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778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778A
KR20100050778A KR1020080109848A KR20080109848A KR20100050778A KR 20100050778 A KR20100050778 A KR 20100050778A KR 1020080109848 A KR1020080109848 A KR 1020080109848A KR 20080109848 A KR20080109848 A KR 20080109848A KR 20100050778 A KR20100050778 A KR 20100050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weight
polycarbonat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949B1 (ko
Inventor
이병춘
하두한
김태욱
정재훈
김일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49B1/ko
Priority to US12/612,735 priority patent/US8202938B2/en
Priority to EP09175271.7A priority patent/EP2184321B1/en
Priority to CN2009102078993A priority patent/CN101735586B/zh
Publication of KR2010005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20 내지 93 중량%,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3 내지 50 중량%,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1 내지 10 중량%, 및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3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스크래치 특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고착색성이 요구되는 전기전자 제품의 외장 부품, 자동차 정밀 부품 등의 다양한 성형품에 적용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스크래치, 내충격성, 착색성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스크래치 특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강성(toughness), 내충격성, 열안정성, 자기소화성, 치수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휴대폰 하우징, 백라이트 프레임(back light frame), 커넥터 등 전기전자 제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해드램프, 인스트루멘트 판넬 등의 자동차 부품, 및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렌즈 및 유리 대체 소재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성을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유리와 대비하여 스크래치 특성이 매우 떨어지고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는 달리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굴곡강도, 굴곡변형율 등의 강도와 접착성 등이 우수하여 접착제, 조명재료 및 건축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비교하여 충격강도가 떨어져 충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일정 두께 이하의 제품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투명하고 강성(toughness)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투명하고 스크래치 특성이 높은 PMMA 수지를 얼로이(alloy)할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과 스크래치 특성이 동시와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일본특허출원 제1993-130731호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얼로이하는 경우 두 수지간의 혼화성(miscibility)과 굴절율 차로 인하여, 한정된 분자량 수준과 한정된 비율 이외의 범위에서는 펄(pearl) 효과가 나타날 우려가 있고, 또한 불균일한 색상 및 불투명한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스크래치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스크래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미국특허 제4,027,073호에 Si 화합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 방법과 아크릴계 UV코팅을 통한 스크래치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미국특허 제5,338,798호에 신디오택틱(syndiotactic) PMMA를 이용하는 방법이, 미국특허 제5,292,809호에는 플루오르로 치환된 비스페놀을 이용하는 방법이, 그리고 미국특허 제4,743,654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의 단일상 혼합물(blends)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은 가격이 매우 고가이고, 한정된 범위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스크래치 특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20 내지 93 중량%,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3 내지 50 중량%,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1 내지 10 중량%, 및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3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스크래치 특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는 고착색성이 요구되는 전기전자 제품의 외장 부품, 자동차 정밀 부품 등의 다양한 성형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20 내지 93 중량%,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3 내지 50 중량%,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1 내지 10 중량%, 및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3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 하에서 디히드릭페놀과 포스겐이 반응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디히드릭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교환반응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제조시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디히드릭페놀은 비스페놀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라고도 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디히드릭페놀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디히드릭페놀로는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같은 할로겐화 비스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환형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단일 중합체, 두 종류 이상의 디히드릭페놀을 사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 수지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실리콘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록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릭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45,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적당한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우수한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93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함량이 20 내지 93 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일 관능 불포화 단량체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페녹시(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티오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아미노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 크릴레이트, 2-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페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메틸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프로필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1-메틸에틸)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메톡시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사이클로헥실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클로로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클로로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클로로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4-브로모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3-페닐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4-벤질페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향족 또는 고리형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일 관능 불포화 단량체로는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하나 가지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말레산 