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263A -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263A
KR20100056263A KR1020080115346A KR20080115346A KR20100056263A KR 20100056263 A KR20100056263 A KR 20100056263A KR 1020080115346 A KR1020080115346 A KR 1020080115346A KR 20080115346 A KR20080115346 A KR 20080115346A KR 20100056263 A KR20100056263 A KR 2010005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nickel
secondary battery
zinc secondary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혁
곽윤정
정해승
박상희
박동필
Original Assignee
에너그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그린(주) filed Critical 에너그린(주)
Priority to KR102008011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263A/ko
Priority to PCT/KR2009/005219 priority patent/WO2010053257A2/en
Publication of KR2010005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26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24Electrodes for alkaline accumulators
    • H01M4/244Zinc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2Alloys based on zin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1)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 또는 흑연 분말을 볼밀 방법으로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웨팅한 후, 증점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슬러리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 표면을 활성탄소를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S5) 상기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집전체에 코팅하는 단계; 및 (S6) 상기 집전체에 코팅된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에 따르면,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페이스트 형성 시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아울러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집전체가 알칼리 전해액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의 수명 및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니켈/아연 이차전지,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 활성탄소, 바인더

Description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FABRICATION METHOD OF NEGATIVE ELECTRODE FOR NICKEL/ZINC SECONDARY BATTERY USING SURFACE-MODIFIED CURRENT COLLECTOR AND NICKEL/ZINC SECONDARY BATTERY FABRICAT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극 형성 과정에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성 시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구리 또는 구리 집전체가 알칼리 전해액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수명 및 충/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국의 환경보전에 대한 의지로서 각종 환경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과 더불어 소형전지에서는 이미 납축전지 및 니켈/카드뮴전지가 니켈/수소, 리튬이온전지 등으로 대체되었으나, 산업용 대형전지 분야에서는 그 대안의 전지가 없어 아직 납축전지와 니켈/카드뮴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인 대용량 축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개발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납축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니켈(Ni)/아연(Zn) 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1.6[V/cell] 이상으로, 중량 및 부피 에너지밀도가 높으며, 고유 출력 밀도(Specific power density)도 875[W/kg]으로서 납축전지의 535[W/kg]보다 우수하며, 게다가 최대 방전용량의 80%에 도달하게 되는 충방전 횟수(Cycle life)도 500회 이상으로서 납축전지의 200~700 회에 비해서 비교적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에 아연을 사용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는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구동용 뿐만 아니라 정치형 전력 저장용 이차전지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니켈/아연 이차전지는 아연 전극의 용해, 자가 방전, 모양 변화, 수지상 결정화 등으로 인하여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에서는 아연 음극의 전도도가 낮아 음극에 전도성 세라믹 등의 도전제를 첨가하나 그 효과가 미미하다. 그러나 음극의 집전체로 니켈보다 전도성이 높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를 사용하는 경우 전지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되나,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의 내구성이 낮아 알칼리 전해액 하에서 쉽게 부식되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집전체의 부식은 전지의 충전전압 증가를 야기하여 과도한 가스 발생과 방전효율 감소 등의 결과를 가져오며, 이는 곧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한다.
PCT/US2004/026859에서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제작에 있어서 산화아연 입자들의 뭉침 현상을 발견하고, 이는 전지의 성능 열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분산제로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이를 막고자 하였다. 그러나 분산제는 분해되지 않는 한 전지반응에 역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작한 아연 음극을 진공 및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300 ℃ 이상으로 열처리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정의 증가는 과도한 공정비용의 발생 및 공정의 비효율성으로 이어지며, 열처리한 전극은 기공이 닫힐 수 있어 전지 성능을 보장하기 어렵다.
