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072A - 외과수술 봉합장치, 방법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 Google Patents

외과수술 봉합장치, 방법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072A
KR20100051072A KR1020107003741A KR20107003741A KR20100051072A KR 20100051072 A KR20100051072 A KR 20100051072A KR 1020107003741 A KR1020107003741 A KR 1020107003741A KR 20107003741 A KR20107003741 A KR 20107003741A KR 20100051072 A KR20100051072 A KR 2010005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fuselage
guide
placement device
elong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098B1 (ko
Inventor
마샬 에스. 레바인
Original Assignee
알파 사이언티픽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사이언티픽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파 사이언티픽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5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6Breast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0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having additional means for releasably clamping the suture to the needle, e.g. actuating rod slideable with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2Needle-suture combinations in which a suture is extending inside a hollow tubular needle, e.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 A61B2090/08021Prevention of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of the patient or his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중앙 안면 거상술, 목주름 제거술, 이마주름 제거술(혹은 눈썹 올림술), 눈밑 지방 제거술, 가슴 거상술 및 기관 재위치 교합술과 같은 성형 수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과수술 절차를 수행하는데 유용한 장치에 관한 것인데, 상기 장치는 떨어진 접근점으로부터 피하조직의 층 내에 봉합사(60, 65, 120, 130)를 배치하는데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부재(6, 7, 36, 51) 및 가이드(13, 43, 54)를 갖는 동체(2, 3, 31, 52)를 포함한다. 변형 부분(63)을 갖는 봉합사(60, 65)는 원하는 외과수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와 함께 사용을 위해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외과수술 봉합장치, 방법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7년 7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962,031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의료시술자로 하여금 떨어진 접근점으로부터 피하조직층 내에서 봉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이러한 장치에 의해 촉진되는 외과수술 방법, 및 이러한 외과수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유용한 관련 도구들에 관한 것이다.
주로 성형수술 분야에서 다양한 외과수술적 방법들은 멀리 떨어진 접근점으로부터 피하조직층의 내부 깊숙한 위치에서 봉합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용되는 통상적인 절차는 우선 적절한 접근을 위해 조직(예를 들어, 안면조직)층을 분리하고, 그 후, 조직층들을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함께 봉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는 광범위한 외과적 수술을 요하는데, 이는 비용의 증대를 가져오며, 또한 치유되는데 상당한 시간(예를 들어, 몇주간)이 걸린다.
환자에게 수반되는 외상, 절차에 따른 비용 및 회복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절차들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시도된 절차들 중 하나는 접근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피하조직을 고정시킬 수 있는 갈고리 모양의 측면을 갖는 장치를 이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갈고리(barb)는 비교적 짧은 시간(수개월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풀려지기 쉬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후, 이러한 갈고리의 풀림으로인해 고정된 조직들이 처지게 된다.
시도된 다른 절차들은 멀리 떨어진 접근점으로부터 봉합사(suture)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봉합 장치들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부피가 큰 기계장치들이어서, 실제로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상당한 조직층의 분리를 요구하여, 일반적으로 혈관 및 신경이 절단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을 사용하는 외과수술적 절차들은 복잡하여, 대개는 내시경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바람직한 절차에 복잡성을 더하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외과수술적 절차들은 조직이 손상될 우려가 매우 심하며, 시간 및 비용의 증대를 가져오고, 또한 긴 회복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 결과, 외과수술, 특히 안면 성형수술에 있어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봉합사를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절개로 안면조직에 진입할 수 있어 수술 후 외관에 흉터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또한, 당업계에서 흔히 "치즈 와이어 효과(cheese wire effect)"라고 불리는 문제인, 응력이 가해져서 봉합사가 조직 내로 돌아다니는 문제로 인한 피부처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장기간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외과수술적 절차가 요구된다.
다양한 봉합 도구들이 외과수술적 실습에 잘 알려져 있는데, 특히, 피부 또는 기관 내에서 행해진 절개와 같은 수술에서, 분리된 조직을 원격 조작에 의해 함께 봉합하는 작업을 하는 복강경 수술절차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도구들 중 하나의 예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데, 하나의 손상부 또는 절개부 면에 조직을 통하여 완전히 통과될 수 있는 제1의 세장형 공동 동체(elongated hollow body), 및 다른 손상부 또는 절개부 면을 통하여 완전히 통과되는 간극(aperture)을 갖는 제2의 세장형 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동체들은 정렬 장치에 의해 함께 끌려와 손상부를 밀폐하며 양쪽 동체들의 말단부들이 만나서 서로 합치되도록 하는데, 봉합사의 통로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횡측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조직의 내부면은 통상적으로 공기 또는 유액과 같은 자유로이 이동가능한 매개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동체를 통해 관통된 봉합사는 제2 동체의 간극을 통하여 통과할 수 있으며, 내부면 내로 방해없이 나올 수 있다. 그 후, 상기 봉합사는 상기 간극을 갖는 제2의 세장형 동체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조직의 외부로 회수될 수 있는데, 팽팽하게 당겨져 반대편 봉합사의 말단과 함께 매듭지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도구들은 연속되는 봉합사의 바늘땀 내부 또는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봉합 도구들은 지혈 겸자와 많이 닮은 구조를 하고 있는데, 원격의 회전 중심점으로부터 작동하는 핀싱(pincing) 동작을 사용하며, 떨어진 조직을 결합하고 부착하는데 마찬가지로 적합하다.
추가로 고려할 점은 특정 외과수술 절차, 특히 안면 성형수술을 포함하는 절차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국소적인 조작을 요하는 상처 봉합과는 달리 멀리 떨어진 접근점으로부터의 외부 조작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류의 세장형 공동 동체를 갖는 도구는, 피하의 목적 간극과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며 그곳을 통하여 통과하도록 하는 장치에 의해 유도되어야 하며, 사용될 유도 및 결합 작동은 실질적으로 공동 동체(hollow body)의 축과 일치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조직의 융기가 일어나서 원치 않는 미용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안면 성형수술 절차의 예를 위하여, 적절한 정렬 장치가 목적 간극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보조되어야 하는데, 이는 정렬 기계장치 내에서의 약간의 헐거움조차 공동 동체 및 간극 사이에서의 잘못된 배열을 야기하고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함인데, 그로 인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용의 이유로, 간극들의 크기를 역시 최소화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안면 성형수술에 있어서, 피부 조직의 흉터를 방지하고자 작은 직경을 갖는 공동 동체(바람직하게, 1㎜ 또는 그 이하)를 사용할 추가적인 필요가 있다. 또한, 외상을 좀 더 방지하기 위하여, 외과수술 장치는 봉합사 말단부들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하는데, 후에 안면상의 통상적인 외부 위치에서의 추출에 있어서, 원하는 절차를 완료하기 위하여 노출된 말단들이 팽팽하게 당겨지고 함께 매듭지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추가의 고려할 점은 축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봉합사 재료가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공동 동체는 피하 조직 내에서 봉합사를 수용할 만한 공간을 만들기에 충분한 거리로 간극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봉합사 재료는 융기가 일어나 간극에서의 포획 및 추출에 적절한 길이로 배치되지 못할 것이다. 상기 장치는 추출 동안 봉합사 말단들을 죄는 적절한 힘으로 붕괴되는 간극이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장치들은 이러한 식으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상술한 근본적인 결함들을 극복할 수 있는 외과수술 봉합 장치를 제공하여, 바람직한 외과수술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요구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수술, 특히 안면 성형수술에 있어서 환자에게 수반되는 외상, 절차에 따른 비용 및 회복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개선된 외과수술 봉합장치 및 도구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리 떨어진 접근점으로부터, 피하조직층 내부 깊숙한 위치에 봉합사를 배치할 수 있고, 바람직한 외과수술 절차를 수행하는 외과수술 방법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들이 극복된다. 상기 장치 및 이에 해당되는 외과수술 방법은 주로 성형수술에 이용될 의도로 제작된 것이며, 특히 중앙 안면 거상술(mid face lift)을 수행하는 관점에서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의 변형예들이 목주름 제거술(neck lift), 이마주름 제거술(혹은 눈썹 올림술)(brow lift), 눈밑 지방 제거술(under-eye lift), 가슴 거상술(breast lift), 기관 재위치 교합술(organ repositioning) 및 이와 유사하게 조직의 재위치 교합 및 고정을 요하는 다양한 다른 외과수술적 절차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고정물로서 상기 고정물의 원위 말단부에 위치한 아일릿(eyelet)이나 이에 상응하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며, 미세한 천자(puncture)나 절개를 통하여 두피나 안면 피부로 들어갈 수 있는데, 상기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guide)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아일릿(또는 개구부)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통로를 확보한다. 상기 가이드는 캐뉼러(cannula), 또는 봉합사를 이송하기 위한 등가의 장치를 수용하도록 작동되는데, 상기 캐뉼러 또는 봉합사 이송 장치는 피부 및 피하조직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물에 결합된 아일릿을 통과하고, 이어, 피부를 빠져나와 부가의 외부 가드(guard) 내에 놓이게 된다. 그 후, 봉합사는 캐뉼러를 통하여 관통될 수 있는데, 캐뉼러를 제거한 후, 상기 봉합사가 피부 및 피하조직을 통하여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 후에, 상기 아일릿들은 당겨지는데, 이로 인해 상기 봉합사는 상기 아일릿들을 위한 진입 위치에서 빠져나오는 말단부들을 갖는 피하조직 슬링(sling)을 형성하며, 이는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한 미용 효과를 달성하고자, 관계된 조직을 재배치하기 위한 적절한 장력에 의해 봉합사가 골막(periosteum) 또는 광대뼈 아치부(zygomatic arch)의 인대에 고정되는 바람직한 절차가 기술된다. 고정물은, 피하에 위치하며 공통의 기저 라인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간극들을 통과하는 사각 또는 대안으로서 삼각의 긴 면들 각각을 따라 봉합사를 순서대로 유도하는데 사용되며, 이로 인해, 상기 봉합사의 말단부들은 순서대로 준비되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된다.
다른 대안으로서, 장력으로 인한 피하 조직 내의 응력을 분산하는 하나 이상의 굵은 부분들을 갖는 봉합사가 제공된다. 이러한 봉합사는 예를 들어, 조직 또는 기관이 상기 봉합사와 함께 형성된 슬링을 사용하여 재배치되는 상황, 및 상기 봉합사가 조직에 끼어들 우려(즉, 소위 "치즈 와이어 효과")가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과수술 상황에 대한 적응성을 가질 것이다.