등과 같은 산 무수물;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모노글리세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과 같은 (메타)아크릴아미드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메타)아크릴니트릴 류; 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상기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 20 내지 99 중량%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일 관능 불포화 단량체 1 내지 80 중량%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가 2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경우 중합된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의 평균 굴절률이 1.50 이상으로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통상적인 괴상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통상의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에 비해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1.50 내지 1.58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가 상기 굴절률의 범위를 가질 경우, 상용성 및 투명성이 향상되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블렌딩시 잘 혼련되고 이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고착색 및 고투명 수지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한 종류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한 단일 중합체이거나, 두 종류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한 공중합체이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2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경우 컴파운딩(compounding)시 탄화 또는 분해가 발생되지 않으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며 우수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의 함량이 3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의 우수한 상용성,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일반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160℃의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짐에 따라 저온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충격보강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와의 굴절율 차로 인하여 소량 첨가시에도 헤이즈(haze) 및 투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폴리디알킬실록산에서의 디알킬의 일부를 디아릴로 치환함으로써 굴절율을 향상시켜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첨가시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은 30 내지 50 중량%의 디아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아릴이 3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굴절율이 향상되고 디알킬의 낮은 유리전이온도가 유지됨에 따라 저온 충격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및 t-부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 벤질기, 톨릴(tolyl)기, o-자일릴기(o-xylyl), 및 m-자일릴기(m-xyly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디페닐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의 점도는 25℃에서 1 내지 1,000 센티스토크(cSt)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0 센티스토크(cSt)이다.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의 점도가 1 내지 1,000 센티스토크(cSt)인 경우 내충격성과 투명성의 물성 밸런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일 경우, 투명성 및 내충격성의 물성 밸런스 면에서 바람직하다.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의 코어 구조에 불포화 단량체가 그라프트되어 쉘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수지 조성물 내에서 충격 보강제 역할을 한다.
상기 고무는 탄소수 4 내지 6의 디엔계 고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및 실리 콘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계 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실리콘계 고무 및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그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등의 경화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고무는 시클로실록산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트리메틸트리페닐시클로트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로실록산, 및 옥타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트리메톡시메틸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의 경화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가 5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우수한 충격 보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무의 평균 입경은 0.4 내지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과 착색성 밸런스 유지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에 그라프트되는 불포화 단량체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산 무수물, 및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 무수물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등과 같은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되는 불포화 단량체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 단량체가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그 결과 우수한 충격 보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3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경우, 충격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난연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염료,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방염제, 내후제, 자외선 차단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점착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는 인계 난연제, 질소 화합물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대표적으로 인산 에스테르, 폴리 인산염 등의 유기 인계 화합물이나 적색 인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질소 화합물계 난연제로는 지방족 아민 화합물, 방향족 아민 화합물, 함질소 복소환 화합물, 시안(cyan) 화합물, 지방족 아미드, 방향족 아미드, 요소, 티오(thio) 요소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계 난연제로는 실리콘 수지와 실리콘 오일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무기계 난연제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안티몬, 산 탄산나트륨, 히드록시 주석산 아연, 주석산 아연, 메타 주석산 산화주석, 산화 주석염, 유산 아연, 산화 아연, 산화 제1철, 산화 제2철, 산화 제1 주석, 산화 제2 주석, 붕산 아연, 붕산 칼슘, 붕산 암모늄, 옥타몰리브덴 산 암모늄, 텅스텐 산의 금속염, 텅스텐과 메탈로이드와의 복합 산화물, 지르코늄계 화합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흑연, 활석, 팽창성 흑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드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릴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산화티탄 또는 카본블랙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는 실리카, 점토, 탄산칼슘, 황산칼슘, 또는 유리 비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핵 형성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을 제조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내구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성형제품, 예를 들면, 우수한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 및 착색성이 요구되는 TV, 컴퓨터, 휴대폰, 및 사무자동화 기기와 같은 전기전자 제품의 외장 부품, 자동차 정밀부품 등의 다양한 성형품 제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 g/mol인 비스페놀-A형 선형 폴리카보네이트로서, 일본 TEIJIN사의 PANLITE L-1250WP®를 사용하였다. 
(B-1)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g/mol이며 고리형 메타크릴레이트가 50 중량부 포함된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를 사용하였다.
