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866B1 -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 - Google Patents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866B1
KR100933866B1 KR1020047004009A KR20047004009A KR100933866B1 KR 100933866 B1 KR100933866 B1 KR 100933866B1 KR 1020047004009 A KR1020047004009 A KR 1020047004009A KR 20047004009 A KR20047004009 A KR 20047004009A KR 100933866 B1 KR100933866 B1 KR 10093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optically active
homochiral
polymer network
suppor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848A (ko
Inventor
라파엘 듀발
허버트 레베끄
Original Assignee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에카 케미칼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4007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8Polymers on the carrier being further modified
    • B01J20/3282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33Chiral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9Chiral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2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01J20/3274Proteins, nucleic acids, polysaccharides, antibodies or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Preparation of cellulose esters of organ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4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그리고 제 1 셀렉터와 다른 구조의 하나 이상의 제 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며, 제 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며 제 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고, 호모키랄 그룹은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고분자 망상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용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Crosslinked three-dimensional polymer network,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support material comprising same and uses thereof}
본원발명은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기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을 포함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또한 키랄 분자를 광학적으로 농축하기 위한, 특히 액체, 초임계, 기체 또는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거울상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한 광학 활성 지지체에 대한 것이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지지체는 호모키랄 고정상, 즉 "CSPs"를 구성하며, 사용된 기술은 키랄 또는 거울상선택성 크로마토그래피라고 지칭된다.
키랄 또는 거울상선택성 크로마토그래피는 지난 20년간 분석 용도, 그리고 호모키랄한 약제학적 분자의 산업적 제조를 위하여 상당히 팽창되었다,
사실, 1960년대의 탈리도마이드 비극이후, 선진국의 보건당국은 점차 제약 분야의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부과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제약 분야의 기업들은 새로운 의약 제품에 대한 판매허가를 받기 위하여 미래의 의약 제품에 존재하는 각각의 호모키랄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분자에 대한 비교 약물동력학적 그리고 독성학적 데이터로 그들의 인허가 서류를 뒷받침해야 한다.
예비 크로마토그래피 분해(preparative chromtographic resolution)로 호모키랄 분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산업적 개발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다양한 호모키랄 고정상 즉 CPSs 중에서, 셀룰로오스 단일고분자(homopolymer) 유도체에 기초하거나(EP 0 147 804), 주쇄에 비대칭 탄소를 갖는 고분자에 기초한(EP 0 155 637 B2) 고분자 셀렉터(polymeric selector)가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구성하고 있다.
망에 가교결합되고 지지체에 화학적으로 부착되거나 (PCT/SE 93/01050), 가교되었지만 반드시 화학적으로 지지체에 부착된 것은 아닌 (FR 98/11376, FR 98/11377, USP 6,042,723, EP 0 899 272 Al, EP 0 864 586 A2, WO 96/27615, WO 97/04011) 광학 활성인 고분자와 같은 다른 셀렉터들 또한 산업적 규모로 중요한 개발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미국특허 제 6,277,782호 그리고 EP 985682 및 EP 656 331호에서는 다른 셀렉터들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이 셀렉터들은 단일 유형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며, 단위체는 비키랄성 가교제 또는 미국 특허 제 6,011,149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키랄성이지만 광학 활성이 아닌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된 고분자 또는 단량체이다.
2,3-디알데하이도-β-사이클로덱스트린 그리고 키토산의 하이드로겔 또한 Chemical Reviews, 1998, Vol. 98, No. 5. page 178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화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분자들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공지된 것 및 지금까지 개시된 것보다 큰 거울상이성질체의 농축 및 분리 능력을 나타내는 신규한 광학 활성 지지체에 대한 실질적 요구가 존재한다. 상기 능력은 크로마토그래피 선택인자 α에 의하여 측정된다.
장기간에 걸친 신중한 연구 결과, 출원인은 이러한 목적들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교된 광학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을 사용하여 달성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가교된 광학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에 대한 것으로서, 이것은 제 1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및 상기 제1 셀렉터와 구조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중합 가능하거나 또는 가교 가능한 셋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며, 상기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중합 가능하거나 또는 가교 가능한 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며,
호모키랄 단위체들은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교된 광학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에는 다음 반응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얻어진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이 제외된다:
- 키토산과 2,3-디알데하이도-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 키토산과 클로로트리아지닐-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반응,
- 다당류와 단백질의 가교, 및
- 제1 다당류와 둘 이상의 아민기를 가지는 제2 다당류의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여기서 제1 다당류에서는 산화제 사용으로 당류의 고리가 열려 알데하이드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다당류는 하이알루로닉 애시드, 덱스트란, 덱스트란 설페이트, 케라틴 설페이트, 헤파린, 헤파린 설페이트 및 알지닉 애시드로부터 선택됨.
