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0617A -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0617A
KR20100050617A KR1020080104492A KR20080104492A KR20100050617A KR 20100050617 A KR20100050617 A KR 20100050617A KR 1020080104492 A KR1020080104492 A KR 1020080104492A KR 20080104492 A KR20080104492 A KR 20080104492A KR 20100050617 A KR20100050617 A KR 2010005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information
motion detection
living alone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626B1 (ko
Inventor
한동수
구종영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브이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10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6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작감지센서(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작감지센서(10)에서 감지되는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로 구성되어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신호를 축적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은 독거노인의 거주지에 컴퓨터의 구성없이도 독거노인의 상태를 예견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다수 독거노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구호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 독거노인을 우선적으로 방문할 수 있어서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독거노인, 게이트웨이, 중앙서버, 인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Description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A Living-Alone Elder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신호를 축적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홀로 거주하는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독거노인은 사망한지 몇 달 만에 이웃이나 친척에 의해 발견되기도 하며, 이러한 것은 사회적 문제점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또는 국가에서는 독거노인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이들을 돌보는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이하 '관리자'라고 함)를 두고 있다. 또한, 독거노인의 돌보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예산과 시간의 부족으로 그 한계점에 도달하였다. 예를 들어, 한 명의 관리자가 담당하는 독거노인의 수는 500 명 이상이고 이들은 관리센터의 근처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짧은 기간 동안 이들 모두를 방문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신체의 일부에 부착하여 심장박동과 체온을 체크하는 시스템 또는 독거노인이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체크하는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다.
한편,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에 센서 등을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신체의 일부에 부착하여 체크하는 방법은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독립된 전원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신체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므로, 배터리의 소모가 많아 자주 충전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며, 배터리의 무게가 상당하여 신체에 부착하여 활동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둘째, 가전제품의 리모콘 등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체크하는 시스템은 주거지를 이탈하여 장시간 집을 비우거나 정상적인 상태에서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으면 비상상태로 판단하는 등 오류를 범하기 쉽다.
셋째,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에서는 독거노인이 컴퓨터를 다룰 수 없는 문제점과 독거노인이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컴퓨터를 함께 제공해야 하는 비용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동작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예견하고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독거노인의 거주지에 설치하고,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중앙서버에서 분석 판단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거주지에 컴퓨터의 구성없이 독거노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서버에서 다수의 독거노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는, 동작감지센서(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작감지센서(10)에서 감지되는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중앙서버는, 일정시간 동안 축적된 동작감지센서(10)의 동작정보와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31); 독거노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2); 상기 동작정보, 상기 센싱결과 및 상기 독거노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전송토록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제어방법은,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센서(10)로부터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 센서의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축적하는 제 2단계;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를 전송주기에 전송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 제어방법은,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기초로 인체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제 10단계; 상기 제 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였으면,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제 11단계; 상기 제 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인체를 감지하였으면, 독거노인의 정보를 로드하여 독거노인의 평상시 수면시간인지 판단하는 제 12단계; 상기 제 12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면시간이 아니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제 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은 독거노인의 거주지에 컴퓨터의 구성 없이도 독거노인의 상태를 예견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다수 독거노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구호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는 독거노인을 우선적으로 방문할 수 있어서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서버에서 다수 독거노인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서 한 명의 관리자가 보다 많은 수의 독거노인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은 동작감지센서(10), 게이트웨이(20), 중앙서버(30) 및 이동통신 단말기(40)로 구성된다.
동작감지센서(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인체 동작의 동작감지신호가 감지될 때마다 상기 감지된 감지신호를 게이트웨이(20)로 전송한다.
상기의 동작감지센서(10)로는 초음파 센서, 능동형 적외선 센서, 광센서 등이 있으며, 당업자에 따라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동작감지센서(10)는 거주 공간마다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실, 주방, 거실, 욕실 등에 각각 한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에서 동작 감지센서(1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20)와의 연결 설정은 동작감지센서(10)와 게이트웨이(20)와의 거리, 독거노인의 주생활 공간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가 거실에 설치되었다면, 거실에 설치되는 동작감지센서(10)는 상기 게이트웨이(2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욕실 등에 설치되는 동작감지센서(1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연결은 지그비(Zigbee), RF통신, UWB, 블루투스(Bluetooth), IrDA 등이 있으나, 많은 양의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고, 저전력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지그비(Zigbee) 통신이 가장 바람직하다.
게이트웨이(20)는 동작감지센서(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감지신호가 발생된 동작감지센서(10)의 설치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고 주기적으로 중앙서버(30)로 전송한다.