US 6,649,305 B1에서는 산화아연의 전도성이 매우 낮은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전도성 세라믹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전도성 세라믹을 사용할 경우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제조시 활물질들의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PCT/US2004/026859 및 US 6,649,305 B1에서는 집전체 표면에 은, 납, 카드뮴, 주석 등을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전지의 내구성을 높이려 하였으나,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은 환경오염으로 사용규제 대상에 해당하고, 은 등은 가격이 높아 효율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특허 제447792호에서는 충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음극의 수지상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다공성의 3차원 집전체를 이용한 리튬전극, 그 제조방법 및 리튬전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404733호에서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 등의 집전체 양면에 은, 금, 백금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전기 도금법, 무전해 도금법, 물리 증착법, 화학 증착법으로 피복된 집전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644074호에서는 과방전 후 발생되는 Cu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표면에 Cu-니트릴 화합물 간의 착물이 형성된 이차전지용 구리 집전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은 음극 형성 과정에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성 시 뭉침 현상 또는 충방전시 발생되는 구리 성분 집전체의 부식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등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아연 음극 형성 시, 아세틸렌 블랙과 같은 활성탄소 또는 흑연 분말을 음극 활물질과 함께 볼밀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혼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페이스트에서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음극의 집전체로 사용되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집전체 표면을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분산액으로 코팅하는 경우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집전체가 알칼리 전해액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 형성 과정에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성 시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또한 구리 또는 구리 집전체가 알칼리 전해액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수명 및 충/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니켈/아연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1)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 또는 흑연 분말을 볼밀 방법으로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웨팅한 후, 증점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슬러리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 표면을 활성탄소를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S5) 상기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집전체에 코팅하는 단계; 및 (S6) 상기 집전체에 코팅된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산화아연(zinc oxide), 칼슘 아연산염(calcium zincate) 및 아연(Zn)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소는 아세틸렌 블랙 및 케첸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CMC, HEC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증점제는 K+, Na+ 이온으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PTFE, PE 및 SBR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서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의 함량비는 각각 95~99 중량% 및 1~5 중량%이다.
상기 S4 단계에서 분산액은 활성탄소 80~97 중량% 및 바인더 3~2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액의 바인더로 PE, PTFE, PVA, PVdF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용매로는 증류수, 알콜류 및 THF(tetra-hydrofuran), NMP(NMethyl-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액이 코팅된 집전체는 40~120 PPI(pore per inc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에 따르면, 음극 형성 과정에서 활물질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성 시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아울러 구리 또는 구리 집전체가 알칼리 전해액으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지의 수명 및 충/방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니켈/아연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S1)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 또는 흑연 분말을 볼밀 방법으로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웨팅한 후, 증점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슬러리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 표면을 활성탄소를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S5) 상기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집전체에 코팅하는 단계; 및
(S6) 상기 집전체에 코팅된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켈/아연 이차전지에서 양극 및 음극이 적층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전극을 제조한다. 전극은 음극 또는 양극 활물질, 증점제 및 바인더를 이용하여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 한 후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이 형성되면 전극에 분리막을 씌우고, 단자를 노출시킨다. 이후, 이들 전극을 케이스에 장착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함으로써 니켈/아연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및 양극을 교대로 적층시켜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니켈/아연 이차전지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S4) 단계에서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분산액이 코팅되어 표면에 활성탄소층이 형성된 구리 폼형 집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 또는 흑연 분말을 볼밀 방법으로 혼합한다(S1).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zinc oxide), 칼슘 아연산염(calcium zincate) 및 아연(Zn)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소로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 블랙 및 케첸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소 및 흑연은 평균입경 10 ㎛ 미만의 분말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은 볼밀 방법을 이용하여 활 성탄소 또는 흑연을 활물질과 혼합함으로써 전극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전극 제조시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에서 활물질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세틸렌, 케첸 블랙 등의 활성탄소는 그 부피가 매우 커서 도전제로 사용될 경우 탭밀도 감소를 가져온다. 탭밀도 감소는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키므로 탭밀도를 최대한 유지하여야 한다. 볼밀 방법을 이용할 경우 활물질 및 활성탄소가 물리적으로 강하게 결합하고 탭 밀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서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의 함량비는 각각 95~99 중량% 및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소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전극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고, 1 중량% 미만이면 전극의 전도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단계에서는 음극 활물질 및 활성탄소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는데, 첨가제로는 Ca(OH)2, Bi2O3, Tl2O3, In2O3 및 SnO로 대표되는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Ca(OH)2는 징케이트 이온이 전해액으로 녹아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Bi2O3 등의 금속 산화물은 수소 과전압을 높여 가스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웨팅한 후, 증점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한다(S2).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CMC, HEC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 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 방법은 상기 증점제를 K+, Na+ 이온으로 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후 징케이트 이온이 녹아나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인 Ca(OH)2의 경우는 수계 바인더와 반응하여 급속히 뭉치는 현상을 보이나, 본 발명의 음극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이러한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소량의 Ca(OH)2의 뭉침 현상도 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증점제를 K+, Na+ 이온으로 치환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용액 등을 증점제에 첨가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증점제의 첨가량은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혼합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의 첨가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슬러리의 점도가 높아져 집전체에 코팅이 어렵고, 전극저항이 커져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0.5 중량% 미만이면 슬러리가 묽어져 전극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음으로, 상기 슬러리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S3).
