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659A -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659A
KR20100059659A KR1020090059169A KR20090059169A KR20100059659A KR 20100059659 A KR20100059659 A KR 20100059659A KR 1020090059169 A KR1020090059169 A KR 1020090059169A KR 20090059169 A KR20090059169 A KR 20090059169A KR 20100059659 A KR20100059659 A KR 20100059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electronic component
waste box
mount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유카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노즐단부를 단시간에 청소하고 노즐의 오염으로 인한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을 방지한다.
노즐단부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박스로서 노즐이 상단 개구부(51)로부터 내부로 진입할 때에 노즐단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52)이 구비된 전자부품 폐기박스(50)를 제공한다.
전자부품 공급장치, 전자부품 장착장치, 전자부품 폐기박스, 노즐, 부품공급장치, 이동수단, 브러쉬체, 청소수단

Description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disuse box of electronic parts 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부품 장착장치로서 전자부품을 흡착 및 흡착해제 가능한 단부를 구비하는 노즐; 노즐단부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공급부와 피장착부와 전자부품 폐기박스와의 사이를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전자부품 장착장치는 공급부에 공급된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반송하여 피장착부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전자부품 폐기박스로 폐기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땜납 페이스트나 플럭스, 접착제등이 노즐 단부에 부착하는 등 단부가 오염되고 이런 오염으로 노즐에 의한 전자부품의 장착불량(재흡착)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땜납 페이스트나 플럭스, 접착 제 등이 노즐 내부로 들어갈 경우, 흡착력 부족으로 전자부품의 흡착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노즐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양품의 전자부품이 전자부품 폐기박스로 폐기되어 정상적인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폐기되는 전자부품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공개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 장착장치를 이동하는 헤드에 노즐을 교환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또 노즐에 헤드의 내부통로를 통하여 부압 또는 정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노즐을 교환할 때에 노즐 선단부(노즐 단부) 주변에 에어 블로우를 실시하여 노즐을 청소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35872호
그러나 노즐교환 시 노즐 단부에 에어 블로우를 실시하여 노즐을 청소하는 수단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노즐을 교환할 때 청소를 하기 때문에 노즐을 교환하지 않고 장기간 계속 동일한 노즐을 사용할 경우에는 노즐 단부의 청소가 실시되지 않아 노즐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만일 노즐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 경향에 의하여 노즐 단부의 오염 상태를 판정하고 소정의 오염상태인 것으로 판정되어 노즐을 교환하는 방법이라 하더라도 노즐교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노즐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 경향에 의하여 판정하기 때문에 노즐 단부의 오염으로 인한 흡착ㆍ장착 불량이 실제로 발생하고 난 다음에서야 노즐이 오염상태인 것을 판정하고 교환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은 단부가 오염된 노즐로 흡착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간 중 노즐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억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노즐단부를 단시간에 청소하고 노즐오염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폐기박스는 노즐 단부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로서 상기 노즐이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에 상기 노즐단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의하면 노즐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 노즐단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폐기하기 위하여 노즐을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그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진입시킬 때에 노즐단부를 청소수단에 의하여 깨끗하게 청소하여 노즐단부 오염에 의한 전자부품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폐기하기 위하여 노즐을 전자부품 폐기박스 내부로 그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진입할 때 청소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노즐을 교환하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단부의 청소를 짧은 시간 내에 실시할 수 있다.