"호모키랄 단위체"는 호모키랄인 단량체 화합물, 소중합체 화합물, 또는 고분자 화합물을 의미한다.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가능한 작용기는 특히 일차, 이차, 삼차 하이드록실기, 일차 또는 이차 아민기, 설프하이드릴기, 에틸레닉 이중결합 또는 알데하이드기이다.
본 출원에서, "호모키랄 단위체가 서로 결합된다"는 표현은 다양한 호모키랄 단위체가 중합(단일중합 또는 공중합) 또는 가교로부터 생성된 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는 사실을 의미하도록 의도한다. 이 중합은 호모키랄 단위체에 존재하는 작용기의 능력에 의하여 수행된다. 삼차원 망을 형성하도록 하는 가교는 상기 작용기의 능력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선택적으로,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키랄성 가교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중합에 의하여 선형 사슬이 얻어지고, 가교에 의하여 삼차원 집합체(assembly)가 얻어진다.
소중합체 또는 고분자는 천연에서 기원하거나(다당류, 단백질, DNA 등) 또는 동일한 호모키랄 단량체의 단일중합에 의하여 얻는다. 이들은 다른 화학적 구조를 갖는 두 가지 호모키랄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하여 얻을 수도 있다. 광학 활성 이종 고분자가 그 후 얻어진다.
광학 활성 이종고분자(heteropolymer) 또는 단일고분자(homopolymer)는 적어도 11개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고(Nomenclature et Terminologie en Chimie Organique [Nomenclature and Terminology in Organic Chemistry], 1996년 9월, Techinique de l'Ingenieur [Technique for the Engineer], 249, rue de Crimee, 75019 Paris), 그들의 관련 소중합체(related oligomer)는 1 내지 10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는데, 이들 호모키랄 단위체는, 단일고분자 및 단일소중합체(homooligomer)에 대하여는 서로 동일하며, 이종고분자 및 이종소중합체(heterooligomer)에 대하여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β-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말코헵타오스는 고리형 올리고당(Chemical Reviews, 1998, Vol. 98, No. 5, p1745)이고, 따라서 단일소중합체이다.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키랄 고정상의 합성에 널리 사용되는 것은 키랄 셀렉터이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가 21개의 일차 및 이차 알코올기를 함유하는 것을 고려하면, 키랄 셀렉터는 단일작용성 및 다작용성일 수 있다. 이러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은 완전히 정의된 광회전(optical rotation)을 가지며 광학 활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 또는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호모키랄 단위체는 특히 (R,R)-디티오트레이톨(DTT), 타르타릭 애시드, 또는 그 유도체, 예를 들면 N,N'-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DAT), 디-tert-부틸벤조일디알릴타르타라마이드(DBBDAT), 디아세틸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DADAT); 사이클로덱스트린, 특히, β-사이클로텍스트린, 또는 그 유도체, 예를 들면 테트라키스-6-O-(4-알릴옥시페닐카바메이스)트리스-6-O-(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헵타키스-2,3-O-디-(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β-사이클로텍스트린 (T(AOPC-DMPC)); 셀를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6-(4-알릴옥시페닐)우레탄, 트리스-2,3,6-[3,5-디메틸-페닐)우레탄] (L(AOPC-DMPC)); 그리고 키토산 또는 그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둘 이상 또는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한 또는 가교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호모키랄 단위체 중 일부의 구조적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1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은 제 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그리고 제1 셀렉터와 다른 구조의 제 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그리고 제 1 및 제 2 셀렉터와 다른 구조의 제 3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며, 상기 제 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및 제3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한다. 이 호모키랄 단위체들은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물론, 다른 구조의 호모키랄 셀렉터의 수는 셋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더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고분자 망상구조물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키랄성(nonchiral) 가교제는 제 1셀렉터, 제 2셀렉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 3 셀렉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다.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가교제는 특히 에탄디티올, 트리티오사이아뉴릭 애시드, 1,6-헥산디티올, 1,2,6-헥산트리올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및 2,5-디멀캅토-1,3,4-티아디아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망상구조물에서, 하나 이상의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고분자 망상구조물은 β-사이클로 덱스트린의 이작용성(bifunctional) 유도체, 즉, 적어도 두개 -OH 그룹이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로 교체된 β-사이클로텍스트린을 함유하거나, 또는 β-사이클로 덱스트린의 삼작용성(trifunctional) 유도체, 즉, 적어도 세개 -OH 그룹이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로 교체된 β-사이클로텍스트린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분자 망상구조물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이작용성 유도체의 단위체 및 삼작용성 유도체의 단위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특성을 갖는 가교된 광학 활성 고분자 망상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호모키랄 단위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셀렉터,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호모키랄 단위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2셀렉터,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호모키랄 단위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 3 셀렉터를 선택하는 단계;
b) 선택적으로,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비키랄성 가교제를 선택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제 1 셀렉터, 제 2 셀렉터, 및 선택적으로 제 3 셀렉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의 일부를 비키랄성 가교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d) 제 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가 제 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및 선택적으로, 제 3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와 공중합하는 단계; 또는
e) 제 1 셀렉터의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호모키랄 단위체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중합되고, 그 후 수득된 단일고분자가, 선택적으로 제 1 셀렉터의 남아있는 호모키랄 단위체의 존재 하에서, 제 2 셀렉터 및 선택적으로 제 3 셀렉터의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호모키랄 단위체와 가교되는 단계.
