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355A -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355A
KR20100059355A KR1020080118100A KR20080118100A KR20100059355A KR 20100059355 A KR20100059355 A KR 20100059355A KR 1020080118100 A KR1020080118100 A KR 1020080118100A KR 20080118100 A KR20080118100 A KR 20080118100A KR 20100059355 A KR20100059355 A KR 20100059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tationary phase
chiral
chloride
polysaccharid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802B1 (ko
Inventor
최성호
배인애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8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3/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amylose
    • C08B33/02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2Porous sorbents
    • B01J20/285Porous sorbents based 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Chiral ph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Atomic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표면에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이 라디칼을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의 비닐기에 전이시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킨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Chiral stationary phas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표면에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이 라디칼을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의 비닐기에 전이시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킨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랄 고정상은 단백질, 올리고당, 다당류, 항생물질,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약 1,300여 가지가 개발되었으며, 이 중 약 200여 종류가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단지 몇 종류의 키랄 고정상만이 그 분리 범위가 광범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당류를 기반으로 한 키랄 고정상이 가장 높은 키랄 인식력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제일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당류를 기반으로 한 키랄 컬럼의 경우, 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다당류인 셀룰로오스 또는 아밀로오스와 반응시켜 다당류의 히드록시기를 카바메이트기로 전환하여 카바모일레이티드 셀룰로오스 또는 카바모일레이티드 아밀로오스 유도체를 제조하고, 이를 다공성 실리카겔에 물리적인 코팅을 하여 키랄 컬럼을 제조한다. 다당류를 기반으로 한 키랄 컬럼은 현존하는 모든 키랄 물질의 80% 이상이 분리 가능할 정도로 넓은 범위에 적용이 가능하며, 분리 가능한 물질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키랄 인식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코팅을 이용하여 키랄 컬럼을 제조할 경우, 테트라히드로퓨란,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극성이 심한 용매를 이동상으로 사용하면 키랄 고정상이 부풀거나 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상의 선택의 폭이 매우 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가능한 이동상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라세미 화합물의 용해도가 낮을 경우나 분석용이 아닌 분취용 스케일의 분리 시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T. Okamoto 등은 6번 위치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아민기를 갖는 실리카겔을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공유결합형 키랄 고정상(화학식 1)을 제조하였다[J. Liq. Chromatogr., 10, 1613(1987).]. 그러나, 상기 공유결합형 키랄 고정상의 경우 셀룰로오스 주쇄 사슬의 구조 변형에 의해 키랄 분리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1
따라서, 키랄 분리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주쇄 사슬의 구조가 변형되지 않도록 셀룰로오스의 말단을 이용하여 실리카겔에 고정화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N. Enomoto, S. Furukawa, Y. Ogasawara, H. Akano, Y. Kawamura, E. Yashima, Y. Okamoto, Anal. Chem., 68, 2798(1996).]. 상기 키랄 고정상의 구조식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경우 키랄 분리능은 어느 정도 개선되나 코팅형보다는 개선되지 않았다.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2
많은 연구자들은 키랄 분리능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하여 계속 연구하고 있으 며, 이들 중 C. Minguillon 등은 6번 위치에 비닐기를 도입한 다당 고분자 유도체와 비닐기를 갖는 실리카겔 입자를 라디칼 개시제인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 키랄 칼럼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였다[J. Chromatogr. A, 796, 265(1998).]. 또한, X. Chen 등도 비닐기를 갖는 다당류와 비닐기를 갖는 실리카겔을 라디칼 개시제인 AIBN을 이용하여 공유결합형 키랄 고정상을 제조하였다[J. Chromatogr. A, 1034, 109(2004).]. 상기 키랄 컬럼의 경우, 공유결합형 키랄 컬럼의 분리 효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극성 이동상에서도 매우 안정된 분리 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닐기를 실리카겔에 도입하는 방법이 어렵고 공중합 반응이 잘 진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용매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라세미 화합물의 분리 능력이 우수한 새로운 키랄 고정상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용매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라세미 화합물의 분리 능력이 우수한 키랄 고정상에 대해 연구하던 중,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켜 키랄 고정상을 제조하였으며, 이 키랄 고정상을 충전한 키랄 컬럼의 경우 극성 용매 내에서 키랄 고정상이 부풀거나 용해되지 않아 안정하고 키랄 화합물의 키랄 분리능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극성 용매 내에서 안정하고 키랄 화합물의 키랄 분리능이 우수한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킨 키랄 고정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다당 고분자 유도체의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비닐기를 도입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2)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실리카겔을 개시제인 2-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2,2'-비피리딜과 브롬화 구리(I) 및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와 반응시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랄 고정상을 충전한 키랄 컬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표면에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이 라디칼을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의 비닐기에 전이시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는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시클로덱스트린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의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비닐기를 도입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로, 먼저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트리페닐메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를 트리페닐메틸기로 보호화한다. 그 다음 상기 제조된 트리페닐메틸레이티드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카복실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2번 및 3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카바메 이트기 또는 에스터기를 도입한다. 그 다음 상기 제조한 화합물을 1%의 염산을 포함한 과량의 메탄올 용액에 가하고 반응시켜 6번 위치에 있는 트리틸기를 제거하여 탈보호화한다. 그 다음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알켄오일 클로라이드를 가하여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비닐기를 도입한다.