다양한 대안적인 고정물 및 캐뉼러 구조물의 구현예들이 제공된다. 일례의 고정물은 힌지(hinge)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동체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동체는 한 쌍의 세장형 부재(elongate member)를 포함하는데, 상기 부재는 상기 부재의 원위 말단부에 형성된 아일릿들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동체는 캐뉼러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캐뉼러를 통하여 통과되는 봉합사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뉼러가 상기 세장형 부재의 아일릿들을 통하여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고정물은 원위 말단부의 아일릿들을 포함하는 한 쌍의 세장형 부재들 사이에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고정물은 단일의 아일릿을 갖는 단일의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고정물은 원하는 피하 위치로 연장될 수 있는 한 쌍의 암(arm)을 수용하는 단일의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암들 각각은 봉합사가 통과될 수 있는 아일릿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고정물 구현예 각각은 봉합사를 이송하기 위한 캐뉼러를 수용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캐뉼러는 캐뉼러에 의해 수용되는 봉합사를 이송하고, 인접한 조직에서의 선택적인 배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고형의 구조물 또는 공동의 관상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봉합사를 유도하기 위한 부착된 바늘을 포함하는 봉합사가 캐뉼러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중앙 안면 거상술에 바람직할 것으로 현재 여겨지는 방법에서, 상기 봉합사에 의해 형성된 슬링은 광대뼈 골막 또는 인대에 고정된다. 이는 안면 절개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미니어처 도구들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봉합사는 사각 또는 예리한 삼각 패턴으로 조직층 내 깊숙한 곳에 상기 봉합사를 관통시킴으로써 슬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적으로 조작된다.
기술된 외과수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하기 도면들과 함께 아래에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물(fixture) 및 캐뉼러의 제1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2는 2-2 선을 따라 절개한 도 1에 도시된 고정물의 단면도;
도 3은 밀폐된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된 고정물의 측면도;
도 4는 개방된 위치에서의 도 1에 도시된 고정물의 측면도;
도 5는 캐뉼러에 대한 통로를 설정하기 위한, 오프셋(offset) 가이드를 갖는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6은 조절 특성을 갖는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7은 곡률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8은 곡률을 갖는 동체를 포함하는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9는 한 쌍의 확장가능한 암(arm)을 갖는 단일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10은 상기 단일 세장형 부재로부터 암들이 확장된 상태의, 도 9에 도시된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11은 단일 세장형 부재를 갖는 고정물의 대안예의 등각 투영도;
도 12는 상기 고정물과 함께 외과수술 절차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봉합사의 제1 대안예의 평면도;
도 13은 상기 고정물과 함께 외과수술 절차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봉합사의 제2 대안예의 평면도;
도 14는 좁은 블레이드 외과용 메스(narrow blade scalpel)의 등각 투영도;
도 15 및 도 16은 절개용 도구들의 등각 투영도;
도 17 및 도 18은 인대 조정기(ligament handler)들의 등각 투영도;
도 19는 조직-표시 도구의 등각 투영도;
도 20은 조직-표시 도구를 포함하는 가이드 도구의 등각 투영도;
도 21 및 도 22는 봉합사 고정 도구의 절개된 등각 투영도;
도 23 내지 도 39는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외과수술 절차들 중 일례를 제공하는 일련의 예시도;
도 40 및 도 41은 도 12에 도시된 봉합사의 사용을 위한, 외과수술 절차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련의 예시도;
도 42 내지 도 4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고정물의 대안예의 사용을 위한, 외과수술 절차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련의 예시도;
도 46 내지 도 49는 도 11에 도시된 고정물의 대안예의 사용을 위한, 외과수술 절차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련의 예시도;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외과수술 절차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대안적인 제1 구현예를 나타내며, 이는 현재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된다. 고정물(1)은 회전하는 힌지(4)에 의해 연결된 상부 동체(upper body)(2) 및 하부 동체(lower body)(3)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맞춤못(dowel)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다른 힌지 구성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거나, 원하는 경우, 힌지없이 상기 동체들(2, 3)이 결합될 수 있다. 기술될 다양한 고정물 구현예의 다른 요소들뿐만 아니라 상기 동체들(2, 3)은 살균 영역을 제공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동체(3)는 상기 힌지(4)의 반대쪽에 있는 말단면(5)과, 상기 말단면(5)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세장형 부재(6, 7)를 포함한다. 상기 세장형 부재(6, 7)는 속이 차 있거나 속이 빈 공동의 형태일 수 있으며, 폭 또는 직경은 다른 두께들도 허용가능하지만 2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장형 부재(6, 7) 각각의 원위 말단부들은 아일릿(8, 9)을 각각 포함하며, 원하는 경우, 상기 세장형 부재들(6, 7)을 작은 절개부위들 내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뾰족한 팁(1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일릿(8, 9)은 가로로 길게 뻗은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 타원 또는 원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아일릿(8, 9)은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팁들로부터 연장되는 훅(hook)들로 대체될 수 있거나,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팁들로부터 연장되는, 관통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탐침(또는 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세장형 부재(6, 7)는 다양한 여러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3 내지 4㎝ 정도의 길이를 가질 것이다. 대안으로서,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길이는 상기 고정물이 다양한 거리에서 피하조직 내로 침투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장형 부재(6, 7)들의 간격은 다른 간격들 또한 사용가능하지만, 통상적으로 약 1㎝의 거리로 떨어져있으며, 선택된 간격은 또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조절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동체(2)는 상기 하부 동체(3)의 말단면(5)에 근접한 곳에 상기 힌지(4)의 반대쪽에 있는 말단면(10)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말단면(10)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암(11, 12)은 상기 상부 동체(2)의 마주보는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하부 동체(3)의 말단면(5)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세장형 부재(6, 7)와 일직선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11)의 원위 말단부는 상기 암(11)의 길이방향의 축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1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3)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호작용하는 봉합사-이송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한 간극(14)과 같은 열쇠식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간극(14)은 상기 가이드(13)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봉합사-이송 구조물은 상기 암(11)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것이다.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12)의 원위 말단부는 상기 암(12)의 길이방향 축과 다시 한번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가드(15)가 구비된다. 상기 가드(15)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봉합사-이송 구조물의 말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 구역(17)을 규정하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상기 구조물의 사용자가 찔리는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상기 봉합사-이송 구조물의 말단부를 수용할 목적을 갖는다. 상기 가드(15)는 또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피하조직으로부터 캐뉼러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조직을 누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드(15)의 대안으로서, 압설자(spatula) 또는 몇몇 다른 등가의 구조물이 상기 조직을 누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3) 및 상기 간극(14)은, 도시된 캐뉼러(20)와 같은 적절한 봉합사-이송 구조물을 상기 가이드(13),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상기 아일릿(8, 9)을 통하여 상기 가드(15) 내로 연장되는 중심선(21)을 따라 유도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피부의 바람직한 침투 후에 피하조직을 통한 상기 캐뉼러(20)의 횡단을 조절하도록 작용하는데, 상기 캐뉼러(20)가 상기 아일릿(8, 9)을 관통하여 피부에 침투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가드(15)의 안전한 개방 구역(17) 내에서 상기 피부로부터 빠져나와 머무르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13), 상기 아일릿(8, 9) 및 상기 가드(15)는 상기 중심선(21)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배열되며, 상기 가드(15) 내의 마주보는 면(18)들은 상기 중심선(21)으로부터 수 밀리미터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뉼러(20)의 한쪽 말단(22)은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예리한 팁을 포함한다. 상기 캐뉼러(20)의 다른쪽 말단(23)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봉합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허브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의 사용은 상기 캐뉼러(20)의 내부 직경을 따라 서서히 가늘어지는 입구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봉합사가 상기 캐뉼러(20) 내로 원활하게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캐뉼러(20)의 말단은 봉합사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허브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캐뉼러(20)의 말단은 팁(22) 근처에 굵은 부분이 구비될 수 있거나, 또한, 허브가 없는 캐뉼러(2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캐뉼러(20)의 허브로부터 팁까지의 노출된 길이는, 상기 캐뉼러(20)가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아일릿(8, 9)을 지나서 상기 허브가 상기 가이드(13)의 입구점에 가장 근접한 위치까지 밀려진 경우에, 예리한 팁(22)이 상기 가드(15)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정되는데, 상기 캐뉼러(20)에게 상기 예리한 팁(22)이 상기 가드(15) 내에 확실히 머무르도록 하는 적절한 길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간극(14) 및 상기 아일릿(8, 9)의 크기는 예리한 21 게이지 캐뉼러를 수용할 수 있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러 다른 캐뉼러 사이즈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다른 크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물(1)은 환자 얼굴의 좌측면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이라는 점이다. 대안의 예로 환자 얼굴의 우측면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암(11) 및 암(12)은 위치가 바꿔질 수 있는데, 예시된 다양한 구조물들이 반대로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상술한 구조적인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하부 동체(3)와 인접하여 있는 상부 동체(2)를 도시한다. 도 4는 상기 하부 동체(3)로부터 상기 상부 동체(2)의 분리를 나타내는데, 암(11, 12), 가이드(13) 및 가드(15)가 윗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 동체(3)의 세장형 부재(6, 7)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세장형 부재(6, 7)에 자유로운 접근을 허용하여, 처치될 조직 내의 절개부로 삽입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 동체(2) 및 하부 동체(3) 사이에 연장되는 엄지 나사(thumb screw)(24)는 구조물들을 분리되도록 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또한, 상기 구조물들을 함께 조여서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 상기 아일릿(8, 9) 및 상기 가드(15)를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엄지 나사(24)를 대신하는 다른 장치들도 사용될 수 있는데, 가령 상기 나사와 동일한 축 상에서 회전가능한 페이스 캠은, 원하는 경우, 상기 상부 동체(2) 및 하부 동체(3) 사이에 죄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고정물(1)과 공통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갖는 대안적인 고정물(1')의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일부 변형된 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상술한 요소들과 일치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대안적인 고정물(1')의 구현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물(1)의 가이드(13)를 오프셋 가이드(13')로 대체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13')의 오프셋(25)으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세장형 부재(6, 7)에 달려있는 아일릿(8, 9)을 통하여 연장되는 중심선(21)에 대하여 오프셋된 만큼의 차가 생길 것이다. 지그(jig, 26)는 상기 간극(14') 또는 상기 가이드(13')에 결합된 일부 다른 열쇠식 구조물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캐뉼러(20)와 함께 결합되는데, 이로써 상기 지그(26)의 열쇠부(key)(27)가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캐뉼러(20)는 상기 중심선(21)과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열되게 된다. 상기 열쇠(27) 및 상기 간극(14')은 딱 맞물리는 사각의 단면들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상기 캐뉼러(20)가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아일릿(8, 9)과 용이하게 후속 배열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고정물(1)과 공통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갖는 대안적인 고정물(30)의 구현예를 도시하는데, 일부 변형된 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고정물(30)은 단일 동체(31)를 사용하는데, 이는 상기 고정물(1)의 하부 동체(3)를 대신하며, 부분(31a) 및 부분(31b)으로 나뉘어진다. 엄지 나사(32)는 부분(31a) 및 부분(31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이는 동체 부분들(31a, 31b)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부재들(6, 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엄지 나사(32)가 조절되는 경우에 동체 부분들(31a, 31b)의 배열을 유지하도록 핀(34)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물(30)의 암(28, 29)은 각각의 동체 부분에 결합된 것이라기 보다는 예를 들어, 도시된 널링 나사(33)를 사용하여 동체 부분들(31a, 31b) 상에 조립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고정물(1)의 상부 동체(2) 및 하부 동체(3)와 유사한 조절가능한 동체들은 상기 상부 동체(2) 및 하부 동체(3)를 적절하게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엄지 나사(32)와 유사한 조절 요소로 상기 개별적 부분들을 제공하게 함으로써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고정물(30)과 공통된 특성들을 갖는 고정물의 추가적인 대안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대안적인 고정물(30')의 구현예는 고정물(1, 30)의 직선의 세장형 부재(6, 7)를 휘거나 신체에 맞게 만들어진 세장형 부재(6', 7')로 대체하며, 직선의 암(28, 29)을 휘거나 신체에 맞게 만들어진 암(28', 29')으로 대체한다. 도 8에 도시된 대안적인 고정물(30")의 구현예는 상기 고정물(30)의 평면형 동체(31)를 휘거나 신체에 맞게 만들어진 동체(31')로 대체한다.
