 제 3 확장기(32) 및 제 4 확장기(34)를 구비한다. 제 5 확장기(36)는 도 9 및 도 10에서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기들은 베이스 확장기(12) 상에 동축으로 적층됨으로써, 각각의 확장기가 조직 확장 절차 시의 위치로 절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마 확장기(10) 내에 사용된 모든 확장기(12, 30, 32, 34, 36)는 종방향의 동축 정렬로 위치설정된다. 확장기(30, 32, 34, 36) 각각은,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와 마찬가지로, 제 1 단부(14),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 및 신장된 관형의 바디(18)를 구비한다. 제 2, 3, 4 및 5 확장기(30, 32, 34, 36) 각각은 테이퍼진 숄더(20)를 더 구비하고, 제 3, 4 및 5 확장기(32, 34, 36)는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4) 근방에 위치설정된 내측 링 또는 정지부(37)를 구비한다(도 6, 도 9 및 도 10). 개구(24)는 제 3, 4 및 5 확장기(32, 34, 36)를 통해 연장된다.
제 1, 2, 3, 4 및 5 확장기(12, 30, 32, 34, 36) 각각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을 형성하는 외부면(38)을 갖는다. 확장기(12, 30, 32, 34, 36)의 외부면(38) 각각은, 그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확장기의 내부면(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는다. 예를 들면,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의 내부면(40)은 가이드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이동가능하고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내부면(40)이다. 따라서, 제 2 확장기(30)는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가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하게 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내부면(40)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확장기(30)와 제 3 확장기(32) 간의 관계, 제 3 확장기(32)와 제 4 확장기(34) 간의 관계, 및 제 4 확장기(34)와 제 5 확장기(36) 간의 관계는 동일하다.
확장기, 예컨대 제 3 확장기(32)의 내경은, 내부면(40) 옆에 위치설정된 확장기, 즉 제 2 확장기(30) 위에서 미끄러지기에 충분한 크기가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확장기(32) 등의 하나의 확장기의 내부면(40)과 제 2 확장기(30) 등의 인접한 확장기의 중첩하는 외부면(38) 사이에는 공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확장기(12, 30, 32, 34, 36)의 미끄럼 운동 또는 절첩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만이 있다. 각각의 확장기(12, 30, 32, 34, 36)의 말단부(14)는 그 중첩하는 확장기를 동일 평면에 있도록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혈액 또는 다른 체액이 이러한 공간에 도입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는 주요 지지부를 제공하며,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 주위에 절첩식으로 위치설정된 각각의 추가적인 신장된 관형 확장기(30, 32, 34, 36)를 위한 장착 베이스로서 작동한다. 예를 들면,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는 도 1에 도시되며, 환자의 피부(42)를 통해 그리고 환자의 위장(44) 내에 위치설정된다. 관형 바디(18)는 균일한 직경의 외부면(38)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 1 단부(14)와 관형 바디(18) 사이의 테이퍼는 조직의 점차적인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각각의 연속적인 확장기(30, 32, 34, 3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마 확장기(10)의 연속적인 테이퍼(도 5)를 제공하는 연동 테이퍼(cooperating taper)를 가지므로, 점차적인 확장을 허용하며 환자의 조직에 대해 외상을 적게 한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기(12) 상의 정지부(22) 및 각각의 확장기(30, 32, 34, 36) 상의 정지부는, 환자의 체내에 위치설정되는 경우 확장기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 위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보건 진료원은 확장기(10)의 조직 목표물에 대한 각각의 확장기(30, 32, 34, 36)의 위치를 보다 쉽게 알게 된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의 후단부(16)는 다른 확장기(30, 32, 34, 36)의 후단부(16)와는 상이하다. 허브 조립체는 다른 확장기(30, 32, 34, 36) 상에 배치되고,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 내에 형성된 개구(24)와 연통하여 개구(47)를 갖는 허브(46)를 구비한다. 허브(46)는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의 후단부(16) 상에 위치설정된 ISO 암형 루어록(female luer lock)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46)는, 허브(46) 상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설정된 한 쌍의 대향하는 윙(48)을 가지며, 이는 허브(46)를 파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각각의 윙(48)은 그 내에 홈부(49)를 갖는다. 허브(46)의 기부(50)는 홈부(49) 아래에 위치설정된다.