상기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알켄오일 클로라이드는 아크릴오일 클로라이드, 3-부텐오일 클로라이드, 4-펜텐오일 클로라이드, 5-헥센오일 클로라이드, 6-헵텐오일 클로라이드, 7-옥텐오일 클로라이드, 8-노넨오일 클로라이드, 9-데센오일 클로라이드 및 10-운데센오일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2)단계는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는 단계로,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실리카겔을 개시제인 2-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한다.
상기 3)단계는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2)단계에서 제조한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2,2'-비피리딜과 브롬화 구리(I)를 1:2의 몰비율로 가하고, 여기에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피리딘에 녹여 만든 용액을 천천히 가한 후,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빈 스테인리스 스틸 컬럼관(25×0.46㎝ (id))에 충전하여 키랄 컬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이동상으로 n-헥산과 2-프로판올을 9:1(v/v)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킴으로써, 극성 용매 내에서 키랄 고정상이 부풀거나 용해되지 않아 안정하고 키랄 화합물의 키랄 분리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은 라세미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키랄 컬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은 키랄 막, 키랄 담지체, 키랄 촉매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번 위치에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의 제조
1. 6번 위치의 히드록시기가 트리페닐메틸기로 보호화된 트리페닐메틸레이티드 셀룰로오스의 제조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3
셀룰로오스 3.0g과 트리페닐메틸 클로라이드 10.3g을 피리딘 60㎖에 가하고 9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6번 위치의 히드록시기가 트리페닐메틸기로 보호화된 트리페닐메틸레이티드 셀룰로오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화합물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2.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 카바모일)-6-O-트리틸의 제조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4
상기 1에서 제조한 트리페닐메틸레이티드 셀룰로오스 3.0g과 3,5-디메틸페닐이소시아네이트 9.6g을 피리딘 60㎖에 가하고 9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 카바모일)-6-O-트리틸을 제조하였다.
3.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5
상기 2에서 제조한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 카바모일)-6-O-트리틸을 1%의 염산을 포함한 과량의 메탄올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화합물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는 표 1 에 나타내었다.
4.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6-메타크릴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6
상기 3에서 제조한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 2.0g을 피리딘 60㎖에 가하여 녹이고, 여기에 아크릴오일 클로라이드(1.0 mmol)를 천천히 가한 후, 8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혼합물을 과량의 메탄올에 침전시킨 다음 여과하여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상기 생성물을 메탄올로 5회 이상 세척하고 진공건조하여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6-메타크릴레이트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화합물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으며, 원소분석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질소(%) 탄소(%) 수소(%)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 계산된 원소분석 5.76 64.2 7.04
얻어진 원소분석 4.55 70.8 5.42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6-메타크릴레이트 계산된 원소분석 5.18 64.4 6.71
얻어진 원소분석 5.98 67.3 5.63
실시예 2 : 키랄 고정상의 제조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7
상기 반응식에서, n은 210~217의 정수이다.
1.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의 제조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실리카겔(5㎛, 1000Å) 3.5g을 톨루엔 20㎖에 가하고 0℃로 온도를 조정한 후, 2-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 5.9㎖와 트리에틸아민 3㎖를 질소 하에 천천히 가하였다. 1시간 후, 온도를 실온으로 올려 2시간 더 반응시켜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였다.
