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206A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206A
KR20100057206A KR1020080116125A KR20080116125A KR20100057206A KR 20100057206 A KR20100057206 A KR 20100057206A KR 1020080116125 A KR1020080116125 A KR 1020080116125A KR 20080116125 A KR20080116125 A KR 20080116125A KR 20100057206 A KR20100057206 A KR 2010005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mold
molding machin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7206A/ko
Publication of KR2010005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6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성형기(20)의 고정측에 설치된 고정측판(22)에는 제 1형판(24)이 구비된다. 상기 성형기(20)의 가동측에 설치된 가동측판(30)에는 제 2형판(38)이 구비되어 상기 제 1형판(24)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판(30)과 제 2형판(38)의 사이에는 밀판(36)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측판(22) 또는 가동측판(30)에는 록킹부재(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고정측판(22) 및 가동측판(30)이 상기 성형기(20)에서 분리될 때 타측에 선단이 걸어져 상기 제 1형판(24)과 제 2형판(38)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성형기(20)에 상기 고정측판(22) 또는 가동측판(30)이 장착될 때 상기 성형기(20)에 의해 회전되어 걸어짐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록킹부재는 금형조립체가 성형기에서 분리되었을 때에는 걸림핀에 걸어져 제 1,2형판이 결합되게 하고 금형조립체가 성형기에 장착될 때에는 성형기에 의해 회전되어 제 1,2형판이 분리되게 한다. 이와 같이 록킹부재에 의해 금형조립체의 제 1,2형판의 결합 및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금형조립체, 형판, 코어