또한, 허브 조립체는 확장기 포지셔너(dilator positioner)를 구비한다.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기 포지셔너의 일부분은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 상의 별개의 그룹에서 허브(46) 아래에 위치설정된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바아를 구비한다. 별개의 바아 그룹은 베이스(50)에 인접한 홈부(51)를 거쳐 허브(46)의 윙(48)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바아 그룹은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의 외부면(38)의 일부분 상에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상이한 직경을 갖는 별개의 그룹으로 분리된다. 제 1 바아 그룹 또는 제 1 바아(52)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비교적 가장 큰 외경 그룹을 갖는 4개의 바아를 포함한다. 제 2 바아 그룹 또는 제 2 바아(54)는 홈부(56)를 거쳐 제 1 바아로부터 이격된다. 제 2 바아(54)는 제 3 바아 그룹 또는 제 3 바아(58)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간 직경을 갖는다. 제 3 바아(58)는 제 2 바아(54)와 제 1 바아(52)에 비해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 3 바아(58)는 홈부(60)를 거쳐 제 2 바아(54)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확장기 포지셔너의 단부(62)가 바람직하게 이용되며, 단부(62)는 제 3 바아(58) 옆에 위치설정된다. 홈부(51, 56, 60)의 각각의 세트는 바아 또는 다른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지만, 그 옆에 있는 바아(52, 54, 56) 보다 외경면에서 작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4 및 5 확장기(32, 34 36)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 각각은, 내부면(40) 상의 후단부(16) 근방에 형성된 내측 반경방향 링 또는 정지부(37)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부(37)는 허브 또는 베이스 확장기(12) 상에 제 2, 3, 4 및 5 확장기(30, 32, 34, 36)를 비전개 위치(undeployed position)에 보유하고, 이들 확장기가 사전에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 2 및 3 바아(52, 54, 58) 및 단부(62)와 연동하며, 이는 확장기 포지셔너의 일부이다. 제 2, 3, 4 및 5 확장기(30, 32, 34, 36)의 비전개 위치는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 2, 3, 4 및 5 확장기(30, 32, 34, 36)의 전개 위치는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확장기 포지셔너의 구성요소가 없음으로써, 중첩하는 확장기가 전개되는 경우 허브 상의 확장기가 사전에 전개될 수 있고, 확장기들 사이의 마찰이 중첩하는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이 전개되게 할 것이다. 확장기 포지셔너의 구성요소는 이러한 경우를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개 위치에서, 확장기 포지셔너의 일부분은 지그재그의 동축 정렬로 확장기를 보유하는데 도움을 준다. 단부(62)는 제 2 확장기(30)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를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 위의 절첩하는 위치에서 접촉하며, 허브(46)에 보다 근접한 제 2 확장기(30)의 위치설정을 방지한다. 제 3 바아(58)는 제 3 확장기(32) 상의 정지부(37)를 위치설정하므로, 이는 홈부(60)와 접촉하고, 제 3 확장기(32)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는 제 2 확장기(30) 상의 절첩하는 위치에서 제 3 확장기(32)를 위치설정하며 제 3 확장기(32)가 허브(46)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 바아(54)와 접촉한다. 제 4 확장기(54) 상의 정지부(37)는 제 2 바아(54)와 제 1 바아(52) 사이의 홈부(56) 내에 위치설정된다. 제 4 확장기(34)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는 제 3 확장기(32) 상의 절첩하는 위치에 제 4 확장기(34)를 위치설정하며 제 4 확장기(34)가 허브(46)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 바아(52)에 대해 위치설정된다.