또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폐기할 때 마다 노즐을 청소수단에 통과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노즐에 의한 흡착ㆍ장착 불량이 발생하여 전자부품을 폐기할 때마다 노즐단부를 청소하기 때문에 흡착ㆍ장착 불량이 발생할 정도로 노즐단부가 오염되었을 때는 즉시 노즐단부를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단부가 오염된 노즐로 흡착 작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한층 더 방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상단 개구부 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단부 에 접촉되어 상기 단부를 청소하는 복수 라인의 브러쉬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브러쉬체는 수평방향의 일 방향으로 연설(延設)됨과 동시에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타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브러쉬체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설됨과 동시에 상기 타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타 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브러쉬체 간의 틈새를 통과하여 노즐과 브러쉬체를 접촉시키면서 노즐을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노즐단부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청소수단으로서 브러쉬체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이 청소수단에 통과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노즐단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방향으로 인접한 브러쉬체간의 간격을 노즐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유지하면서 최대한 좁게 브러쉬체를 배치할 경우 이들 브러쉬체를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덮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전자부품 폐기박스 내로 노즐을 진입시킨 후 노즐단부로부터 전자부품을 낙하시킬 경우 전자부품 폐기박스에서 전자부품이 외부에 튀는 것을 브러쉬체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에서 양 단면에는 상기 상단 개구부와 이어지는 측방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체는 상기 일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향하면서 경사지도록 연설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쉬체가 상기 일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향하면서 경사지도록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있어서의 상기 일 방향의 일단 측의 단면에 형성된 측방 개구부에서 상기 일 방향의 타단 측의 단면에 형성된 측방 개구부로 노즐을 단지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브러쉬체간의 틈새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상기 노즐단부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을 예를 들어 상기 수직방향으로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시킨 후에 상기 수직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다시 나오도록 이동시킨 경우에 비하여 노즐의 이동을 간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즐단부의 청소를 한층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장치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폐기박스; 전자부품을 흡착 및 흡착해제 가능한 단부를 구비하는 노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피장착부와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와의 사이를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부품 장착장치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폐기박스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단부를 단시간에 청소하여 노즐의 오염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방법은 전자부품을 흡착 및 흡착해제 가능한 단부를 구비하는 노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노즐단부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피장착부와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와의 사이를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 하고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에는 상기 노즐이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 상기 노즐단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된 전자부품 장착장치를 이용하는 전자부품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자부품을 상기 노즐에 의하여 흡착하는 흡착 공정과 상기 노즐에 흡착된 전자부품을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시키는 장착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공정과 상기 장착공정과의 사이 및 상기 장착공정 이후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노즐을 상기 단부 측에서 촬상 하는 촬상공정; 상기 노즐을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로 이동시켜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 내로 전자부품을 폐기하는 폐기공정; 및 상기 촬상공정의 촬상결과에 의하여 상기 폐기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이 한층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폐기공정은 상기 노즐을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진입시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부품 장착방법에 의하면 폐기공정은 노즐을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진입시켜 수행하기 때문에 노즐에 의한 흡착ㆍ장착 불량이 발생하여 폐기공정을 수행할 때마다 노즐단부를 청소할 수 있어 흡착ㆍ장착 불량이 발생할 정도로 노즐단부가 오염되었을 때 바로 노즐단부를 청소할 수 있다.따라서 단부가 오염된 노즐로 흡착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억제하여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정공정을 흡착공정과 장착공정과의 사이 및 장착공정 이후의 양쪽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흡착 공정에 있어서의 노즐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불량과 장착공정에서 피장착부에 장착한 전자부품이 노즐에 의하여 재 흡착되는 것의 양쪽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일방만의 타이밍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단부가 오염된 노즐로 흡착 작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부품 장착장치는 상기 청소수단이 상기 상단 개구부 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단부를 청소하는 복수 라인의 브러쉬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브러쉬체가 수평방향의 일 방향으로 연설됨과 동시에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타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노즐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노즐내부를 청소하는 내부 청소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 청소공정은 상기 폐기공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폐기공정에서 내부 청소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노즐의 단부뿐만이 아니라 노즐 내부의 청소도 수행할 수 있어 전자부품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방향에 인접한 브러쉬체 간의 간격을 노즐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유지하면서 최대한 좁게 브러쉬체를 배치할 경우, 이들 브러쉬체를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덮개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폐기공정에서 내부 청소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노즐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전자부품 폐기박스 내의 전자부품이 외부로 튈 경우에도 이것을 브러쉬체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에 의하면 노즐단부를 단시간 내에 청소하여 노즐 오염에 의한 전자부품의 흡착 ㆍ장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에 있어서의 노즐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구비된 브러쉬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자부품 장착장치(1)는 전자부품(E)을 흡착 및 흡착해제 가능한 단부(2)를 구비하는 노즐(3); 전자부품(E)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4; 공급부); 전자부품(E)이 장착되는 생산기판(P; 피장착부)을 지지하는 기판반송장치(5; 지지부); 노즐(3)의 단부(2)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E)이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50); 및 부품공급장치(4)와 생산기판(P)과 전자부품 폐기박스(50)와의 사이를 노즐(3)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노즐(3)이 착탈 가능하게 탑재된 헤드(7); 노즐(3)을 노즐(3)의 단부(2)측에서 촬상 하는 촬상수단(8); 교환용의 노즐(3)이 복수 배치된 노즐 스테이션(9);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0); 및 상기 각 구성이 고정된 기대(11; 基臺)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11)는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면이 도시되지 않은 수평면상에 재치되어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기대(11)의 상면에서 평면상으로 볼 때 기대(11)의 일변의 방향을 X방향(일 방향),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타 방향), 상기 X방향 및 상기 Y방향의 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수직방향)으로 지칭한다.