즉, 게이트웨이(20)에는 설치된 동작감지센서(10)의 설치위치가 저장되어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감지된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20)에 저장되는 감지정보는 <거실, 2008.10.10.09.05.00>과 같이 축적된다.
또한, 계속해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축적주기를 제한할 수 있다. 축적주기와 전송주기는 독거노인의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독거노인이 거동이 불편하 거나 심각한 질병에 시달린다면 상기의 축적주기 및 전송주기는 짧은 것이 좋다.
중앙서버(30)는 게이트웨이(20)에서 전송된 동작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분석정보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통지의 방법으로는 유선전화기로의 ARS메시지 전송, 이동통신 단말기(40)로의 SMS 또는 음성메시지 전송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40)로 SMS 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지의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속하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와 중앙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20)의 구성은 간략하게 유·무선 수신부(21), 제어부(22), 메모리부(23) 및 통신부(24)로 이루어진다.
유·무선 수신부(21)는 동작감지센서(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작감지센서(10)에서 감지되는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2)는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메모리부(23)에 축적토록한다.
통신부(24)는 PSTN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축적된 동작정보를 주기적으로 중앙서버(30)로 전송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게이트웨이(20)는 동작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중앙서버(3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제어부(22)는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고, 축적된 동작정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며, 통신부(24)는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중앙서버(30)로 분석정보를 전송한다.
중앙서버(30)의 구성은 간략하게 통신부(31), 메모리부(32), 관리 제어부(33), SMS모듈(34)로 이루어진다.
통신부(31)는 게이트웨이(20)의 통신부(24)에서 전송되는 동작정보를 수신한다.
메모리부(32)에는 독거노인의 정보가 저장되며, 관리 제어부(33)는 동작정보에 상응하는 독거노인 정보를 로드하여 수신된 동작정보와 함께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비정상상태를 저장·출력한다. 독거노인 정보는 거주지 주소, 성명, 나이, 전화번호, 수면시간 등을 포함한다.
SMS모듈(34)은 상기 관리 제어(33)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로 분석정보를 전송한다. 분석정보는 관리대상인 모든 독거노인에 대하여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된 인원수에 대해서만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게이트웨이(20)에서 동작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중앙서버(30)로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중앙서버(30)는 상기 분석결과를 SMS모듈(3)을 통하여 관리자로 전송되도록 간략화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서버(30)내에 SMS모듈(34)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중앙서버(30)의 외부에 구성하거나 SMS모듈(34)없이 통신부를 통하여 상용의 SMS 센터에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에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 미리설정된 시간 간격동안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없으면 일단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독거노인이 수면상태일 경우에는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인체감지센서를 더 추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독거노인의 수면시간에 관한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수면시간에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는 정상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독거노인이 외출한 경우에도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센서와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동작감지센서(10)와 하나의 쌍으로 인체감지센서(11)를 더 부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인체감지센서(10)로는 열감지센서 및 적외선센서 등이 있으며, 적외선 센서 중에서는 수동형 적외선센서가 좋다.
특히, 수동형 적외선센서는 적외선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적외선 수치는 인체감지센서(11)와 독거노인의 거리에 따라 다르나 독거노인이 이동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적외선 양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수동형 적외선센서는 적외선 양에 따라 인체의 존재여부에 관한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동작감지센서(10)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의 동작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인체감지센서(11)의 감지정보를 통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의 구성에서도 두 가지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독거노인의 정상상태, 비정상상태를 중앙서버(30)에서 판단할 수 있고, 두 번째, 독거노인의 정상상태, 비정상상태를 게이트웨이(20)에서 판단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판단의 주체가 어디냐에 따라 서로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으며, 판단의 주체는 독거노인의 정보 등을 저장한 메모리와 판단의 프로세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첫 번째, 판단의 주체가 게이트웨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20)는 동작감지센서(10)의 신호를 감지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여 축적하고,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 신호가 없으면,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로부터 센싱결과를 생성하여 중앙서버(30)로 전송 한다. 센셍결과는 적외선 양 또는 인체의 존재여부일 수 있다.
그리고, 중앙서버(30)는 게이트웨이(20)에서 전송된 정보(동작정보, 센싱결과)와 독거노인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관리자로 통지한다.