단계 b) 및 c)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d) 및 e)에서, 가교제가 부착된 제 1 셀렉터 그리고/또는 제 2 셀렉터의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제 3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의 적어도 일부가 이용된다.
호모키랄 셀렉터 단위체의 하나로서 광학 활성인 합성 고분자의 사용이 요구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호모키랄 셀렉터와 가교 작용을 수행하기 전에, 일련의 저술 "Charged and reactive ploymer" (volume 5, 1979 출간, Reidel 출판사, Dorrecht, Post Office Box 17, 네덜란드)에 개재된 제목 "Optically active polymer" (Erick Selegny)에 개시된 모든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및 그 광학 활성 특성에 관한 것이며, 광학 활성 특성은 상기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이 전술한 고분자 망상구조물의 일부를 구성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은 적어도 0.1 내지 100%의 상기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로 구성된다. 100% 까지의 남은 성분은 일반적으로 실리카 겔(silica gel) 형태; 또는 미네랄 기원의 고체 입자 형태, 예를 들면 실리콘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클레이; 또는 유기물 기원의 고체 입자 형태이다.
실리카 겔은 거울상선택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CSP로서 최종 지지체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바람직한 지지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된 선행기술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망상구조물은 지지체의 기공(pore)에 물리적으로 침착되거나, 또는 미네랄 또는 유기 지지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첫 번째 경우, 지지체는 고분자 망상구조물의 셀렉터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생성할 수 있는 작용성을 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행되는 화학적 전환을 거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미네랄 또는 유기미네랄 분자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로부터 이들 성분들 중 한 가지의 적어도 대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술한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을 함유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실 이것은 상기 다양한 성분들을 상기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을 함유하는 지지체와 단순히 접촉시켜 정제하는 것인데, 이는 예를 들면 불순물을 포획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바람직하게는 원하는성분을 보유(retain)하는 것이다. 지지체 물질은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상기 성분들을 분리하기 위한 고정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법은 단순 컬럼 또는 "유사 이동상 방식(simulated mobile bed)"에 따른 다중 컬럼 시스템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랄 유기 분자 또는 키랄 유기미네랄 분자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혼합물에서 광학 활성 호모키랄 분자 중 하나를 농축시키고 그리하여 농축된 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를 얻기 위한, 전술한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을 함유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방법은 단순히 상기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을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거울상 이성질체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흡착된다. 광학적 농축 작용은 착물(complex, 광학적 활성 지지체 물질/ 흡착된 거울상이성질체)을 여과하여 수행한다. 그 후 착물은 상기 거울상이성질체의 용매인 액체와 접촉되어 분해되는데, 이 액체는 광학 활성인 지지체 물질과 상기 거울상이성질체 사이의 특유한 상호작용을 제거하는 특성을 갖는다. 탈착된(desorbed) 거울상이성질체는, 가치가 없기 때문에 그리고 이 경우, 원하는 거울상 이성질체에서 광학적으로 농축된 것은 첫 번째 여과액이므로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광학적으로 농축된 거울상이성질체로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광학 활성인 분자를 분리하기 위한 거울상선택성 고정상으로서 광학 활성인 지지체 물질의 용도에 관한다. 이 기술은 또한 광학적으로 또는 거울상이성질성으로, 순수하거나 농축된 호모키랄 분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 셀렉터 L(AOPC-DMPC)의 합성
(a) 알릴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AOPC)의 제조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2
특허 출원 FR 97/03076호("파라펜트-4-에녹시벤조익 애시드의 제조")의 실시예 1의 절차에 따라, 상기 출원의 5-브로모-1-펜텐을 알릴 브로마이드로 대체하여, 4-알릴옥시벤조익 애시드 및 대응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애시드 클로라이드 및 아실 아자이드 유형의 합성 중간체를 거쳐 제조하는 것이 수행된다.
