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589A -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589A
KR20100060589A KR1020080119237A KR20080119237A KR20100060589A KR 20100060589 A KR20100060589 A KR 20100060589A KR 1020080119237 A KR1020080119237 A KR 1020080119237A KR 20080119237 A KR20080119237 A KR 20080119237A KR 20100060589 A KR20100060589 A KR 2010006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ia cocos
bokryeong
cultivation
woo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석
송경원
이석종
Original Assignee
이강석
이석종
송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석, 이석종, 송경원 filed Critical 이강석
Priority to KR102008011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589A/ko
Publication of KR2010006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지(야산, 전답 등), 시설하우스 또는 기존 버섯 재배사를 이용하여 복령버섯(복령)과 복신을 지상재배 하는 방법이다. 기존 특허들의 지하재배 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오염 없는 청정 복령과 복신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균 접종 후 원목을 땅에 묻지 않고 지상에서 복령과 복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나무뿐만 아니라 침엽수, 활엽수 등 다양한 원목을 20~30cm로 절단하여 층별로 쌓거나 비닐봉지에 입봉하여 톱밥 배지나 곡립 배지를 사용하여 만든 종균을 접종 및 활착을 시키는 단계, 균이 활착 된 원목을 지하에 매설하지 않고, 노지 또는 시설물의 실내에서 입봉한 비닐을 제거 또는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종 시 사용한 종균을 제거 또는 제거하지 않은 채 결령과 성장 단계를 관리하고 각 단계별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시설물 내부 또는 노지 등 지상에서 농약이나 중금속 함유가 없는 청정 복령과 복신을 재배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다.
지상재배, 복령버섯, 복령, 복신, 복령 피, 유기농법, 백복령, 적복령, 종균

Description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Method of cultivation of Poria cocos on the ground and indoor.}
본 발명은 복령과 복신을 인공 재배함에 있어 균 접종 후 지하에 균 접종 원목을 지하에 매설하지 않고, 지상에서 균 활착, 복령의 결령, 성장, 수확의 단계를 거처 농약, 중금속 함유가 없는 청정 복령과 복신을 생산해 내는 방법이다.
기존의 복령 재배에 관한 특허들은 모두 “복령은 지하에서만 생산된다.”라는 고정관념에서 출발하였고 연구, 생산 또한 지하에서 생산하는 것에 바탕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지하”라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재배의 수월성, 안정성, 무독성에 바탕을 두고 “지상”에서 재배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얻어진 것이다. 국내 인공재배 특허들(참조: 출원번호 : 10-1984-0006582, 10-1992-0023438, 10-1993-0009406, 10-1993-0011215 등)은 모두가 원목에 균을 접종 전. 후, 땅속에 균을 접종한 원목을 매설하여 복령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모두 소나무에서 복령 재배가 가능한 것이다. 국내 인공재배의 경우 땅속 매설비용, 인건비, 매설 후 활착 성공에 적합한 토지 선정, 온. 습도의 인위적 조절 불가능 등으로 국내에서는 복령의 인공 재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국내의 기존 특허들이 산업화되지 못하고 사 장되어 있는 실정이다.
중국 등 외국에서는 균 접종 원목을 땅속에 매설하는 지하재배방법으로 복령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 매설 재배의 가장 큰 문제점인 흙과 모래 등이 생산된 복령에 내재 되어있는 경우가 많고 토양에 함유된 중금속, 농약성분 등 이물질의 복령 침투 등 많은 문제들이 있어 수입 복령에 중금속, 농약성분 함유 등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복령 재배 방법의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더 효과적으로 복령을 생산하며, 땅속 매설로 인한 토양으로부터의 오염에서 탈피하여 시장에 청정 복령과 복령 피, 복신을 공급할 수 있고, 상용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나무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나무들을 이용하여 연구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상 재배방법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복령버섯(Poria Cocos)은 벌채 된 소나무 뿌리에서 기생하는 둥글거나 길쭉한 균핵 덩어리로 표면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복령버섯 또는 복령이라 불리며 한의학에서는 백복령, 적복령, 복신, 복령 피(껍질)로 세분화하여 부른다. 복신은 죽은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던 복령이 소나무뿌리를 완전히 감싸고, 시간이 흘러 복령 속의 소나무뿌리가 복령의 일부분화 되는 것으로 한의학에서 통째로 또는 절편 하여 복신으로 사용한다. 근래에는 복신을 인공재배하지 못함에 따라 복령을 통째로 말려 복신으로 유통하는 경우도 있다.