헤드(7)는 상기 복수의 노즐(3)과 이들 복수의 노즐(3)이 수납된 원주상의 노즐 케이싱(7a)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 케이싱(7a)은 그 중심축선이 상기 Z방향과 평행하게 후술하는 X테이블(13)에 지지되어 있다. 노즐(3)은 도면의 예에서는 8개 설치되어 있고 노즐 케이싱(7a)의 중심축선 둘레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3)은 소정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3)에는 상기 노즐(3)을 노즐(3)의 연재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즐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3)의 상기 연재방향의 일단 측에는 평탄한 단면(2a)이 형성되고 타단 측에는 노즐(3)의 내부에 정압 혹은 부압을 공급하는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이 접속되어 있다.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은 예를 들면, 이젝터, 밸브 및 압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1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즐(3)에 의하면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에 의하여 노즐(3)의 내부로 부압이 공급됨으로써 일단 측의 단면(2a)에서 전자부품(E)을 흡착하고 또,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에 의하여 노즐(3)의 내부로 정압이 공급됨으 로써 상기 흡착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도면의 예에서는 노즐(3)의 일단 측의 단면(2a)에 있어서 상기 연재방향과 직교하는 직교방향 상의 크기는 L1로 되어 있고 일단 측의 단부(2)는 상기 연재방향에 따라 타단 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직교방향 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2)의 타단 측에 있어서의 상기 직교방향 상의 크기는 L2(단, L2>L1)로 되어 있다. 즉, 노즐(3) 일단 측의 단부(2)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3)은 노즐 케이싱(7a)내부에서 상기 연재방향이 Z방향에 일치하고 또한 상기 단부(2)가 노즐 케이싱(7a)의 하단으로 돌출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동수단(6)은 헤드(7)를 상기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테이블(13); 이 X테이블(13)을 상기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테이블(14); 헤드(7)를 그 중심축선 둘레로 선회시키는 선회수단(미도시); 및 헤드(7)내의 노즐(3)을 각각 상기 Z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이동수단(6)은 제어부(10)에 의하여 각각의 동작이 제어된다.
Y테이블(14)은 기대(11)의 상기 X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상기 Y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 Y테이블(14)은 상기 Y방향으로 연재하는 볼나사(14a); 볼나사(14a)를 상기 볼나사(14a)의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14b); 및 기대(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보모터(14b)를 지지하는 테이블대부(臺部)(14c)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테이블대부(14c)의 상기 X방향의 양단부에는 테이블대부(14c)와 기대(11)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부로 지지부(14d)가 각각 연설되어 있다.
단, 서보모터(14b)는 제어부(1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X테이블(13)은 상기 X방향으로 연재됨과 동시에 양단부에 Y테이블(14)의 볼나사(14a)가 각각 삽통(揷通)된 테이블 본체(13a); 상기 X방향으로 연재하는 볼나사(13b); 및 볼나사(13b)를 상기 볼나사(13b)의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테이블 본체(13a)에 지지되는 서보모터(13c)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 테이블 본체(13a)는 상기 X방향 양단부의 하면이 Y테이블(14)의 테이블대부(14c)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또, X테이블(13)의 볼나사(13b)에는 헤드(7)가 중개부재(13d)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단, 서보모터(13c)는 제어부(1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동수단(6)에 의하면, X테이블(13), Y테이블(14) 및 선회수단에 의하여 노즐(3)을 기대(11)의 상부에서 상기 X방향 및 상기 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승강수단에 의하여 노즐(3)이 기대(11)에 대하여 접근 혹은 이간(離間)되도록 노즐(3)을 상기 Z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판반송장치(5)는 기대(1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생산기판(P)을 앞 공정에서 후속 공정으로 반송한다. 상기 기판반송장치(5)에 의하여 소정 장착위치로 반송된 생산기판(P)은 기판반송장치(5)에 의하여 상기 장착위치에서 지지된다. 도면의 예에서 기판반송장치(5)는 상기 X방향으로 생산기판(P)을 반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기판반송장치(5)의 상기 X방향의 양단부는 Y테이블(14)의 테이블대부(14c)와 기대(11)와의 사이를 통하여 앞 공정 및 후속 공정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 기판반송장치(5)는 제어부(1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부품공급장치(4)는 기대(11)의 상면에서 기판반송장치(5)의 상기 Y방향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 부품공급장치(4)는 상기 X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테이프 피더(4a)로 구성되어 있다. 각 테이프 피더(4a)에는 전자부품(E)이 일정 간격으로 탑재된 릴 형상의 테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테이프 피더(4a)는 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4a)의 선단에 계속 송출함으로써 소정의 공급위치로 전자부품(E)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단, 부품공급장치(4)는 제어부(10)에 의하여 그 동작이 제어된다.
