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49Y1 - 금형 - Google Patents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349Y1
KR200316349Y1 KR20-2003-0006514U KR20030006514U KR200316349Y1 KR 200316349 Y1 KR200316349 Y1 KR 200316349Y1 KR 20030006514 U KR20030006514 U KR 20030006514U KR 200316349 Y1 KR200316349 Y1 KR 200316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template
sides
core block
templat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혁중
홍춘강
Original Assignee
홍춘강
윤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춘강, 윤혁중 filed Critical 홍춘강
Priority to KR20-2003-0006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동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가 형성된 코어블록을 용이하게 교체 할 수 있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 성형기에 장착되는 가동측 형판과 고정측 형판으로 구성된 통상의 금형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형판의 상면에는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의 양측에는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져 경사면을 형성하는 양측 쇄기판이 다수의 수직볼트를 통해 상기 홈부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쇄기판의 사이에는 상면에 코어 형상부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쇄기판의 내측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포함되는 코어블록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형판과 코어블록의 전면에는 코어블록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가동측 형판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금형{metallic pattern}
본 고안은 코어의 교체가 용이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동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가 형성된 코어블록을 용이하게 교체 할 수 있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 (金型;metallic pattern)이라 함은 금속성(金屬性)의 형(型)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크게 주물품을 생산하는 사출금형과, 압축 성형물을 생산하는 프레스 금형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고안은 상기 금형중 사출금형에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출금형은, 용융금속 또는 용융수지(이하, '용융물'이라 한다)가 공급되는 고정측 형판과 이 고정측 형판에 밀착되어 승하강되는 가동측 형판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측 형판에는 용융수지가 유입 될 수 있도록 탕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탕구와 연통되어 용융수지가 공급되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측 형판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티와 상응되는 위치에 코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사출금형은 용융물 공급부, 고정측 형판 고정부, 및 가동축 형판 작동부 등이 포함되는 사출 성형기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출금형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측 형판의 하면에 가동측 형판을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측 형판에 구비되어 있는 탕구를 통해 용융물을 투입한다.
그리고 용융물이 응고된 상태에서 가동측 형판을 고정측 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사출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금형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동측 형판에 형성된 캐비티와 고정측 형판에 형성된 코어의 형상을 변경하여 다른 제품을 사출할 경우에는, 가동측 형판 전체 및 고정측 형판 전체를 사출 성형기로부터 분리한 후 다른 형상의 케비티와 코어가 형성된 가동측 형판 및 고정측 형판을 교체 장착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을 변경할 경우, 사출 성형기로부터 가동측 및 고정측 형판을 완전히 분리 한 상태에서 다른 가동측 및 고정측 형판을 장착해야 함으로서, 다른 형판의 세팅에 많은 시간이 낭비됨으로 인하여 사출성형기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 사용되었던 가동측 및 고정측 형판은 재사용이 불가능함으로서, 가동측 및 고정측 형판의 전체적인 폐기로 인하여 많은 원자재가 손실되는 문제점도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가동측 형판에 코어블록이 삽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서, 가동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가 형성된 코어블록을 교체 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측 형판은 물론 금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케비티가 형성된 케비티블록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출 성형기에 장착되는 가동측 형판과 고정측 형판으로 구성된 통상의 금형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형판의 상면에는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의 양측에는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져 경사면을 형성하는 양측 쇄기판이 다수의 수직볼트를 통해 상기 홈부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쇄기판의 사이에는 상면에 코어 형상부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쇄기판의 내측 경사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포함되는 코어블록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형판과 코어블록의 전면에는 코어블록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가동측 형판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금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측 형판