2.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한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5㎛, 1000Å) 3.0g을 피리딘 30㎖에 넣고, 여기에 2,2'-비피리딜과 브롬화 구리(I)를 1:2의 몰비율로 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0.8g을 피리딘 10㎖에 녹여 만든 용액을 천천히 가한 후, 10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의 (A) FT-IR 스펙트럼, (B) 주사전자현미경(FE-SEM) 및 (C)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고, 원소분석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의 (A) FT-IR 스펙트럼, (B) 주사전자현미경 및 (C) XPS 분석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고, 원소분석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원소 분석(%)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양a
탄소 질소 수소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 1.29 ≤0.01 0.13 -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 13.8 0.05 1.08 24.3
※ a : 키랄 고정상의 탄소(%)로부터 계산된 실리카겔 위에 있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양
실시예 3 : 키랄 컬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키랄 고정상인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n-헥산과 2-프로판올을 9:1(v/v)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컬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른 입자만을 선별한 후, 액상파라핀을 사용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들었다. 슬러리 충전 방법을 통하여 100~400 ㎏/㎠의 압력 하에서 n-헥산/2-프로판올(9:1)을 사용하여 빈 스테인리스 스틸 컬럼관 (25×0.46㎝ (id))에 충전하여 키랄 컬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키랄 컬럼의 키랄 분리능 평가
1. 라세미 화합물의 키랄 분리
본 발명의 키랄 컬럼의 키랄 분리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키랄 컬럼을 HPLC 장비에 장착하고, 키랄 컬럼을 통하여 이동상으로 n-헥산/2-프로판올 (90:10, v/v)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유속을 0.5㎖/min으로 유지하면서 UV-검출기는 254㎚ 조건으로 하여 하기에 나타낸 10개의 라세미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라세미 화합물의 분리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81570542-PAT00008
라세미 화합물 k1 k2 α Rs
1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 11.94 14.26 1.20 1.26
2 벤조인 0.57 0.93 1.62 1.40
3 2-페닐시클로헥사논 15.22 16.57 1.26 0.89
4 코발트(Ⅲ)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11.46 12.30 1.14 0.64
5 1-(1-나프틸)에틸아민 10.79 - - -
6 DL-sec-펜에틸알콜 13.83 15.16 1.18 0.70
7 란소프라졸 14.55 - - -
8 Troger's base 0.40 2.27 1.10 0.86
9 2,2,2-트리플루오로-1-(9-안트릴)에탄올 22.35 40.56 1.82 5.42
10 플라바논 16.45 18.35 1.12 0.69
※ k1 및 k2 : 각각 첫 번째 피크와 두 번째 피크에 대한 머무름 상수 (retention factor),
α : 분리인자(separation factor),
Rs : 분해인자(resolution factor).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개의 라세미 화합물 중 8개의 라세미 화합물이 분리되었고, 이들 화합물 중 2,2,2-트리플루오로-1-(9-안트릴)에탄올이 키랄 분리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 화합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의 분석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2. 키랄 분리에 대한 이동상 용매의 효과
본 발명의 키랄 고정상의 공유결합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키랄 컬럼인 코팅형에서 이동상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극성 용매인 테트라히드로퓨란과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라세미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즉, 이동상 용매로 (A) n-헥산/2-프로판올 (90:10, v/v), (B) n-헥산/클로로포름 (95:5, v/v) 및 (C) n-헥산/테트라히드로퓨란 (95:5, v/v)을 사용하여 상기 1과 동일하게 하여 라세미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10개의 라세미 화합물 중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1), 벤조인(2), Troger's base(8)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라세미 화합물 α값
이동상(A) 이동상(B) 이동상(C)
1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 1.20 1.43 1.22
2 벤조인 1.62 1.68 1.60
8 Troger's base 1.10 1.04 1.18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을 충전한 키랄 컬럼의 경우 극성 용매 내에서 키랄 고정상이 부풀거나 용해되지 않아 안정하고 키랄 화합물의 키랄 분리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키랄 고정상은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킴으로써, 극성 용매 내에서 키랄 고정상이 부풀거나 용해되지 않아 안정하고 키랄 화합물의 키랄 분리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6번 위치의 히드록시기가 트리페닐메틸기로 보호화된 트리페닐메틸레이티드 셀룰로오스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셀룰로오스 2,3-비스(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6-메타크릴레이트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의 (A) FT-IR 스펙트럼, (B) 주사전자현미경(FE-SEM) 및 (C)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닐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의 (A) FT-IR 스펙트럼, (B) 주사전자현미경 및 (C) XPS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키랄 고정상으로 충전된 키랄 컬럼으로 분리한 라세미 화합물 중 키랄 분리능이 가장 우수한 2,2,2-트리플루오로-1-(9-안트릴)에탄올의 HPLC 크로마토그램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11)

  1. 원자 전이 라디칼 중합법을 이용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실리카겔 표면에 그래프트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 고정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는 셀룰로오스, 아밀로오스, 시클로덱스트린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 고정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는 6번 위치에 비닐기, 2번 및 3번 위치에 카바메이트기 또는 에스터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랄 고정상.