Description

금형조립체{A mold assembly}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조립체의 형판 이 서로 착탈되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조립체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금형조립체는 고정측과 가동측으로 나누어지고, 고정측과 가동측에는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형상코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형상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내부에 주입된 수지가 응고되면 둘 사이가 멀어지면서 제품이 취출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금형조립체의 일측에는 성형기(1)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3)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측판(3)의 반대측에는 가동측판(7)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판(7)의 성형기(1)의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판(3)의 일면에는 제 1형판(5)이 구비된다. 상기 제 1형판(5)의 일측에는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지는 제품의 외면 일부와 대응되는 제 1코어(도시 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측판(3)의 일측을 관통하여 주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는 제품의 재료인 합성수지가 공급되는 부분이다. 상기 주입구를 둘러서는 고정측판(3)을 성형기(1)의 고정측에 장착하기 위한 안내역할을 하는 로케이팅링(6)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판(7)에는 스페이서블록(9)이 상기 가동측판(7)의 일면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9)은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측판(7)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 2형판(16) 사이에 이동공간(10)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공간(10)에는 상기 가동측판(7)의 일면과 마주보게 구비되는 밀판(11)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판(11)은 이젝트핀(도시되지 않음)을 동작시켜 만들어진 제품을 제 2코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형판(5)의 일면에 분리가능하게 제 2형판(16)이 구비된다. 상기 제 2형판(16)에는 상기 제 1코어와 협력하여 하나의 제품 형상을 만들기 위한 제 2코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제 1형판(5)과 제 2형판(9)은 브라켓(13)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형판(5) 및 제 2형판(9)은 금형조립체의 이동시에 분리되지 않도록 브라켓(13)에 체결되는 볼트(15)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금형조립체를 성형기(1)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이동시에 상기 제 1형판(5) 및 제 2형판(9)이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 가 직접 상기 볼트(15)를 체결하여 고정측과 가동측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성형기(1)에 금형조립체를 결합한 후에는 상기 제 1형판(5) 및 제 2형판(9)이 서로 분리되어 제품을 취출할 수 있어야 하므로 다시 상기 볼트(15)를 풀어 브라켓(13)을 분리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형판(5) 및 제 2형판(9)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일일이 작업자가 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조립체의 고정측과 가동측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된 고정측판에 구비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코어가 구비되는 제 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 가동측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형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 2코어가 구비되는 제 2형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제 2형판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판과; 상기 고정측판 또는 가동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판 및 가동측판이 상기 성형기에서 분리될 때 타측에 선단이 걸어져 상기 제 1형판과 제 2형판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성형기에 상기 고정측판 또는 가동측판이 장착될 때 상기 성형기에 의해 회전되어 걸어짐이 해제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측판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의 선단은 상기 제 2형판에 구비된 걸림핀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핀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핀에 걸어지는 걸림면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측판의 외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성형기에 장착시에 성형기에 의해 눌러져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걸림핀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금형조립체의 제 1형판과 제 2형판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해 고정측판 또는 가동측판에 록킹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선단에는 걸림핀이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록킹부재는 금형조립체가 성형기에서 분리되었을 때에는 걸림핀에 걸어져 제 1,2형판이 결합되게 하고 금형조립체가 성형기에 장착될 때에는 성형기에 의해 회전되어 제 1,2형판이 분리되게 한다. 이와 같이 록킹부재에 의해 금형조립체의 제 1,2형판의 결합 및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 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 형판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성형기(20)의 고정측에는 고정측판(2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판(22)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그 일면에는 제 1형판(24)이 설치된다. 상기 제 1형판(24)에는 제품의 외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 1코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코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부분이다. 상기 제 1형판(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형판(38)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측판(22)에서 상기 제 1형판(24)이 구비된 반대쪽 면에는 로케이팅링(26)이 구비된다. 상기 로케이팅링(26)은 상기 고정측판(22)을 성형기(20)에 고정측에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로케이팅링(26)의 중앙에는 주입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 1코어와 제 2코어가 만드는 공간 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상기 성형기(20)의 가동측에는 가동측판(30)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30)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되는 부분을 통틀어서 가동측이라고 한다. 상기 가동측 판(30)은 상기 고정측판(22)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30)에는 스페이서블록(32)이 상기 가동측판(30)의 일면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32)은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측판(30)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 2형판(38) 사이에 이동공간(34)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공간(34)에는 상기 가동측판(30)의 일면과 마주보게 구비되는 밀판(36)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판(36)은 상기 코어가 만든 제품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블록(32) 상에는 상기 제 1형판(24)과 마주보게 제 2형판(38)이 설치된다. 상기 제 1형판(24)과 제 2형판(38)은 제품의 성형시에 서로 밀착되었다가 성형된 제품의 취출시에는 서로 분리된다. 이는 성형기(20)의 가동측이 고정측에 대해 이동됨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제 2형판(38)에는 상기 제 1코어와 대응되는 제 2코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제 2코어는 상기 제 1코어와 협력하여 하나의 제품의 형상을 만들기 위해 상기 제 1코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2형판(38)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부재(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 2형판(38)에는 걸림핀(40)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림핀(40)은 록킹부재(50)의 걸림부(54)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걸림부(54)가 걸림핀(40)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 1,2형판(24,38)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형판(38)에 걸림핀(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록킹부재(5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형판(24)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측판(22)의 회전핀(51)에는 록킹부재(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50)는 상기 걸림핀(40)에 걸어져 상기 제 1,2형판(24,38)이 서로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록킹부재(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5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2)의 일단에는 걸림부(54)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54)는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핀(40)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54)는 상기 몸체부(52)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된다. 상기 걸림부(54)에서 상기 걸림핀(4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은 요입면(55)(도 3 참조)을 형성한다. 상기 요입면(55)은 상기 걸림핀(40)의 형상에 대응되게 곡선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걸림핀(40)이 걸어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52)의 타단에는 회전부(5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56)는 상기 몸체부(52)의 타단에서 직교하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56)는 상기 회전핀(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56)에는 상기 회전핀(51)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5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록킹부재(50)의 걸림부(54)가 걸림핀(40)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회전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상기 탄성부재(58)는 본 실시예에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고, 상기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없이 작업자가 직접 상기 록킹부재(50)를 회전시켜 걸림부(54)가 걸림핀(40)에 걸어지도 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는 필요에 따라 성형기(20)에 착탈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기(2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고 성형기(2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금형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로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 금형조립체에서 실질적으로 분리가 되는 부분은 제 1,2형판(24,38)이므로 양자 간에 결합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록킹부재(50)의 걸림부(54)가 걸림핀(40)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 1,2형판(24,38)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록킹부재(50)에 탄성부재(58)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부재(50)가 걸림핀(40)에 걸어지도록 회전되므로 제 1,2형판(24,38)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재(50)에 탄성부재(58)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록킹부재(50)를 회전시켜 걸림부(54)가 걸림핀(40)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54)의 요입면(55)은 걸림핀(40)의 형상에 대응되어 걸어지므로 제 1,2형판(24,38)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형판(24,38)이 결합되어 금형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기(20)에 장착된다. 상기 금형조립체가 성형기(20)에 장착된 상태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금형조립체가 성형기(20)에 장착될 때 상기 록킹부 재(50)에서 고정측판(2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성형기(20)의 고정측에 눌러져 록킹부재(5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50)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걸림부(54)와 걸림핀(40)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 1,2형판(24,38)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품을 성형한 후에 상기 제 1,2형판(24,38)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여 제품을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록킹부재(50)는 반드시 상기 고정측판(22)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가동측판(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50)의 걸림부(54)가 걸어지는 걸림핀(40)은 제 1형판(24)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에서 형판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성형기 22 : 고정측판
24 : 제 1형판 26 : 로케이팅링
30 : 가동측판 32 : 스페이서블록
34 : 이동공간 36 : 밀판
38 : 제 2형판 40 : 걸림핀
50 : 록킹부재 51 : 회전핀
52 : 몸체부 54 : 걸림부
55 : 요입면 56 : 회전부
58 : 탄성부재

