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737A - 산겨릅나무,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겨릅나무,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737A
KR20100050737A KR1020080109780A KR20080109780A KR20100050737A KR 20100050737 A KR20100050737 A KR 20100050737A KR 1020080109780 A KR1020080109780 A KR 1020080109780A KR 20080109780 A KR20080109780 A KR 20080109780A KR 20100050737 A KR20100050737 A KR 2010005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composition
pine
extract
o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439B1 (ko
Inventor
정태수
정윤석
Original Assignee
정태수
정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수, 정윤석 filed Critical 정태수
Priority to KR102008010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4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ddiction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신속한 알코올 분해에 따른 숙취해소효과와 간의 해독작용이 우수하여 음주 전후에 숙취해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간기능 개선제로 사용될 수 있다.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 숙취해소,

Description

산겨릅나무,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lightening hangover, including extracts of Acer tegmentosum Max. and Oak tree and Pine tree and Big cone tree}
본 발명은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시간에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며 산겨릅나무 단독 추출물보다도 알코올 분해능이 3배 이상 높아 음주 과도로 인한 숙취해소에 아주 우수한 숙취해소 조성물이다.
오늘날 현대인은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만성적 피로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를 음주로 풀려고 하는 경우 과음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과음으로 인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들 물질이 간세포에 장기간 축적되어 독작용이 지속되면, 피로감,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음주 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생약제제 도는 인공제제를 단독 으로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숙취로 인한 증상으로부터 고통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체내에 축적된 알콜 성분의 분해 및 배설을 통한 숙취 원인의 신속한 제거에는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산겨릅나무는 고지대의 습기찬 골짜기나 계곡가에서 자라는 교목으로, 벌나무, 산청목, 봉목이라고도 불리어진다. 산겨릅나무는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수분이 잘 배설되게 하여 간암, 간경화, 간염, 백혈병 등에 치료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으므로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재이다. 청혈제, 이뇨제로도 쓰인다.
상수리나무는 참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상수리나무 잎은 지혈작용이 뛰어나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날 때 치질로 인한 출혈에 효과가 있다. 상수리나무 껍질은 만성대장염과 설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수리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종기나 피부염 부위를 씻으면 잘 낫는다. 또한 상수리나무 잎과 잔가지를 달여서 차처럼 마시면 신장결석, 요로결석 등 갖가지 결석을 녹여서 나오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침엽교목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기침, 변비, 관절통, 중금속 다이옥신 해독의 효과가 있고, 열매속 껍질은 화상 치료에 송진은 상처 치료에 솔잎은 원기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소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침엽교목으로, 소나무 잎은 고혈압, 동맥경화, 두통, 치통, 부종, 타박상, 불면증, 혈담 치료 및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제제 또는 인공제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숙취해소용 드링크류는 숙취로 인한 증상으로부터 고통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으나 근본적으로 체내에 축적된 알콜 성분의 분해 및 배설을 통한 숙취 원인의 신속한 제거에는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한 가지인 산겨릅나무의 추출액은 간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숙취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은 예측할 수 있겠으나, 산겨릅나무 추출물만으로는 숙취해소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산겨릅나무에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를 적정비율로 혼합 추출함으로서 네가지 생약재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승 효과를 나타내어 탁월한 숙취해소 효과를 보이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 무, 소나무를 중량비 3-20 : 1-6 : 1-6 : 1-6로 혼합하여 추출한다.
상기 생약재들의 조성 비율은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그 하한치보다 낮을 경우 그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감소하며, 그 상한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수 있다.
하기 실험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 단독 추출물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숙취해소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은 산겨릅나무 등 네가지 생약재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각각의 생약재 기능보다 훨씬 뛰어난 간 기능 개선효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로얄제리, 벌꿀, 대추, 마늘, 헛개나무, 오미자, 감초, 사인의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주로 인한 숙취증상 전반에 대하여 뛰어난 해소작용을 가지며, 더불어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간장보호효과가 우수하여 음주 전 또는 음주 후 숙취해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콜 분해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일예로 소주 한 병을 마신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면 1시간 반 내지 2시간이면 운전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공정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잎과 잔 가지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잘게 절단하여 열풍건조실에 넣어 50도, 12시간 정도 건조시킨다.
2) 추출공정
상기 건조된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를 중량비 3-20 : 1-6 : 1-6 : 1-6로 혼합한 후, 물 또는 에탄올과 1:9의 비율로 하여 환류 냉각 추출장치로 70-100도 범위 내에서 6-12시간 1-2회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에 로얄제리, 벌꿀, 대추, 마늘, 헛개나무, 오미자, 감초, 사인의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3) 농축 및 제품화공정
상기 추출공정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감압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후,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한다. 농축액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액상제품, 분말화제품, 환제품, 파우치제품 등을 만든다.
(실시예)
건조된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를 각각 600g, 200g, 200g, 200g을 혼합한 후, 물 10리터와 함께 환류 냉각 추출장치에 넣고 100도에서 10시간 2회에 걸쳐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 농축시킨 후, 농축액에 구연산, 사과산, 과당을 첨가하여 7-15 Brix 음료제품을 제조한다.
(비교예)
건조된 산겨릅나무 1.2kg를 물 10리터와 함께 환류 냉각 추출장치에 넣고 100도에서 10시간 2회 추출한다. 추출액을 감압여과기를 사용하여 여과 농축시킨 후, 농축액에 구연산, 사과산, 과당을 첨가하여 7-15 Brix 음료제품을 제조한다.
건조된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도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음료제품을 제조한다.
(실험예1) 혈중 알콜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보통의 주량을 갖는 성인 남자 25명을 대상으로 혈중 알콜농도 측정실험을 하였다. 25명을 대조군(5명), 실시예 투여군(10명), 비교예 투여군(10명)으로 나누고, 각각 360ml 의 소주 한 병을 음주하게 한 후, 실시예와 비교예의 음료제품을 80ml 마시게 하였다. 음주 직후,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의 혈중 알콜농도를 음주측정기로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한 결과는 표1과 같았다.
(표1)(단위; v/v%)
음주직후 1시간 경과 2시간 경과 3시간 경과
대조군 0.117 0.104 0.087 0.061
실시예(본발명의조성물) 0.117 0.046 0.023 0.012
산겨릅나무 0.116 0.076 0.058 0.033
상수리나무 0.115 0.097 0.077 0.048
잣나무 0.116 0.098 0.079 0.050
소나무 0.114 0.091 0.072 0.043
이 실험결과,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 단일 추출물의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알콜 농도가 감소하였으 나,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산겨릅나무 단일 추출물의 경우에 비해 알콜 분해능이 3배 정도 높고,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 단일추출물보다는 4.5-5배 정도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숙취해소 제품(음주 3시간 후 혈중 알콜 농도 0.2이상)에 비해서도 탁월한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 각각의 단일 추출물에 비해 훨신 높은 알콜 분해능을 갖는 이유는 산겨릅나무에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를 적정비율로 혼합 추출함으로서 네가지 생약재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상승작용을 나타내어 탁월한 숙취해소 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실험예2)
실험예1의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예1과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을 섭취케하여 음주 후 5시간 후의 숙취해소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2)
두통 구토감 속쓰림 피로감
대조군 4.3 3.6 3.4 4.6
실시예(본 발명의 조성물) 0.1 0 0.3 0.5
산겨릅나무 1.4 1.2 1.3 1.9
상수리나무 2.0 1.9 1.8 2.1
잣나무 2.2 1.8 1.8 1.8
소나무 1.8 1.7 1.5 1.4
증상의 정도; 5 매우 심함, 4 심함, 3 보통, 2 완화, 1 미약 0 없음
상기 표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을 음주 후 복용할 때, 숙취의 증상인 두통, 구토감, 속쓰림, 피로감 등의 모든 증상이 크게 개선되었다.