상기 바인더로는 PTFE, PE, SB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바인더의 첨가량은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혼합물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첨가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슬러리의 점도가 높아지고, 전극저항이 커져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0.5 중량% 미만이면 집전체 및 다른 음극 활물질과의 결착력이 떨어져 전지 성능이 저하되고, 전해액에 용해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음으로,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 표면을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분산액으로 코팅한다(S4). 본 발명에서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의 전도도를 향상시켜 전지의 효율을 높이고자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메탈 시트(metal sheet),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펀칭 메탈(punching metal), 메탈 폼(metal foam) 등을 사용하였고, 구리 성분의 집전체가 알칼리 전해액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전체의 표면을 활성탄소 80~97 중량% 및 바인더 3~20 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으로 코팅한다. 상기 분산액의 바인더로 PE, PTFE, PVA, PVdF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때 용매로는 증류수, 알콜류 및 THF(tetra-hydrofuran), NMP(NMethyl-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소의 함량이 97 중량%를 초과하면 집전체 표면의 두꺼운 활성탄소층으로 인해 음극 형성용 조성물의 결합력이 감소하며, 활성탄소의 함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집전체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도 4는 구리 폼형 집전체(200) 표면을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분산액으로 코팅하여 구리 폼형 집전체(200) 표면에 활성탄소층(21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분산액이 코팅된 집전체(200)는 40~120 PPI(pore per inch)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집전체에 코팅하고(S5), 상기 집전체에 코팅된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하여 음극을 형성한다(S6).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는 제조된 전극을 롤 프레싱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롤 프레싱 단계를 통해 활물질, 활성탄소 등이 더욱 치밀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ZnO 1764 g, AB 40 g, Ca(OH)2 44 g, Bi2O3 72 g을 용기에 넣어 180 rpm으로 3 시간 동안 볼밀 혼합한 후, 체를 통과시켜 음극 물질과 볼을 분리하였다. 제조된 음극 물질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웨팅한 후, 치환된 CMC를 가하여 점성이 있는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그후, PTFE, PE, SBR의 순서로 바인더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구리 폼형 집전체의 표면을 활성탄소 95 중량%와 5 중량%의 PTFE를 포함하는 분산액으로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상기 집전체를 건조한 후, 표면에 제조된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이후 전극을 90 ℃의 오븐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초기 두께의 30%가 될 때까지 롤 프레싱하고, 봉투형 분리막을 씌워 음극을 구성하였다. 이 때 분리막은 Celgard 3407을 2장씩 사용하였다. 음극 제조시 사용된 물질들의 함량비는 아래 표 1과 같다.
ZnO AB Ca(OH)2 Bi2O3 PTFE PE SBR CMC
조성(%) 88.2 2.0 2.2 3.6 0.6 2.0 0.4 1.0
한편, Ni(OH)2 3657 g, Ni 분말 116 g, CoO 116 g을 믹서에 넣고, CMC를 가하여 점성이 있는 슬러리를 형성하였다. 여기에, PTFE, PE의 순서로 바인더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양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집전체에 코팅하였다. 코팅된 전극을 90 ℃의 오븐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초기 두께의 30%가 될 때까지 롤 프레싱하고, 여기에 봉투형 분리막을 씌워 양극을 구성하였다. 이 때 분리막은 NKK non-woven을 2장씩 사용하였다. 양극 제조 시 사용된 물질들의 함량비는 아래 표 2와 같다.