확장기 포지셔너는 보다 작은 확장기들 중 하나 이상이 보다 큰 확장기 중 하나 내에 마찰식으로 보유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모든 확장기가 쉽게 순차적으로 위치설정되며, 각각의 확장기(12, 30, 32, 34, 36)(도 9 및 도 10)의 말단부 또는 제 1 단부(14)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근가능하다. 또한, 확장기 포지셔너는 확장기(30, 32, 34, 36)를 소정 위치에 보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확장기가 스토마 확장기(10)의 근접 단부에서 제거될 수 없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기(30, 32, 34, 36)의 근접 단부(16) 근방의 반경방향으로 위치설정된 정지부(37) 뿐만 아니라, 바아(52, 54, 58) 및 홈부(51, 56, 60)를 거쳐, 확장기 포지셔너는 확장기의 적절한 전개를 허용한다. 확장기의 구성요소는 지그재그의 동축 정렬로 확장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각각의 확장기의 말단부는 보건 진료원에 의해 파지되어 조직 확장을 위해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한다.
도 1,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마 확장기(10)는 제 4 확장기(34)(도 1 내지 도 8) 또는 제 5 확장기(36)(도 9 및 도 10) 위에 동축 정렬로 위치설정된 덮개(6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66)는 복수의 확장기 중 최외측 확장기 위에 위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66)는 말단부(68)와 이에 대향하는 근접 단부(70)를 구비한다. 그 아시에는 종방향의 원통형 튜브 또는 덮개 바디(72)가 위치설정된다. 덮개 바디(72)는 개구, 및 최외측 확장기의 외부면(38)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부면(74)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을 갖는다. 덮개(66)의 직경 크기는 최외측 확장기의 외부면(38) 위에서 덮개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지만, 덮개(66)와 최외측 확장기 사이의 공간을 통한 체액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지 않는다.
덮개(66)의 근접 단부(70)는 덮개(66) 상에서 이격되고 대향하는 관계로 위치설정된 한 쌍의 핸들(78)을 구비한다. 각각의 핸들(78)은 허브(46)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 플랜지(80)와, 그 아래에 위치설정된 리세스(82)를 구비한다. 각각의 플랜지(78)의 일부분은 허브(46)의 베이스(50) 옆의 홈부(49) 내로 연장되는 한편, 베이스(50)의 일부분은 각각의 핸들(78)의 각각의 플랜지(80) 아래에 위치된 리세스(82) 내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확장기(12, 30, 32, 34)(도 1 내지 도 8) 및 확장기(36)(도 9 및 도 10)에 관한 허브(66)에 대해 맞물리고, 고정되며, 비전개된 위치에서 덮개(66)를 보유하도록 연동한다. 그러나, 허브(46)를 90°회전시킴으로써,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맞물린 정렬을 벗어나 회전되므로, 최외측 확장기의 외부면(38) 위에서 덮개(66)가 운동하게 한다. 더욱이, 덮개(66)는 탈착가능한 접착제(예컨대, 압력 감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스토마 확장기(10)의 일부분에 결합릴 수 있다.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면, 덮개(66)의 회전은 접착제를 해제시켜서, 덮개(66)가 운동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66)는 스토마 또는 조직 개구를 통해 위치될 수 있고, 스토마 확장기(10)는 제거될 수 있다. 덮개(66)는 그 개구를 거쳐 장치를 위치설정하게 할 수 있다. 덮개는 위치설정된 장치로부터 벗겨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조직 개구 또는 스토마 내에 보유되게 한다. 덮개(66)는, 덮개(66)의 말단부(68) 쪽으로 핸들(78)을 밀어서 제거될 수 있으므로, 덮개(66)가 근접 단부(7)에서 그리고 핸들(78)들 사이의 덮개 바디(72) 아래에서 분리 시작되게 한다. 이러한 분리는 바디(72) 아래의 말단부(68)로 연장되어, 덮개(66)가 이러한 장치 주위로부터 후퇴하게 한다.
