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849A -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849A
KR20100052849A KR1020080111716A KR20080111716A KR20100052849A KR 20100052849 A KR20100052849 A KR 20100052849A KR 1020080111716 A KR1020080111716 A KR 1020080111716A KR 20080111716 A KR20080111716 A KR 20080111716A KR 20100052849 A KR20100052849 A KR 2010005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bstacle
rpas
output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2849A/ko
Publication of KR2010005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84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other obstacle sensor information, e.g. using RADAR/LIDAR/SONAR sensors for estimating risk of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장애물 검출 위치에 상응하는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 또한, 경고음의 출력 주기나 출력 세기가 장애물과 차량과의 거리에 상응하도록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이 설명된다. 이러한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에 따르면 운전자가 스피커 출력을 통해 장애물의 위치 및 거리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PAS, RPAS, AVN

Description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A RPAS/PAS SYSTEM ENGAGED WITH A VEHICLE AV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보조 시스템(PAS: Parking Assistance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방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저를 통한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장애물이 근접해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차량의 후방에 장애물의 존재여부 및 장애물이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두어, 그 거리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는,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위치를 간략히 표시하거나, 후방감시 카메라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장애물이 근접해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하지만,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방법의 경우 장애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운전자의 불안감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클러스터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해 주는 방법의 경우 후진 이동시 운전 자 시선은 통상적으로 후방을 향하게 되어 전방에 장착되는 화면에만 집중할 수 없고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배경기술에 있어서, 본 문서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으로서 차량 주변의 장애물 정보를 차량에 장착되는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RPAS/PAS 시스템 제공을 해결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서의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여 센서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 상기 장애물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차량 주변에 대한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정보와 상기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부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의 스피커가 경고음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가 표시된 후방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고음의 출력 세기 및 출력 주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경고음 출력 중에 상기 장애물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 상기 경고음의 출력 세기 및 출력 주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의 거리가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고음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이미 오디오 출력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오디오 사운드는 뮤트 즉, 묵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장애물에 대해서 장애물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의 출력 세기를 결정하여 경고음을 출력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운전자가 소리만 듣고도 장애물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경보 표시 장치를 통하지 않고서도 위와 같은 장애물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의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화면 등을 포함하는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후방) 주차 보조 시스템(이하, RPAS/PAS 시스템이라 칭함.)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의 구조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에서의 스피커 출력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고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센서정보와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20), 장애물을 검출한 센서와 상응하는 위치의 스피커에 대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0) 및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10, 11, 12, 1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00에서 AV 사운드가 출력된다. 다만, 이는 차량의 스피커부(10, 11, 12, 13)를 통해 이미 사운드 출력이 있는 경우를 가정하는 것이고, 스피커 자체만으로 작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면, 당연히 생략될 수 있는 단계일 것이다.
단계 S310에서 장애물 검출 센서 즉, 센서부(20)로부터 센서 검출 입력의 센서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센서 검출 입력값으로는 센서 위치 정보 또는 센서 번호 정보 등과 같은 센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20에서 센서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S330에서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센서부(20)로부터 거리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 전달되는 거리 정보를 확인하면 되지만, 센서부(20)로부터 거리 정보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계산할 수도 있다.
단계 S340에서 제어부(40)는 센서정보와 거리정보를 차량의 AVN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이 제어부(40)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는 린포트(Lin port)에 의해 차량의 AVN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AVN 시스템은 단계 S350에서 스피커부(10, 11, 12, 13)를 통해 출력 중인 사운드를 뮤트 즉, 묵음 모드로 전환시키고, 단계 S360에서 센서 정보를 통해 장애물 위치를 판단해서 장애물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의 스피커에서만 경고음 발생시킨다. 또한, 단계 S370에서 거리정보를 통해 장애물과의 거리를 판단하고,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경고음의 주기 및/또는 경고음 출력 세기 등을 결정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아래 표 1은 센서 위치와 경고음이 출력되는 스피커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경고음의 주기와 출력 세기가 결정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센서 위치 스피커
센서 1 FL 스피커 1
센서 2 FR 스피커 2
센서 3 RL 스피커 3
센서 4 RR 스피커 4
거리 경고음 주기 출력 세기
120cm 1sec 스텝 5
60cm 0.5sec 스텝 9
30cm 0.25sec 스텝 15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차 또는 후진 중 장애물(50)이 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되면 해당 위치 및 거리 정보가 제어부(40)에 전달되고 그러면, 본 실시예에 따라 장애물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스피커 즉, RR 스피커(13)를 통해서 경고음이 출력되고 아울러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가 60cm인 경우 경고음의 주기는 0.5sec로, 출력 세기는 스텝 9로 출력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경고음 출력 중에 상기 장애물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에는 경고음의 출력 세기 및 출력 주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장애물의 거리가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어 단계 S380에서 장애물의 거리가 120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S390으로 진행하여 경고음 출력을 종료하고 다시 단계 S300으로 진행하여 뮤트로 전환된 사운드를 다시 출력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물 위치와 거리를 차량 스피커를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시선 분리없이 장애물 위치 및 거리를 즉시 공감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HMI 관점에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 즉, 디스플레이 화면(30)을 통해서 장애물이 표시된 카메라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에 장애물 위치 및 거리와 카메라 영상을 동시에 표현해 준다.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30)에 표시되는 영상은 장애물의 위치 또는 차량의 기어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계 S400에서 역주행 기어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10에서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30)에 표시해 준다. 이때 후방에 장애물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이 후방 영상에 장애물까지 함께 표시해 준다. 예를 들어, 장애물 검출시 투명한 자동차 그래픽이 팝업되면서 장애물 위치 및 거리를 디스플레이 화면(30)에 후방 영상과 동시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에서의 스피커 출력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12, 13: FL, FR, RL, RR 스피커
20: 센서부
30: 디스플레이 화면
40: 제어부
50: 장애물