촬상수단(8)은 기대(11)의 상면에서 부품공급장치(4) 근처에 설치되어 있고 상방에 위치한 헤드(7)를 촬상 한다. 촬상수단(8)은 예를 들어 카메라와 촬상 시에 헤드(7)로 조사하는 조명부로 구성된다.
또, 촬상수단(8)은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촬상한 촬상 데이터(촬상 결과)를 제어부(10)로 송출함과 동시에 그 동작이 제어부(1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전자부품 폐기박스(50)는 기대(11)의 상면에서 촬상수단(8) 근처에 설치되고 상단 개구부(51)가 상방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전자부품 폐기박스(50)는 상기 평면상에서 볼 때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X방향과 일치함과 동시에 상기 평면상에서 타 변이 상기 Y방향과 일치하도 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 폐기박스(50)에서는 노즐(3)이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에 노즐(3)의 단부(2)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52)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청소수단(52)은 상단 개구부(51)안에 배설됨과 동시에 노즐(3)의 단부(2)에 접촉하여 단부(2)를 청소하는 복수 라인의 브러쉬체(53)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쉬체(5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심부(53a)와 이 심부(53a; 芯部) 외부로 방사 형태로 돌출된 모부(53b; 毛部)를 구비하고 있다. 심부(53a)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모부(53b)는 나일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브러쉬체(53)가 상기 X방향으로 연설됨과 동시에 상기 Y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브러쉬체(53)는 상기 Y방향으로 인접하는 브러쉬체(53)간의 간격이 노즐(3)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되 최대한 좁게 배치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상기 Y방향으로 인접하는 브러쉬체(53)간의 간격은 상기 L1보다 크고 상기 L2보다는 작은 L3으로 되어 있다. 이런 구성에서 이들 브러쉬체(53)를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덮개로 할 수 있다.
단, 도면의 예에서 브러쉬체(53)의 양단은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상기 X방향으로 양 단면(54)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면의 예에서 브러쉬체(53)는 상기 Y방향으로 7개로 병렬 설치되어 있으나 브러쉬체(53)의 개수는 7개로 한정되 지 않는다.
제어부(10)는 부품공급장치(4), 기판반송장치(5), 이동수단(6), 촬상수단(8), 및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을 각각 제어한다.
또, 제어부(10)는 촬상수단(8)에서 송출된 촬상 데이터에 의하여 노즐(3)에 흡착된 전자부품(E)이 정상 형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수단(8)에서 송출된 촬상 데이터가 전자부품(E)에 대응하도록 제어부(10)에 미리 기억시킨 화상 데이터와 일치할 경우는 정상적인 형태이고 그 이외는 이상상태로 판정한다.
단, 전자부품(E)이 이상상태라는 것은 노즐(3)에 흡착된 전자부품(E)의 형태가 비정상적인 상태(이상 형태), 노즐(3)에 흡착된 전자부품(E)에 결손 및 결핍이 있는 상태 및 전자부품(E)이 노즐(3)에 부착된 땜납 등의 점착력에 의하여 노즐(3)에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상태(장착불량)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촬상수단(8)에서 송출된 촬상 데이터에 의하여 노즐(3) 단부(2)에 전자부품(E)이 흡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수단(8)에서 송출된 촬상 데이터가 제어부(10)에 미리 기억되고 있는 노즐(3)을 단부(2)측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는 흡착되어 있지 않고 그 이외는 흡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부품 장착장치(1)를 이용하는 전자부품 장착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장치의 조작자는 부품공급장치(4)에 테이프를 장착하고 또 제어부(10)가 기판반송장치(5)에 의하여 생산기판(P)을 상기 장착위치로 반송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부품공급장치(4)가 공급하는 전자부품(E)을 노즐(3)로 흡착하는 흡착 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우선 제어부(10)는 부품공급장치(4)에 테이프를 계속 송출하여 상기 공급위치에 전자부품(E)을 공급시킨다. 그 다음에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복수의 노즐(3) 중 하나를 상기 공급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노즐(3)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을 제어하여 노즐(3)의 단면(2a)에 전자부품(E)을 흡착시킨다.
또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7)에 탑재된 모든 노즐(3)에 전자부품(E)을 흡착시킨다.
즉, 하나의 노즐(3)에 의한 전자부품(E)을 흡착한 후,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상기 노즐(3)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헤드(7)를 선회 이동시켜 상기 노즐(3)에 대하여 상기 중심축선 둘레에 인접한 노즐(3)을 상기 공급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또 한편 제어부(10)는 부품공급장치(4)로 테이프를 계속 송출시켜 상기 공급위치에 다른 전자부품(E)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으로 상기 공급위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3)을 하강시킨 후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에 의하여 노즐(3) 단면(2a)에 전자부품(E)을 흡착시킨다. 이상의 동작을 노즐(3)의 수만큼 반복한다.