사용 방법에 있어서, 예컨대 목표 기관 도는 혈관 내에 스토마를 형성하는 등의 환자의 조직 내에 개구를 형성할 때, 스토마 확장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는 환자의 피부(42) 그리고 환자의 위장(14) 등의 목표 기관 내로 도입 니들(introducer needle)(도시하지 않음)의 루멘(lumen)을 거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니들은 후퇴되고, 와이어는 소정 위치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 위에 위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직 개구 또는 스토마(도 2)의 형성을 개시하도록 환자의 피부(42)를 통해 그리고 위장(44) 내로 와이어를 후속시키는 보건 진료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이동된다. 그 다음, 말단부 또는 제 1 단부(14)가 제 1 또는 베이스 확장기(12)의 제 1 단부(14) 상의 정지부(22)와 접촉할 때까지, 다음 크기의 확장기, 즉 제 2 확장기(30)는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 위에서 수동으로 이동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확장기(32)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 근방의 정지부(37)가 제 2 확장기(30)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와 접촉할 때까지, 제 3 확장기(32)는 제 2 확장기(30) 위에서 수동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 제 4 확장기(34)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 근방의 정지부(37)가 제 3 확장기(34)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와 접촉할 때까지, 제 4 확장기(34)는 순차적으로 제 3 확장기(32) 위에서 수동으로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제 5 확장기(36)가 존재한다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확장기(36)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 근방의 정지부(37)가 제 4 확장기(34)의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16)와 접촉할 때까지, 제 5 확장기(36)는 제 4 확장기(34) 위에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조직 개구 또는 스토마는 덮개(66)를 소정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하기에 충분히 확장되어 있다.
확장기 포지셔너의 다른 부분, 즉 베이스 확장기(12) 상의 정지부(22) 및 복수의 확장기[본 예에서는, 제 3, 4 및 5 확장기(32, 34, 36)] 중 적어도 몇 개 상의 정지부(37)는 베이스 확장기(12)의 말단부 또는 제 1 단부(14) 쪽으로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확장기의 적절한 전개를 허용하도록 확장기 포지셔너의 다른 부분과 같이 연동하므로, 각각의 확장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성 전개로 이동하도록 보건 진료원에 의해 파지가능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마 확장기(10)의 말단부에 연속적인 테이퍼를 제공하는 말단부(14)를 갖는다. 정지부(22, 37)는 복수의 확장기[본 예에서는, 제 2 확장기(30)] 중 하나의 확장기는 정지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정지부가 전개 위치에서 적절한 정렬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덮개(66)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덮개(66)는 허브(46)에 대해 90° 회전되어 있으므로, 허브(46)와의 탈착가능한 연결로부터 덮개(66)를 해제한다. 즉, 허브(46)의 베이스(50)의 일부분은 플랜지(80) 아래의 리세스(82) 외부로 이동되고, 핸들(78)의 플랜지(80)의 일부분은 베이스(50) 옆의 홈부(49) 외부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용은 참조된 구성요소들을 맞물리지 않은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최외측 확장기의 외부면(38) 위에서 덮개(66)가 이동하게 한다.
덮개의 말단부(68)는 뭉툭하며 테이퍼지지 않으므로, 제 1, 2, 3, 4 또는 5 확장기(12, 30, 34, 36)의 제 1 단부(14) 중 하나 이상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조직 개구를 통해 덮개(66)가 소정 위치에 있다면, 스토마 확장기(10), 즉 베이스 확장기(12) 및 복수의 확장기(30, 32, 34)(도 1 내지 도 8) 및 확장기(도 9 및 도 10)는 조직 개구 외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제거된다.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는 스토마 확장기(10) 내의 소정 위치에 남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66)는 스토마 내의 소정 위치에 남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장관내 공급관 등의 장치는 덮개(66)를 통해 위치설정될 수 있고, 상기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은 위장 내에 위치설정되어 말단부에서 볼스터(bolster)의 팽창 등의 통상적인 수단을 통해 보유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가 소정 위치에 있다면, 덮개(66)의 핸들(78)가 덮개(66)의 말단부(68) 쪽으로 밀어짐으로써, 덮개(66)의 근접 단부(70)는 핸들(78)들 사이에서 이격 분리되기 시작한다[도 8. 바람직하게, 덮개(66)는 근접 단부(70)로부터 말단부(68)로 이격 분리되므로, 핸들(도시하지 않음)을 보유하는 2개의 별개 부분을 제공한다]. 덮개(66)는 조직 개구 또는 스토마로부터 후퇴되어 폐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를 통한 그리고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를 통한 개구(47)는, 유체 혹은 조영제(constrast media)를 주입하거나 또는 유체를 위장(44)으로부터 후퇴시키기 위해, 관강 억세스(luminal access) 뿐만 아니라, 절차 동안의 어느 때에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제거가능하게 한다. 또한, 허브(46)는 투오이-보스트 커넥터(Tuohy-Borst connector)(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투오이-보스트 커넥터는 가이드 와이어 상에 확장기를 고정하며 허브(46) 내의 개구(47) 및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 내의 개구(24)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여질 수 있다.
