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263A -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263A
KR20100059263A KR1020080117966A KR20080117966A KR20100059263A KR 20100059263 A KR20100059263 A KR 20100059263A KR 1020080117966 A KR1020080117966 A KR 1020080117966A KR 20080117966 A KR20080117966 A KR 20080117966A KR 20100059263 A KR20100059263 A KR 2010005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cessing aid
resin
monom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413B1 (ko
Inventor
김현도
최장현
이섭주
오주엽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4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가공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 조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조제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35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5,000,0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조제는 특성이 상이한 두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가공 조제

Description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Method of Preparing Processing aid and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은 새로운 가공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공 조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조제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35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공중합체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5,000,0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조제는 특성이 상이한 두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가공조제는 폴리염화비닐(PVC)수지의 가공성 및 용융물의 가공시 처짐, 치수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분자량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이용하여 왔 다.
미국특허 제5,206,296호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10 ~ 49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5 ~ 35중량%,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 21 ~ 60중량%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0.1 ~ 20중량%를 첨가하여 고온 신율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10-2002-0072421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0,000 내지 1,500,000 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중량 평균 분자량 2,500,000 내지 12,000,000 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혼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압출 가공성 및 흐름 자국등을 개선 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10-2000-0083855, 10-2002-003460에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 수지를 이용한 박막형 시트 성형 시 고온 신율을 높이기 위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 5,000,000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초고분자량 SAN)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프로파일용 합성 수지로는 뛰어난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 방음성, 내 풍압성, 내 결로성 및 난연성등의 장점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환경적인 면에서는 압출가공 시 또는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HCl)나 환경유해물질인 다이옥신 등이 다량으로 방출 되거나 다량의 중금속 첨가제가 사용 되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코자 대한민국 특허 10-2006-0025451에서는 보다 친환경 소재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프로파일의 치수안정성 과 용융물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량 평균 분자량 400,000 내외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을 이용하고 있다.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혼련성이 뛰어나지만, ABS수지와는 혼련성이 떨어져 고온 신율 특성을 개선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초고분자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ABS 수지와 혼련성이 우수하나,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는 주로 고분자량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적용하고 있고, 고온신율을 요구하는 ABS 수지에는 초고분자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생산 공정이 필요하여 투자비가 증가 하거나, 동일 공정 적용 시 공정 변경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원가 증가가 발생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용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 수지에 동시 적용 할 수 있는 초고분자량의 가공조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용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이하, "ABS 수지"이라 함) 동시 적용 할 수 있는 초고분자량의 가공조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가공성, 특히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ABS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프로파일의 치수안정성과 용융처짐성이 개선된 새로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이하, "ASA-PC 수지"이라 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조제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35중량%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 5,000,000 이 되도록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렌,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이트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진공성형 또는 프로파일 압출되는 열가소성 수지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비고무적 특성을 나타내는 고온 Tg를 가지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8개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35~65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함량이 낮아지거나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ABS 수지와의 혼련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비닐 단량체는 10 ~ 30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5-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3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안화 비닐 단량체가 20중량% 미만 또는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ABS 수지와의 혼련성이 낮아지고, 알킬 아크릴레이트 15중량% 미만에서는 ASA-PC 수지와의 혼련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는 ASA-PC수지와 혼련하여 프로파일을 가공할 경우, 압출된 프로파일의 치수안정성과 같은 압출특성을 유지하고, ABS 수지와 혼련하여 시트를 가공할 경우, 시트에 양호한 진공성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분자량이 1,000,000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5,000,000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0-4,000,000 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00,000-3,500,0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0,000 이다. 상기 가공조제의 분자량이 낮을 경우에는 ASA-PC나 ABS에 충분한 가공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가공조제의 분자량이 높을 경우에는 압출 중 겔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의 분자량 분포는 프로파일의 압출성과 ABS 수지의 양호한 진공성형성을 가질 수 있도록, Mw/Mn의 비가 4.0-5.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는 반응성과 충분한 분자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화중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 ~ 65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 ~ 30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 ~ 35중량%를 공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 5,000,000 인 가공조제로서, 하기와 같은 a), b), 및 c)로 이루어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a) 반응 개시 단계
본 단계는 총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중 10 내지 30 중량부, 이온교환수 250 중량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0.001 내지 0.05 중량부, 활성화제 0.0051 내지 0.051 중량부, 올레인산 칼륨 0.5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40내지 60분동안 반응온도 50 ~ 60℃로 유지하여 반응을 개시하는 단계;
