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667A - 차량용 리프트 잭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667A
KR20100056667A KR1020080115581A KR20080115581A KR20100056667A KR 20100056667 A KR20100056667 A KR 20100056667A KR 1020080115581 A KR1020080115581 A KR 1020080115581A KR 20080115581 A KR20080115581 A KR 20080115581A KR 20100056667 A KR20100056667 A KR 2010005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lead screw
coupling
rear end
lift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덕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삼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667A/ko
Publication of KR2010005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 잭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하부암, 하부암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암, 하부암과 상부암을 결합시키는 힌지축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부암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리드스크류의 일단 외주면에는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진 결합부가 확장형성되고, 결합부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렌치접속부가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차량 리프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프트 잭을 제공한다.
차량, 리프트 잭, 하부암, 상부암, 리드스크류, 결합부, 결합홈, 렌치접속부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 잭{LIFT JACK FOR VEHICLES}
본 발명은 리프트 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차량 리프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프트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프트 잭은 타이어 교환이나 차량의 하측부 정비 등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의 필수 정비 공구로서,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 잭(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암(2)과 하부암(3)이 마름모꼴로 결합된 구조이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부암(2)의 일단은 차체를 지지하는 거치대(4)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암(3)의 일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5)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암(2)과 하부암(3)의 타단은 각각 힌지축(6)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양쪽의 힌지축(6)을 관통하여 리드스크류(7)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7)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 힌지축(6)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좁혀지게 되며, 상부암(2)과 하부암(3)의 경사각이 변화되면서 거치대(4) 가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리드스크류(7)를 회전시키기 위해 렌치를 사용하는 경우, 리드스크류(7)의 일단에 마련되는 렌치접속부(8)에 렌치를 삽입 결합시키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는 더 이상 힘을 가하기 곤란하여, 렌치를 렌치접속부(8)로부터 탈거한 후 다시 원위치에서 렌치를 삽입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반복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하부암, 하부암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암, 하부암과 상부암을 결합시키는 힌지축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부암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리드스크류의 일단 외주면에는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진 결합부가 확장형성되고, 결합부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렌치접속부가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차량 리프트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리프트 잭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하부암, 하부암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암, 하부암과 상부암을 결합시키는 힌지축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부암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리드스크류의 일단 외주면에는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진 결합부가 확장형성되고, 결합부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렌치접속부가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이 제공된다.
여기서, 렌치접속부는 다각형 너트 형상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중 공의 일측 내벽에는 결합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는 둘레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지거나, 다수의 반원형 돌출부가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드스크류는 결합부의 후단에 확장 형성되는 후단스토퍼와, 리드스크류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는 전단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때,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코일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되, 코일스프링은 후단스토퍼와 렌치접속부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렌치접속부의 후단에 누름판이 설치되되, 코일스프링의 후단은 후단스토퍼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의 전단은 누름판에 지지된다.
또한, 렌치접속부의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삽입 결합하되, 손잡이부의 중공에 렌치접속부의 외주면이 맞물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잭에 의하면, 리드스크류의 렌치접속부로부터 렌치를 탈거하는 과정없이 계속 반복하여 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치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리드스크류를 회전시켜 리프트 잭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 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리프트 잭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렌치접속부의 이동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도 3b의 A-A 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리프트 잭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잭(10)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20)와, 베이스(20)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하부암(30)과, 하부암(30)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암(40)과, 하부암(30)과 상부암(40)을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50)과, 양 쪽의 힌지축(50)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한 쪽의 힌지축(50)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60) 및 상부암(40)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70)를 포함한다.