스토마 확장기(10)는 의료 등급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스토마 확장기(1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토마 확장기(10)는 조직 개구를 인체 내의 상이한 기관 또는 혈관 내에 수용하도록 상이한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루술(gastrostomy)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12)가 8 French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제 2 확장기(30)는 12 French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3 확장기(32)는 16 French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 4 확장기(34)는 20 French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고, 존재한다면, 제 5 확장기(36)는 24 French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는 제 5 확장기가 사용되는 경우 26 French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작은 사이즈의 덮개는 4개의 확장기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 4 확장기 위에 사용될 수 있다. 필-어웨이형 덮개 및 허브 조립체는 의료 등급의 고밀도 폴레에틸렌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요지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몇몇의 요소 및/또는 제품은 다른 요소 또는 제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보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변형, 수정 및 동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 : 스토마 확장기 12 : 베이스 또는 제 1 확장기
14 : 제 1 단부 16 : 근접 단부 또는 후단부
18 : 신장된 관형 바디 20 : 숄더
22 : 정지부 24 : 개구
30 : 제 2 확장기 32 : 제 3 확장기
34 : 제 4 확장기 36 : 제 5 확장기
46 : 허브 48 : 윙
50 : 베이스 51 : 홈부
52 : 제 1 바아 54 : 제 2 바아
56 : 홈부 58 : 제 3 바아

Claims (11)

  1.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갖는 베이스 확장기로서, 상기 베이스 확장기의 근접 단부 상에는 허브가 배치되고,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허브를 구비하며, 상기 말단부는 그 상에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그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 및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적층된 복수의 확장기로서,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구비하며, 확장기 포지셔너의 다른 부분은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의 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정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확장기를 배치하도록 연동함으로써 각각의 확장기의 말단부 각각의 부분이 보건 진료원에 의해 운동을 위해 파지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의 정지부와 상기 복수의 확장기 상의 하나 이상의 정지부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가 전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스토마 확장기의 말단부에 연속적인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연동하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를 포함하는 스토마 확장기.
  2.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갖는 베이스 확장기로서, 상기 근접 단부 상에는 허브가 배치되고,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허브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그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 및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적층된 복수의 확장기로서,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말단부 각각의 부분이 또 다른 확장기 아래로부터 노출되며, 보다 작은 직경의 확장기가 보다 큰 직경의 확장기 내부에 접근가능하도록 보건 진료원에 의해 운동을 위해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다른 부분에 의해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를 포함하는 스토마 확장기.
  3.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갖는 베이스 확장기로서, 상기 근접 단부 상에는 허브가 배치되고,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허브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그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확장기는 환자의 조직 내로 와이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 동축으로 적층된 복수의 확장기로서,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은 테이퍼진 말단부, 근접 단부, 및 그 사이에 배치된 관형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말단부 각각의 부분이 또 다른 확장기 아래로부터 노출되며, 보다 작은 직경의 확장기가 보다 큰 직경의 확장기 내부에 접근가능하도록 보건 진료원에 의해 운동을 위해 파지가능하도록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다른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 및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최외측 확장기 위에 배치된 중공형 덮개로서, 상기 덮개는 상기 허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접 단부에 한 쌍의 핸들을 갖고, 상기 덮개는 최외측 확장기 위에서 이동가능한 뭉툭한 말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근접 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에에는 덮개 바디가 제공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와 복수의 확장기가 상기 덮개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확장기에 의해 형성되는 조직 개구를 개방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덮개를 통해 삽입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벗겨내도록 상기 덮개 바디를 통해 슬릿을 형성하도록 상기 핸들을 거쳐 분리가능한, 상기 중공형 덮개;를 포함하는 스토마 확장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일부분은 상기 허브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다른 부분은 상기 베이스 확장기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부분은 2개 이상의 그룹의 복수의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바아의 그룹 각각은 상기 베이스 확장기 둘레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 확장기 상에서 상기 바아의 그룹 각각을 축방향으로 분리하는 홈부가 있으며,
    상기 바아의 그룹 각각은 상기 베이스 확장기 주위의 위치에서 상이한 외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확장기의 내부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링을 구비하며,
    상기 링은 하나 이상의 확장기를 환자의 조직을 확장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확장기 포지셔너와 연동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최외측 확장기 위에 중공형 덮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베이스 확장기와 복수의 확장기가 상기 덮개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확장기에 의해 형성되는 조직 개구를 개방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허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근접 단부에 한 쌍의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를 벗겨내도록 상기 덮개 바디를 통해 슬릿을 형성하도록 상기 핸들을 거쳐 분리가능한 스토마 확장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확장기의 말단부는 그 상에 정지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은 그 근접 단부 근방에 배치된 정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장기 중 하나 이상의 정지부는, 정지부를 갖는 상기 복수의 확장기 각각의 말단부와 근접 단부가 정지부에 대해 배치되는 경우 스토마 확장기의 말단부가 연속적인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마 확장기.