b) 연속 반응 단계
상기 a) 단계의 반응물에 단량체 혼합물 70 내지 90 중량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0.01 내지 0.05 중량부 및 올레인산 칼륨 0.5 내지 1.5 중량부를 3 내지 5 시간동안 연속 투여하고 반응온도 60 ~ 70℃로 유지하여 반응하는 단계;
c) 추가 반응 단계
상기 b) 단계의 반응물을 중합온도 70 ~ 80℃반응물을 30분 내지 90분 동안 더욱 중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중합은 단량체의 전환율이 99% 이상이 되면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활성화제는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술퍽실레이트, 소디움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 제1철, 락토오즈, 덱스트로오스, 리롤린산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오즈, 피롤린산나트륨, 및 황산 제1철을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오즈 0.003 내지 0.03 중량부, 필롤린산나트륨 0.002 내지 0.02 중량부 및 황산 제1철 0.0001 내지 0.00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35중량% 로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5,000,000 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A-PC수지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SA-PC수지는 압출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이며, 샤르피 충격, MN, 신장률, 및 압출성의 특성이 양호하게 조화되도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 ~ 70중량%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5 ~ 50중량%와 상기 가공 조제 1 ~ 3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ASA 수지는 아크릴고무의 함량이 높은 ASA수지와 SAN 수지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고무함량이 높은 ASA수지나 SAN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의 3035grade이며, ASA수지는 금호석유화학 XC500, 그리고 SAN 수지는 금호석유화학 SAN 350HM(중량 평균분자량 150,000) 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0~60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 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35 중량%로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5,000,000 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BS 수지는 진공 성형용 수지이며, 바람직하게는 냉장고 시트용 수지이다. 상기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ABS 수지는 충격, 인장, 신율 등의 물리적 특성과 고온인장과 고온 신율에 영향을 받는 진공성형성이 좋아지도록 부타디엔계 고무 40~70 중량%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 단량체 혼합물 30~60 중량%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20~50 중량%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60~80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20~40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300,000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30~60%와 상기 가공조제 1 ~ 20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BS수지는 진공성형성이 요구되는 시트용 그레이드를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호석유화학의 압출용 ABS 772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량 1,000,000 이상의 3성분계 가공조제를 제조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은 유지 하면서 프로파일 수지와 ABS 수지의 압출성 과 진공성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1) 가공조제 제조 방법
방향족 비닐 단량체 8.4 중량부, 시안화 비닐 단량체 3.6,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이온교환수 250 중량부, 3급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0.01 중량부, 활성화제 락토오즈 0.015 중량부, 필롤린산나트륨 0.01 중량부 및 황산 제1철 0.0005 중량부, 올레인산 칼륨 1.2 중량부를 투여 하여 1시간 동안 반응하였고, 반응기내 온도는 55℃로 유지하였다.
이후 방향족 비닐 단량체 47.6, 시안화 비닐 단량체 20.4,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7 중량부, 3급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0.01 중량부,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를 4.5 시간동안 연속 투여 하였고, 반응온도는 55 ~ 75℃로 유지 하였다.
상기 연속 투여 후 최종 99%이상의 단량체 전환율을 갖기 위해 중합온도는 80℃에서 60분 동안 숙성하여 가공조제를 제조 하였다. 이때 가공조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000 이고, 분자량 분포는 4.5였다.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용 수지의 조성물
a) 상기 1의 가공조제 5 중량부
b)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중량부 (삼양사 : 3035grade)
c)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25 중량부 (금호석유화학 XC500)
d) 벌크 또는 용액 중합으로 제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벌크 SAN)수지 20중량부 (금호석유화학 SAN350HM, 중량 평균분자량 150,000)
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 수지의 조성물에 있어
a) 상기 1의 가공조제 5 중량부
b) 부타디엔계 고무를 52중량%를 포함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중량부
c) 벌크 또는 용액중합으로 제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벌크 SAN)수지 60 중량부
실시예 2 내지 3
실시예 1의 1) 가공조제는 동일하고,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벌크 또는 용액 중합으로 제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벌크 SAN)수지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용 수지의 조성물, 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 수지의 조성물을 표 2과 같이 변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가공조제 제조 방법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을 표 1과 (단, 추가반응 단계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여 표기하지 않음) 같이 변환시킨 것을 제외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중량 평균 분자량은 2,800,000 이었고, 분자량 분포는 4.3 이었다.
[비교예]
비교예 1 내지 2
가공조제 제조 방법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환시킨 것을 제외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공조제를, 표 2와 같이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용 수지의 조성물, 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 수지의 조성물에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1) 가공조제는 동일하고,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용 수지의 조성물, 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 수지의 조성물을 표 2과 같이 변환하여 제조하였다.
[표1]
실시예1-3
가공조제A
실시예 4
가공조제B
비교예 1
가공조제C
비교예 2
가공조제D
반응개시
단계
스티렌 8.4 8.925 9.975 6.3
아크릴로니트릴 3.6 3.825 4.275 2.7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 2.25 0.75 6
TBHP1) 0.01 0.01 0.01 0.01
활성화제 0.0255 0.0255 0.0255 0.0255
유화제 1.2 1.2 1.2 1.2
연속
반응
단계
스티렌 47.6 50.575 56.525 35.7
아크릴로니트릴 20.4 21.675 24.225 15.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7 12.75 4.25 34
TBHP1) 0.01 0.01 0.01 0.01
올레인산 칼륨 1.0 1.0 1.0 1.0
단량체의 전환율(%) 99.7 99.6 99.4 99.8
중량평균 분자량 3,000,000 2,800,000 2,500,000 3,300,000
분자량 분포 4.5 4.3 4.2 5.1
* TBHP1) : 3급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표2]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프로파일
수지조성
폴리카보네이트 50 50 60 60 50 50 50 50
ABS 25 25 20 20 25 25 25 20
벌크 SAN 20 17 15 15 20 20 25 5
가공조제
(종류, 중량부)
A
5
A
8
A
5
B
5
C
5
D
5
- A
25
ABS 수지
조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35 35 - 35 35 35 35 35
벌크 SAN 60 57 - 60 60 60 60 40
가공조제
(종류, 중량부)
A
5
A
8
- B
5
C
5
D
5
- A
25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수지 조성물은 밴버리 믹서, 압출기 같은 일반적인 혼합 용융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프로파일용 수지 성분들은 통상의 합성수지 제조방법으로 압출기에서 서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분산된 용융물을 냉각시켜 펠레트화 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펠렛은 통상의 PVC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하기 압출 조건이 사용 될 수 있다.
프로파일 압출 조건
압출기는 창틀제조기계인 PVC 압출기인 트윈스크류 (Twin screw) 95mm(제작회사 삼부기계공업)을 이용하였으며, 생산한 창틀모델은 p샤시 BF-115이다.
프로파일 압출기 조건
다이온도(℃) 실린더(Berral) 온도(℃) 회전
(rpm)
인취속도(m/분) 냉각
온도