Claims (1)

  1. 산겨릅나무,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를 중량비 3-20 : 1-6 : 1-6 : 1-6로 혼합하여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080109780A 2008-11-06 2008-11-06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11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780A KR101114439B1 (ko) 2008-11-06 2008-11-06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780A KR101114439B1 (ko) 2008-11-06 2008-11-06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737A true KR20100050737A (ko) 2010-05-14
KR101114439B1 KR101114439B1 (ko) 2012-08-23

Family

ID=4227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780A KR101114439B1 (ko) 2008-11-06 2008-11-06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250A (ko) * 2015-12-23 2017-07-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CN106947676A (zh) * 2017-05-25 2017-07-14 陕西西凤酒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度葡萄味配制酒及其制备方法
WO2023085703A1 (ko) * 2021-11-09 2023-05-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 심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20B1 (ko) * 2016-08-30 2018-09-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KR101919325B1 (ko) * 2016-11-25 2018-11-20 뉴트라팜주식회사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2173683B1 (ko) * 2018-06-05 2020-1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98B1 (ko) 2004-08-25 2006-02-21 박희학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250A (ko) * 2015-12-23 2017-07-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CN106947676A (zh) * 2017-05-25 2017-07-14 陕西西凤酒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度葡萄味配制酒及其制备方法
CN106947676B (zh) * 2017-05-25 2020-09-22 陕西西凤酒股份有限公司 一种低度葡萄味配制酒及其制备方法
WO2023085703A1 (ko) * 2021-11-09 2023-05-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나무 심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439B1 (ko)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5351B (zh) 一种沉香美白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14439B1 (ko) 산겨릅나무, 상수리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CN102934721B (zh) 端午茶凉茶饮料及其制备方法
EP2003988B1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CN103536793B (zh) 一种具有清热解毒祛火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199092A (zh) 一种从迷迭香获得两种抗氧化剂的生产工艺
KR100853078B1 (ko) 숙취 해소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6487A (ko) 대추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및 이 제조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20000032623A (ko)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20070097234A (ko) 식용가능한 한약재를 이용한 유산발효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70085451A (ko) 숙취해소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숙취해소용 약재 추출물
CN103653104A (zh) 具有消脂及保护心血管作用的石榴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10018097A (ko) 지구자나무, 오리나무, 칡 혼합물을 이용한 숙취 해소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97246A (zh) 一种植物减肥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10092539A (ko) 숙취완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91929B1 (ko)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845535A (zh) 一种清创消炎的药物组合物
CN1049563C (zh) 胖大海饮料茶及其制备方法
WO2000064286A1 (en) Method of extracting from hovenia dulcis thunb, using method thereof and food containing extract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3340411B (zh) 一种润肺油茶蜂蜜
CN102846720B (zh) 一种降血脂、提高缺氧耐受力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