b) 셀룰로오스[6-(4-알릴옥시페닐)우레탄, 트리스, 2,3,6[3,5-디메틸-페닐)우레탄]의 제조 :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3
2.5g의 미정질(microcrystalline) 셀룰로오스(평균 중합도 n은 100), 75ml의 피리딘 및 38ml의 헵탄을 반응기 내에 둔다. 교반하고 환류하여 셀룰로오스를 공비 비말동반(azeotropic entrainment)으로 탈수시킨다. 위의 (a) 단계에서 제조된 1.35g의 4-알릴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AOPC)를 첨가하고 매질을 24시간 동안 0.05g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에서 환류시킨다. 6.8g의 3,5-디메틸페닐 이소시아네이트(3,5-DMPC)를 가하고 매질을 다시 2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이 용액을 냉각한 다음 100ml의 메탄올에 넣는다. 침전물을 300ml의 메탄올로 세척한 다음 진공하에 50℃에서 건조한다.
실시예 2. 셀렉터 L(AOPC)의 합성
셀룰로오스 [트리스-2,3,6-(4-알릴옥시페닐)우레탄]의 제조
2.5g의 미정질(microcrystalline) 셀룰로오스(평균 중합도 n은 100), 75ml의 피리딘 및 38ml의 헵탄을 반응기 내에 둔다. 교반하고 환류하여 셀룰로오스를 공비 비말동반(azeotropic entrainment)으로 탈수시킨다. 9.31g의 4-알릴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AOPC)를 첨가하고 매질을 24 시간동안 0.05g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에서 환류한다. 이 용액을 냉각한 다음 100ml의 메탄올에 넣는다. 침전물을 300ml의 메탄올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50℃에서 건조한다.
삭제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4
실시예 3. 셀렉터 T(AOPC-DMPC)의 합성 :
테트라키스-6-O-(4-알릴옥시페닐카바메이트)트리스-6-O-(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헵타키스-2,3-O-디-(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β-사이클로덱스트린, T(AOPC-DMPC)의 제조 :
2.5g의 β-사이클로덱스트린, 75ml의 피리딘 및 38ml의 헵탄을 반응기 내에 둔다. 교반하고 환류하여 셀룰로오스를 공비 비말동반(azeotropic entrainment)으로 탈수시킨다. 1.35g의 4-알릴옥시페닐 이소시아네이트(AOPC)를 첨가하고 매질을 24시간 동안 0.05g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에서 환류한다. 6.8g의 3,5-디메틸페닐 이소시아네이트(3,5-DMPC)를 가하고 매질을 다시 24시간 동안 환류한다. 이 용액을 냉각한 다음 100ml의 메탄올에 넣는다. 침전물을 300ml의 메탄올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50℃에서 건조한다.
삭제
셀렉터 T의(AOPC-DMPC) 제조과정의 개략도: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5
실시예 4. 셀렉터 O,O'-디-tert-부틸벤조일-L-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BBDAT 의 합성 :
DBBDAT는 상업적인 (-)-N,N'-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로부터 합성한다 :
1g의 DAT를 25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한다.
1.72g의 tert-부틸벤조일 클로라이드를 1.2ml의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첨가하고, 매질을 20 내지 30℃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다. 이 클로로메틸렌 상을 20ml의 물로 3회 세척한 다음 증발시켜 건조한다. 고체를 진공하에 50℃에서 건조한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판(실리카겔)에서 90/10 클로로포름/메탄올 용리액으로 용리하여 순도를 대조하면 출발 물질이 완전히 전환되어 단일 생성물을 형성함을 나타낸다. 회수 질량은 2.47g이었다.