상기 고정물(1)의 평면형 동체(2, 3)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경우, 휘거나 신체에 맞게 만들어진 동체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신체에 맞게 만들어진 동체들 및 세장형 부재들의 조합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눈밑이나 이마위와 같은 얼굴의 다양한 부분들로의 진입을 도와준다. 눈밑에서의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휘거나 안면에 맞게 만들어진 세장형 부재들이 눈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마 주름제거의 경우에는 휘거나 이마의 윤곽에 맞게 만들어진 동체들이 이마 위의 두개골의 모양을 따라가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고정물(30) 및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대안적인 구현예들은 환자 얼굴의 좌측면상에 사용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추가의 대안으로, 환자 얼굴의 우측면상에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암 및 세장형 부재들이 적절하게 위치가 뒤바뀔 수 있는데, 이로써 예시된 다양한 구조물들이 반대로 위치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단일 세장형 부재(36) 및 단일 암(37)을 갖는 대안적인 고정물(35)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상기 세장형 부재(36)는 한 쌍의 연장부(38, 39)를 수용하는 공동 튜브(hollow tub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36)는 상기 암(37)을 포함하는 핸들(40)에 의해 지지된다. 샤프트(41)는 상기 튜브(36) 내에 활주형으로 수용되며, 상기 연장부(38, 39)와 함께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41)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41)의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knob, 42)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9에서, 상기 샤프트(41) 및 손잡이(42)는 상기 연장부(38, 39)를 상기 튜브(36) 내에서 완전히 당기는 수축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샤프트(41) 및 손잡이(42)는 앞쪽으로 밀어져서 상기 연장부(38, 39)로 하여금 튜브(36)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38, 39)는 스프링이 탑재될 수 있어 상기 연장부들이 펼쳐지는 경우에 분리되어 상기 연장부들의 말단에 구비된 아일릿(8, 9)들이 상기 고정물(1)의 세장형 부재(6, 7)에 결합된 아일릿(8, 9)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것과 유사하게 서로 간격을 두어 떨어져 있도록 한다. 이로써, 여러 다른 간격들이 형성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약 1㎝ 정도의 간격이 형성될 것이다.
상기 고정물(1, 30)의 가이드(13)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가이드(43)는 예를 들어, 널링 나사(44)를 사용하여 암(37) 상에 조립된다. 상기 널링 나사(44)는 가이드(43)에 부착된 플랜지(45)를 상기 암(37)에 고정시키며, 상기 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러그(lug, 46)는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과 유사한 간극(47)을 포함한다. 펼쳐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43)의 간극(47)은 상기 연장부(38, 39)의 아일릿(8, 9)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것이다.
도 11은 상기 고정물(1, 30)과 공통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갖는 대안적인 고정물(50)의 구현예를 나타내지만, 구조물을 어느 정도 단순화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물(50)은 상기 고정물(1)에 부착된 상기 세장형 부재(6, 7)들 중 하나와 그 구조가 일치하는 단일 세장형 부재(51)를 갖는데, 이는 상기 고정물(50)의 핸들(5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핸들(52)로부터 연장되는 암(53)은 상기 고정물(1)에 부착된 가이드(13)와 유사한 가이드(54)를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암(5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54)는 상기 세장형 부재(51)에 부착된 아일릿(55)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있는 간극(56)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고정물(35), 및 도 11에 도시된 대안적인 고정물(50)은 모두 환자 얼굴의 좌측면상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들이다. 추가의 대안으로 환자 얼굴의 우측면에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예시된 세장형 부재에 대하여 가이드의 위치를 반대로 하기 위한 반대쪽 핸드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외과수술적 절차들의 예를 하기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기술이 주로 중앙 안면 거상술을 수행하는 외과수술적 절차들에 중점을 두고 있고, 목주름 제거술 및 이마주름 제거술을 포함하는 다른 성형수술 절차들이 보다 간략하게 기술되고 있을지라도, 다양한 다른 외과수술적 절차들도 이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차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은 외과의나 특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다른 의료시술자의 필요조건들 및 선호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봉합사 및 도구들 또한 하기에 기술될 외과수술적 절차들의 설명 중 언급될 것이다. 이러한 봉합사 및 도구들은 기술될 절차들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이들 봉합사 및 도구들의 사용은 선택사항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원하는 경우, 통상적인 외과수술적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봉합사 및 도구들 역시 기술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원에 기술되거나 숙련된 의료시술자에 의해 개발된 다른 절차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하기의 외과수술적 절차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봉합사들 및 도구들을 어떤 특정한 절차에 중점을 두지 않고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을 할 것이다.
적절한 직경 및 길이의 자연, 합성 및 금속의 봉합사 재료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상적인 봉합사들 중 어떤 것이라도, 설명될 외과수술적 절차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다양한 앵커 또는 다른 조직-고정성 특성들을 갖는 봉합사들이 봉합사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변형 부분(63)에 의해 분리된, 다른 통상적인 봉합사 재료로 이루어진 부분(61, 62)들을 포함하는 조직-고정성 봉합사(60)를 도시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변형 부분(63)은 상기 부분(61, 62) 사이의 중앙에 바람직하게 위치한 굵은 부분으로 제공된다. 다른 통상적인 봉합사 재료들로 이루어진 추가적인 부분들을 분리하는 추가적인 변형 부분들(63) 역시 원하는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봉합사 구조물이 통상적인 봉합사보다 응력을 더 잘 분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봉합사 구조물은 봉합사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힘을 증가시켜 통상적인 봉합사들이 조직을 통해 부적절하게 이동하는 경우 야기되는 잘 알려진 문제(즉, 소위 "치즈 와이어 효과")를 또한 방지한다.
예로서, 상기 굵은 부분은 약 1㎝의 길이 및 1㎜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굵은 부분을 갖는 봉합사(60)를 제공하기 위하여, 매듭 방식(knotting), 꼬는 방식(braiding), 짜는 방식(weaving), 몰딩 방식(molding), 슬리브 붙임 방식(affixing of a sleeve), 비드 방식(beading), 코일 방식(coiling), 얽는 방식(kinking)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기술들 중 많은 것들이 조직이 성장하는 경우 성장된 조직이 관통할 수 있는 유리한 구멍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추가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흡수성 구역 및 균열 부분(crevice)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조직-고정성 봉합사(65)를 도시한다. 상기 봉합사(65)는 다른 통상적인 봉합사 재료로 이루어진 중심 부분(66)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변형 부분들(63)을 포함한다. 주목할 것은 상기 봉합사(65)와 함께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으로 현재 여겨지는 고정물인 도 11에 도시된 고정물(50)과 사용되는 경우, 상기 봉합사(65)가 세장형 부재(51)에 의해 만들어진 관통 채널로 여러개가 동시에 지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굵은 부분들은 충분한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는 점이다. 상기 봉합사(65)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 부분(66)은 표지(67) 또는 위치(67)에 하나 이상의 매듭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물(1, 30, 35)의 다른 구현예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봉합사(65)가 이러한 장치들에 부착된 다양한 세장형 부재들에 의해 만들어진 관통 채널들로 동시에 여러개가 지나가게 되는 것을 막고자, 상기 굵은 부분(63)은 마찬가지로 충분한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
도 14는 핸들(71) 및 블레이드(72)를 갖는 통상적인 좁은 블레이드 외과용 메스(70)를 도시한다. 상기 블레이드(72)는 약 1 내지 1.5㎜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사용될 고정물의 세장형 부재 또는 부재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절개부위를 만든다.