Claims (5)

  1.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여 센서신호를 송신하는 센서부;
    상기 장애물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상기 차량 주변에 대한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센서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센서정보와 상기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부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의 스피커가 경고음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장애물의 위치가 표시된 후방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의 출력 세기 및 출력 주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장애물과 차량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출력 중에 상기 장애물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 상기 경고음의 출력 세기 및 출력 주기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거리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의 거리가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고음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이미 오디오 출력이 제공되고 있는 경우 오디오 사운드를 뮤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KR1020080111716A 2008-11-11 2008-11-11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Ceased KR20100052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16A KR20100052849A (ko) 2008-11-11 2008-11-11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716A KR20100052849A (ko) 2008-11-11 2008-11-11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849A true KR20100052849A (ko) 2010-05-20

Family

ID=4227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716A Ceased KR20100052849A (ko) 2008-11-11 2008-11-11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28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7201A1 (de) * 2011-10-20 2013-04-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mittels einer fahrerunterstützungsvorrichtung
CN108749762A (zh) * 2018-08-20 2018-11-06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一种预紧限力安全带及其预紧限力抗衰减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7201A1 (de) * 2011-10-20 2013-04-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mittels einer fahrerunterstützungsvorrichtung
CN108749762A (zh) * 2018-08-20 2018-11-06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一种预紧限力安全带及其预紧限力抗衰减机构
CN108749762B (zh) * 2018-08-20 2024-05-28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一种预紧限力安全带及其预紧限力抗衰减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7958B2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JP5182137B2 (ja) 車両周辺表示装置
KR20120103232A (ko) 장애물 충돌 방지를 위한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TWI557003B (zh) 結合感測器的車用智能影像安全系統
JP2006284454A (ja) 車載用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
JP2959334B2 (ja) 後続車両警告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257636A (ja) 運転支援装置
JP2008129734A (ja) 立体音像警報装置
JP2023184778A (ja) 車両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表示方法
JP2011044085A (ja) 運転支援装置
JP2008158963A (ja) 車両周囲検知システム
JP2017027181A (ja) 運転支援音声出力制御装置および運転支援音声出力制御方法
KR20100052849A (ko) 차량의 avn 시스템과 연동하는 rpas/pas 시스템
KR20100076479A (ko) 충돌 경보 시스템 및 충돌 경보 시스템 제어방법
KR101605553B1 (ko) 물체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EP279779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al object awareness
JP2014010773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70108720A (ko) 차량의 장애물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130893A (ja) 車両障害物検出確認装置
KR102287854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8080939A (ja) 接近物体警報装置
JP2023002810A (ja) 出力装置
KR20160058443A (ko)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31879A (ko) 주변 차량을 감지하는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10120470A (ja) 車両安全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