D1 ~ D4 AD C6 C5 C4 C3 C2 C1
210/195/200/198 195 190 180 160 140 140 160 10 2.1 18 55
상기 프로파일 압출기를 통해 제조된 제품을 통해 KSF 5602 규격(합성수지요 창호영 형재)에 준하여 물성시험 하였다.
ㄱ) 샤르피 충격강도 시험 : KS M 3056에 준하여 5호 시험편 (A형 노치)으로 온도 23±2℃에서 시험실시하였다. KSF 5602규격에 의하면 12.7 KJ/㎡ 이상이어야 합격이다.
ㄴ) 인장 강도 및 신장률 : 인장 강도 및 신장률 시험은 KS M 3006에 따라 측정 하였다.
KS 5062 규격에 의하면 인장강도는 36.8 MN/㎡ 이상이며 신장률은 100% 이상이어야 합격이다.
ㄷ) 프로파일 압출시 용융물의 처짐 정도 및 압출 특성은 제품의 외관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수지)는 압출, 사출 성형하여 고무함량 18.2 중량%를 지니는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아이조드 충격강도, 인장강도 및 유동지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ㄱ) 아이조드 충격강도 시험 : ASTM D256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시편의 두께는 1/4인치로 하였다.
ㄴ) 인장강도 : 인장강도는 ASTM D638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ㄷ) 유동지수 (Melt Flow Index : MI) : 220℃, 10Kg의 조건하에서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각각의 펠렛을 ASTM D236 방법에 의하여 사출 시편을 만들 어 상온에서의 기계적 물성 및 140℃의 고온에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고온인장강도가 크고 신율이 큰 경우가 진공성형성과 연신 특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림 1에 나타내었다.
[표3]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프로파일 샤르피 충격(KJ/㎡) 40 42 55 55 41 44 16 12
MN/㎡ 42 43 45 43 39 46 35 42
신장률 152 170 135 115 88 178 30 59
압출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불량