(B-2)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g/mol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사용하였다.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450 cSt의 점도를 갖는 모멘티브사의 TSF-433®을 사용하였다.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계 고무 복합체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일본 미쯔비시 레이온(MITSUBISHI RAYON)사의 메타블렌(METABLEN®) C-930A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
상기에서 언급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혼합하고, Φ=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량%) 60 60 70 100 70 60 60 60
(B-1)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중량%) 33 30 15 - - 35 35 40
(B-2)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중량%) - - - - 15 - - -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중량%) 2 5 5 - 5 0 5 -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 5 5 10 - 10 5 0 -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90℃에서 3 시간 이상 건조 후, 10 oz 사출기에서 성형온도 220 내지 280℃, 금형온도 60 내지 100 ℃ 조건으로 사출하여 두께 1mm의 평판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편은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내스크래치성: 지름 0.7mm의 첨단이 원구모양인 텅스텐 카바이드 스타일러스(stylus)를 이용하여 1kg 하중을 부여하고 75mm/min의 속도로 시편에 스크래치를 부여한 뒤 표면 조도 측정기(surface profiler)를 이용하여 조도를 관측,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을 측정하였다.  
(2) 착색성: Gretag MacBeth Color-Eye 7000A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두께 1mm 평판 시편의 헤이즈(haze)를 측정하였다.
(3) 내충격성: ASTM D256 평가방법에 의하여 1/8" 아이조드 시편에 노치(Notch)를 만들어 평가하였다.
[표 2]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스크래치 폭(㎛) 270 273 285 340 285 275 274 273
헤이즈(%) 38 38 50 4 96 38 20 10
IZOD(1/8") (kgf·cm/cm) 30 35 40 30 40 7 6 5
상기 표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만을 사용한 비교예 1, 통상의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과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한 비교예 3 및 4, 및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과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모두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와 비교하여, 내스크래치성, 착색성 및 내충격성의 물성 밸런스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만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통상의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착색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과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라도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3, 4, 및 5의 경우에도 내충격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20 내지 93 중량%;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3 내지 50 중량%;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 1 내지 10 중량%; 및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3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 g/mol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는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 20 내지 99 중량%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일 관능 불포화 단량체 1 내 지 80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또는 고리형 에스테르 아크릴계 단량체는 방향족 또는 고리형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200,000 g/mol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변성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의 굴절률이 1.50 내지 1.58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은 30 내지 50 중량%의 디아릴을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은 폴리디메틸-디페닐실록산인 것인 열가 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디알킬-디아릴실록산의 점도는 25℃에서 1 내지 1,000 cSt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의 코어 구조에 불포화 단량체가 그라프트되어 쉘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단량체는 코어-쉘 그라프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탄소수 4 내지 6의 디엔계 고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및 실리 콘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평균 입경이 0.4 내지 1 ㎛ 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단량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산 무수물, 및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포화 화합물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080109848A 2008-11-06 2008-11-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2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848A KR101225949B1 (ko) 2008-11-06 2008-11-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2/612,735 US8202938B2 (en) 2008-11-06 2009-11-05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EP09175271.7A EP2184321B1 (en) 2008-11-06 2009-11-06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CN2009102078993A CN101735586B (zh) 2008-11-06 2009-11-06 热塑性树脂组合物及使用该树脂组合物制得的模制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848A KR101225949B1 (ko) 2008-11-06 2008-11-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778A true KR20100050778A (ko) 2010-05-14
KR101225949B1 KR101225949B1 (ko) 2013-01-24

Family

ID=4150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848A KR101225949B1 (ko) 2008-11-06 2008-11-06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02938B2 (ko)
EP (1) EP2184321B1 (ko)
KR (1) KR101225949B1 (ko)
CN (1) CN10173558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84A (ko) * 2013-08-01 2015-0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353200B2 (en) 2011-12-20 2016-05-31 Samsung Sdi Co., Ltd. Thermoplastic (meth)acrylat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molded products thereof
US9611386B2 (en) 2013-05-06 2017-04-04 Samsung Sdi Co., Ltd. Transparent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US9631087B2 (en) 2011-12-19 2017-04-2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60B1 (ko) 2010-05-17 2013-08-21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09808B1 (ko) 2010-07-30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40539B1 (ko) * 2010-11-23 2014-01-02 제일모직주식회사 표면 특성이 우수한 고광택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35290B1 (ko) 2010-12-30 2013-12-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9688855B2 (en) 2015-11-17 2017-06-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compositions for mobile phone housing applications