도 15는 핸들(76) 및 자루(shank)(77)를 갖는 절개용 도구(75)를 도시한다. 상기 자루(77)는 약 4㎝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루(77)의 말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또는 곡선형일 수 있는 무딘 블레이드(78)가 구비되어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절개용 도구(75)에 대한 대안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절개용 도구(80)는 사다리꼴 모양을 하는 도구(80)의 블레이드(81)를 제외하고는 상기 도구(75)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통상적인 직선형 블레이드에 비하여, 상기 사다리꼴형 블레이드(81)는 상기 도구(80)가 작은 절개부위 또는 천자부위로 쉽게 진입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코너각(82)이 일단 절개부위로 들어갈 수 있어서 상기 절개부위에서의 조직이 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블레이드(81)의 반대쪽 면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블레이드(81)가 절개부위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역순의 절차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형 블레이드(81)의 경사진 면(83) 또한 상기 블레이드(81)가 꺼내질 경우 상기 도구(80)가 조직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은 핸들(86) 및 휘어진 캐뉼러(87)를 갖는 바람직한 인대 조정기(ligament handler, 85)를 도시한다. 상기 캐뉼러(87)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만들어질 절개부위들 사이의 간격에 들어맞는 곡률 반지름을 가지며, 예리한 팁(88)을 갖는 약 18 게이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뉼러(87)의 팁(88) 내에 간극(89)이 구비되며, 봉합사가 상기 캐뉼러(87)를 통하여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캐뉼러(87)의 내부 직경은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캐뉼러는, 봉합사가 상기 팁(88) 또는 상기 핸들(86)의 근위 말단부(90)로부터 상기 캐뉼러(87) 및 상기 핸들(86)을 모두 통하여 쉽게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86)의 근위 말단부(90)로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캐뉼러(87)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의 예리한 팁(93)에 인접한 아일릿(92)을 갖는 속이 꽉 찬 형태의 휘어진 바늘(91)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9는 절개부위의 진입자리가 만들어질 조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도구(95)를 도시한다. 상기 도구(95)는 핸들(96) 및 한 쌍의 무딘 표지 탐침(97)을 포함한다. 상기 탐침(97)은 약 1㎝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직에 일시적으로 표시를 만들기에 충분하게, 그러나 조직을 천자할 정도는 아니도록 상기 조직을 누르는 작용을 한다. 상기 도구(95)로 인하여 불결할 수 있는 마킹 펜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0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전하게 피부 및 피하조직을 관통하기 위하여 인대 조정기를 가이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도구(100)를 도시한다. 상기 가이드(100)는 인대 조정기가 피하조직으로부터 안전하게 피부를 빠져나오는 것을 돕는 구역(103)을 규정하는 포크형 원위 말단부(102)를 갖는 핸들(101)을 포함한다. 상기 도구(100)의 핸들(101)은 상기 도구(95)의 탐침(97)과 유사한 탐침(104)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도구(100)를 이중의 목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며, 도 19에 도시된 도구(95)와 별개로 분리해서 사용할 수고를 덜어준다.
도 21 및 도 22는 봉합사의 피하 내 조작을 도울 수 있는 도구(105)를 도시한다. 상기 도구(105)는 와이어(107)를 수용하는 캐뉼러(106)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107)의 근위 말단부는 위치(108)에서 캐뉼러의 근위 말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캐뉼러(106)는 위치(109)에서 개구부를 갖는다. 도 22를 참조하면, 와이어(107)에 가해지는 힘 F1은 캐뉼러(106)에서 형성된 반작용힘 F2와 일치한다. 그 결과, 개구부(109)에 위치한 와이어(107)의 일부(110)는 휘어져 상기 개구부(109)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일부(110)는 상기 와이어(107)가 상기 개구부(109)로부터 전개되는데 바람직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107)의 변형을 돕기 위하여 미리 약간 굽혀진 형태나 형상 기억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07)는 와이어(107) 및 캐뉼러(106)에 가해진 힘을 역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캐뉼러(106) 내로 마찬가지로 수축될 수 있는데, 그 결과, 상기 와이어(107)를 펴게 한다. 원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를 굽히게 하고 또한 상기 와이어를 펴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계장치들이 상기 와이어(107)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도구(105)는 블라인드 봉합사를 포함하여 봉합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확장가능한 아일릿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부터 중앙 안면 거상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외과수술적 절차의 일례를 기술할 것이다. 기술될 단계들이 현재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더라도, 이러한 절차들은 주어진 절차의 조건들 및 이러한 절차를 수행하는 외과의 또는 다른 의료시술자의 선호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하기에 기술될 단계들을 사용하거나 진입 및 고정 방법에서의 변형과 같은 이러한 단계들의 적절한 변형들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외과수술적 절차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체 절차의 초기 단계들은 이후에 안면 거상술 봉합사(즉, "슬링")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앵커를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앵커의 확립은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 슬링이 배치된 이후까지 연기될 수 있다. 어느쪽의 경우든, 중간 안면 거상술을 위한 앵커의 위치는 상부 안면의 광대뼈 아치부상의 골막 또는 인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19에 도시된 도구가 먼저 사용되어 환자의 피부에 2개의 일시적인 눌림 표지(115, 116)를 만든다. 이들 표지들은 앞으로 행해질 절개부위 진입을 위한 의도된 위치, 상기 진입 절개부위 사이의 간격, 및 행해질 성형의 벡터각을 확정하는 절개부위에 대한 각을 확립한다. 상기 벡터각은 통상적으로 상기 2개의 표지들 사이에 그어진 선에 수직한다.
다음의 도 24를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직선형 자루 외과용 메스가 사용되어 위치(115)에서 피부 및 피하조직의 첫번째 절개를 실시한다. 상기 천자의 방향은 피부면, 일반적으로 하부의 뼈의 깊이에 대하여 수직한다. 위치(116)는 이후에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속 단계로 관통될 것이다.
도 24는 또한 절개부위(115)로 진입하는 절개용 도구(75)를 도시한다. 절개용 도구(75) 또는 대안의 도 16에 도시된 절개용 도구(80)가 피하조직의 층을 분리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절개부위 내의 피하조직 층들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표준적인 "굴착(undermining)" 기술이며, 미용의 이유로 요구될 수 있는 지방층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물(1)의 세장형 부재(7)의 상기 절개부위(115)로의 진입은 상기 세장형 부재(7)가 따라갈 통로를 확립한다. 점선(117)들로 표시된 복수의 절개들은 다양한 각도로 상기 절개부위(115)로부터 퍼져나가며, 봉합사 슬링이 후에 위치될 영역 내에서의 굴착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부재(7)에 대한 통로보다 길이가 짧다.
다름 도 25를 참조하면, 도 17에 도시된 인대 조정기(85)의 캐뉼러(87)의 팁(88)(또는 다른 적절한 봉합사 이송기)이 위치(115)에서 피부를 관통하고, 손으로 유도되어 피하조직을 관통하여 광대뼈의 아치부((118)로 표시됨)에 다다른다. 또한, 상기 캐뉼러(87)는 골막 또는 인대에 부딪히게 되며, 그 후, 상기 팁(88)은 위치(116)로 유도된다. 도 20에 도시된 도구(100)는 그 후 상기 캐뉼러(87)의 팁(88)이 피부로부터 쉽게 빠져나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구(100)의 원위 말단부(102)는 개방 구역(103)에 의해 규정된 홈이 위치(116)에서 바람직한 출구점에 정렬되도록 피부에 놓여진다. 위치(116)가 상기 봉합사 통로기의 바람직한 궤적과 정확히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된 미리 파헤쳐진 피부는 필요한 만큼 좌우측으로 약간 조절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예리한 팁(88)은 피부를 안전하게 관통하여 찔리는 부상의 위험없이 상기 홈을 통하여 빠져나온다. 또한, 상기 도구(100)의 원위 말단부(102)에 의해 인가되는 하방의 힘은 상기 팁(88)이 피하조직 및 피부로 빠져나올때의 팁(88)의 방출력을 억누르는데 도움을 준다.
도 26은 안면 조직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과정이 완료된 봉합사 이송기의 캐뉼러(87)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팁(88)은 위치(116)에서 완전히 피부 밖으로 빠져나왔다. 대안으로서, 도 18에 도시된 도구는 휘어진 바늘(91)을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데, 팁(93)의 아일릿(92)에 의해 수용된 봉합사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구(100)의 도움으로 방출점(116)을 통하여 통과시킨다.
다음 도 27을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좁은 외과용 메스가 인대 통로기의 출구 팁(88)이 위치하는 위치(116)의 인접부위에 절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절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후에 고정물(1)의 세장형 부재(6)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팁(88)에 의해 생성된 천자를 넓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대 통로기의 캐뉼러(87)에 인접한 곳에서의 절개는 위치(116)에서의 출구 천자 및 절개가 인접하며 이들 사이에 불필요한 연결 조직이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도 28에서, 종결 루프(121)를 갖는 봉합사(120)가 도구(85)를 통하여 관통되어 팁(88)의 간극(89)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봉합사는 일시적인 용도로 제공되는 것이며, 이어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고정 통로를 통하여 제2의 슬링-형성 봉합사를 끌고 나오는데 사용될 것이다. 상기 봉합사(120)로는 금속 봉합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봉합사는 후속의 절차 단계들에서 예리한 장치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봉합사의 절단을 방지하는 보호장치가 사용된다면 통상적인 봉합사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루프식 봉합사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루프가 없는 봉합사를 사용하게 되면, 고정 통로를 통하여 슬링-형성 봉합사를 끌고 나오기 전에 상기 슬링을 형성하는 봉합사에 일시적으로 묶여질 봉합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도 29는 인대 통로기가 제거된 후에 제 위치에 자리잡은 봉합사(120)를 도시한다. 이 후에, 상기 봉합사(120)의 루프(121) 및 말단(122)은 위치(115), (116)에서 피부 밖으로 빠져나오며, 상기 봉합사(120)의 중심부분(123)은 위치(125)에서 골막을 통하여 통과한다.