복령은 예부터 한약 재료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선조들은 실생활에서 복령죽, 복령칼국수, 복령차, 복령주, 피부미용 등에 널리 이용하였다. “복령을 장기간 복용하면 신령이 된다.”는 옛 문헌의 기록이 있을 정도로 귀한 식용 및 한약재로 사용하였다. 자연산 복령은 지하에 묻혀 있는 것으로 채취 시 꼬챙이를 이용하여 땅을 깊이 찔러 복령 가루가 꼬챙이에 묻어나오면 그곳을 파서 채취하였다. 복령은 근래 자연산 채취는 줄어들었으나, 한약재로서 소비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한약재 시장에서 소비되는 복령의 대부분은 중국 등 외국(지하 재배 복령)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들어 웰빙의 생활화로 복령을 식용 및 화장품, 의약품 원료로 이용하려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복령 피(껍질)는 최근 연구에서 생리활성화 인자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새롭게 밝혀져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의 기존 복령 재배 방법들은 균 접종 전. 후 원목을 지하에 매설하여 복령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고비용이고, 균 활착과 결령의 실패율이 높으며, 결령 후 성장 과정 중 흙과 모래 및 토양함유 중금속, 농약성분 등 이물질의 복령 침투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복령 피(껍질)는 직접 토양과 접촉되어 오염도가 복령의 내부보다 더 높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한약재 시장에 오염 없는 청정 복령을 공급하고, 최근 들어 복령을 식생활에 이용하며 화장품, 의약품 원료로 이용함에 있어 청정 무공해 복령과 복령 피, 복신을 공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령과 복령 피, 복신 오염의 가장 큰 원인은 지하에서 생산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복령과 복신의 토양으로부터 오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토양과 접촉 없이 복령과 복신을 재배할 수 있어야 한다. 소나무뿐만 아니라 침엽수, 활엽수 등 다양한 원목을 20~30cm로 절단하여 층별로 쌓거나 비닐봉지에 입봉 하여 균 접종 및 활착을 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지하에 매설하지 않고, 노지 또는 시설물의 실내에서 입봉 한 비닐을 제거 또는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종 시 사용 한 톱밥 배지 나 곡립배지 종균을 제거 또는 제거하지 않은 채 결령과 성장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별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시설물 내부 또는 노지 등 지상에서 복령과 복신을 재배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다.
복령과 복신은 한약재로써 거대한 소비시장을 가지고 있다. 국내 복령의 생 산은 자연산에 국한되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그동안의 특허들은 모두가 경제성이 떨어지고 복령 발생율이 약해 생산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한약재의 경우 외국에서도 지하매설 방식으로 재배하고 있어 토양으로부터 중금속 등에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해 오염된 한약재가 사회적인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건 복령의 수입량은 연간 2,000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생 복령으로 환산하면 5,000~7,000톤에 이르는 물량이 수입되고 있다.
본 발명으로 한약재 시장에 중금속 오염이 없는 청정 복령과 복령 피, 복신을 공급하고, 나아가 복령과 복신을 활용한 여러 제품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갈수록 어려워지는 버섯재배농가에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며, 수입에 의존하는 복령을 국내 생산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였고, 최근 들어 복령을 식생활에 이용하려는 시도(복령 죽, 복령 칼국수, 복령 떡 등)와 화장품, 의약품 원료로 이용하려는 시도에 청정 무공해 복령과 복신을 공급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 방식(지하 매설)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복령과 복신을 지상 재배함으로서 재배 시 작업의 편리성, 비용의 절감, 오염 없는 복령과 복신 생산, 산출량의 극대화를 이루었다.