실시예 5. CSP 9803/5601의 합성 : DD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DMPC)
실시예 1의 셀렉터 즉 L(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50mg의 (R,R)-1,4-디티오트레이톨 또는 DDT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6g
실시예 6. CSP 9803/5301의 합성 : DA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DMPC)
실시예 1의 셀렉터 즉 L(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200mg의 (-)-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T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4g
실시예 7. CSP 9803/5901의 합성 : DBBDA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DMPC)
실시예 1의 셀렉터 즉 L(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200mg의 (-)-O,O'-디-tert-L-부틸벤조일-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BBDAT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5g
실시예 8. CSP 9803/5701의 합성 : T(AOPC-DMPC)와 가교된 셀렉터 L(AOPC-DMPC)
실시예 1의 셀렉터 즉 L(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실시예 3의 T(AOPC-DMPC) 1.41mg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95g
실시예 9. CSP 9803/5801의 합성 : T(AOPC-DMPC) 및 EDT(비-키랄)과 가교된 셀렉터 L(AOPC-DMPC)
실시예 1의 셀렉터 즉 L(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0.25g의 에탄디올 또는 EDT, 및 실시예 3의 T(AOPC-DMPC) 1.41g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5.12g
실시예 10. CSP 9803/6001의 합성 : DADA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DMPC)
실시예 1의 셀렉터 즉 L(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102mg의 (-)-O,O'-디아세틸-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DAT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55g
실시예 11. CSP 9803/6001의 합성 : DAT와 가교된 셀렉터 T(AOPC-DMPC)
실시예 3의 셀렉터 즉 T(AOPC-DMPC) 0.82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105mg의 (-)-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T에 용해시킨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85g
실시예 12. CSP 0002/1001의 합성 : DA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 (6/1) *
실시예 2의 셀렉터 즉 L(AOPC) 0.60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50mg의 (-)-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T에 용해시키는데, 여기서 실시예 2의 셀로비오스(6 개의 말단 이중 결합) 1 단위당 1 몰의 DAT가 사용되고, 따라서 6/1의 비율이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51g
실시예 13. CSP 0002/0801의 합성 : DA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 (6/2)
실시예 2의 셀렉터 즉 L(AOPC) 0.60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100mg의 (-)-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T에 용해시키는데, 여기서 실시예 2의 셀로비오스(6개의 말단 이중 결합) 2 단위당 1 몰의 DAT가 사용되고, 따라서 6/2의 비율이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이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58g
실시예 14. CSP 0002/0901의 합성 : DA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 (6/6)
실시예 2의 셀렉터 즉 L(AOPC) 0.60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300mg의 (-)-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T에 용해시키는데, 여기서 실시예 2의 셀로비오스(6개의 말단 이중 결합) 6 단위당 1 몰의 DAT가 사용되고, 따라서 6/6의 비율이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이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48g
실시예 15. CSP 0002/1101의 합성 : DAT 및 DDT와 가교된 셀렉터 L(AOPC)
실시예 2의 셀렉터 즉 L(AOPC) 0.60g을 12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0mg의 (-)-N,N'-디알릴-L-타르트라마이드 또는 DAT, 및 404mg의 (R,R)-1,4-디티오트레이톨 또는 DDT에 용해시킨다. 3ml의 피리미딘 또한 첨가한다. 세공 직경 1000Å, 입자 직경 5㎛인 실리카 4g이 상기 용액에 현탁된다.
100ml의 헵탄과 0.05g의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한다.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여과한다. 이 고체를 100ml의 에탄올로 세척하고 50℃에서 건조한다. 건조중량 : 4.40g
실시예 16. 다양한 합성 CSPs로 컬럼을 충전하는 절차 :
앞의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CSPs 중 한 가지 4 내지 4.5g을 30ml의 에탄올에 현탁하고, 250×4.6mm 스텐레스 스틸 HPLC 컬럼에서 퍼콜레이션(컬럼 충전 장치)으로 500bar 압력을 가한다.
실시예 17. 거울상선택성 시험 절차 :
분리될 라세미 생성물을 주입하기 전에, 사용하는 용리액으로 CSPs를 함유하는 다양한 컬럼들을 1 시간 동안 조정한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이동상 속도 : 1 ml/mn;
UV 검출은 254nm에서;
광학 밀도 스케일 : 0.1;
하기 분리될 라세미 생성물 1mg을 포함하는 용액을 하기 용리액 1ml에 주입.
분리될 라세미 생성물 용리액
TSO 또는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 90/10 헵탄/이소프로파놀
플라보논 90/10 헵탄/이소프로파놀
벤조인 90/10 헵탄/이소프로파놀
바이타프톨 100%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α-메톡시페닐아시틱 애시드 99/1 디이소프로필
에테르/트리플루오 로아세틱 애시드
TRAE 또는 2,2,2-트리플루오로-1- 100% 클로로포름
(9-안트릴)에탄올
크로마토그래피의 결과는 아래의 표 1 및 2에 주어진다. 각 측정에 대하여, 회수된 거울상이성질체 각각의 체류시간 t, 용량인자 (capacity factor) k'2, 선택인자 (selectivity factor) α가 나타나 있다.