다음 도 30을 참조하면, 도 15의 절개용 도구(75)가 제2의 절개부위(116)로 진입하여 상기 절개부위(116)를 둘러싼 추가적인 구역을 굴착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굴착은 또한 상기 절개부위 구역 내의 피하조직 층들을 분리하고, 미용의 이유로 요구될 수 있는 지방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1에서는, 절개부위(115, 116)에 진입하려는 위치에 있는, 사용 직전의 고정물(1)을 도시한다. 상부 동체(2) 및 하부 동체(3)는 분리되어 있는데, 이로써 상부 동체(2)의 가이드(13) 및 가드(15)는 하부 동체(3)의 세장형 부재(6, 7)에 대하여 개방된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상부 동체(2)의 가이드(13) 및 가드(15)는 절차를 방해하지 않으며 안면 조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고정물(1)의 세장형 부재(6, 7)는 절개부위들(115, 116)의 간격과 일치하는 고정된 간격을 가지며, 상기 세장형 부재(6, 7)가 피하 조직 내의 원하는 깊이에 도달할 때 까지 절개부위(115, 116) 내로 삽입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물(1) 대신에 도 6의 고정물(30)이 사용된다면, 세장형 부재(6, 7) 사이의 간격은 엄지 나사(32)의 작동에 의해 절개부위들(115, 116) 사이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32는 상기 고정물(1)의 세장형 부재(6, 7)가 절개부위(115, 116) 내로 진입하여, 원하는 깊이(위치)까지 피하조직을 관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고정된 간격의 세장형 부재들을 갖는 고정물을 사용하는 경우, 절개부위(115, 116) 사이의 거리가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굴착될 피부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간격이 조절가능한 세장형 부재들을 갖는 고정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정확한 간격이 확립된다면 피부를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는 없게 된다.
상기 세장형 부재(6, 7)가 그들의 원하는 깊이(위치)까지 관통된 이후, 엄지 나사(24)를 사용하여 상부 동체(2) 및 하부 동체(3)가 함께 죄여,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동체(2)의 가이드(13) 및 가드(15)가 피부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상부 동체(2)의 가이드(13) 및 가드(15)는 피부 가까이의 위치 내로 이르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피하 내 아일릿(8, 9)의 중심선(21)과 정렬하게 된다.
도 34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봉합사 이송용 캐뉼러(20)는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 내로 삽입된다. 상기 캐뉼러(20)가 앞으로 더 전진해 감에 따라 팁(22)은 천자(126)에서 피부를 관통하게 되며, 피부 아래의 피하조직을 지나서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아일릿(8, 9)을 통해 통과한다. 다시금 상기 캐뉼러(20)를 앞으로 더 전진시켜가면 팁(22)은 피부를 관통하여, 천자(127)로부터 빠져나와 가드(15)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고정물(1)의 사용자가 찔리는 부상을 입지 않게 된다. 상기 캐뉼러(20)가 상기 고정물(1)의 가이드(13) 및 가드(15) 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 봉합사(130)는 상기 캐뉼러(20)를 통하여 완전히 관통된다. 이러한 봉합사(130)의 관통은 캐뉼러(20)의 말단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허브를 갖는 캐뉼러(20)를 제공함으로써 도움받을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에서, 통상적인 봉합사(130)가 상기 봉합사 이송기(캐뉼러(20))를 통하여 관통되었다. 대안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봉합사(60)의 변형 부분(63) 또는 도 13에 도시된 봉합사(65)의 변형 부분(63)과 같은 조직-고정용 구조를 갖는 봉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부착된 바늘을 갖는 봉합사(조직-고정용 구조를 갖든 갖지않든)가 봉합사 이송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상기 바늘은 이송 장치를 통한 이송 후에 제거되어야 한다.
도 34는 환자의 볼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예시된 것은 피부의 얇은 층 및 피하 조직의 두꺼운 층이다. 상기 캐뉼러(20)가 상기 가이드(13)의 간극(14)을 통하여 지나가며, 상기 천자(126)를 통하여 피부로 들어가고, 상기 세장형 부재(6, 7)의 아일릿(8, 9)을 통하여 관통하며, 상기 천자(127)를 통하여 피부 밖으로 빠져나오고, 상기 가드(15) 내로 들어와 상기 캐뉼러(20)의 예리한 팁(22)이 상기 가드(15) 내에 머무르게 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봉합사(130)의 고정되지 않은 말단(131)을 잡고 있는 동안, 상기 캐뉼러(20)는 뒤로 빠져서 상기 고정물(1)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상기 캐뉼러(20)가 제거된 후에 상기 봉합사(130)는 피부 아래에서 천자(126, 127)를 관통한 채로 제자리에 머무르게 된다. 이 시점에서, 상기 봉합사(130)는 또한 상기 고정물(1)의 가이드(13) 및 가드(15)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그 후, 엄지 나사(24)가 해제되어, 상부 동체(2)가 하부 동체(3)로부터 회전하여 멀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물(1)을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물(1)을 피부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데, 이로 인해, 환자로부터 상기 고정물이 쉽게 제거된다. 또한, 이로 인해, 상기 봉합사(130)는 상기 가이드(13) 및 상기 가드(15)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 하부 동체(3) 및 세장형 부재(6, 7)는 해제되어 절개부위(115, 116)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세장형 부재(6, 7)를 끌어당기면 상기 아일릿(8, 9)에 의해 관통된 상기 봉합사(130)는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최종적으로 상기 절개부위(115, 116)를 통하여 상기 봉합사(130)의 관통된 부분들이 당겨지게 된다.
도 36에 도시된 중간단계 위치에서, 상기 봉합사(130)의 말단(131, 132)은 상기 천자(126, 127)로부터 연장된 채로 머무르며, 상기 봉합사(130)의 중심부분(133)은 도 34에 도시된 피하조직의 관통으로 인하여, 상기 천자부위(126, 127)들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물(1)이 완전히 뒤로 당겨진 후에는, 상기 봉합사(130)의 말단(131, 132)들도 완전히 당겨지게 될 것이며 상기 절개부위(115, 116)로부터 자유롭게 연장되며, 상기 세장형 부재의 아일릿(8, 9)으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봉합사(130)의 중심부분(133)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자부위(126, 127) 사이의 위치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봉합사(130)는 말단들(131, 132) 및 상기 봉합사(130)의 중심부분(133)으로 이루어진 U자형 슬링(135)을 형성하고, 이는 상기 중심부분(133)에 의해 관통된 하부의 피하조직을 지탱하는 홀터(halter)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봉합사(120)는 절개부위(115, 116)들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놓여있게 된다.
이제 도 38을 참조하면, 하부 봉합사(130)의 말단(131)은 상부 봉합사(120)의 루프(121)를 통하여 관통된다. 그 후, 상기 상부 봉합사(120)의 말단(122)이 당겨지면, 상기 하부 봉합사(130)의 말단(131)은 절개부위(115) 및 이어서 절개부위(116)을 통하여 끌려오게된다. 그 후, 상기 상부 봉합사(120)의 루프(121)는 하부 봉합사(130)의 말단(131)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봉합사(130)의 말단(131, 132)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봉합사(120)가 당겨지면, 상기 봉합사(130)의 관통된 말단(131)은, 상기 봉합사(120)에 의해 이미 관통된 골막 또는 광대뼈 아치부의 인대(118)를 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그 후, 잔존하는 봉합사(130)의 말단들(131, 132)은 수행될 절차에 바람직한 성형의 정도에 따라 당겨지고, 적절하게 조여지게 된다. 상기 적절한 당김이 이루어진 후, 상기 말단들(131, 132)은 함께 묶여지고, 매듭은 피하조직 내에 포함되도록 하여 외과수술 절차가 완료된다. 절개부위(115, 116) 및 천자부위(126, 127)는 이 시점에서 적절한 봉합 및 치유를 위하여 모든 구조물들이 제거된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상술한 외과수술 절차의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 중 하나는 통상적인 봉합사 대신에, 도 12에 도시된 조직-고정성 봉합사(60)를 사용하여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슬링(135)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봉합사(60)의 사용은 상기 봉합사(60)의 변형 부분(63)을 도 3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조직 내에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변형 부분(63)을 포함하는 상기 봉합사(60)의 중심 구역을 따라 추가적인 강화작용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도 35와 일치하는 도 40은 외과수술 절차에서의 봉합사(60) 사용을 예시한다. 이러한 절차에서, 봉합사(130)는 캐뉼러(20)를 통하여 관통될 것인데(고정물(1) 내의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고정물(1)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위치로 상기 봉합사(130)가 머무르게 된다. 그 후, 상기 봉합사(60)(변형 부분(63)을 포함)는 위치(136)에서 상기 봉합사(130)의 말단(132)에 묶이게 되는데, 상기 봉합사(130)를 당기게 되면 상기 봉합사(130) 대신에, 고정물(1)을 통하여 상기 봉합사(60)를 끌어들일 수 있게 된다.
도 41을 참조하면, 봉합사(60)의 변형 부분(63)은 그 후,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30)를 사용한 경우에 형성된 슬링(135)의 중심 부분(133)과 유사한 중심 부분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며, 봉합사(130)의 말단(131, 132) 대신에 봉합사(60)의 봉합 부분(61, 62)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외과수술 절차의 나머지를 진행한다.
상술한 외과수술 절차의 다른 변형예는 도 6에 도시된 고정물(30)을 사용한다(또는,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고정물(30') 또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물(30")). 상기 고정물(30)의 용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물(1)의 용도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세장형 부재(6, 7)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물(30)을 사용하기 전 안면 절개부위(115, 116)의 간격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엄지 나사(24)를 사용하여 고정물(1)을 열고 닫는 대신에, 고정물(30)의 암(28, 29)은 세장형 부재(6, 7)를 절개부위(115, 116) 내로 삽입하기 전에 동체 부분(31a, 31b)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개부위(115, 116)로부터 세장형 부재(6, 7)를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동체 부분(31a, 31b)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어서 세장형 부재(6, 7)를 절개부위(115, 116) 내로 삽입한 후에, 원하는 외과수술 절차를 진행한다. 가이드(13) 및 가드(15)를 지지하는 상기 고정물(30)(또는, 고정물(30', 30"))의 제거가능한 암(28, 29)은 널링 나사(33)를 사용하여 외과수술 절차동안 조립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외과수술 절차의 다른 변형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고정물(35)을 사용하는 것이다. 고정물(35)의 용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물(1)의 용도와 실질적으로 유사한데, 하기의 변형예들에 대하여 사용된다.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115), (116)에서 이루어진 절개부위 대신에, 광대뼈의 아치부에 위치할 수 있는 단일의 위치(140) 또는 이마선 위에서 절개가 이루어진다. 고정물(35)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봉합사 슬링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서의 1㎝ 이내의 굴착은 권장되지 않는다.