이 때, 독거노인 정보는 사진이미지,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나이, 전화번호, 병명, 관리자, 수면시간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두 번째의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30)는 정상상태, 비정상상태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한다. 중앙서버(30)에서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독거노인 정보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던, 인체감지센서(11)에서 적외선 양을 측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인체감지센서(11)와 독거노인과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적외선의 양은 다르다. 따라서 독거노인이 움직이는 중일 때 검출되는 적외선 양은 의미가 없다. 독거노인이 움직이지 않을 때, 즉, 동작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정시간마다 측정되는 적외선 양으로 독거노인의 체온 변화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적외선의 수치로 체온의 변화량을 추정하여 체온의 수치가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상태가 된다면 돌연사 등의 상태로 추정할 수 있고 응급상태로 규정하여,관리자에게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구성에 따른 흐름도이다.
우선,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센서(10)로부터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11). 상기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동작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축적한다(S12).
축적된 동작정보는 전송주기를 확인하여(S13), 전송주기에 따라 중앙서버(30)로 전송된다(S14).
상기의 S1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를 이용하여 센싱결과를 생성하고(S15), 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한다(S14).
중앙서버(30)로 전송된 정보는 중앙서버(30)에서 비교 판단하게 되는데,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판단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중앙서버의 판단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정시간 동안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후속의 판단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기초로 인체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한다(S21).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였으면, 독거노인은 거주지에 존재하지 않은 상태 즉, 외출상태로 예측하고 정상상태로 판단한다(S22).
인체감지신호가 감지되면, 독거노인의 정보를 로드하여 독거노인의 평상시 수면시간인지 확인한다(S23).
수면시간이라면, 정상적인 생활로 예측하여 수면으로 판단하고(S24), 수면시간이 아니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알람한다(S26). 예를 들면,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판단들을 중앙서버(30)가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게이트웨이(20)가 수행하여도 된다.
한편, 거주지내 독거노인의 존재 여부와, 거주지 외부로의 외출 및 거주지 내부로의 귀가 등 독거노인의 이동 정보를 참고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동작감지센서(10)이외에 RFID 리더(12,13,25)를 이용하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RFID 리더(25)는 게이트웨이(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RFID 리더(13)과 RFID 리더(12)는 게이트웨이와는 독립하여 설치되고 게이트웨이(20)와는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RFID 리더(12)는 동작감지센서(10)과 함께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RFID 리더(13)는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RFID 리더(12,13,25)의 설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거주지의 각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거주지의 각 공 간과 출입문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출입문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출입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출입문의 한쪽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출입문의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하한 경우이든 RFID 태그를 가진 독거노인의 존재 여부 또는 이동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설치되면 족하다.
RFID 리더(12,13,25)는 RFID 태그(미도시)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독출한다. RFID 태그는 능동형이든 수동형이든 상관없으며, RFID 태그는 카드타입, 목걸이 타입, 반지 타입, 동글 타입 등 독거노인이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이면 족하다. RFID 태그 정보는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이며, 관심의 대상이 되는 독거노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거주지마다 부여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게이트웨이마다 부여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독거노인의 존재 유무 또는 이동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도의 식별만이 가능하면 된다. 거주지마다 부여된 식별정보이거나 게이트웨이마다 부여된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것은, 거주지 또는 게이트웨이에 각각 한 사람의 독거노인이 살고 있다는 가정에 출발한 것이다. RFID 태그에는 부가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교통카드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독거노인이 사회보장 시설을 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부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의 유· 무선 수신부는 동작감지센서(10)로부터 동작감지신호를 유· 무선으로 수신하며, RFID 태그로부터 RFID 태그정보를 수신한 RFID 리더(12,13)로부터 다시 RFID 태그정보를 유· 무선으로 수신한다. 제어부(22)는 유 ·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동작감지신호로부터 동작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부(2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동작정보는 독거도인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이며, 이는 동작감지신호를 보내온 동작감지센서(50)의 위치 정보 및 감지시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RFID 태그 정보를 바탕으로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부(2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RFID 태그 감지정보는 RFID 태그 정보를 보내온 RFID 리더의 정보, RFID 리더의 설치 위치,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상기 RFID 태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20)는 동작감지신호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일정기간 동안 저장한 후에 전송할 수 있고, 게이트웨(20)의 판단에 따라서 또는 중앙서버(30)의 지시에 따라서 긴급한 보고가 필요한 경우에는 메부리부(23)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중앙서버(30)로 전송토록할 수도 있다.
통신부(24)는 PSTN 또는 인터넷을 개재하여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던 동작정보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한다.