표 1 호모키랄제와의 가교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6
표 2 호모키랄제와의 가교
Figure 112004011290247-pct00007

Claims (33)

  1.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및 제1 셀렉터와 구조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며, 상기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고, 호모키랄 단위체는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불활성의 미네랄 지지체 또는 유기 지지체;
    를 함유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에는 다음 반응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얻어진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이 제외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 키토산과 2,3-디알데하이도-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 키토산과 클로로트리아지닐-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반응,
    - 다당류와 단백질의 가교반응, 및
    - 제1 다당류와 둘 이상의 아민기를 가지는 제2 다당류의 환원적 아미노화 반응, 여기서 제1 다당류에서는 산화제 사용으로 당류의 고리가 열려 알데하이드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다당류는 하이알루로닉 애시드, 덱스트란, 덱스트란 설페이트, 케라틴 설페이트, 헤파린, 헤파린 설페이트 및 알지닉 애시드로부터 선택됨.
  2.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제1 셀렉터와 다른 구조의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제1 및 제2 셀렉터와 다른 구조의 제3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고;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고,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및 제3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며, 호모키랄 단위체는 화학적으로 서로 결합된;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망상구조물 내에서, 제1 셀렉터 및 제2 셀렉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의 적어도 일부에,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키랄성 가교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4.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셀렉터, 제2 셀렉터, 및 제3 셀렉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의 적어도 일부에,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키랄성 가교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셀렉터 및 제2 셀렉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R,R)-디티오트레이톨(DTT), 타르타릭 애시드 또는 그 유도체,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및 키토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6.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셀렉터, 제2 셀렉터, 및 제3 셀렉터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R,R)-디티오트레이톨(DTT), 타르타릭 애시드 또는 그 유도체,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그 유도체,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및 키토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르타릭 애시드의 유도체는 N,N'-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DAT), 디-tert-부틸벤조일디알릴타르타라마이드(DBBDAT) 및 디아세틸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DADAT)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르타릭 애시드의 유도체는 N,N'-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DAT), 디-tert-부틸벤조일디알릴타르타라마이드(DBBDAT) 및 디아세틸디알릴타르트라마이드(DADAT)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β-사이클로덱스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유도체는 테트라키스-6-O-(4-알릴옥시페닐카바메이트)트리스-6-O-(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헵타키스-2,3-O-디-(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β-사이클로덱스트린(T(AOPC-DMPC))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유도체는 테트라키스-6-O-(4-알릴옥시페닐카바메이트)트리스-6-O-(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헵타키스-2,3-O-디-(3,5-디메틸페닐카바메이트)-β-사이클로덱스트린(T(AOPC-DMPC))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는 셀룰로오스[6-(4-알릴옥시페닐)우레탄, 트리스-2,3,6-[3,5-디메틸-페닐)우레탄] (L(AOPC-DMPC))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는 셀룰로오스[6-(4-알릴옥시페닐)우레탄, 트리스-2,3,6-[3,5-디메틸-페닐)우레탄] (L(AOPC-DMPC))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15. 제 4 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키랄성(nonchiral) 가교제는 에탄디티올, 트리티오사이아뉴릭 애시드, 1,6-헥산디티올, 1,2,6-헥산트리올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및 2,5-디멀캅토-1,3,4-사이아디아졸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16. 제 3 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비키랄성(nonchiral) 가교제는 에탄디티올, 트리티오사이아뉴릭 애시드, 1,6-헥산디티올, 1,2,6-헥산트리올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및 2,5-디멀캅토-1,3,4-사이아디아졸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1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가 아님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18. 제 2 항의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셀렉터;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셀렉터; 및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호모키랄 단위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셀렉터;를 선택하는 단계;
    b) 제1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가 제2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 및 제3 셀렉터의 호모키랄 단위체와 공중합되거나; 또는 제1 셀렉터의 셋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호모키랄 단위체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중합되고, 그 후 얻어진 단일고분자가, 선택적으로 제1 셀렉터의 남아있는 호모키랄 단위체의 존재에서, 제2 셀렉터 및 제3 셀렉터의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호모키랄 단위체와 가교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단계 a) 및 단계 b) 사이에 다음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가교된 광학 활성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제조 방법:
    - 둘 이상의 중합 가능하거나 가교 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비키랄성 가교제를 선택하는 단계; 및 그 후
    - 제 1 셀렉터, 제 2 셀렉터, 및 제 3 셀렉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호모키랄 단위체의 적어도 일부를 비키랄성 가교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20. 제 2 항의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불활성의 미네랄 지지체 또는 유기 지지체;를 함유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21. 제 1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고체 입자 형태인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22. 제 1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0.1 중량% 이상의 고분자 망상구조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23. 제 1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망상구조물은 지지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지지체상에 침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24. 유기 분자, 미네랄 분자 또는 유기미네랄 분자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성분들의 혼합물 정제방법에 있어서, 이들 성분들은 제 2 항의 고분자 망상구조물 또는 제 1 항의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과 접촉되어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방법.