11 : 홈부
12 : 쇄기판
121 : 경사면, 122 : 수직볼트
13 : 코어블록
131 : 코어 형상부, 132 : 경사면
14 : 지지대
141 : 볼트
2 : 고정측 형판
21 : 홈부
22 : 쇄기판
221 : 경사면, 222 : 수직볼트
23 : 케비티블록
231 : 케비티 형상부, 232 : 경사면
24 : 지지대
241 : 볼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금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출 성형기에 장착되는 가동측 형판(1)과 고정측 형판(2)으로 구성된 통상의 금형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형판(1)의 상면에는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11)의 양측에는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져 경사면(121)을 형성하는 양측 쇄기판(12)이 다수의 수직볼트(122)를 통해 상기 홈부(11)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쇄기판(12)의 사이에는 상면에 코어 형상부(131)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쇄기판(12)의 내측 경사면(121)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32)이 포함되는 코어블록(1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형판(1)과 코어블록(13)의 전면에는 코어블록(13)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가동측 형판(1)에 볼트(141)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1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 형판(2)의 하면에는 전방과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21)의 양측에는 내측면이 하부에서 상부 외측으로 경사져 경사면(221)을 형성하는 양측 쇄기판(22)이 다수의 수직볼트(222)를 통해 상기 홈부(21)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쇄기판(22)의 사이에는 하면에 케비티(231) 형상부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쇄기판(22)의 내측 경사면(221)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32)이 포함되는 케비티블록(2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형판(2)과 케비티블록(23)의 전면에는 케비티블록(23)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고정측 형판에 볼트(241)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어블록(13)과 케비티블록(23)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직으로 관통되는 수직볼트(122,222)는 쇄가판(12,22)의 내부로 함몰되어 구비된 것으로서, 코어블록(13)과 케비티블록(23)의 하면과 상면에는 상기 수직볼트(122,222)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코어블록(13)의 하면과 케비티블록(23)의 상면은 금형제품의 사출시 완전히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조립과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금형을 사용하기에 앞서서, 금형의 가동측 형판(1)과 고정측 형판(2)의 코어블록(13) 및 케비티블록(23)을 교체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가동측 형판(1)의 코어블록(13)을 교체할 경우를 설명하면, 가동측 형판(1) 및 코어블록(13)에 전방에 체결되어 있는 지지대(14)를 해체한다.
즉 지지대(14)의 양측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141)를 풀어 가동측 형판(1)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대(14)를 해체한다.
다음 쇄기판(22)의 중간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볼트(122)를 홈부(11)의바닥면으로부터 풀어 쇄기판(12)을 유동되게 한다.
다음 풀어진 쇄기판(12)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코어블록(13)을 가동측 형판(1)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가동측 형판(1)에 장착되어 있던 코어블록(13)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코어블록(13)을 상기 홈부(11)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삽입시켜 양 쇄기판(12)의 사이로 투입한다.
다음 양 쇄기판(12)에 구비되는 수직볼트(122)들을 조여줌으로서, 양 쇄기판(12)이 하강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코어블록(13)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코어블록(13)의 양 경사면(132)과 상기 양 쇄기판(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32)이 상호 밀착되게 함으로서, 코어블록(13)의 고정을 견고히 하는 것이다.
다음 가동측 형판(1)의 전방인 홈부(11)의 전방에 지지대(14)를 볼트(141)를 통해 체결함으로서 코어블록의 교체를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동측 형판에 코어블록(13)을 삽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서, 가동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가 형성된 코어블록을 교체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가동측 형판(1) 전체의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음에 따라서, 코어의 교체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히 함으로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고정측 형판(2)의 케비티블록(23)을 교체할 경우를 설명하면, 고정측 형판(2) 및 케비티블록(23)에 전방에 체결되어 있는지지대(24)를 해체한다.
즉 상기 지지대(24)의 양측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241)를 풀어 고정측 형판(2)의 전방으로부터 지지대(24)를 해체한다.
다음 쇄기판(22)의 중간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볼트(222)를 홈부(21)의 바닥면으로부터 풀러 쇄기판(22)을 유동되게 한다.
다음 풀어진 쇄기판(22)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케비티블록(23)을 고정측 형판(2)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고정측 형판(2)에 장착되어 있던 케비티블록(23)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케비티블록(23)을 상기 홈부(21)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삽입시켜 양 쇄기판(22)의 사이로 투입한다.