본 발명을 간단한 도면(사진)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 목재 및 준비 (참조 : 도 1 )
(1) 목재의 종류
지금까지 복령은 소나무에서만 생산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본 발명을 위한 연구 시험 결과 소나무뿐만 아니라 침엽수 및 활엽수에서도 생산이 가능하였다. 단 소나무 등 재질이 무겁고 단단한 나무에서 생산된 복령의 수확이 더 많았다. 복신 용 목재는 직경이 약 3~6cm정도의 얇은 나무를 사용한다.
(2) 목재의 준비
모든 크기의 목재에 가능하나, 목재의 직경이 약 15~25cm 정도가 작업의 편리성 및 복령의 수확에 좋다. 직경 15~25cm의 목재를 20~30cm로 절단하고, 목재의 표피는 제거하지 않고 사용한다. 이때 원목의 개당 무게는 약 2kg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사용할 목재의 벌채 시기는 년 중 상관이 없으나, 가급적 낙엽이 진 후에서 봄에 나무에 물이 오르기 전까지의 시기에 벌채한 것이 좋다.
2. 재배장소
(1) 재배사 등 실내 재배
온. 습도 자동조절이 가능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위한 환풍 시설을 구비한 첨단 재배사가 최적이지만, 온도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기존 시설하우스나 느타리버섯 재배사 등 일반 버섯 재배사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2) 노지(야산, 전답 등)재배
어느 지역이나 가능하나, 가급적 그늘이 많은 음지가 좋다. 음지가 아닐 경우 그늘을 만들어주는 그늘막을 설치하고, 습도 조정을 위해 물을 살포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3. 종균
야생 복령버섯에서 원균을 채취한 신농 버섯연구소의 KS501 복령 균을 사용하였다. 복령 균은 잡균에 오염되기 쉬우므로 크린룸이 갖추어진 균 연구소에서 철저한 살균 등 일반적인 균 관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종균을 사용하였다.
4. 접종 및 활착 (참조 : 도 2, 도 3)
종균의 접종은 톱밥배지 또는 곡립배지를 사용한다. 나무에 구멍을 뚫어 종균을 접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작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절단한 나무토막들 사이에 종균을 접착하여 쌓거나(도 2 - 예1), 나무토막 상. 하에 종균을 접착하고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입봉(도 2 - 예2) 한다.
종균을 접착한 후 30일~40일 동안, 온도 20~25℃, 60%~70%의 습도를 유지한 채 활착 기간을 갖는다. 이때 그늘막 설치, 물 살포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이 기간 동안 배지의 복령 균사가 재배원목으로 이동(침투)하여 원목에서 균이 성장하게 되고, 원목에 균사체가 발생한다. ( 도 3 )
5. 복령의 결령기 관리 (참조 : 도 4 )
상기와 같이 활착이 끝난 후 접종 종균은 제거하여도 무방하나, 제거 작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활착 후 접종 종균을 제거하는 것이 깨끗한 복령을 수확 할 수 있다. 시설하우스, 재배사 등 시설 재배의 경우 접종 시 사용한 비닐봉지를 제거하여도 무방하나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단 노지재배의 경우 원목이 토양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 복령이 토양으로부터 오염되므로 입봉 상태에서 결령 및 성장시키는 것이 좋다. 노지 재배의 경우 봉지를 제거하려면 지표면에 비닐 등을 깔아 생성된 복령이 지면과 직접 닿지 않게 조치를 취한다. 결령을 위한 적정 온도와 습도는 20~25℃에 60%~80%를 유지한다. 활착 후 40~60일 후 원목에 조그만 복령 이 발생(결령) 된다.