Ni(OH)2 Ni 분말 CoO PTFE PE CMC
조성(%) 91.43 2.9 2.9 0.6 1.97 0.2
제조된 양극과 음극을 교차되게 적층하여 소망하는 용량의 전지를 구성하였다. 양극 11장과 음극 12장을 적층하여 50 Ah 의 용량을 갖는 전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어서, 적층한 극판을 전지 케이스에 넣고, 커버를 씌운 후, 알칼리 전해액을 주입하여 진공상태에서 1 시간, 상온에서 6 시간 에이징(aging)한 뒤 전지를 활성화하여 알칼리 니켈/아연 이차전지를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켈/아연 이차전지에서 양극 및 압착된 음극이 적층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니켈/아연 이차전지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는 활성탄소가 포함된 분산액이 코팅된 구리 폼형 집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케이스 103 : 음극
105 : 양극 107 : 분리막
109 : 음극 단자 111 : 양극 단자
200 : 집전체 210 : 활성탄소층

Claims (12)

  1. (S1)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 또는 흑연 분말을 볼밀 방법으로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웨팅한 후, 증점제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슬러리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S4)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집전체 표면을 활성탄소를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으로 코팅하는 단계;
    (S5) 상기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집전체에 코팅하는 단계; 및
    (S6) 상기 집전체에 코팅된 음극 형성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산화아연(zinc oxide), 칼슘 아연산염(calcium zincate) 및 아연(Zn)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소는 아세틸렌 블랙 및 케첸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CMC, HEC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를 K+, Na+ 이온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PTFE, PE 및 SB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서 음극 활물질과 활성탄소의 함량비는 각각 95~99 중량% 및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분산액은 활성탄소 80~97 중량% 및 바인더 3~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분산액 제조를 위한 용매는 증류수, 알콜류 및 THF(tetra- hydrofuran), NMP(NMethyl-pyrrolido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한 바인더는 PE, PTFE, PVA 및 PVdF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액이 코팅된 집전체는 40~120 PP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에서 선택되는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KR1020080115346A 2008-11-04 2008-11-19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KR20100056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46A KR20100056263A (ko) 2008-11-19 2008-11-19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PCT/KR2009/005219 WO2010053257A2 (en) 2008-11-04 2009-09-14 Method of fabricating negative electrode for nickel/zinc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46A KR20100056263A (ko) 2008-11-19 2008-11-19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63A true KR20100056263A (ko) 2010-05-27

Family

ID=4228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46A KR20100056263A (ko) 2008-11-04 2008-11-19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2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15B1 (ko) * 2012-10-24 2014-11-25 주식회사 비츠로셀 수명 특성이 우수한 니켈-아연 플로우 전지
US11367876B2 (en) 2017-07-25 2022-06-21 Lg Energy Solution, Ltd. Copper foi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22165380A1 (en) * 2021-01-29 2022-08-04 Hunt Energy Enterprises, L.L.C. Anode for zn-based batter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15B1 (ko) * 2012-10-24 2014-11-25 주식회사 비츠로셀 수명 특성이 우수한 니켈-아연 플로우 전지
US11367876B2 (en) 2017-07-25 2022-06-21 Lg Energy Solution, Ltd. Copper foi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22165380A1 (en) * 2021-01-29 2022-08-04 Hunt Energy Enterprises, L.L.C. Anode for zn-based batter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7072B2 (en) Positive active electrode composition with graphite additive
JP5273931B2 (ja) 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8585935B2 (en) Composite for Li-ion cell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JP4654381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670516A (zh) 三维复合集流体及其制备方法
US20230121023A1 (en) Continuous manufacture ofa nickel-iron battery
WO2017020860A1 (zh) 电池、电池组以及不间断电源
US11211635B2 (en) Battery, battery pack,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70129238A (ko) 도핑된 전도성 산화물들, 및 이 물질에 기초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들을 위한 개선된 전극들
JP2013134838A (ja) 鉄−空気二次電池用の負極合剤及び負極合剤スラリー、鉄−空気二次電池用の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鉄−空気二次電池
CN114094068B (zh) 钴包覆的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正极片和锂离子电池
JPWO2013132818A1 (ja)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ルカリ蓄電池
CN114583176A (zh) 一种多功能新型导电剂及其在预锂化复合正极中的应用
CN108963241B (zh) 电池、电池组以及不间断电源
CN113921792A (zh) 锂离子电池正极极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00056257A (ko) 코팅용 겔 전해액을 사용하여 표면 개질된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아연 이차전지
WO2015132845A1 (ja) 全固体電池
KR20100056263A (ko) 표면 개질된 집전체를 사용한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JP2003051334A (ja) シール型鉛蓄電池
WO2012094761A1 (en) Ion-exchange battery
KR20100056260A (ko)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4204009A (zh) 一种锂离子电池正极补锂添加剂及包括其的锂离子电池
KR20100056256A (ko) 표면 개질된 음극 및 분리막을 사용한 알칼리 아연 이차전지
KR20100056259A (ko)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KR20100049825A (ko) 니켈/아연 이차전지의 음극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니켈/아연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