그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3)을 단부(2)측에서 촬상 하는 제1 촬상 공정(촬상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우선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촬상수단(8)의 상부에 하나의 노즐(3)을 이동시킨다. 그 다음 제어부(10)는 촬상수단(8)으로 노즐(3)을 단부(2)측에서 촬상 한다. 이 때 제어부(10)는 촬상수단(8)에 의한 촬상 결과인 촬상 데이터를 제어부(10)로 송출시킨다.
또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7)에 탑재되어 있는 모든 노즐(3)을 단부(2)측에서 촬상 한다.
즉, 하나의 노즐(3)을 단부(2)측에서 촬상한 후,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헤드(7)를 선회 이동시키고 상기 노즐(3)에 대하여 상기 중심축선 둘레에 인접하는 노즐(3)을 상기 공급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에, 제어부(10)는 촬상수단(8)으로 노즐(3)을 단부(2)측에서 촬상 한다. 이상의 동작을 노즐(3)의 수만큼 반복한다.
그 다음에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로 이동시켜 전자부품 폐기박스(50)내에 전자부품(E)을 폐기하는 폐기공정 전에, 제1 촬상공정의 촬상결과에 의하여 폐기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공정(판정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우선 제어부(10)는 촬상수단(8)에서 송출한 촬상 데이터에 의하여 노즐(3)에 흡착된 전자부품(E)의 형태가 정상 형태인지 이상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모든 노즐(3)에 대한 전자부품(E)의 형태를 판정한다. 그리고 어느 한 개의 노즐(3)에서라도 흡착된 전 자부품(E)의 형태가 이상상태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노즐(3)에 대하여 폐기공정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전자부품(E)을 이상상태로 흡착한 것으로 판정한 노즐(3)이 있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헤드(7)내의 노즐(3)에 흡착된 모든 전자부품(E)의 형태가 정상적인 형태였을 경우에는 폐기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후술하는 장착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장착장치를 이용한 전자부품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공정도로서 폐기공정 전의 노즐 및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 이후의 노즐이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일 공정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 이후의 노즐이 전자부품 폐기박스에서 외부로 반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그 다음에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로 이동시켜 전자부품 폐기박스(50)내로 전자부품(E)을 폐기하는 폐기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폐기공정은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 내부로 진입시켜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기공정에서 노즐(3)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노즐(3) 내부를 청소하는 내부 청소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흡착한 전자부품(E)의 형태가 제1 판정공정에서 이상상태로 판정된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상부에 이동시킨다. 그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해당 노즐(3)을 하부로 이동시켜 노 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 때, 브러쉬체(53)의 심부(53a)가 탄성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노즐(3)의 단부(2)가 뾰족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3)은 하부로 이동하면서 그 단부(2)의 외면에 접촉하는 브러쉬체(53) 심부(53a)를 상기 Y방향으로 밀어 내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3)의 단부(2)가 브러쉬체(53)에 의하여 깨끗하게 청소된다.
즉, 이 때 상기 Y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브러쉬체(53)간의 틈새를 통과하여 노즐(3)과 브러쉬체(53)를 접촉시키면서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노즐(3)의 단부(2)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청소수단으로서 브러쉬체(53)가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3)이 청소수단(52)을 통과하는 것이 용이하여 노즐(3) 단부(2)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어부(10)는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을 제어하고 노즐(3) 내부에 압축공기(정압)를 공급하여 노즐(3) 단부(2)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E)을 낙하시킴으로써 전자부품 폐기박스(50)내로 전자부품(E)을 폐기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자부품(E)을 폐기하면서 내부 청소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폐기공정에서 내부 청소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노즐(3)의 단부(2)뿐만이 아니라 노즐(3) 내부의 청소도 수행할 수 있고 전자부품(E)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체(53)가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덮 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3) 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전자부품 폐기박스(50)안의 전자부품(E)이 외부로 튈 경우에도 이것을 브러쉬체(53)로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어부(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즐(3)을 이동시킨다. 이 때, 노즐(3)에 의하여 상기 Y방향으로 밀려 재처 졌던 브러쉬체(53)의 심부(53a)가 그 탄성력에 의하여 재처지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노즐(3) 단부(2)가 다시 브러쉬체(53)에 의하여 깨끗하게 청소된다. 또한 이 때 노즐(3) 단부(2)에는 전자부품(E)이 흡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즐(3)의 단부(2)를 보다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제1 판정공정에서 전자부품(E)을 이상상태로 흡착하였다고 판정한 모든 노즐(3)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폐기공정을 반복 수행한다.