  4. 1) 다당 고분자 유도체의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비닐기를 도입하여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2) 말단에 아민기를 갖는 실리카겔을 개시제인 2-브로모이소부티릴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개시제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2,2'-비피리딜과 브롬화 구리(I) 및 상기 1)단계에서 제조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와 반응시켜 비닐기를 갖는 다당 고분자 유도체가 그래프트된 실리카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1-1)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트리페닐메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를 트리페닐메틸기로 보호화하는 단계,
    1-2) 상기 1-1)단계에서 제조된 트리페닐메틸레이티드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카복실산 화합물과 반응시켜 2번 및 3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카바메이트기 또는 에스터기를 도입하는 단계,
    1-3) 상기 1-2)단계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1%의 염산을 포함한 메탄올 용액에 가하고 반응시켜 6번 위치에 있는 트리틸기를 제거하여 탈보호화하는 단계, 및
    1-4) 상기 탈보호화된 다당 고분자 유도체를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알켄오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6번 위치에 있는 히드록시기에 비닐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알켄오일 클로라이드는 아크릴오일 클로라이드, 3-부텐오일 클로라이드, 4-펜텐오일 클로라이드, 5-헥센오일 클로라이드, 6-헵텐오일 클로라이드, 7-옥텐오일 클로라이드, 8-노넨오일 클로라이드, 9-데센오일 클로라이드 및 10-운데센오일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2,2'-비피리딜과 브롬화 구리(I)는 1:2의 몰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의 키랄 고정상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랄 고정상을 충전시킨 키랄 컬럼.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랄 고정상을 이용한 키랄 막.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랄 고정상을 이용한 키랄 담지체.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랄 고정상을 이용한 키랄 촉매.
KR1020080118100A 2008-11-26 2008-11-26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00A KR101087802B1 (ko) 2008-11-26 2008-11-26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00A KR101087802B1 (ko) 2008-11-26 2008-11-26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355A true KR20100059355A (ko) 2010-06-04
KR101087802B1 KR101087802B1 (ko) 2011-11-29

Family

ID=4236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100A KR101087802B1 (ko) 2008-11-26 2008-11-26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8914A (zh) * 2016-02-29 2016-07-13 常州大学 基于磺化壳聚糖/β-环糊精手性传感器的制备及手性识别色氨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8914A (zh) * 2016-02-29 2016-07-13 常州大学 基于磺化壳聚糖/β-环糊精手性传感器的制备及手性识别色氨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802B1 (ko)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9038A (en) Separation agent comprising acyl- or carbamoyl-substituted polysaccharide
US5202433A (en) Polysaccharide derivatives as separating agents
US20090216006A1 (en) Covalently bound polysaccharide-based chiral stationary phas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JPH0662684B2 (ja) 水不溶性シクロデキストリン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53543B2 (en) Filler for optical isomer separation
WO1997023778A1 (fr) Remplissage de chromatographie liquide a haute performance
US20120165516A1 (en) Filler for optical isomer separation
Aburatani et al. Optical resolving ability of 3, 5-dimethylphenylcarbamates of oligosaccharides and cyclodextrins
US6346616B1 (en) Chloro-, hydroxy- and alkoxysilane derivatives of polysaccharides or oligosaccharides, polymerizable and cross-linkable, their synthesis and their use as sources of novel support materials
KR101087802B1 (ko)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WO1992015616A1 (en) Novel polysaccharide drivative and separating agent
US6514407B2 (en) Chloro-, hydroxy- and alkoxysilane derivatives of polysaccharides or oligosaccharides, polymerizable and cross-linkable, their synthesis and their use as sources of novel support materials
JP4409511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分離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42371B2 (ko)
KR100933866B1 (ko)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
US6342592B1 (en) Chiral compounds, their synthesis and use as a support
Lai et al. Preparation and enantio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wo chiral stationary phases based on mono (6A‐azido‐6A‐deoxy)‐perphenylcarbamoylated α‐and γ‐cyclodextrin
CN102439438B (zh) 光学异构体用分离剂
JPH02289601A (ja) 新規な多糖誘導体及び分離剤
JPH08113541A (ja) 分離剤
JPH06322001A (ja) 新規物質,その製造法及び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