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250A -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250A
KR20170075250A KR1020150184657A KR20150184657A KR20170075250A KR 20170075250 A KR20170075250 A KR 20170075250A KR 1020150184657 A KR1020150184657 A KR 1020150184657A KR 20150184657 A KR20150184657 A KR 20150184657A KR 20170075250 A KR20170075250 A KR 20170075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ver
present
extract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510B1 (ko
Inventor
김성훈
김봉이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5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간세포에서의 지방 합성을 억제하고, 지방간 형성을 억제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inus koraiensis for removing hangover or for protecting liver}
본 발명은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개인적인 음주뿐만 아니라 업무적인 회식이 빈번하여, 과도한 음주가 잦아지고 있다. 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은 섭취 후 80 ~ 90 % 정도는 빠른 속도로 간에서 대사되는데, 간세포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분해되고 다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해 대사되어 아세테이트(acetate)가 된 후, 이산화탄소와 물로 가수분해된다. 이때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얼굴을 붉게 하고 두통, 심계, 위통 등 숙취의 원인이 된다. 또한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 시 알코올성 지방간, 간경변증 등의 간 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경우 음주 빈도가 한 달에 약 8일, 만취 횟수는 주 1회 이상이 4.7% 정도, 1개월에 1 내지 3회가 약 13.2%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 건강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우려할만한 수준이다. 이처럼 과도한 음주에 의한 숙취발생 및 지속적 알코올 섭취를 원인으로 하는 간 기능 장애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이다. 이러한 실정에 맞추어, 국내에서는 다양한 숙취해소 음료가 출시되고 있으며, 주로 헛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다.
한편, LKB1 (Liver Kinase B1)은 AMPKα (AMP-activated Protein Kinase α)를 인산화시키는 주요 키나아제이다 (Carling D et al. The regu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y upstream kinases. Int J Obes (Lond) 2008;32(Suppl 4):S55-9). LKB1은 또한 AMPK와 관련된 여러 키나아제의 인산화 및 활성화와도 연관되어 있다 (Lizcano JM, et al. LKB1 is a master kinase that activates 13 kinases of the AMPK subfamily, including MARK/PAR-1. Embo J 2004;23:833-43).
인산화된 AMPK는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합성을 강하게 억제하며, 특히 대사 효소인 ACC (Acetyl-CoA Carboxylase)를 인산화시키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지방 합성을 억제한다 (Carling D, Zammit VA, Hardie DG. A common bicyclic protein kinase cascade inactivates the regulatory enzymes of fatty acid and cholesterol biosynthesis. FEBS Lett 1987;223:217-22).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 효과를 지닌 천연물을 조사하였으며, 이 중 잣잎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Carling D, Sanders MJ, Woods A. The regu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y upstream kinases. Int J Obes (Lond) 2008;32(Suppl 4):S55-9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 보호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잣잎 추출물이 숙취 예방 또는 해소 효과가 있고, 간 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잣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취란 술을 자신의 대사 능력 이상으로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쾌한 신체적 현상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과음을 한 다음날 나타나는 속쓰림, 두통, 구토, 전신피로, 집중력 감퇴, 기억 상실 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은 잣잎을 세척, 건조, 절단 및 분쇄, 추출 및 농축, 숙성하는 단계를 거쳐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잣잎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C4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은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방법으로 수득된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은 ADH(Alcohol Dehydrogenase)와 ALDH(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의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며,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춤으로써 숙취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잣잎 추출물의 함량은 섭취한 알코올의 양 및 개인의 알코올 분해능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 보호용 조성물
본 발명은 잣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 보호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잣잎 추출물은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에서 기술한 잣잎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은 간세포에서의 지방 합성 반응에 관여하는 LKB1(Liver Kinase B1),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 효소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 지방간의 형성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은 ADH와 ALDH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므로, 알코올성 간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보호에 효과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간 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