다음으로 노즐(3)에 흡착된 전자부품(E)을 생산기판(P)에 장착시키는 장착공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0)는 흡착된 전자부품(E)의 형태가 제1 판정공정에서 정상적인 형태로 판정한 노즐(3)을, 상기 장착위치에 반송된 생산기판(P)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생산기판(P)에 전자부품(E)을 장착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착된 전자부품(E)의 형태가 제1 판정공정에서 정상적인 형태로 판정한 모든 노즐(3)에 대하여 이동수단(6)에 의하여 생산기판(P)상으로 노즐(3)위치를 조정하면서 상기의 장착공정을 반복한다. 또한 이 때 생산기 판(P)에 필요한 전자부품(E)의 장착을 종료하였을 때에는 제어부(10)는 기판반송장치(5)로 그 생산기판(P)을 다음 공정으로 반송시킴과 동시에 앞 공정으로부터 다른 생산기판(P)을 상기 소정위치까지 반송하여 지지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공정에서 생산기판(P)에 장착한 전자부품(E)의 노즐(3)에 의한 재흡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2 촬상공정(촬상공정) 및 제2 판정공정(판정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촬상공정 및 제2 판정공정에 대하여는 각각 전술한 제1 촬상공정 및 제1 판정공정과의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나는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2 촬상공정에 있어서 제어부(10)는 흡착된 전자부품(E)의 형태가 제1 판정공정에서 정상적인 형태로 판정된 노즐(3)에 대해서만 촬상수단(8)으로 단부(2)측에서 촬상 한다.
또, 제2 판정공정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제2 촬상공정에서 촬상한 촬상 데이터에 의하여 노즐(3) 단부(2)에 전자부품(E)이 흡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흡착되지 않은 경우는 전자부품(E)의 재흡착이 없다고 판정하고 흡착되어 있는 경우는 전자부품(E)의 재흡착이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2 판정공정에서 재 흡착되었다고 판정된 모든 노즐(3)에 관하여는 전술과 같이 폐기공정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부품 장착장치(1)에 의하면 전자부품 폐기박스(50)에는 노즐(3)이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에 노즐(3)의 단부(2)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52)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E)을 전자부 품 폐기박스(50)에 폐기하기 위하여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내부로 그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진입시킬 때에 노즐(3)의 단부(2)를 청소수단(52)에 의하여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노즐(3) 단부(2)의 오염으로 인한 전자부품(E)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전자부품(E)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에 폐기하기 위하여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의 내부로 그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진입시킬 때에 청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노즐(3)을 교환하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3) 단부(2)의 청소를 단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또, 폐기공정은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50) 내부로 진입시켜 수행하기 때문에 노즐(3)에 의한 흡착ㆍ장착 불량이 발생하여 폐기공정을 수행할 때마다 노즐(3) 단부(2)를 청소할 수 있고 흡착ㆍ장착 불량을 일으킬 정도로 노즐(3) 단부(2)가 오염되었을 때는 바로 노즐(3) 단부(2)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단부(2)가 오염된 노즐(3)로 흡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부품(E)의 흡착ㆍ장착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판정공정 및 제2 판정공정을 각각 흡착 공정과 장착공정과의 사이 및 장착공정 이후의 양쪽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흡착 공정에서의 노즐(3)에 의한 전자부품(E)의 흡착 불량과 장착공정에 있어서 생산기판(P)에 장착시킨 전자부품(E)의 노즐(3)에 의한 재흡착을 양쪽에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쪽의 타이밍에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단부(2)가 오염된 노즐(3)로 흡착 작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모식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부품 장착장치(30)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 폐기박스(60)에서 상기 X방향의 양 단면(54)에는 상단 개구부(51)와 이어지는 측방 개구부(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 측방 개구부(61)는 상기 양 단면(54)의 상측 부분 전반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수단(62)이 구비하는 브러쉬체(53)는 상기 X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상기 Z방향으로 전자부품 폐기박스(60)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설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 브러쉬체(53)는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Z방향으로 인접한 것끼리가 적어도 상기 X방향의 타단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단, 도 8에서는 도면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청소수단(62)의 일부분의 도시를 생략 하였다. 또, 도 8에서는 상기 Z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의 수를 4개로 하였으나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예에서 각 측방 개구부(61) 내에는 브러쉬체(53)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용 브러쉬체(63)가 상기 Z방향으로 연설됨과 동시에 상기 Y방향으로 서로 간격 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 상기 지지용 브러쉬체(63)는 브러쉬체(53)와 동일하게 심부와 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심부 및 모부의 각각이 브러쉬체(5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일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용 브러쉬체(63)와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용 브러쉬체(63)와는 대응하는 것끼리가 상기 X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면의 예에서 지지용 브러쉬체(63)의 상단은 전자부품 폐기박스(60)의 상단과 상기 Z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쉬체(53)는 그 일단이 일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된 지지용 브러쉬체(63)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 단이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서 일단이 고정된 지지용 브러쉬체(63)에 대향하여 배치된 타 지지용 브러쉬체(6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의 각각의 일단은 일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된 지지용 브러쉬체(63)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Z방향으로 인접한 것끼리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된 지지용 브러쉬체(63)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 중에 가장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타단은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된 지지용 브러쉬체(63)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 가운데 가장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타단은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된 지지용 브러쉬체(6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부품 장착장치(30)를 이용하는 전자부품 장착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전자부품 폐기박스를 이용한 전자부품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공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자부품 장착방법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전자부품 장착방법과 폐기공정이 다르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판정공정 혹은 제2 판정공정을 수행한 결과, 소정의 노즐(3) 단부(2)에 흡착된 전자부품(E)의 형태가 이상상태, 혹은 노즐(3)이 전자부품(E)을 재 흡착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그 노즐(3)에 흡착된 전자부품(E)의 폐기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60)에 대하여 상기 X방향의 일단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노즐(3)의 하단이 상기 Z방향에서 측방 개구부(61)의 하단보다 상측으로 그리고 측방 개구부(61)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강시킨다. 그 다음에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상기 X방향에 따라 노즐(3)을 이동시켜 일 측의 측방 개구부(61)및 상단 개구부(51)를 통하여 상기 노즐(3)을 전자부품 폐기박스(60)내에 진입시킨다. 그런 다음, 제어부(10)는 정압 및 부압 공급수단(12)을 제어하여 노즐(3)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노즐(3)의 단부(2)에 흡착된 전자부품(E)을 낙하시킴으로써 전자부품 폐기박스(60)내로 전자부품(E)을 폐기한다.