다음 양 쇄기판(22)에 구비되는 수직볼트(222)들을 조여줌으로서, 양 쇄기판(22)이 상승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케비티블록(23)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케비티블록(23)의 양 경사면(232)과 상기 양 쇄기판(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32)이 상호 밀착되게 함으로서, 케비티블록(23)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고정측 형판(2)의 전방인 홈부(21)의 전방에 지지대(24)를 볼트를 통해 체결함으로서 케비티블록(23)의 교체를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측 형판(2)에 케비티블록(23)이 삽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서, 고정측 형판(2)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케비티(231)가 형성된 케비티블록(23)을 교체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고정측 형판(2) 전체의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음에 따라서, 케비티 블록(13)의 교체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히 함으로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가동측 형판(1)은 물론 금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형판(2)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가 형성된 코어블록(13) 및 케비티가 형성된 케비티블록(23)을 신속히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가동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가 형성된 코어블록을 교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금형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측 형판은 물론 금형을 구성하는 고정측 형판을 사출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케비티가 형성된 케비티블록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은 금형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2)

  1. 사출 성형기에 장착되는 가동측 형판(1)과 고정측 형판(2)으로 구성된 통상의 금형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형판(1)의 상면에는 전방과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11)의 양측에는 내측면이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져 경사면(121)을 형성하는 양측 쇄기판(12)이 다수의 수직볼트(122)를 통해 상기 홈부(11)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쇄기판(12)의 사이에는 상면에 코어 형상부(131)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쇄기판(12)의 내측 경사면(121)과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32)이 포함되는 코어블록(1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형판(1)과 코어블록(13)의 전면에는 코어블록(13)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가동측 형판(1)에 볼트(141)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1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형판(2)의 하면에는 전방과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21)의 양측에는 내측면이 하부에서 상부 외측으로 경사져 경사면(221)을 형성하는 양측 쇄기판(22)이 다수의 수직볼트(222)를 통해 상기 홈부(21)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쇄기판(22)의 사이에는 하면에 케비티(231) 형상부가 구비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쇄기판(22)의 내측 경사면(221)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32)이 포함되는 케비티블록(2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형판(2)과 케비티블록(23)의전면에는 케비티블록(23)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고정측 형판에 볼트(241)를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2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KR20-2003-0006514U 2003-03-05 2003-03-05 금형 KR200316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514U KR200316349Y1 (ko) 2003-03-05 2003-03-05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514U KR200316349Y1 (ko) 2003-03-05 2003-03-05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349Y1 true KR200316349Y1 (ko) 2003-06-18

Family

ID=4940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514U KR200316349Y1 (ko) 2003-03-05 2003-03-05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3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86B1 (ko) * 2013-05-09 2014-12-09 주식회사 이엠텍 코어 교체형 금형
CN109808136A (zh) * 2019-01-10 2019-05-28 宁波如强模塑有限公司 一种前灯注塑模一体式内抽结构
KR101957690B1 (ko) * 2017-09-25 2019-07-04 주식회사 세코닉스 렌즈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의 코아 및 테이퍼핀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86B1 (ko) * 2013-05-09 2014-12-09 주식회사 이엠텍 코어 교체형 금형
KR101957690B1 (ko) * 2017-09-25 2019-07-04 주식회사 세코닉스 렌즈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의 코아 및 테이퍼핀 결합구조
CN109808136A (zh) * 2019-01-10 2019-05-28 宁波如强模塑有限公司 一种前灯注塑模一体式内抽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408B1 (ko) 적층형 벤트코어가 장착된 사출성형 금형
KR200316349Y1 (ko) 금형
KR200433757Y1 (ko) 내측 언더컷 처리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1684597B1 (ko) 도광판 제조장치
CN219095775U (zh) 一种便于更换的洗手液机注塑模具
CN215882381U (zh) 一种便于拆卸的模具设计结构
KR20190083107A (ko) 금형
CN219520421U (zh) 一种浇口盆砂模批量生产模具
CN212704266U (zh) 一种耐磨铸造件的铸造箱
CN217169546U (zh) 镶件快速更换结构及注塑模具
JP2000006195A (ja) 熱硬化性樹脂用射出成形金型
JP2002240095A (ja) 成形用金型
KR20080028072A (ko) 내측 언더컷 처리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JP3166404B2 (ja) トランスファ成形用金型並びにトランスファ成形用金型におけるポットの着脱方法
KR200292627Y1 (ko) 주형의 압탕구조
JP3908396B2 (ja) 樹脂成形金型装置
JP3325353B2 (ja) 無枠式鋳型造型機用金枠
JPH0890603A (ja) 射出成形金型
JP5875411B2 (ja) 射出圧縮成形法および射出圧縮成形用金型
KR950004240Y1 (ko) 사출금형의 문자코어(core)착탈구조
JP2000033632A (ja) 射出成型金型
JP2003236852A (ja) 樹脂成形機および樹脂成形機の金型用のコア部材の交換方法
JPS595015A (ja) モ−ルド型構造
JPS5916188Y2 (ja) 射出成形用金型
JP3343393B2 (ja) ホットランナー式合成樹脂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