  25. 키랄 유기 분자 또는 키랄 유기미네랄 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제 2 항의 고분자 망상구조물 또는 제 1 항의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과 접촉하여 고분자 망상구조물/흡착된 거울상이성질체 착물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착물을 여과하고 상기 거울상이성질체의 용매로 분해시켜, 광학 활성인 호모키랄 분자들 중 하나에 대하여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따라서 농축된 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를 수득하는,
    키랄 유기 분자 또는 키랄 유기미네랄 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26.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광학 활성 분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고정상(stationary phase)이 제 2 항의 고분자 망상구조물 또는 제 1 항의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광학 활성 분자 분리 방법.
  27.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불활성의 미네랄 지지체 또는 유기 지지체;를 함유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고체 입자 형태인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29. 제 27 항에 있어서, 0.1 중량% 이상의 고분자 망상구조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망상구조물은 지지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지지체상에 침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지지체 물질.
  31. 유기 분자, 미네랄 분자 또는 유기미네랄 분자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성분들의 혼합물 정제방법에 있어서, 이들 성분들은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망상구조물과 접촉되어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방법.
  32. 키랄 유기 분자 또는 키랄 유기미네랄 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망상구조물과 접촉하여 고분자 망상구조물/흡착된 거울상이성질체 착물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착물을 여과하고 상기 거울상이성질체의 용매로 분해시켜, 광학 활성인 호모키랄 분자들 중 하나에 대하여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따라서 농축된 거울상이성질체 중 하나를 수득하는,
    키랄 유기 분자 또는 키랄 유기미네랄 분자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이들 성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33.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광학 활성 분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고정상이 제 18 항 또는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망상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광학 활성 분자 분리 방법.
KR1020047004009A 2001-09-21 2002-09-23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 KR100933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2208 2001-09-21
FR0112208A FR2829947B1 (fr) 2001-09-21 2001-09-21 Reseau polymere tridimensionnel reticule, son procede de preparation, materiau support comportant ce reseau et leurs utilisations
PCT/FR2002/003238 WO2003026793A2 (fr) 2001-09-21 2002-09-23 Reseau polymere tridemensionnel reticule, son procede de preparation, materiau support comportant ce reseau et leurs utilis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848A KR20040076848A (ko) 2004-09-03
KR100933866B1 true KR100933866B1 (ko) 2009-12-24

Family

ID=886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009A KR100933866B1 (ko) 2001-09-21 2002-09-23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76034B2 (ko)
EP (1) EP1427525A2 (ko)
JP (1) JP2005503571A (ko)
KR (1) KR100933866B1 (ko)
CN (1) CN1263540C (ko)
AU (1) AU2002356790B2 (ko)
FR (1) FR2829947B1 (ko)
NO (1) NO20041627L (ko)
WO (1) WO20030267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5006B2 (en) * 2009-06-17 2015-11-0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yclofructans as separation agents
US20130142763A1 (en) * 2010-10-27 2013-06-0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rosslinked cellulosic polymers
KR101921392B1 (ko) * 2013-11-27 2018-11-22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고상 담체, 고상 담체의 제조 방법, 친화성 정제용 담체,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의 제조 방법,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용 충전제,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및 정제 방법
CN116285216A (zh) * 2022-12-28 2023-06-23 安徽腾远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氨基模塑粉的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171B1 (ko) * 1989-01-31 1998-12-01 삐에르 드 빅또르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를 위한 글리코스 아미노글리칸과 같은 폴리홀로사이드 및 아텔로 콜라겐의 용액의 용도,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캡슐이 존재하는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47804B2 (en) 1983-12-28 2001-01-0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of separating optical isomers and geometrical isomers
JPS60196663A (ja) 1984-03-19 1985-10-05 Daicel Chem Ind Ltd 分離剤
SE9203646L (sv) * 1992-12-03 1994-05-24 Eka Nobel Ab Kirala adsorbenter och framställning av dessa samt föreningar på vilka adsorbenterna är baserade och framställning av dessa föreningar