초기에는, 상기 고정물(35)의 단일 세장형 부재(36)에 결합된 연장부(38, 39)는 상기 세장형 부재(36)를 형성하는 공동 튜브 내로 접혀져 있을 것이다. 이러한 초기 구성에서, 상기 고정물(35)의 세장형 부재(36)는 형성될 봉합사 슬링의 하단부를 위한 위치로부터 약 1㎝의 관통 깊이로 절개부위(140) 내에 삽입된다. 가이드(43)는 세장형 부재(36)를 삽입하기 전후에, 고정물(35)이 절차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널링 나사(44)를 사용하여 핸들(40)상에 장착된다.
도 43을 참조하면, 손잡이(42)를 누름으로써 샤프트(41)가 공동의 세장형 부재(36) 내로 들어가는데, 이로써 연장부(38, 39)가 상기 세장형 부재(36)의 원위 말단부로부터 펼쳐져서 피하조직 내에 더욱더 관통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연장부(38, 39)의 아일릿(8, 9)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43) 내에 형성된 간극(47)을 통하여 연장되는 중심선(21)과 일직선이 되게 된다. 캐뉼러(20)가 이어서 고정물(35)의 가이드(43) 내에 형성된 간극(47) 내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43)의 간극(47)을 통하여 통과하여, 피부로 진입하는 천자부위(126)를 지나고, 상기 연장부(38, 39)의 아일릿(8, 9)을 지나서, 피부밖으로 방출되는 천자부위(127)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적절한 봉합사(130)(굵은 부분(63)이 있거나 없는 봉합사, 및 부착된 바늘이 있거나 없는 봉합사)가 이어서 상기 캐뉼러(20)를 통하여 관통될 수 있는데, 상기 봉합사(130)의 말단(131, 132)은 상기 천자부위(126, 127)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굵은 부분(사용되는 경우에 한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일릿(8, 9)들 사이에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캐뉼러(20)는 고정물(35)로부터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에 캐뉼러(20)를 사용하지 않고, 바늘에 부착된 봉합사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그 후, 샤프트(41)를 당김으로써 연장부(38, 39)는 세장형 부재(36) 내로 끌려들어간다. 그 결과, 상기 연장부(38, 39)의 아일릿(8, 9)에 의해 관통된 상기 봉합사(130) 역시 상기 세장형 부재(36) 내로 끌려들어가게 된다. 이어서, 고정물(35)은 절개부위(140)로부터 방출되고, 또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130)의 말단(131, 132)은 천자부위(126, 127) 및 절개부위(140)를 통하여 밖으로 끌려나온다. 그 결과, 상기 봉합사의 말단들(131, 132)은 상기 절개부위(140)로부터 연장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130)의 중심부분(133)은 천자부위들(126, 127) 사이의 위치인 피하조직 내에 머무르게 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수득된 슬링은 팽팽하게 당겨져 조직을 거상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써 원하는 외과수술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외과수술 절차의 다른 변형예는 도 11에 도시된 고정물(50)을 사용하는 것이다. 고정물(50)의 용도는 역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물(1)의 용도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하기의 변형예들에 적용된다.
도 46을 참조하면, 광대뼈 아치부상 또는 이마선 위일 수 있는 위치(140)에서 다시 단일의 절개가 이루어진다.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역시, 봉합사 슬링의 하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1㎝ 이내의 굴착은 권장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물(50)의 단일 세장형 부재(51)는, 형성될 봉합사 슬링의 하단부를 위한 위치와 상기 세장형 부재(51)의 아일릿(55)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관통 깊이로 절개부위(140) 내에 삽입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54)의 간극(56)를 통해 연장되는 중심선(21)과 나란한 위치이며, 상기 가이드(54)는 환자의 피부 위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물(50)은 이어서 계속하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봉합사를 수용할 준비를 한다(캐뉼러(20)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거나 무방하다). 통상적인 봉합사(바늘이 있거나 없는 봉합사)가 상기 고정물(50)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고정물(50)은 도 13에 도시된 봉합사(65)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봉합사는 바람직하게 2개의 굵은 부분(63)을 포함하며, 상기 굵은 부분(63)들 사이에 중심점을 놓기 위하여 중심부분(66)에 부착된 한 쌍의 매듭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부분(63)들 사이의 중심점(67)에 위치한 단일 매듭이 상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6을 참조하면, 캐뉼러(20)가 상기 고정물(50)의 가이드(54) 내에 형성된 간극(56) 내로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54)의 간극(56)을 통하여 통과하며, 피부로 진입하는 천자부위(126)를 지나고, 세장형 부재(51)의 아일릿(55)을 지나서, 피부 밖으로 나가는 천자부위(127)를 통하여 밖으로 방출된다. 압설자 또는 도 20에 도시된 도구(100)를 사용하여 방출 천자부위(127)에서 피부를 누를 수 있다. 상기 고정물(50)의 핸들(52)은 또한, 원하는 경우, 고정물(1)의 가드(15)와 유사한 가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봉합사(예를 들어, 예시된 봉합사(65))를 캐뉼러(20)를 통하여 통과시켜, 굵은 부분(63)들이 천자부위들(126, 127)로부터 연장되도록 하며, 중심 부분(66)이 상기 세장형 부재(51)에 부착된 아일릿(55)에 인접한 위치의 피하조직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그 후, 상기 세장형 부재(51)는 절개부위(140)로부터 방출되며, 또한, 상기 절개부위(140)를 통하여 봉합사(65)의 중심 부분(66)이 끌려나오게 된다. 세장형 부재(51)를 계속해서 당기게 되면 굵은 부분(63)들이 천자부위(126, 127)들이 있는 위치의 피부로 접근하게 된다.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세장형 부재(51)를 추가적으로 당기게 되면 천자부위(126, 127)들을 통하여 봉합사(65)의 굵은 부분(63)들이 끌려나오게 된다. 상기 세장형 부재(51)를 완전히 끌어내는 경우, 상기 봉합사(65)의 굵은 부분들(63)은 상기 세장형 부재(51)가 관통된 피하의 말단에 위치한 교차점(141)에서 함께 끌려나오게 될 것이다. 굵은 부분(63)들이 함께 위치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부재(51)가 완전히 절개부위(140)로부터 빠져나왔을 때, 아일릿(55)의 양쪽에 중심 부분(66)의 매듭 또는 매듭들이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을 교정하고, 봉합사(65)의 말단들을 등거리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부재(51)를 끌어당기는 동안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봉합사(65)의 노출된 중심 부분(66)이 루프의 상단에서 아일릿(55)으로부터 절단되어 상술한 봉합사(130)의 말단들(131, 132)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말단들(142, 143)을 형성한다. 그 결과, 봉합사(65)의 말단들(142, 143)은 절개부위(14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봉합사(65)의 굵은 부분(63)은 피하조직 내에 고정되어 머무를 것이다. 수득된 슬링은 그 후 팽팽하게 당겨져서 조직을 거상한 후 고정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외과수술 절차가 종료된다.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하에서는, 한 쌍의 굵은 부분(63)들은, 세장형 부재(51)가 절개부위(140) 내로 삽입된 경우에 상기 세장형 부재(51)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통과하지 못하는데, 이는 2개의 굵은 부분(63)들이 합쳐진 크기가 너무 커서 채널에 맞지않기 때문이다.
도 50은 상술한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른 외과수술 절차들의 몇가지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이마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봉합사 슬링(135)의 배치는 진입 위치(145)와 함께 영역 A로 표시되어 있다. 중앙 안면 거상을 수행하기 위한 봉합사 슬링(135)의 배치는 진입 위치(146)와 함께 영역 B로 표시되어 있다. 턱주름 제거를 위한 봉합사 슬링(135)의 배치는 진입 위치(147)와 함께 영역 C로 표시되어 있다. 눈밑 지방을 제거하기 위한 봉합사 슬링(135)의 배치는 진입 위치(148)와 함께 영역 D로 표시되어 있다. 도 51은 가슴 거상술을 수행하기 위한 봉합사 슬링(135)의 배치를 진입 위치(149)와 함께 영역 E로 표시한다.