중앙서버(30)에서는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독거노인의 거주지내 존재 여부 및 독거노인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는 구체적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게이트웨이(20) 또는 서버(30)에서는 상기한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입력받거나 전송받는다. 상기한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기초로,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지 안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와 독거노인이 거주지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독거노인의 상태를 추정하는 분석을 실시한다. 도 8에서는 예시적으로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먼저 판단하고(S31), 이후에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2, S33). 그러나, 그 순서를 바꾸어서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있는지를 먼저 판단하고, 이후에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도 상관없다.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31)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으면,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있는지를 판단하여(S32)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있는 경우에는, 독거노인의 상태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34). 그리고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으나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없는 경우에는 에러, 외부자 방문/침임 또는 RFID 태그 미소지로 판단한다(S35).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다면 당연히 독거노인이 거주지 안에 있어야 하나, 시스템의 에러, 독거노인이 부재한 상태에서 외부자가 방문하거나 침입한 경우, 또는 독거노인이 RFID 태그를 분실한 경우에는 상기한 결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있는 지를 판단하여(S33), 거주지안에 있는 경우에는 다시 수면시간인지를 판단한다(S38). 단계 S38의 판단결과, 수면시간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하 며(S39), 수면시간이 아닌 경우에는 비정상으로 판단한다(S36).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S31)은 동작감지센서(10)로부터 동작감지신호 및 그에 따라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독거노인이 거주지안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S32, S33)은, RFID 태그 정보 및 그에 따른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기초로 한다.
일 실시 형태로서, 출입의 통로에 RFID 리더를 설치할 수 있다. 출입의 통로에는 RFID 리더를 2개이상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안쪽의 리더로부터 바깥쪽의 리더가 순으로 RFID 태그를 감지한 경우에는 출입 통로를 통하여 거주지밖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며, 바깥쪽의 리더로부터 안쪽의 리더 순으로 RFID 태그를 감지한 경우에는 출입 통로를 통하여 거주지안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출입문을 열 수 있는 RFID 리더를 출입문의 바깥쪽과 안쪽에 설치하고, 출입문의 바깥쪽에 있는 RFID 리더를 사용한 경우에는 거주지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며, 출입물 안쪽에 있는 RFID 리더를 사용한 경우에는 거주지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거주지의 공간 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RFID 리더를 설치할 수 있다. 각 방마다 RFID 리더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RFID 리더와 RFID 태그 사이의 통신 거리가 긴 경우에는 필요한 숫자만큼만 설치할 수도 있다. RFID 태그는 RFID 태그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관심의 대상으로 하는 독거노인이 가진 RFID 태그를 식별하는 것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가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를 통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많은 수의 독거노인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시간 외출을 요하는 경우 게이트웨이(20)에 외출버튼을 구비하여 중앙서버(30)로 외출을 통지하고, 외출시간 동안에는 동작감지센서(10)와 인체감지센서(11)의 동작을 중지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응급버튼을 구비하여 독거노인이 위급상태를 즉시 중앙서버에 알리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서버(30)에서는 비정상상태로 판단되거나 비정상상태의 신호가 수신될 때, 독거노인의 정보뿐만 아니라 거주지 지도를 동시에 화면에 출력하고, 출력되는 화면을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독거노인의 거주지를 찾아가는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청구항 및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작성된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중앙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센서와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판단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독거노인의 거주지내 존재 여부 및 독거노인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는 구체적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동작감지센서 11...인체감지센서
20...게이트웨이 21...유·무선 수신부
22...제어부 24...통신부
23, 32...메모리부 30...중앙서버
31...통신부 33...관리 제어부
34...SMS모듈 40...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18)

  1. 동작감지센서(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작감지센서(10)에서 감지되는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2. 동작감지센서(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작감지센서(10)에서 감지되는 동작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중앙서버(30)로 상기 분석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에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시스템의 게이트웨이.
  4.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동작감지신호와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고,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와 상기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5.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동작감지신호와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상기 수신된 동작감지신호에 상응하는 동작감지센서(10)의 위치와 감지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일정시간 동안 축적하고,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와 상기 동작정보로부터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분석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11)는 수동형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일정시간 동안 동작감지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8. 일정시간 동안 축적된 동작감지센서(10)의 동작정보와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31);
    독거노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2);
    상기 동작정보, 상기 센싱결과 및 상기 독거노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전송토록 제어하는 관리 제어부(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일정시간 동안 동작감지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
  10.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제어방법에 있어서,
    일정시간 내에 동작감지센서(10)로부터 동작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는 경우, 센서의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축적하는 제 2단계;
    상기 축적된 동작정보를 전송주기에 전송하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여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제 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제어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판단결과 일정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체가 방출 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1)로부터 센싱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센싱결과를 기초로 상기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는 제 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제어방법.