그 다음에 제어부(10)는 이동수단(6)을 제어하여 상기 X방향을 따라 노즐(3)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노즐(3)의 하단이 상기 Z방향에서 측방 개구부(61)의 하단 보다 상측으로 그리고 측방 개구부(61)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노즐(3)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 가운데 가장 하측에 위치하면서 타단이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내에 배치된 지지용 브러쉬체(6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X방향을 따라 노즐(3)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노즐(3)의 단부(2)는 적어도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브러쉬체(53) 가운데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에 접촉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노즐(3)의 단부(2)는 브러쉬체(53)에 의하여 깨끗하게 청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부품 장착장치(30)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자부품 장착장치(1)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자부품 폐기박스(60)에는 브러쉬체(53)가 상기 X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전자부품 폐기박스(60)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일 측의 측방 개구부(61)로부터 타 측의 측방 개구부(61)로 노즐(3)을 단순하게 상기 X방향으로 이동시켜 브러쉬체(53)간의 틈새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도 그 노즐(3)의 단부(2)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3)을 예를 들면 상기 Z방향을 따라 전자부품 폐기박스(6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시킨 후에 상기 Z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외부로 다시 나오도록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노즐(3)의 이동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노즐(3) 단부(2)의 청소를 한층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브러쉬체(53)는 상기 Z방향으로 인접하는 것끼리 적어도 상기 X방향의 타단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 측의 측방 개구부(61)로부터 타 측 의 측방 개구부(61)로 상기 X방향으로 노즐(3)을 이동시킴으로써 브러쉬체(53)에 있어서의 상기 X방향의 타단 측에서 노즐(3) 단부(2)에 복수의 브러쉬체(53)를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3) 단부(2)의 청소를 보다 확실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 브러쉬체(53)는 상기 Z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Z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정공정 및 제2 판정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판정공정은 흡착 공정과 장착공정과의 사이 및 장착공정 이후 중 적어도 일방의 타이밍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는 노즐(3)이 전자부품 폐기박스(50, 6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전자부품 폐기박스(50, 60)에 대하여 노즐(3)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노즐(3)에 대하여 전자부품 폐기박스(50, 6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노즐(3)이 전자부품 폐기박스(50, 60)의 내부로 진입하게끔 전자부품 폐기박스(50, 60)와 노즐(3)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브러쉬체(53)는 상기 X방향을 따라 연설함과 동시에 상기 Y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브러쉬체(53)는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전자부품 장착장치(1, 30)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부품 폐기박스(50, 60), 노즐(3), 부품공급장치(4), 기판반송장치(5), 이동수단(6)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상기 변형 예를 적당히 조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에 있어서의 노즐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장착장치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구비된 브러쉬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장착장치를 이용한 전자부품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공정도으로서 폐기공정 이전의 노즐 및 전자부품 폐기박스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상태 이후의 노즐이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 공정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상태 이후의 노즐이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외부로 되돌아서 나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부품 반송장치의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모식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전자부품 폐기박스를 이용한 전자부품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공정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전자부품 P: 생산기판
1, 30: 전자부품 장착장치 2: 노즐의 단부
3: 노즐 4: 부품공급장치(공급부)
5: 기판반송장치(피장착부) 6: 이동수단
50, 60: 전자부품 폐기박스 51: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상단 개구부
52, 62: 청소수단 53: 브러쉬체
54: 전자부품 폐기박스에서 X방향을 향하는 양 단면(전자부품 폐기박스에서 일 방향을 향하는 양 단면)
61: 측방 개구부

Claims (6)

  1. 노즐단부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에 상기 노즐단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상단 개구부내에 배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노즐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단부를 청소하는 복수 라인의 브러쉬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브러쉬체는 수평방향의 일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타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에서 상기 일 방향을 향하는 양 단면에는 상기 상단 개구부와 이어지는 측방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체는 상기 일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전자부품 폐기박스 내부로 경사지게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자부품 폐기박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는,
    전자부품을 흡착 및 흡착해제 가능한 단부를 구비하는 노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 피장착부와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와의 사이를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장착장치.
