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216A -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216A
KR20100055216A KR1020080114183A KR20080114183A KR20100055216A KR 20100055216 A KR20100055216 A KR 20100055216A KR 1020080114183 A KR1020080114183 A KR 1020080114183A KR 20080114183 A KR20080114183 A KR 20080114183A KR 20100055216 A KR20100055216 A KR 2010005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using
chute
passenger seat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해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5216A/ko
Publication of KR2010005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카울 크로스 맴버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브라켓과,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및 분리가 쉽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기 슈트 및 상기 하우징 브라켓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이 형성된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도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카울 크로스 맴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조수석 에어백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슈트, 하우징 브라켓, 걸림부, 클립부재, 돌기부, 클립 고정부, 돌기홀부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Structure for assembling passenger air bag}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하우징과 끼움 결합되도록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이 형성된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장치는 차량의 외부충격에 의한 인체 상해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적용되는 상용화된 안전장치의 하나로서, 종전의 경우에는 핸들의 중앙부(운적석의 경우)나 인스트루먼트패널(Instrument Panel)의 상부(동승석(조수석)의 경우)쪽에 주로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체만을 보호하도록 된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차량 도어부나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 쪽에도 상기 에어백 장치가 연계 설치되어 탑승자의 측면이나 무릎 또는 하체 등과 같은 인체의 각부에 대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적용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 술에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내측에 설치된 에어백 하우징(3)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형성된 도어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3)의 개구된 전면을 덮는 에어백 도어(2)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3)의 내부에 수납되고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4)과 상기 에어백 쿠션(4)에 고압의 기체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3)의 상측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 설치되고 하측은 차체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카울 크로스 맴버(8)(cowl cross member)에 장착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3)의 하부에는 브라켓(6)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맴버(8)에는 상기 브라켓(6)에 대응되게 맴버 브라켓(9)이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조수석 에어백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하부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슈트(7a)에 클립 및 볼트인 체결부재(7b)를 끼워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체결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는, 에어백 하우징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글로브 박스 탈거 공간으로는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없어 조립이 불가능하므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체를 탈거하여 조수석 에어백을 탈거하거나 재조립해야 함으로 조립공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공구없이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카울 크로스 맴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조수석 에어백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는,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카울 크로스 맴버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는 슈트; 상기 슈트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브라켓과; 및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및 분리가 쉽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기 슈트 및 상기 하우징 브라켓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이 형성된 클립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카울 크로스 맴버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브라켓과,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및 분리가 쉽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기 슈트 및 상기 하우징 브라켓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이 형성된 클립부재를 포함하여, 별도의 공구없이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카울 크로스 맴버를 분리하지 않고도 조수석 에어백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틸 클립 및 볼트를 삭제하고 플라스틱 클립을 추가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와 슈트 및 하우징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와 하우징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구조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차 실내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카울 크로스 맴버(미도시)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백 하우징(1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결합되는 슈트(30)와, 상기 슈트(30)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하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브라켓(40)과,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및 분리가 쉽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상기 슈트(30) 및 상기 하우징 브라켓(4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양측에 걸림부(22)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26)이 형성된 클립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슈트(30)는 상기 클립부재(20)의 걸림부(22)와 끼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클립 고정홀부(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슈트(30)의 하측면에는 상기 클립부재(20)의 클립홀(26)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 돌기부(34)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브라켓(40)은 상기 슈트(30)의 돌기부(34)를 끼움 결합하도록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홀부(42)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20)의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얇은 바를 이용하여 상기 클립부재(20)를 양쪽으로 쉽게 벌려서 분리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분리홈부(2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20)는 조립이 쉬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구조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차 실내와 대향되게 설치하고, 카울 크로스 맴버(미도시)의 전방에 에어백 하우징(10)을 배치한다,
이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결합되는 슈트(30)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하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브라켓(40)을 구비하여 상기 슈트(30)와 대응되게 설치한다.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및 분리가 쉽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10)의 상기 슈트(30) 및 상기 하우징 브라켓(4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양측에 걸림부(22)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26)이 형성된 클립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슈트(30)는 상기 클립부재(20)의 걸림부(22)와 끼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클립 고정홀부(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슈트(30)의 하측면에는 상기 클립부재(20)의 클립홀(26)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 돌기부(3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클립부재(20)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도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브라켓(40)은 상기 슈트(30)의 돌기부(34)를 끼움 결합하도록 대응되도록 형성한 돌기홀부(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훌부와 상기 클립부재의 상기 클립홀은 상하로 일치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에 함께 끼워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20)의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클립부재(20)를 양쪽으로 쉽게 벌려지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클립부재를 사용하고, 내측에 형성된 분리홈부(24)를 더 포함하여 벌림이 더욱 쉽도록 얇은바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와 슈트 및 하우징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와 하우징 브라켓의 결합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백 하우징 20 : 클립
22 : 걸림부 24 : 분리홈부
26 : 클립홈 30 : 슈트
32 : 클립 고정부홀 34 : 돌기부
40 : 하우징 브라켓 42 : 돌기홀부

Claims (6)

  1.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와 대향되게 설치되고, 카울 크로스 맴버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결합되는 슈트;
    상기 슈트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브라켓; 및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및 분리가 쉽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상기 슈트 및 상기 하우징 브라켓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게 양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클립홀이 형성된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클립부재의 걸림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클립 고정홀부를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하측면에는 상기 클립부재의 클립홀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브라켓은 상기 슈트의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도록 대응되도록 형성된 돌기홀을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의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얇은 바를 이용하여 상기 클립부재를 양쪽으로 쉽게 벌려서 분리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분리홈부를 더 포함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조립이 쉬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조립구조.
KR1020080114183A 2008-11-17 2008-11-17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KR20100055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83A KR20100055216A (ko) 2008-11-17 2008-11-17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183A KR20100055216A (ko) 2008-11-17 2008-11-17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216A true KR20100055216A (ko) 2010-05-26

Family

ID=4227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183A KR20100055216A (ko) 2008-11-17 2008-11-17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52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38B1 (ko) * 2010-10-14 2013-02-05 덕양산업 주식회사 조수석의 에어백 모듈
WO2018026175A1 (ko) * 2016-08-03 2018-02-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38B1 (ko) * 2010-10-14 2013-02-05 덕양산업 주식회사 조수석의 에어백 모듈
WO2018026175A1 (ko) * 2016-08-03 2018-02-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CN109843655A (zh) * 2016-08-03 2019-06-04 奥托立夫开发公司 汽车的安全气囊外壳
CN109843655B (zh) * 2016-08-03 2021-07-16 奥托立夫开发公司 汽车的安全气囊外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993B2 (ja) 車両の内装部品の配設構造
US8840136B2 (en) Mounting structures for front pillar trims
JP5608749B2 (ja) 車両の内装部品の配設構造
KR101637207B1 (ko) 차량의 안전장치
JP7147374B2 (ja) 車両用ピラー構造
JP200720390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50053116A (ko) 커튼 에어백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필러트림 결합구조
KR20100055216A (ko) 조수석 에어백 조립 구조
KR100990569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11218994A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WO2013099669A1 (ja) エアバッグ装置用ハウジング
KR101052988B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20090026529A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JP4259197B2 (ja) 頭部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部構造
KR20090117515A (ko) 자동차의 도어 모듈 및 그 조립방법
JP4096856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6507392B2 (ja) 乗員保護装置
KR100698683B1 (ko)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도어의 조립구조
KR20080026814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
KR101550142B1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 고정구조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20090065708A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JP2005324706A (ja) 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KR100727162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