6. 성장조건 및 관리 (참조 : 도 5 )
성장에 따른 적정 온도와 습도는 15~25℃에 60%~80%를 유지한다. 복령의 상업화를 위해서는 직경이 약 10cm이상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으로 재배한 복령은 약 6개월 후 직경이 10cm 이상이 되었으며, 더 긴 시간을 주면 복령의 크기와 무게가 늘어났다. 직경 3~6cm 정도의 원목에 접종, 활착, 결령의 단계를 거치고 성장 단계의 조건으로 2~3년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원목 전체가 복령으로 감싸이며 복령 화 되는 복신현상이 일어나며, 이는 한의학 분류 중 복령의 한 종류인 복신이 된다.
7. 자실체 및 수확 (참조 : 도 6 )
6개월 정도 성장시키면 복령의 직경이 약 10cm를 넘어 수확이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더 긴 시간을 성장시키면 복령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한다. 복신은 가는 나무가 완전히 복령으로 감싸여지고 나무의 딱딱한 부분이 복령 자실체의 가루처럼 변하였을 때 통째로 복신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직경 15~25cm의 소나무 등 수종의 목재를 20~30cm로 절단하고, 목재의 표피는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였고, 기존 느타리버섯 재배사와 노지(야산)에서 신농 버 섯 연구소의 KS501복령 균을 사용하였다. 종균의 접종은 톱밥 배지 와 곡립 배지를 사용하여 절단한 나무토막들 사이에 종균을 접착하는 방법과, 나무토막 상. 하에 종균을 접착하고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입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종균을 접착한 후 30일~40일 동안, 온도 20~25℃, 60%~70%의 습도를 유지한 채 활착 기간을 주었다. 활착이 끝난 후 접종 종균은 제거, 제거하지 않는 방법 모두를 시험하였으며 활착 후 접종 종균을 제거하는 것이 깨끗한 복령을 수확할 수 있었다. 시설하우스, 재배사 등 시설 재배의 경우 비닐봉지 제거, 노지재배의 경우 입봉 상태에서 생육시키는 방법과 봉지 제거 시 지표면에 비닐 등을 깔아 생성된 복령이 지면과 직접 닿지 않게 조치를 취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원목에 복령이 맺히는 경령기의 적정 온도와 습도는 20~25℃에 60%~80%를 유지하여 40~60일 후 원목에 조그만 복령이 결령 되었다. 성장에 따른 적정 온도와 습도는 15~25℃에 60%~80%를 유지하며 6개월 이상 성장시켜 직경이 약 10cm이상이 되었을 때 수확하고, 더 긴 시간동안 관리해 주면 복령의 크기와 무게가 늘어났다. 복신은 성장 단계의 조건으로 2~3년, 장기간 성장시키면 원목 전체가 복령으로 감싸이며 복령 화 되는 복신 현상이 일어났다.
본 발명을 위한 연구 시험 생산에서 약 2kg 원목을 기준으로 6개월 후 약 550g의 복령을 생산하였다.
도 1 : 본 발명의 연구를 위한 목재 준비 사진.
도 2 : 본 발명의 균 접종을 촬영한 사진.
도 3 : 본 발명 중 복령 균 접종 후 균 활착 상태를 사진으로 촬영한 예.
도 4 : 본 발명으로 복령이 맺히는 결령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5 : 본 발명으로 복령의 성장기를 촬영한 사진.
도 6 : 본 발명으로 수확된 복령을 촬영한 사진.

Claims (1)

  1. 소나무뿐만 아니라 침엽수, 활엽수 등 다양한 원목을 20~30cm로 절단하여;
    층별로 쌓거나 비닐봉지에 입봉 하여 균 접종 및 활착을 시키고;
    입봉 한 비닐을 제거 또는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접종 시 사용한 종균을 제거 또는 제거하지 않은 채 결령과 성장을 시키며;
    각 단계별로 적정 온. 습도를 유지하며;
    시설물 내부 또는 노지 등 지상에서 복령과 복신을 재배하는 방법.