상기 간 기능 장애에는 예를 들어, 황달, 간비대, 지방간, 간염, 간경변 또는 간부전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잣잎 추출물의 함량은 간 기능 장애의 정도, 환자의 상태 및 장애의 진행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 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를 위한 각종 식품류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료, 차, 껌,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류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액상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것 이외에도 모든 식품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또는 음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백당, 결정과당, 포도당, D-솔비톨, 만니톨, 이소말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등의 감미제, 무수구연산, DL-사과산, 호박산 및 그의 염 등의 산미제, 안식향산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보존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인 경우, 음료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크롤 덱스크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과 같은 당알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의 천연 향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탐 등의 합성 향미제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용해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는 슈가,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유당수화물), 포도당, 디-만니톨, 알기네이트, 알칼리토금속류염, 클레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무수인산수소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고분산성 실리카, 만니톨, 디-만니톨, 자당, 유당수화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폴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코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천연검, 합성검, 젤라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는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또는 전호화전분 등의 전분 또는 변성전분;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비검 (veegum) 등의 클레이;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알긴산나트륨 또는 알긴산 등의 알긴류; 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 나트륨 등의 가교 셀룰로오스류; 구아검, 잔탄검 등의 검류;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crospovidone) 등의 가교 중합체; 중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의 비등성 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는 탈크,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라우릴 설페이트나트륨, 수소화식물성오일, 나트륨벤조에이트, 나트륨스테아릴푸마레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초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에테르산 나트륨, 사과산, 숙신산, 주석산, 푸마르산, 구연산(시트르산)과 같은 산성화제와 침강 탄산 칼슘, 암모니아수, 메글루민, 탄산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구연산 나트륨, 삼염기칼슘인산염과 같은 염기성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 초산토코페롤,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해보조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소르베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류, 도큐세이트 나트륨, 폴록사머(poloxa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투여를 위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잣잎 추출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를 위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하여 액상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화를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성인 기준 1일 약 10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mg/kg 내지 1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1일 단회 내지 수회 투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중증, 나이, 성별, 체중 등의 환자의 상태와 약물의 제형, 투여경로 및 투여 기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적으므로 장기간 투여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경구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강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막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숙취의 억제 및 간 보호 효과를 가진 다른 활성성분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ADH(Alcohol Dehydrogenase) 및 ALDH(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 알코올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 합성 반응과 관련된 효소의 활성에 관여하여, 간세포에서의 지방 합성을 억제하며, 지방간의 형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 보호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알코올성 간 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잣잎 추출물을 투여한 SD 랫트가 알코올을 섭취하였을 때의ADH 활성 증가 효과와 ALDH 활성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잣잎 추출물을 투여한 SD 랫트가 알코올을 섭취하였을 때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잣잎 추출물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의 LKB1(Liver Kinase B1),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tse)의 변화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알코올을 투여한 SD 랫트에서, 잣잎 추출물의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를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HepG2 세포에 잣잎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MTT 분석법으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잣잎 추출물의 제조
한국 강원도 홍천군에서 30년 이상의 한국 잣나무 (Pinus Koraiensis)로부터 잣잎을 채취하였다. 채집표본 (no. KMH-0081025)은 경희대학교 식물 생리학과의 식물표본실에서 유지하였다. 채취된 잣잎을 말리고 분쇄하여 95%의 에탄올에 3일 동안 추출하였다. 회전식 증발기(Eyela, 도쿄, 일본)를 이용하여 농축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잣잎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
실시예 1. ADH ALDH의 활성 증가 효과 확인
알코올 및 아세트 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DH와 ADL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SD 랫트(6 주령)(효창사이언스㈜, 대구, 한국)를 6개 군, 정상군, 대조군, H100(헛개열매 100 mg/kg), H200(헛개열매 200 mg/kg), PKL100(잣잎 100 mg/kg), PKL200(잣잎 200 mg/kg)으로 나누고, 먼저 사료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위장관을 통한 에탄올의 흡수방해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에탄올을 경구투여 전 18 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에탄올 투여 30분 전에 시료를 각각 2 ml 용량으로 zonde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으며, 모든 군에 30% 에탄올을 체중 kg당 3 g으로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ADH, ALDH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에탄올 경구 투여 후, 1, 3, 5시간 후에 채혈하여 ADH 및 A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도 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잣잎 추출물 투여군은 헛개열매 투여군과 비슷한 정도로 ADH 및 ALDH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실시예 2.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 확인
혈중 알코올 농도의 변화를 실시예 1과 같은 실험 설계로 시행하였다.