US9598577B1 (en) 2015-11-17 2017-03-2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compositions, articles form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9598578B1 (en) 2015-11-17 2017-03-2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compositions, articles form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109825055B (zh) * 2019-01-15 2021-06-1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073A (en) * 1974-06-25 1977-05-31 Dow Corning Corporation Pigment-free coating compositions
US4743654A (en) * 1986-11-13 1988-05-10 University Of Akron Single phase blends of polycarbon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US4885335A (en) * 1988-12-27 1989-12-05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gloss thermoplastic blends
JPH05130731A (ja) 1991-10-31 1993-05-25 Toshiba Corp 接地開閉器
US5292809A (en) * 1992-06-01 1994-03-08 Enichem S.P.A. Blends of polycarbonate containing fluorinated-bisphenol A and polymethyl methacrylate
US5280070A (en) * 1992-06-01 1994-01-18 Enichem S.P.A. Polycarbonate-polymethyl methacrylate blends
US5338798A (en) * 1992-09-30 1994-08-16 Istituto Guido Donegani S.P.A. Block copolymers containing stereoregular polymethyl methacrylate and their blends with polycarbonates
JP3735481B2 (ja) * 1999-02-02 2006-01-18 帝人化成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6989190B2 (en) * 2000-10-17 2006-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parent polycarbonate polyester composition and process
EP1217040B1 (en) * 2000-12-21 2005-03-02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its molded articles
US6753367B2 (en) * 2001-08-20 2004-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weathering performance containing cyanoacrylic esters
US20050250905A1 (en) * 2004-05-04 2005-11-10 Chang Moh-Ching O Impact-modified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US7365125B2 (en) * 2004-08-16 2008-04-2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W200624509A (en) * 2004-09-09 2006-07-16 Shinetsu Chemical Co Polyphenylene ether oligomer sulfonic acid salt, making method,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WO2006030951A1 (ja) * 2004-09-17 2006-03-23 Toray Industries, Inc. 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4914027B2 (ja) * 2005-06-08 2012-04-11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KR100665806B1 (ko) * 2005-06-30 2007-01-09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070072961A1 (en) * 2005-09-28 2007-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70058085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삼양사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782265B1 (ko) * 2005-12-30 2007-12-04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38451B1 (ko) 2005-12-30 2008-06-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도가 높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1087B2 (en) 2011-12-19 2017-04-2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s thereof
US9353200B2 (en) 2011-12-20 2016-05-31 Samsung Sdi Co., Ltd. Thermoplastic (meth)acrylat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molded products thereof
US9611386B2 (en) 2013-05-06 2017-04-04 Samsung Sdi Co., Ltd. Transparent polycarbonate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KR20150015784A (ko) * 2013-08-01 2015-0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605147B2 (en) 2013-08-01 2017-03-28 Samsung Sdi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35586A (zh) 2010-06-16
CN101735586B (zh) 2012-09-26
US8202938B2 (en) 2012-06-19
US20100113697A1 (en) 2010-05-06
KR101225949B1 (ko) 2013-01-24
EP2184321A2 (en) 2010-05-12
EP2184321A3 (en) 2012-11-07
EP2184321B1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94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341104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KR10129716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2265672B1 (en) Flame-retardant scratch-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KR101174089B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944388B1 (ko)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40539B1 (ko) 표면 특성이 우수한 고광택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20110040019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US9127157B2 (en) Flame-retardant and scratch-resist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20160129961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1193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80180B1 (ko) 고광택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1664844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08785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86879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34018B1 (ko)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4181921A1 (ko)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1008991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66050B1 (ko) 상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68881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내스크래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447276B1 (ko) 외관특성이 우수한 고충격 난연 내스크래치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5001578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30070415A (ko)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130073772A (ko)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20080062469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