눈밑 지방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을 위해 선택된 고정물(1, 30, 35, 50)은 짧은 세장형 부재 또는 대안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휘어지거나 굽은 세장형 부재를 가져야 하는데, 이로써 선택된 장치는 상대적으로 필요한 작은 공간에 들어맞을 수 있다. 이마주름을 제거하기 위할 목적으로 선택된 고정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휘어지거나 굽은 동체를 가져야 하는데, 이로써 선택된 장치는 환자의 이마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고정물(1, 30, 50)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외과수술 절차들을 위하여, 세장형 부재들(6, 7, 51)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도 21 및 도 22의 도구(105)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107)의 일부(110)는 선택적으로 개구부(109)로부터 전개될 수 있어서, 고정된 아일릿(8, 9, 55)을 대체하여 연장 및 밀폐가 가능한 아일릿을 형성할 수 있다. 수행될 절차의 나머지 부분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며, 봉합사(130)를 수용하는 도구(105)의 연장 부분(110)을 사용하여, 캐뉼러(20)의 도움을 받든 받지않든 상기 봉합사(130)를 고정하여, 정해진 위치의 봉합사(130)를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구(105)는 또한, 원하는 경우, 굴착 도구(75, 80)의 대안적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수술들의 각각의 진입 위치들(145, 146, 147, 148, 149)은 통상적인 위치들이며 보다 긴 절개를 허용할 수 있는데, 이마선 위나 가슴 안과 같은 보이지 않는 장소들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상술한 진입 절개부위(115, 116)는 눈에 띄는 위치에서의 조직을 손상하지 않도록 아주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위치들에 사용되는 고정 절차들은 상술한 절차들과 다를 수 있다. 상기 고정 절차는 적절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뼈 관통 채널, 스테이플, 나사, 인대, 근육 등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절개된 부위는 얇은 투명 용해 봉합사 또는 다른 몇몇 유사한 기술에 의해 봉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특정 부품들을 포함하는 특정 구현예들에 기초하여 기술되었다할지라도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부품들의 모든 기술적 등가물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본 발명의 속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원에 기술되고 예시된 부품들의 세부 항목, 재료, 배치 및 조합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형은 하기의 청구항에 표현된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1: 고정물 2: 상부 동체
3: 하부 동체 4: 힌지
6, 7: 세장형 부재 8, 9: 아일릿
11, 12: 암 13: 가이드
14: 간극 15: 가드
20: 캐뉼러 24: 엄지 나사
60, 65: 봉합사 63: 변형 부분 또는 굵은 부분
70: 좁은 블레이드 외과용 메스
75, 80: 절개용 도구 85: 인대 조정기

Claims (47)

  1. 떨어진 위치에서 피하 내 조직에 봉합사를 배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동체, 상기 동체에 결합되고 연장되는 세장형 부재(elongate member) 및 상기 동체에 결합되고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부재의 원위 말단부는 상기 봉합사의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세장형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과 상기 봉합사를 일직선으로 정렬하기 위한 열쇠부(key)를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는 상기 가이드를 통하여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며, 상기 가이드의 축은 상기 세장형 부재의 개구부의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는 상기 가이드를 통하여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규정하며, 상기 가이드의 축은 상기 세장형 부재의 개구부의 축과 나란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는 연장된 통로를 포함하는 간극(aperture)인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를 이송하기 위한 샤프트 부분을 갖는 봉합사 이송 도구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봉합사 이송 도구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 및 상기 세장형 부재의 개구부 내로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이송 도구는 캐뉼러(cannula)인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의 원위 말단부는 상기 원위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뾰족한 팁(tip)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결합되고 연장되는 가드(guard)를 추가로 포함하는 봉합사 배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상기 개구부의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개방 구역을 갖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휘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굽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휘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2개의 세장형 부재들을 포함하는 봉합사 배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들 각각은 개구부를 갖고,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은 상기 길이방향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결합되고 연장되는 가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드는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가드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개방 구역을 갖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들은 상기 동체의 제1 부분에 결합되고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동체의 제1 부분과 인접하는 상기 동체의 제2 부분에 결합되고 연장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제1 부분이 상기 동체의 제2 부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상기 동체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인접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는 상기 봉합사를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제1 부분 및 상기 동체의 제2 부분은, 상기 세장형 부재들 및 상기 가이드의 맞은 편에 있는 상기 동체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일부에 배치된 힌지(hinge)에 의해 결합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제1 부분 및 상기 동체의 제2 부분은 상기 동체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잠금쇠(fastener)에 의해 선택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제2 부분에 결합되고 연장되는 가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드는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가드는 상기 개구부들의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개방 구역을 갖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를 이송하기 위한 샤프트 부분을 갖는 봉합사 이송 도구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봉합사 이송 도구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 및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 내로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들은 상기 동체의 말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동체의 제1 측면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제1 측면의 맞은 편에 있는 상기 동체의 제2 측면에 착탈식으로 부착되고 연장되는 가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드는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가드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개방 구역을 갖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를 이송하기 위한 샤프트 부분을 갖는 봉합사 이송 도구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봉합사 이송 도구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 및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 내로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2개의 동체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동체 부분들 각각에 상기 세장형 부재가 하나씩 결합하며, 상기 세장형 부재들은 서로에 대하여 조절가능한 간격으로 분리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동체 부분들은 관통된 커넥터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단일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봉합사 배치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세장형 부재는 공동 튜브(hollow tube)이며, 상기 공동 튜브의 원위 말단부에 2개의 확장가능한 암(arm)들이 결합되고,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 각각은 상기 봉합사의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은 상기 공동 튜브의 원위 말단부에 접어 넣을 수 있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은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공동 튜브 내에 수용되며,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은 확장된 위치에서 상기 공동 튜브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은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이 확장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길이방향 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은 서로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어, 확장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의 개구부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을 상기 수축된 위치 및 상기 확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에 결합되고 상기 공동 튜브 내에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샤프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봉합사 배치장치.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를 이송하기 위한 샤프트 일부를 갖는 봉합사 이송 도구와 함께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봉합사 이송 도구의 일부는, 상기 확장가능한 암들이 확장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가이드의 열쇠부 및 상기 세장형 부재들의 개구부들 내로 활주식으로 수용되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장치의 동체에 착탈식으로 연결된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영구적으로 상기 동체에 부착된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일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봉합사에 대하여 확장가능하며 밀폐가능한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캐뉼러로서, 상기 캐뉼러는 상기 캐뉼러의 측면 부분들에 형성된 간극을 가지며, 상기 캐뉼러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간극을 지나는 와이어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캐뉼러의 말단부에 고정된 말단부를 갖는 것인 봉합사 배치장치.
  39. 규정된 직경을 갖는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 및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와 결합된 변형 부분으로 구성된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분은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의 규정된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인 봉합사.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분은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의 중심부를 따라 위치하는 것인 봉합사.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의 말단 부분들을 따라 2개의 변형 부분들이 위치하는 것인 봉합사.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에 의해 규정된 중심에 위치한 표지(marker)를 추가로 포함하는 봉합사.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에 의해 규정된 중심에 위치한 매듭(knot)을 추가로 포함하는 봉합사.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길이의 봉합사 재료에 의해 규정된 중심의 마주보는 측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2개의 매듭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봉합사.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분은 매듭 방식(knotting), 꼬는 방식(braiding), 짜는 방식(weaving), 몰딩 방식(molding), 비드 방식(beading), 코일 방식(coiling), 얽는 방식(kinking) 및 슬리브 붙임 방식(affixing of a sleev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인 봉합사.
  46.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분은 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봉합사.
  47.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분은 조직 성장을 수용하기 위한 구역을 형성하는 것인 봉합사.
KR1020107003741A 2007-07-26 2008-07-25 외과수술 봉합장치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KR101580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203107P 2007-07-26 2007-07-26
US60/962,031 2007-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072A true KR20100051072A (ko) 2010-05-14
KR101580098B1 KR101580098B1 (ko) 2015-12-28

Family

ID=4052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41A KR101580098B1 (ko) 2007-07-26 2008-07-25 외과수술 봉합장치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22741B2 (ko)
EP (1) EP2180836A4 (ko)
JP (2) JP5457346B2 (ko)
KR (1) KR101580098B1 (ko)
AU (1) AU2008307757B2 (ko)
BR (1) BRPI0814101A2 (ko)
CA (1) CA2694650C (ko)
IL (1) IL226164A0 (ko)
MX (1) MX2010001019A (ko)
WO (1) WO20090452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00B1 (ko) * 2011-09-05 2012-03-1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고강도 연조직 고정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7346B2 (ja) 2007-07-26 2014-04-02 アルファ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用縫合糸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US9226748B2 (en) 2007-07-26 2016-01-05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US20150121682A1 (en) * 2012-05-01 2015-05-0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xtraction tool assembly
WO2014016688A2 (en) 2012-07-26 2014-01-30 Adi Mashiach Transcutaneous power conveyance device
US9636110B2 (en) 2013-03-13 2017-05-02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tructural support incorporating multiple strands
KR20160012993A (ko) * 2013-03-15 2016-02-03 알파 사이언티픽 코오포레이션 횡단 결합부를 갖춘 수술용 봉합 디바이스
US10251669B2 (en) 2013-09-24 2019-04-09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tissue flaps
WO2016119082A1 (zh) * 2015-01-30 2016-08-04 陈华 跟腱缝合器及其使用方法
CN105662487B (zh) * 2015-09-23 2019-03-12 广州艾缔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线提拉调节装置及一种面部提升设备
USD815739S1 (en) * 2017-02-24 2018-04-17 Dura Tap Llc Suturing device
USD827822S1 (en) * 2017-02-24 2018-09-04 Dura Tap Llc Suturing device
USD827821S1 (en) * 2017-02-24 2018-09-04 Dura Tap Llc Suturing device
USD818585S1 (en) * 2017-02-24 2018-05-22 Dura Tap Llc Suturing device
EP4188279A1 (en) * 2020-07-27 2023-06-07 Jonathan T. Deland Achilles tendon repair device
GB202019103D0 (en) * 2020-12-03 2021-01-20 Univ Oxford Innovation Lt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E545095C2 (en) * 2020-12-18 2023-03-28 Invivopower Ab Surgical needle guiding arrangement for implantation of transformer core under the skin of a patient
CN113842228B (zh) * 2021-10-26 2023-09-05 贵州省人民医院 一种眼部整形修复手术定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845A (en) 1996-07-31 1998-07-21 Shewchuk; Dwight Trocar site suturing device
JP2004526483A (ja) * 2001-01-23 2004-09-02 アメリカン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リング送達システム
JP3628597B2 (ja) * 2000-07-13 2005-03-16 克弥 高須 二重瞼形成用糸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034A (en) * 1900-06-30 1901-02-26 Manly James S Surgical instrument.
US755921A (en) * 1903-07-21 1904-03-29 John W O'neill Surgical instrument for hemorrhoids.