KR1020107003958A 2007-08-31 2008-06-19 스토마 확장기 KR101515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48,502 2007-08-31
US11/848,502 US8211136B2 (en) 2007-08-31 2007-08-31 Stoma dilator
PCT/IB2008/052422 WO2009027859A1 (en) 2007-08-31 2008-06-19 Stoma di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451A true KR20100061451A (ko) 2010-06-07
KR101515090B1 KR101515090B1 (ko) 2015-04-24

Family

ID=3987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958A KR101515090B1 (ko) 2007-08-31 2008-06-19 스토마 확장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8211136B2 (ko)
EP (1) EP2182863B1 (ko)
JP (1) JP5431328B2 (ko)
KR (1) KR101515090B1 (ko)
CN (1) CN101795631B (ko)
AU (1) AU2008291776B2 (ko)
BR (1) BRPI0815447A2 (ko)
CA (2) CA2697873C (ko)
DK (1) DK2182863T3 (ko)
ES (1) ES2383629T3 (ko)
MX (1) MX2010002045A (ko)
PT (1) PT2182863E (ko)
RU (1) RU2472459C2 (ko)
WO (1) WO20090278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75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킴스바이오 가변형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9344B2 (en) * 2002-12-20 2007-12-18 Ethicon Endo-Surgery, Inc. Transparent dil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07130605A1 (en) * 2006-05-05 2007-11-15 I-Flow Corporation Soft tissue tunneling device
US20090163942A1 (en) * 2007-12-20 2009-06-25 Cuevas Brian J Tracheostomy punch dilator
JP5439886B2 (ja) * 2009-03-23 2014-03-1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用拡張器
AU2010334552B2 (en) 2009-12-27 2014-04-17 Covidien Lp Medical device
JP2011206179A (ja) * 2010-03-29 2011-10-20 Fuji Systems Corp 胃瘻造設法用器具及び胃瘻造設法
US9339442B2 (en) 2010-09-27 2016-05-17 Avent, Inc. Multi-balloon dilation device for placing catheter tubes
JP5199434B2 (ja) * 2011-09-28 2013-05-15 クリエートメディック株式会社 ダイレーター
EP3308824B1 (en) * 2012-03-18 2022-09-07 Traumatek Solutions B.V. Device for endovascular access and therapy
EP2830515A2 (en) * 2012-03-30 2015-02-04 Koninklijke Philips N.V. Nested cannula tips
US20140277195A1 (en) * 2013-03-12 2014-09-18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CN103735297B (zh) * 2013-11-29 2016-06-01 冯清亮 一种分级扩张的经皮气管切开器
RU2549489C1 (ru) * 2013-12-16 2015-04-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Осети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декомпрессии толстой кишки при обтурационной непроходимости
US20150231369A1 (en) * 2014-02-20 2015-08-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eelable sheath
US9675371B2 (en) * 2014-03-03 2017-06-13 The Spectranetics Corporation Dilator sheath set
WO2015171390A1 (en) 2014-05-07 2015-11-12 Avent, Inc. Medical port with replaceable catheter
WO2017079446A1 (en) 2015-11-03 2017-05-11 Schlage Lock Company Llc Adjustable length cable
EP3509686B1 (en) * 2016-09-08 2023-11-08 Napolez, Christina Crimea Gastrostomy tube reinsertion device
EP3538195A4 (en) * 2016-11-09 2020-11-04 Suresh Subraya Pai DEVICES AND METHODS FOR DILATATION OF SINUS EASTIA AND OTHER BODY OPENINGS
JP2021528163A (ja) * 2018-06-20 2021-10-2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C R Bard Incorporated 導入ツールおよびその方法
US11471582B2 (en) 2018-07-06 2022-10-18 Incept, Llc Vacuum transfer tool for extendable catheter
US11766539B2 (en) 2019-03-29 2023-09-26 Incept, Llc Enhanced flexibility neurovascular catheter