SE500151C2 (sv) * 1993-03-30 1994-04-25 Ulf Henricson Hydrauliskt drivsystem för drift av företrädesvis tunga industriella arbetsenheter
JP3190206B2 (ja) * 1993-06-22 2001-07-2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異性体用分離剤およびその製造法
DE69408795D1 (de) 1993-11-29 1998-04-09 Nippon Oi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hlenstoff/Kohlenstoffverbundmaterial
DE69622381T2 (de) 1995-03-07 2003-01-16 Novartis Ag Fotochemisch vernetzte polysaccharidderivate zur chromatographischen trennung von enantiomeren
TW362100B (en) 1995-07-21 1999-06-21 Novartis Ag The preparation and use of photochemically cross-linked polysaccharide derivatives having no photopolymerisable functional groups
FR2760752A1 (fr) 1997-03-14 1998-09-18 Inst Francais Du Petrole Composes chiraux, leur synthese et leur utilisation en support
FR2767834B1 (fr) * 1997-08-29 1999-12-03 Inst Francais Du Petrole Mono et di-derives de cyclodextrines, leurs synthese et purification et leur utilisation en support
FR2784109B1 (fr) * 1998-09-11 2003-09-26 Inst Francais Du Petrole Derives chloro-, hydroxy-, et alkoxysilanes de polysaccharides ou d'oligosaccharides, polymerisables et reticulables, leur synthese et leur utilisation comme sources de nouveaux materiaux supports
FR2784108A1 (fr) 1998-09-11 2000-04-07 Inst Francais Du Petrole Nouveaux polymeres reticules a base de derives bis-silanes, bis-thioethers, bis-sulfoxydes, bis-sulfones et butane di-yl de polysaccharides et d'oligosaccharides, et leur mise en forme en materiaux supports
US7085843B2 (en) * 2000-07-13 2006-08-0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ata layout and replacement in distributed streaming caches on a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171B1 (ko) * 1989-01-31 1998-12-01 삐에르 드 빅또르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를 위한 글리코스 아미노글리칸과 같은 폴리홀로사이드 및 아텔로 콜라겐의 용액의 용도,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캡슐이 존재하는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3540C (zh) 2006-07-12
FR2829947B1 (fr) 2004-10-15
NO20041627L (no) 2004-06-21
AU2002356790B2 (en) 2008-04-03
EP1427525A2 (fr) 2004-06-16
WO2003026793A3 (fr) 2003-11-27
WO2003026793A2 (fr) 2003-04-03
US20040260081A1 (en) 2004-12-23
FR2829947A1 (fr) 2003-03-28
KR20040076848A (ko) 2004-09-03
CN1575200A (zh) 2005-02-02
JP2005503571A (ja) 2005-02-03
US7576034B2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6382B1 (en) Separation agent comprising acyl-or carbamoyl-substituted polysaccharide
EP0238044B1 (en) Alkyl-substituted phenylcarbamate derivative of polysaccaride
EP0436722B1 (en) Polysaccharide derivatives and separating agent
EP0978498B1 (en) Separating agent for optical isom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11140104A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のモノおよびジ誘導体、その合成並びに担体中でのその精製および使用
US20090216006A1 (en) Covalently bound polysaccharide-based chiral stationary phas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KR100459314B1 (ko)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용충전제
JP4609493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モノリス分離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721664A1 (en) Separating agent for optical isomer
Ren et al. Thermoresponsive chiral stationary phase functionalized with the copolymer of β-cyclodextrin and N-isopropylacrylamide fo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sell et al.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combinatorial libraries for multiple simultaneous chiral separations
KR100933866B1 (ko) 가교된 삼차원 고분자 망상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지지체 물질 그리고 그 용도
Lai et al. Preparation and enantio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wo chiral stationary phases based on mono (6A‐azido‐6A‐deoxy)‐perphenylcarbamoylated α‐and γ‐cyclodextrin
KR101013252B1 (ko) 크로마토그래피용 분리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442371B2 (ko)
EP1606320B1 (en) Crosslinked three-dimensional polymer network, method for preparing same, support material comprising same and uses thereof
EP0718625B1 (en) Separating agent
EP1498404B1 (en) Separating agent for optical isomer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6342592B1 (en) Chiral compounds, their synthesis and use as a support
KR101087802B1 (ko) 키랄 고정상 및 이의 제조방법
US7087748B2 (en) Process
JPH08113541A (ja) 分離剤
Wulff Template Induced Control of Stereochemistry for the Synthesis of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