KR1020080119237A 2008-11-28 2008-11-28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KR20100060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37A KR20100060589A (ko) 2008-11-28 2008-11-28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37A KR20100060589A (ko) 2008-11-28 2008-11-28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589A true KR20100060589A (ko) 2010-06-07

Family

ID=4236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237A KR20100060589A (ko) 2008-11-28 2008-11-28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5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9007A (zh) * 2014-07-22 2014-10-22 肥东县丰宝种养殖有限责任公司 一种含葵花籽壳的金针菇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4521562A (zh) * 2014-12-24 2015-04-22 广东省农业科学院蚕业与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平菇再次出菇的栽培方法
CN105309203A (zh) * 2015-11-06 2016-02-10 道真自治县香坪中药材种植专业合作社 利用松木小径材栽植茯苓的方法
CN105746174A (zh) * 2016-03-15 2016-07-13 北京斋堂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菌类种植方法
KR101653708B1 (ko) * 2016-05-09 2016-09-02 구법성 복령 노지 재배방법
KR20170016196A (ko) 2015-08-03 2017-02-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류충현약용버섯 비닐 멀칭형 매몰법에 의한 복령 인공재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9007A (zh) * 2014-07-22 2014-10-22 肥东县丰宝种养殖有限责任公司 一种含葵花籽壳的金针菇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4521562A (zh) * 2014-12-24 2015-04-22 广东省农业科学院蚕业与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平菇再次出菇的栽培方法
KR20170016196A (ko) 2015-08-03 2017-02-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류충현약용버섯 비닐 멀칭형 매몰법에 의한 복령 인공재배 방법
CN105309203A (zh) * 2015-11-06 2016-02-10 道真自治县香坪中药材种植专业合作社 利用松木小径材栽植茯苓的方法
CN105746174A (zh) * 2016-03-15 2016-07-13 北京斋堂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菌类种植方法
KR101653708B1 (ko) * 2016-05-09 2016-09-02 구법성 복령 노지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4035B (zh) 暗褐网柄牛肝菌人工栽培方法
CN101491195B (zh) 暗褐网柄牛肝菌菌种的培养方法
US6951074B2 (en) Cultivation of Morchella
CN101669430B (zh) 暗褐网柄牛肝菌半人工栽培方法
KR20110000089A (ko) 고품질 복령의 대량 생산을 위한 토양중 원목 비매립 비닐봉지 재배방법
CN101491194A (zh) 一种高效环保茯苓的栽培方法
KR20100060589A (ko) 일반 버섯 재배사 등 시설물의 실내 및 노지에서 복령버섯 및 복신의 지상재배 방법.
Chen Cultivation of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curt.: Fr.) P. karst.(reishi) in north America
KR20150001859U (ko) 소나무 원목에 복령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된 복령재배용 배양완료 원목배지
KR100483333B1 (ko)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KR20110060330A (ko) 하우스 또는 일반 버섯 재배사 등 관리시설물에서 지하에 매설하지 않고 무토양으로 재배하는 저령버섯(저령)의 지상재배 방법.
CN105961010B (zh) 利用兰花根菌栽培公石松的方法
CN108370808B (zh) 一种马尾松菌根化幼苗育苗方法
KR20120015791A (ko)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667A (ko) 표고버섯 지면 재배방법
KR101006734B1 (ko) 접 붙이기 수단을 이용한 관상용 영지버섯 제조방법
CN109429900B (zh) 一种灵芝仿野生栽培方法
CN107197740B (zh) 一种华北金叶榆在滨海新区的引种方法
CN105900685B (zh) 一种猪苓蕨苔混栽方法
KR20150115489A (ko) 아버스큘라 균근균(Arbuscular-Mycorrhizal Fungi, AMF) 접종원 대량 생산방법
CN108076962A (zh) 一种干巴菌人工栽培方法
KR20000037407A (ko) 원목을 이용한 목질진흙(상황) 버섯의 재배방법
JP3821320B2 (ja) 菌根菌の子実体の人工栽培方法
CN112586270A (zh) 一种灵芝双膜夹袋栽培方法
CN111226687A (zh) 一种野外松茸菌塘的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