CN211884905U (zh) 2019-08-22 2020-11-10 贝克顿·迪金森公司 球囊扩张导管及其球囊
US11553935B2 (en) 2019-12-18 2023-01-17 Imperative Care, Inc. Sterile field clot capture module for use in thrombectomy system
WO2021127004A1 (en) * 2019-12-18 2021-06-24 Imperative Ca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KR102476456B1 (ko) 2020-06-19 2022-12-12 주식회사 킴스바이오 길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연성 요관용 내시경 확장기
US20220409234A1 (en) * 2021-06-23 2022-12-29 Medos International Sarl Serial di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5785C2 (de) * 1980-07-08 1984-08-16 Storz, Karl, 7200 Tuttlingen Dilatator,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U1153900A1 (ru) * 1982-04-23 1985-05-07 Винницкий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Н.И.Пирог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иопсии
US4581025A (en) * 1983-11-14 1986-04-08 Cook Incorporated Sheath
JPS60174159A (ja) * 1984-02-20 1985-09-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拡張器
GB2163351B (en) * 1984-08-20 1987-08-19 Craig Med Prod Ltd Loop ostomy appliance
JPS61209647A (ja) * 1985-03-14 1986-09-17 須广 久善 血管吻合用の切開口拡開器
US4772266A (en) * 1987-05-04 1988-09-20 Catheter Technology Corp. Catheter dilator/sheath assembly and method
US4862891A (en) * 1988-03-14 1989-09-05 Canyon Medical Products Device for sequential percutaneous dilation
US4895564A (en) * 1988-06-08 1990-01-23 Farrell Edward M Percutaneous femoral bypass system
US5011478A (en) 1989-01-31 1991-04-30 Cook Incorporation Recessed dilator-sheath assembly and method
US5499975A (en) * 1989-01-31 1996-03-19 Cook Incorporated Smooth transitioned dilator-sheath assembly and method
US5074846A (en) * 1990-09-13 1991-12-24 Abbott Laboratories Stoma creator gastrostomy device and method for placement of a feeding tube
DE69123982T2 (de) 1990-11-20 1997-12-04 Innerdyne Medical Inc Dehnung aufrechterhaltendes führungselement sowie dilatator
US5139486A (en) * 1991-01-02 1992-08-18 Gerald Moss Dilator/introducer for percutaneous gastrostomy
US5183464A (en) 1991-05-17 1993-02-02 Interventional Thermodynamics, Inc. Radially expandable dilator
US5098392A (en) * 1991-06-28 1992-03-24 Fleischhacker John J Locking dilator for peel away introducer sheath
US5318543A (en) * 1992-10-08 1994-06-07 Abbott Laboratories Laparoscopic jejunostomy instrumentation kit
US5536255A (en) * 1994-10-03 1996-07-16 Moss; Gerald Dilator/introducer apparatus for percutaneous gastrostomy
US6030364A (en) 1997-10-03 2000-02-29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cutaneous placement of gastro-intestinal tubes
FR2774598B1 (fr) 1998-02-11 2000-06-23 Synthelabo Dispositif telescopique pour la dilatation d'un canal corporel
JP2001314515A (ja) * 2000-05-12 2001-11-13 Jiima Kk 医療用引裂きチューブ
US6706017B1 (en) * 2000-09-18 2004-03-16 Pavel Dulguerov Percutaneous ostomy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stoma and implanting a canula
US6512958B1 (en) 2001-04-26 2003-01-28 Medtronic, Inc. Percutaneous medical probe and flexible guide wire
US7384422B2 (en) * 2002-05-06 2008-06-10 Pressure Products Medical Supplies, Inc. Telescopic, separable introduc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796991B2 (en) * 2002-08-29 2004-09-28 Medical Components, Inc. Releasably locking dilator and sheath assembly