SD 랫트를 6개 군, 정상군, 대조군, H100(헛개열매 100 mg/kg), H200(헛개열매 200 mg/kg), PKL100(잣잎 100 mg/kg), PKL200(잣잎 200 mg/kg)으로 나누고, 먼저 사료 섭취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위장관을 통한 에탄올의 흡수방해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에탄올을 경구투여 전 18 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에탄올 투여 30분 전에 시료를 각각 2 ml 용량으로 zonde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으며, 모든 군에 30% 에탄올을 체중 kg당 3 g으로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혈중 에탄올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에탄올 경구 투여 후, 1, 3, 5시간 후에 채혈하여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도 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후에 잣잎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헛개 열매군의 효과와 비슷하였다.
실시예 3. 간세포에서의 지방 대사 관련 효소 증가 효과 확인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HepG2 세포의 LKB1(liver kinase B1),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인산화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epG2 세포에 잣잎 추출물 50 ㎍/ml, 100 ㎍/ml를 각각 처리하고, 24 시간이 지난 뒤 LKB1, AMPK, 및 ACC의 인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도 3).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잣잎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LKB1,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 확인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으로 랫트의 간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SD 랫트를 정상군, 대조군(알코올 25%), 실리마린(양성대조군, 100 mg/kg), PKL 500(잣잎, 500 mg/kg), PKL 1000(잣잎, 1000 mg/kg)의 5 가지 군으로 나누어 6주간 매일 경구용 needle zonde을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그 후, 랫트의 간을 적출하고, 헤마토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도 4).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잣잎 추출물이 양성 대조군인 실리마린과 유사한 정도로 지방간에서 기포 모양의 조직학적 현상을 감소시켰다.
< 실험예 > 잣잎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잣잎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TT시약은 세포내에서 미토콘드리아 데하이드로게나제에 의해 노란색의 수용성 MTT가 보라색의 MTT 포마잔 염료를 형성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다.
HepG2 세포주를 잣잎 추출물(PKL) 50 ㎍/ml 및 100 ㎍/ml 농도로 에 24 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시험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 간세포의 생존율이 90%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잣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잣잎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1~C4 알코올은 에탄올인 조성물.
  4. 잣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간 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 기능 장애는 지방간, 간경변 또는 간부전인 조성물.
KR1020150184657A 2015-12-23 2015-12-23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14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57A KR102140510B1 (ko) 2015-12-23 2015-12-23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57A KR102140510B1 (ko) 2015-12-23 2015-12-23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250A true KR20170075250A (ko) 2017-07-03
KR102140510B1 KR102140510B1 (ko) 2020-08-03

Family

ID=5935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57A KR102140510B1 (ko) 2015-12-23 2015-12-23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06A (ko) 2018-07-26 2020-0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삼백초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53254A (ko) 2020-06-10 2021-12-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삼백초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997A (ja) * 2003-06-30 2005-02-10 Toyo Shinyaku:Kk アルコール代謝向上剤
KR20060016551A (ko) * 2004-08-18 2006-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KR20100050737A (ko) * 2008-11-06 2010-05-14 정태수 산겨릅나무,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045127A (ko) * 2013-10-18 2015-04-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997A (ja) * 2003-06-30 2005-02-10 Toyo Shinyaku:Kk アルコール代謝向上剤
KR20060016551A (ko) * 2004-08-18 2006-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KR20100050737A (ko) * 2008-11-06 2010-05-14 정태수 산겨릅나무, 참나무, 잣나무, 소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045127A (ko) * 2013-10-18 2015-04-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ling D, Sanders MJ, Woods A. The regu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y upstream kinases. Int J Obes (Lond) 2008;32(Suppl 4):S55-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06A (ko) 2018-07-26 2020-0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삼백초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53254A (ko) 2020-06-10 2021-12-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삼백초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510B1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644B2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for sober-up and hepatic protec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030004215A1 (en) Dietetic prepara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intestinal carbohydrate absorption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12207009A (ja) 桑小枝粉砕微粉末の製法
KR20150038775A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140510B1 (ko)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354370B1 (ko) 기억력 증진 또는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0610999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from melandryum firmum for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s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6773B1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0204B1 (ko)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0192A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KR101317551B1 (ko)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 및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8220A (ko) 버섯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14893B1 (ko)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39623B1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2089B1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2371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목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1568044B1 (ko) 불안 및 스트레스 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