  5. 전자부품을 흡착 및 흡착해제 가능한 단부를 구비하는 노즐과,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노즐단부에 흡착된 이상상태의 전자부품이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폐기되는 전자부품 폐기박스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 피장착부와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와의 사이를 상기 노즐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에는 상기 노즐이 상기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때에 상기 노즐단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청소수단이 구비되는 전자부품 장착장치를 이용하는 전자부품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자부품을 상기 노즐에 의하여 흡착하는 흡착 공정 및
    상기 노즐에 흡착된 전자부품을 상기 피장착부에 장착시키는 장착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공정과 상기 장착공정과의 사이 및 상기 장착공정 이후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노즐을 상기 단부 측에서 촬상 하는 촬상공정;
    상기 노즐을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로 이동시켜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 내로 전자부품을 폐기하는 폐기공정; 및
    상기 촬상공정의 촬상결과에 의하여 상기 폐기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폐기공정은 상기 노즐을 상기 전자부품 폐기박스의 내부로 진입시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장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장착장치는,
    상기 청소수단이 상기 상단 개구부 내에 배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노즐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단부를 청소하는 복수 라인의 브러쉬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브러쉬체가 수평방향에서 일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타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노즐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노즐내부를 청소하는 내부 청소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청소공정은 상기 폐기공정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장착방법.
KR1020090059169A 2008-11-25 2009-06-30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 KR201000596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0106 2008-11-25
JP2008300106A JP2010129605A (ja) 2008-11-25 2008-11-25 電子部品廃棄箱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並びに電子部品装着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659A true KR20100059659A (ko) 2010-06-04

Family

ID=4232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169A KR20100059659A (ko) 2008-11-25 2009-06-30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29605A (ko)
KR (1) KR201000596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719B2 (en) * 2016-09-21 2021-09-14 Fuji Corporation Component mou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7927B2 (ja) * 2012-05-09 2016-09-2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装着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293B2 (ja) * 1992-12-28 1996-11-13 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シートクリーナー
JP4667046B2 (ja) * 2005-01-17 2011-04-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719B2 (en) * 2016-09-21 2021-09-14 Fuji Corporation Component mou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29605A (ja)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35872A (ja) 清掃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WO2013080408A1 (ja)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
JP2005109119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CN101621019A (zh) 焊球检查修理装置以及焊球检查修理方法
JP5679432B2 (ja) 部品実装機
JP4421406B2 (ja) 表面実装機
JP6545085B2 (ja) 導電性ボールを搭載するシステム
JP6417288B2 (ja) 部品実装機、部品廃棄方法
KR20100059659A (ko) 전자부품 폐기박스와 전자부품 장착장치 및 전자부품 장착방법
JP429139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7157848A (ja) 表面実装機
JP2007035871A (ja) 表面実装機
JP4992881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7493059B2 (ja) 部品装着機
JP4950738B2 (ja) プリント回路板組立方法および装着プログラム作成プログラム
JP2010129606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242328B2 (ja) 部品実装機およびその部品回収方法
JP2000097670A (ja) プリント基板の外観検査装置
JP2000106498A (ja) 部品の実装方法及び表面実装機
JPH0932659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7426800B2 (ja) 部品実装機
JP7111518B2 (ja) 吸着ノズルの回収装置と吸着ノズルの回収方法
JP3635991B2 (ja) 導電性ボールの供給装置
JP2005209785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7128957A (ja) 電子部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