US7309344B2 (en) * 2002-12-20 2007-12-18 Ethicon Endo-Surgery, Inc. Transparent dil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US7811303B2 (en) * 2003-08-26 2010-10-12 Medicine Lodge Inc Bodily tissue dil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60004398A1 (en) * 2004-07-02 2006-01-05 Binder Lawrence J Jr Sequential dilator system
US20060030872A1 (en) * 2004-08-03 2006-02-09 Brad Culbert Dilation introducer for orthopedic surgery
WO2006017507A2 (en) 2004-08-03 2006-02-16 Triage Medical Telescopic percutaneous tissue dil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7524305B2 (en) * 2004-09-07 2009-04-28 B. Braun Medical, Inc. Peel-away introduc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571844B1 (ko) * 2004-10-28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전이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US20060217664A1 (en) * 2004-11-15 2006-09-28 Hattler Brack G Telescoping vascular dilator
DE102005004434A1 (de) * 2005-01-31 2006-08-1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Festkörper-Elektrolytzellen
EP1898981B1 (en) 2005-06-27 2014-04-1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 dilator for performing a percutaneous medical procedure
US8021338B2 (en) 2005-09-14 2011-09-2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ercutaneous endoscopic jejunostomy access needle
US7494849B2 (en) * 2005-11-03 2009-02-24 Cswitch Inc. Methods for fabricating multi-terminal phase chang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875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킴스바이오 가변형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97873A1 (en) 2009-03-05
AU2008291776A1 (en) 2009-03-05
MX2010002045A (es) 2010-03-15
CA2697873C (en) 2015-07-28
EP2182863B1 (en) 2012-05-16
CA2870212A1 (en) 2009-03-05
DK2182863T3 (da) 2012-07-16
PT2182863E (pt) 2012-07-10
AU2008291776B2 (en) 2013-06-06
RU2010111553A (ru) 2011-10-10
ES2383629T3 (es) 2012-06-22
RU2472459C2 (ru) 2013-01-20
US8795311B2 (en) 2014-08-05
CN101795631A (zh) 2010-08-04
US8211136B2 (en) 2012-07-03
CN101795631B (zh) 2013-07-10
US20120302837A1 (en) 2012-11-29
BRPI0815447A2 (pt) 2019-02-26
WO2009027859A1 (en) 2009-03-05
EP2182863A1 (en) 2010-05-12
US20090062832A1 (en) 2009-03-05
KR101515090B1 (ko) 2015-04-24
JP2010537691A (ja) 2010-12-09
JP5431328B2 (ja) 2014-03-05
CA2870212C (en)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451A (ko) 스토마 확장기
US71862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sertion of a medical device
JP6042336B2 (ja) カテーテルチューブを配置するための拡張デバイス
US8043261B2 (en) Method for percutaneously implanting a medical catheter and medical catheter implanting assembly
US8979744B2 (en) Tunneling system
US20120179102A1 (en) Shielding Dilator for Use with a Catheter
US20220079620A1 (en) Introducer Sheaths for Endoscopes and Related Methods
CN107405474A (zh) 可扩张导管鞘以及通过可扩张导管鞘将医疗器械插入脉管的系统
JP6309538B2 (ja) カテーテルチューブを留置するための拡張装置
WO2015063497A1 (en) Trocar and cannula
CN217886156U (zh) 套管器和插管组件
US115045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anding a catheter
EP3407811B1 (en) Access device having an anchoring feature
JP2014121469A (ja) 胃瘻造設術用拡張器
WO2022251235A1 (en) Retractable low-profile pediatric gastrostomy tube and uses thereof
JP2023529267A (ja) カニューレ挿入器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