이때, 리드스크류(60)의 일단 외주면에는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진 결합부(61)가 확장형성되고, 리드스크류(60)의 일단에는 중공을 가진 렌치접속부(62)가 삽입 결합되는데, 중공의 일측 내벽에는 결합부(61)에 대응되는 결합홈(6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치접속부(62)는 리드스크류(60)를 따라 결합부(61)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중공의 타측에는 렌치접속부(62)가 리드스크류(60)에 밀착하여 슬 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렌치접속부(62)는 렌치(80, 도 7 참조)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다각형 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2와 도 3에는 일 예로서 육각 너트 형상의 렌치접속부(62)를 도시하였으며, 결합부(61)와 렌치접속부(62)의 결합홈(63) 역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결합부(61)와 렌치접속부(62)의 결합홈(63)의 단면 형상은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1)의 외주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삼각형 톱니(61a)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1)의 외주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반원형 돌출부(61b)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결합홈(63)의 단면 형상은 결합부(6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반원형 돌출부(61b)에 대응되는 결합홈(63)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결합부(61)와 결합홈(63)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홈(63)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부(61)와 결합홈(63) 사이에 약간의 조립 공차가 생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홈(63)의 외측벽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부(61)의 반원형 돌출부(61b)는 직선으로 이어져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60)의 직경에 비해 렌치접속부(62)의 중공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리드스크류(60)에 끼워진 렌치접속부(62)의 공회전이 가능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렌치접속부(62)의 결합홈(63)이 결합부(61)에 치합하게 되면, 렌치접속부(62)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60)도 함께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리드스크류(60)를 회전시키고자 하면, 렌치접속부(62)에 렌치(80)를 장착한 상태에서 렌치접속부(62)를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결합홈(63)과 결합부(61)가 치합되도록 한 다음 렌치(8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리드스크류(6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렌치(80)를 원위치시켜 작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렌치접속부(62)를 리드스크류(60)의 끝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결합홈(63)과 결합부(61)가 서로 이탈하도록 한 다음 렌치접속부(62)를 공회전시켜 렌치(80)를 원위치시킨 후 다시 렌치접속부(62)를 결합부(6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식으로 작업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리드스크류(60)의 끝단에는 전단스토퍼(65)가 형성되는데, 이 전단스토퍼(65)는 리드스크류(60)의 끝단이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 것으로서, 렌치접속부(62)가 리드스크류(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그 이동거리를 가이드하기 위해, 결합부(61)의 후단에 이격하여 리드스크류(60)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단스토퍼(66)가 환형으로 확장 형성된다.
또한,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로부터 이탈될 때,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렌치접속부(62)와 후단스토퍼(61) 사이의 리드스크류(60) 외주면에 코일스프링(67)이 개재되는데, 이에 따라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는 코일스프링(67)이 신축되고,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로부터 이탈될 때에는 코일스프링(6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렌치접속부(62)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렌치접속부(62)의 후단에는 누름판(68)이 설치되는데, 이 누름판(68)은 렌치접속부(62)를 결합부(61)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렌치(80)의 일측에 지지되며, 코일스프링(67)을 가압하여 신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누름판(68)은 별도의 부재를 리드스크류(60)에 끼워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나 렌치접속부(6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렌치접속부(62)에 장착된 렌치(80)의 일측이 누름판(68)의 일측을 가압함에 따라 누름판(68)과 함께 렌치접속부(62)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와 도 3b에서는 누름판(68)이 렌치접속부(62)와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판(68)의 내주면 홈에 코일스프링(67)의 전단이 지지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누름판(68)이 렌치접속부(62)와 별도로 마련되고, 누름판(68)의 후면 일측에 코일스프링(67)의 전단이 지지되게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렌치접속부(62)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마름모 형상의 손잡이부(69)가 결합되는데, 이 손잡이부(69)는 렌치(80)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리드스크류(60)를 회전시켜 리프트 잭(10)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69)는 렌치접속부(6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렌치접속부(62)의 외주면에 손잡이부(69)의 중공(69c)이 맞물림 결합되며, 손잡이부(69)를 결합부(6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켜 리드스크류(6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손잡이부(69)의 중공(69c)은 렌치접속부(62)의 다각형 너트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렌치접속부(62)의 외주면이 중공(69c)에 맞물림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69)의 돌출 연장된 부분을 파지하고 손잡이부(69)를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손잡이부(69)가 누름판(68)을 밀면서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후, 결합홈(63)과 결합부(61)가 치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69)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부(69)의 중공(69c)에 렌치접속부(62)의 외주면이 맞물려 있으므로 렌치접속부(62)와 함께 결합부(61)가 회전하고 이로써, 리드스크류(6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리프트 잭(10)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부(69)는 금속재질의 손잡이부 본체(69a)와 합성수지 재질의 손잡이부 커버(69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부 본체(69a)는 렌치접속부(62)의 외주면에 맞물림 결합되고, 손잡이부 커버(69b)는 사용자의 부상 방지와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 본체(69a)의 일측에 덧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손잡이부(69)는 렌치접속부(62)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손잡이부(69)를 분리한 상태에서 