US1874668A (en) 1932-02-27 1932-08-30 American Glanzstoff Corp Skein and process for tying the same
US2665692A (en) * 1951-12-10 1954-01-12 Esperance Francis A L Suturing forceps
US2913270A (en) 1954-12-13 1959-11-17 Sr Gustav Sachsenroder Knot-tying apparatus
US2860902A (en) 1955-05-12 1958-11-18 Diels Albert Means for mechanically tying knots
US3550166A (en) 1968-09-24 1970-12-29 Algoma Net Co Hammock-stringing methods and assemblies
US3739784A (en) 1971-12-01 1973-06-19 Olympus Optical Co Surgical instrument
US4008912A (en) 1972-12-15 1977-02-22 Ilijus Kotov Self-tightening knot
US3903892A (en) 1973-05-17 1975-09-09 Olympus Optical Co Forceps means for removing cellular tissue from the body cavities
JPS5727445Y2 (ko) 1973-06-20 1982-06-15
US3915419A (en) 1974-06-26 1975-10-28 Cedric B Brown Sling hanger for pots
US4306561A (en) * 1979-11-05 1981-12-22 Ocean Trading Co., Ltd. Holding apparatus for repairing severed nerv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312337A (en) * 1980-09-08 1982-01-26 Donohue Brian T Cannula and drill guide apparatus
JPS6176147A (ja) 1984-09-21 1986-04-1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高周波切開切除具
US4635636A (en) * 1985-06-18 1987-01-1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icrospike surgical approximator
US4655223A (en) * 1985-08-05 1987-04-07 Kim Daniel S Y Frenotomy method and apparatus
JPS6340559A (ja) 1986-08-05 1988-02-20 稲波 弘彦 トゲ付き腱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18578A (en) 1992-03-17 1994-06-07 Harrith M. Hasson Apparatus for delivering a suture into a body cavity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US5224488A (en) 1992-08-31 1993-07-06 Neuffer Francis H Biopsy needle with extendable cutting means
US5624446A (en) 1992-09-11 1997-04-29 University Of Washington System for repair of capsulo-labral separations
WO1994006357A1 (en) 1992-09-23 1994-03-31 Target Therapeutics, Inc. Medical retrieval device
JP2600268Y2 (ja) 1993-03-25 1999-10-04 グンゼ株式会社 手術用縫合糸
US5681331A (en) 1993-06-02 1997-10-28 De La Torre; Roger A. Surgical instrument for tying a knot in a length of suture at a remote location
US5569271A (en) * 1993-10-04 1996-10-29 Hoel; Steven B. Surgical instrument for suturing
US5522819A (en) 1994-05-12 1996-06-04 Target Therapeutics, Inc. Dual coil medical retrieval device
NO942636L (no) 1994-07-13 1996-01-15 Latif Sadek Instrument til underlivsoperasjoner hos kvinner
US5480406A (en) 1994-10-07 1996-01-0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Method of employing surgical suturing apparatus to tie knots
US6936024B1 (en) 1995-01-23 2005-08-30 Russell A. Houser Percutaneous transmyocardial revascularization (PTMR) system
CA2214272A1 (en) 1995-03-02 1996-09-06 Benny Gaber Uterine tissue collector
US5807276A (en) 1995-03-09 1998-09-15 Russin; Lincoln David Biopsy device and method
US5707379A (en) * 1995-10-20 1998-01-13 Coral Med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corporeal suturing
US6035967A (en) 1995-11-01 2000-03-14 Maeda; Hiroshi Safety apparatus using parallel line catchers for elevated work site operations
US5645548A (en) * 1996-02-15 1997-07-08 Augsburger; Samuel F. Osteotomy frame
USD397218S (en) * 1996-05-28 1998-08-18 Cliff Cadaver Surgical septal piercing instrument
US5776150A (en) * 1996-06-10 1998-07-07 Ethicon Endo Surgery, Inc. Suture assist device
US5766217A (en) 1996-09-23 1998-06-16 Christy; William J. Surgical loop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5759188A (en) * 1996-11-27 1998-06-02 Yoon; Inbae Suturing instrument with rotatably mounted needle driver and catcher
JPH10216161A (ja) 1996-12-03 1998-08-18 Iken Kogyo:Kk 植毛用糸
CH691285A5 (fr) * 1997-02-05 2001-06-29 Mathieu Assal Dispositif de rattrapage d'un tendon rompu.
AU6329498A (en) 1997-02-13 1998-09-08 Boston Scientific Ireland Limited, Barbados Head Office Percutaneous and hiatal devices and method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pelvicsurgery
US6331166B1 (en) 1998-03-03 2001-12-18 Senorx, Inc. Breast biopsy system and method
US6036700A (en) * 1998-07-14 2000-03-1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nastomosis instrument
US6260552B1 (en) 1998-07-29 2001-07-17 Myocor, Inc. Transventricular implant tools and devices
US6030391A (en) * 1998-10-26 2000-02-29 Micropure Medical, Inc. Alignment gauge for metatarsophalangeal fusion surgery
JP2001198131A (ja) 2000-01-18 2001-07-24 Matsuda Ika Kk 輪をもつ手術用縫合糸
US6347816B1 (en) 2000-08-10 2002-02-19 Glynn Donaho Methods for tying knots in ropes
US6638286B1 (en) * 2000-11-16 2003-10-28 Vascular Control Systems, Inc. Doppler directed suture ligation device and method
US20020072739A1 (en) 2000-12-07 2002-06-13 Roberta Lee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frequency electrosurgery
JP4261814B2 (ja) * 2001-04-04 2009-04-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組織穿刺システム
US6749615B2 (en) * 2001-06-25 2004-06-15 Abbott Laboratories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6835193B2 (en) 2001-07-10 2004-12-28 Myocardial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controlled depth injections into interior body cavities
GB0206071D0 (en) * 2002-03-15 2002-04-24 Strover Angus E Su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6770084B1 (en) 2002-06-26 2004-08-03 Opus Medical, Inc. Suture capture device
JP2004073582A (ja) 2002-08-20 2004-03-11 Olympus Corp 生体組織切除具
US7108710B2 (en) * 2002-11-26 2006-09-19 Abbott Laboratories Multi-element biased suture clip
US7060079B2 (en) * 2003-01-03 2006-06-13 Eye Plastic Surgery, Ltd. Surgical instrument for endoscopic suturing of deep subcutaneous tissue
EP1598017B1 (en) 2003-02-26 2017-04-12 Sumitomo Bakelite Co., Ltd. Medical instrument
US7473259B2 (en) * 2003-06-30 2009-01-06 Depuy Products, Inc. Implant stabilizing instrument, kit and method
US7264623B2 (en) * 2003-10-16 2007-09-04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Tissue grasp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use in arthroscopic surgery
JP4212494B2 (ja) 2004-03-02 2009-01-21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医療用縫合具
WO2005096956A1 (en) 2004-04-07 2005-10-20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WO2005112786A2 (en) 2004-05-14 2005-12-01 Ethicon Endo-Surgery, Inc. T-type suture anchor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60004409A1 (en) 2004-05-14 2006-01-05 Nobis Rudolph H Devices for locking and/or cutting a suture
ES2639027T3 (es) * 2004-05-14 2017-10-25 Ethicon Llc Dispositivos de sutura
US7708751B2 (en) 2004-05-21 2010-05-04 Ethicon Endo-Surgery, Inc. MRI biopsy device
US7678135B2 (en) 2004-06-09 2010-03-16 Usgi Medical, Inc. Compressible tissue anchor assemblies
EP1830715B1 (en) 2004-10-25 2016-12-07 Jonathan T. Deland Suture guide
US7615062B2 (en) * 2004-10-25 2009-11-10 Deland Jonathan T Suture guide and ruptured tissue repair
EP1859743B1 (en) * 2005-03-17 2015-08-05 Olympus Corporation Suture instrument
US7833244B2 (en) 2005-04-20 2010-11-16 Arthroscopic Innovations Llc Suture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 repair
JP4513702B2 (ja) 2005-09-16 2010-07-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
SE530548C2 (sv) * 2005-11-28 2008-07-01 Blomdahl Medical Ab System för håltagning och applicering av ett kroppssmycke eller örsmycke och i systemet ingående delar, samt metod för förberedelse inför håltagning och applicering av kroppssmycke eller örsmyke
JP4458031B2 (ja) 2005-11-30 2010-04-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生体用縫合具
JP4614451B2 (ja) 2005-12-26 2011-01-19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医療用縫合具
US7959650B2 (en) 2006-09-29 2011-06-14 Biomet Sports Medicine, Llc Adjustable knotless loops
EP2005892A4 (en) 2006-04-07 2015-05-20 Sumitomo Bakelite Co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N INTERNAL ORGAN
US7918868B2 (en) 2006-05-22 2011-04-05 Scandius Biomen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niscal repair
EP1862125B1 (en) 2006-05-31 2011-08-03 Covidien AG Medical suturing tool with gripping device
EP2076214A2 (en) 2006-10-03 2009-07-08 Alure Medical, Inc. Minimally invasive tissue support
US20070118174A1 (en) * 2006-11-16 2007-05-24 Chu David Z J Laparoscopic surgical clamp and suturing methods
US7566340B2 (en) 2006-12-04 2009-07-28 Implicitcare, Llc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80172085A1 (en) * 2007-01-16 2008-07-17 Kwok Wai Chiu Elliptical Excision Clamp
US9226748B2 (en) 2007-07-26 2016-01-05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JP5457346B2 (ja) 2007-07-26 2014-04-02 アルファ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用縫合糸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CA2700261C (en) 2007-09-20 2016-02-09 Sentrehear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te suture management
US20090216268A1 (en) 2008-02-21 2009-08-27 Panter Gideon G Suture and suturing technique for facilitating knotting
EP2352435B1 (en) 2008-10-31 2019-11-27 Sinclair Pharmaceuticals Limited Minimally invasive tissue support system with a superior tissue support and an inferior anchor
US20120143225A1 (en) 2010-07-06 2012-06-07 Pavilion Medical Innovations Endoscopic fascial closure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636110B2 (en) 2013-03-13 2017-05-02 Alpha Scientific Corporation Structural support incorporating multiple stra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845A (en) 1996-07-31 1998-07-21 Shewchuk; Dwight Trocar site suturing device
JP3628597B2 (ja) * 2000-07-13 2005-03-16 克弥 高須 二重瞼形成用糸
JP2004526483A (ja) * 2001-01-23 2004-09-02 アメリカン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リング送達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00B1 (ko) * 2011-09-05 2012-03-1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고강도 연조직 고정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0836A1 (en) 2010-05-05
IL226164A0 (en) 2013-06-27
EP2180836A4 (en) 2015-08-12
US20100130991A1 (en) 2010-05-27
JP2010534510A (ja) 2010-11-11
AU2008307757B2 (en) 2013-07-04
KR101580098B1 (ko) 2015-12-28
US9622741B2 (en) 2017-04-18
BRPI0814101A2 (pt) 2015-02-03
AU2008307757A1 (en) 2009-04-09
MX2010001019A (es) 2010-08-10
CA2694650A1 (en) 2009-04-09
JP2014131744A (ja) 2014-07-17
JP5457346B2 (ja) 2014-04-02
CA2694650C (en) 2016-11-15
WO2009045248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098B1 (ko) 외과수술 봉합장치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들
US11013510B2 (en) Meniscus repair
US10064617B2 (e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US8888796B2 (en) Devices for tensioning barbed sutures and methods therefor
EP4005503A1 (en) Endoscopic suture loop anchors and methods
JP6594418B2 (ja) 組織を縫合する器具および方法
US6331182B1 (en) Medical twis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surgical closure
JP2012024177A (ja) 関節鏡下における上腕回旋腱板修復装置及び方法
AU2013204057A1 (e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AU2013204680B2 (e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US10251639B1 (en) Meniscus repai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