Claims (7)

  1.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된 고정측판에 구비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코어가 구비되는 제 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 가동측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형판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 2코어가 구비되는 제 2형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제 2형판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판과;
    상기 고정측판 또는 가동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판 및 가동측판이 상기 성형기에서 분리될 때 타측에 선단이 걸어져 상기 제 1형판과 제 2형판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성형기에 상기 고정측판 또는 가동측판이 장착될 때 상기 성형기에 의해 회전되어 걸어짐이 해제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측판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의 선단은 상기 제 2형판에 구비된 걸림핀에 선택적으로 걸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핀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직교하게 연장되고, 상기 회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핀에 걸어지는 걸림면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고정측판의 외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성형기에 장착시에 성형기에 의해 눌러져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상기 걸림핀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1020080116125A 2008-11-21 2008-11-21 금형조립체 KR20100057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125A KR20100057206A (ko) 2008-11-21 2008-11-21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125A KR20100057206A (ko) 2008-11-21 2008-11-21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206A true KR20100057206A (ko) 2010-05-31

Family

ID=422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125A KR20100057206A (ko) 2008-11-21 2008-11-21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7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40A (ko) * 2018-09-27 2020-04-06 (주)세원물산 Rtm 공정용 진공 및 수지 주입 보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성형용 rtm 복합 금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40A (ko) * 2018-09-27 2020-04-06 (주)세원물산 Rtm 공정용 진공 및 수지 주입 보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체 부품 성형용 rtm 복합 금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404B1 (ko)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 장치의 몰드의 고정 플레이트
JPH0459321A (ja) 射出成形金型装置
KR20100057206A (ko) 금형조립체
JP2003535725A (ja) 取り外し自在の挿入体を含む射出成形装置用ラッチ止め装置
JP2015066773A (ja) 樹脂製窓の回転2色射出成形装置
JP2012121257A (ja) モールド樹脂射出成形用金型
JP2009012331A (ja) スライドコア可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成形金型
JP2004276447A (ja) 成形用金型およびその段替え方法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KR100874979B1 (ko) 금형조립체
KR100747791B1 (ko) 사출금형
KR200316349Y1 (ko) 금형
KR100776026B1 (ko) 금형조립체
JP3949404B2 (ja) 複合成形用金型
CN218660319U (zh) 一种便于多向开孔脱模的模具
JPH06114890A (ja) 射出成形金型
KR100823338B1 (ko) 금형조립체
KR100965509B1 (ko) 슬라이드코어의 스토핑장치
JP4312450B2 (ja) 金型反転式成形機
KR100391574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CN101347972A (zh) 顶出防转组合
JP2608846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
KR100894157B1 (ko) 금형조립체
JP2002011725A (ja) 樹脂成形金型
JP5798093B2 (ja) 型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