렌치(80)만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잭(1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를 차량(9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렌치접속부(62)에 렌치(80)를 장착한 상태에서 렌치(80)를 결합부(6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렌치(80)가 누름판(68)을 결합부(61)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어서, 코일스프링(67)이 신축되면서 누름판(68)과 함께 렌치접속부(62)가 결합부(6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렌치접속부(62)의 결합홈(63)과 결합부(61)가 치합된 상태에서 렌치(8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리드스크류(60)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거치대(70)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때, 코일스프링(67)은 전단이 누름판(68)의 후면 일측에 지지되고 후단이 후단스토퍼(66)의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결합부(61)와 후단스토퍼(66) 사이의 리 드스크류(60) 외주면에 신축상태로 개재되며, 렌치(80)를 원위치시키기 위해 결합부(61) 방향으로 가하지던 힘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6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렌치접속부(62)가 전단스토퍼(65)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동시에 결합홈(63)이 결합부(6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후, 렌치접속부(62)가 전단스토퍼(65)와 결합부(61) 사이의 리드스크류(60) 외주면에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는 렌치(80)와 렌치접속부(62)를 리드스크류(60) 외주면 상에서 공회전시켜 렌치(80)를 원위치시킬 수 있고, 다시 전술했던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 잭(10)에 의하면, 렌치접속부(62)로부터 렌치(80)를 탈거할 필요없이 반복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치(80)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부(69)를 이용하여 리드스크류(60)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용 리프트 잭(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 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리프트 잭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렌치접속부의 이동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도 3b의 A-A 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리프트 잭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용 리프트 잭 20 : 베이스
30 : 하부암 40 : 상부암
50 : 힌지축 60 : 리드스크류
61 : 결합부 62 : 렌치접속부
65 : 전단스토퍼 66 : 후단스토퍼
67 : 코일스프링 68 : 누름판
69 : 손잡이부 70 : 거치대
80 : 렌치 90 : 차량

Claims (8)

  1.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하부암;
    상기 하부암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상부암;
    상기 하부암과 상기 상부암을 결합시키는 힌지축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상부암의 일단에 결합되고 차량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 외주면에는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진 결합부가 확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진 렌치접속부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치접속부는 다각형 너트 형상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중공의 일측 내벽에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확장 형성되는 후단스토퍼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끝단에 확장 형성되는 전단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코일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후단스토퍼와 상기 렌치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렌치접속부의 후단에 누름판이 설치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은 상기 후단스토퍼에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단은 상기 누름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치접속부의 외주면에 손잡이부가 삽입 결합하되, 상기 손잡이부의 중 공에 상기 렌치접속부의 외주면이 맞물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둘레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둘레에 다수의 반원형 돌출부가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잭.
KR1020080115581A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리프트 잭 KR20100056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81A KR20100056667A (ko)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리프트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581A KR20100056667A (ko)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리프트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667A true KR20100056667A (ko) 2010-05-28

Family

ID=4228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581A KR20100056667A (ko) 2008-11-20 2008-11-20 차량용 리프트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6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1908A (zh) * 2016-08-29 2016-12-07 南通市通润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螺杆千斤顶的辅助旋转手柄
CN108766295A (zh) * 2018-06-20 2018-11-06 苏州金螳螂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展板伸缩装置、活动展板及悬挂式活动展板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1908A (zh) * 2016-08-29 2016-12-07 南通市通润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螺杆千斤顶的辅助旋转手柄
CN108766295A (zh) * 2018-06-20 2018-11-06 苏州金螳螂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展板伸缩装置、活动展板及悬挂式活动展板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115B2 (ja) チェーンの切断接続装置
US9095961B1 (en) Wrench extension with magnetic arm
CA2384216C (en) Improved puller apparatus
KR20100056667A (ko) 차량용 리프트 잭
AU2012297489B2 (en) Automatic head-changing screw driver
CN203831318U (zh) 自扶正螺钉改锥
KR20100019679A (ko) 자동차 드라이브 샤프트용 리테이너 탈/장착 수동공구
EP2402095A1 (en) Universal blind rivet and threaded rivet nut setting system
JP2016041456A (ja) 回転装置用ソケット
JP3135402U (ja) 工具用接続装置
CN208374792U (zh) 锁定机构及具有其的夹具
KR20130068066A (ko) 차량용 휠볼트 조립공구 세트
JP2013071202A (ja) 回転工具支持装置
JP3173386U (ja) ロッドパッキン取り外し治具
KR102028306B1 (ko) 타이어 밸브코어 탈착용 전동공구
CN110394756B (zh) 一种拆装工具
CN215548261U (zh) 一种多规格扳手
CN213226015U (zh) 一种拆装工具
CN204487453U (zh) 一种螺栓扳机套头
CN111017841B (zh) 可移爪换位的撬棒工具
CN210678577U (zh) 一种高效安装卡簧的工具
EP3753678B1 (en) Tool adapter quick-release structure
JP7199657B2 (ja) ナットランナー
CN210010919U (zh) 一种与车辆刹车分泵回位工具配套的专用圆球形旋转卡头
KR20080015580A (ko) 차량용 휠 너트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