ABS 수지
아이조드 충격강도
(1/4", Kg·㎝/㎝)
35 34 - 36 36 25 35 20
인장강도 (kg / ㎠) 475 473 - 480 485 450 480 500
유동성(g/10분,
220℃, 10kg)
4.3 3.7 - 4.5 4.2 3.2 5.2 2.1
상기 표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의 를 이용하여 제조한 프로파일용 수지 및 ABS 수지는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압출성, 진공성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140℃ 에서의 인장 및 신율 그래프이다.

Claims (10)

  1.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중량%,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5~35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 5,000,000 인 가공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0~3,500,000인 가공조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상기 시안화 비닐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인 가공조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의 분자량 분포가 4.0-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
  5.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20~30중량%,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15~35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가공조제.
  6. a)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중량%,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중량%,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5~35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100 중량부 중 10 내지 30 중량부, 이온교환수 250 중량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0.001 내지 0.05 중량부, 활성화제 0.0051 내지 0.051 중량부, 올레인산 칼륨 0.5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40내지 60분동안 반응온도 50 ~ 60℃로 유지하여 반응을 개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반응물에 단량체 혼합물 70 내지 90 중량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0.01 내지 0.05 중량부 및 올레인산 칼륨 0.5 내지 1.5 중량부를 3 내지 5 시간동안 연속 투여하고 반응온도 60 ~ 70℃로 유지하여 반응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반응물을 중합온도 70 ~ 80℃반응물을 30분 내지 90분 동안 더욱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조제의 제조 방법
  7.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5~65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 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5~35 중량%로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5,000,000 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A-PC수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SA-PC수지는 압출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SA-PC수지.
  9.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30~60 중량%와 시안화 비닐 단량체 10~30 중량%,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5~35 중량%로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5,000,000 인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수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BS 수지는 진공 성형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S수지.
KR1020080117966A 2008-11-26 2008-11-26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KR10115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966A KR101154413B1 (ko) 2008-11-26 2008-11-26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966A KR101154413B1 (ko) 2008-11-26 2008-11-26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263A true KR20100059263A (ko) 2010-06-04
KR101154413B1 KR101154413B1 (ko) 2012-06-15

Family

ID=4236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966A KR101154413B1 (ko) 2008-11-26 2008-11-26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122B1 (ko) * 2011-06-22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20150060132A (ko) * 2013-11-26 2015-06-0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WO2022102905A1 (ko) * 2020-11-10 2022-05-19 (주) 엘지화학 스티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705B1 (ko) * 2017-07-27 2018-03-13 울산과학기술원 유압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76017B1 (ko) * 2017-08-11 2021-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06B1 (ko) * 2000-06-02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착색성 및 체류 광택성이 우수한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의제조방법
KR100601087B1 (ko) * 2001-11-08 2006-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22159B1 (ko) * 2005-10-21 2008-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우수한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098683B1 (ko) * 2006-12-22 2011-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전환율이 높은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공중합 라텍스 분말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122B1 (ko) * 2011-06-22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20150060132A (ko) * 2013-11-26 2015-06-0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 및 압출성이 우수한 창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창호
WO2022102905A1 (ko) * 2020-11-10 2022-05-19 (주) 엘지화학 스티렌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413B1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4218B (zh) 一种笔记本电脑外壳专用pc/abs合金
JP3828447B2 (ja) アクリル系重合体組成物
KR100665803B1 (ko) 환경응력 저항성이 우수한 냉장고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74160B1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154413B1 (ko)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KR100881335B1 (ko) 내후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6659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CN102532737B (zh) 一种透明、高硬度、抗冲击abs塑料合金组合物
CN104017323A (zh) 一种abs/pvc共混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80007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5209504A (ja) 透明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5814702A (en) Elastomer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dified therewith
KR101670550B1 (ko) 고유동 및 고충격강도를 갖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9041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827613B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70072117A (ko)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abs 수지 조성물
KR101492032B1 (ko) 고온에서의 가공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내열성 abs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94447B1 (ko) 성형가공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100060790A (ko) 내후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
KR10195152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156185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0716563B1 (ko)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압출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6942235B1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9869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