  13. 일정시간 동안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한 상태에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체감지센서(11)의 센싱결과를 기초로 인체를 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제 10단계;
    상기 제 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인체를 감지하지 못하였으면,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제 11단계;
    상기 제 1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인체를 감지하였으면, 독거노인의 정보를 로드하여 독거노인의 평상시 수면시간인지 판단하는 제 12단계;
    상기 제 12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면시간이 아니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제 1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 제어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면시간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제 1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중앙서버 제어방법.
  15.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10)와, 독거노인이 소지하는 RFID 태그의 RFID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12)로부터, 각각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RFID 태그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2);
    중앙서버(30)에서 상기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던 상기 동작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상기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16.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10)와, 독거노인이 소지하는 RFID 태그의 RFID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12)로부터, 각각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RFID 태그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21);
    상기 유·무선 수신부(21)에서 수신된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저장된 상기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여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22);
    PSTN 또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석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중앙서버(30)로 전송하는 통신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상기 동작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독거노인의 움직임 여부와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지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점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18.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입력받거나 전송받는 제 1 단계;
    상기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지 안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있고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지 안에 있는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독거노인의 움직임이 없고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지 안에 없는 경우에는 외출로 판단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에서의 독거 노인 상태 분석 방법.
KR1020080104492A 2008-10-24 2008-10-24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92A KR101039626B1 (ko) 2008-10-24 2008-10-24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92A KR101039626B1 (ko) 2008-10-24 2008-10-24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617A true KR20100050617A (ko) 2010-05-14
KR101039626B1 KR101039626B1 (ko) 2011-06-08

Family

ID=4227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492A KR101039626B1 (ko) 2008-10-24 2008-10-24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626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90B1 (ko) * 2014-05-17 2014-12-22 홍성현 다중감지기 및 상기 다중감지기를 이용한 다중감지방법
KR101473926B1 (ko) * 2013-02-27 2014-12-23 이수근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4373A (ko) * 2014-03-31 2015-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101581247B1 (ko) * 2015-04-08 2015-12-31 (주)유진테크시스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1894038B1 (ko) * 2017-09-26 2018-09-04 레이져라이팅(주) 조명 시스템
CN109697829A (zh) * 2017-10-23 2019-04-30 溥恩睎 独居住房管控装置
KR20210110100A (ko) * 2020-02-28 2021-09-07 (주)월드정보기술 IoT 기반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심지킴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53587B1 (ko) *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IoT 센서를 이용한 독립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0169A (ko)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CN114360208A (zh) * 2021-12-28 2022-04-15 广东奥莱敏控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老人摔倒的方法及装置
KR20220050622A (ko) * 2020-10-16 2022-04-25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CN116071888A (zh) * 2021-10-29 2023-05-05 青岛国创智能家电研究院有限公司 用于用户异常移动行为预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65301B1 (ko) * 2022-08-17 2023-08-09 엠피아주식회사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KR102605691B1 (ko) 2022-08-12 2023-11-22 최종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CN116071888B (zh) * 2021-10-29 2024-05-28 青岛国创智能家电研究院有限公司 用于用户异常移动行为预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22B1 (ko) 2012-09-17 2013-10-23 한국전력공사 보호계층 생활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6459734B2 (ja) * 2015-04-09 2019-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安否確認システム
KR101782800B1 (ko) 2015-08-05 2017-09-28 시원주식회사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KR101893882B1 (ko) * 2016-12-29 2018-10-04 김남균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884862B1 (ko) 2017-08-14 2018-08-29 한국토지주택공사 생활안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289B1 (ko) 2019-02-21 2019-08-28 (주)텔트론 사람과 동물의 움직임 구분 방법
KR20210090771A (ko) 2020-01-10 2021-07-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독거노인 전용 원격 모니터링 IoT 모듈러 하우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382A (ja) * 1995-11-07 1997-05-20 Taira Syst Kaihatsu Kiyouriyoku:Kk 在宅看護管理装置
JPH119560A (ja) * 1997-06-25 1999-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活異常検知システム
KR100767065B1 (ko) 2007-03-26 2007-10-17 (주)홈시큐넷 원격 보호관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926B1 (ko) * 2013-02-27 2014-12-23 이수근 세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4373A (ko) * 2014-03-31 2015-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101475390B1 (ko) * 2014-05-17 2014-12-22 홍성현 다중감지기 및 상기 다중감지기를 이용한 다중감지방법
KR101581247B1 (ko) * 2015-04-08 2015-12-31 (주)유진테크시스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1894038B1 (ko) * 2017-09-26 2018-09-04 레이져라이팅(주) 조명 시스템
CN109697829A (zh) * 2017-10-23 2019-04-30 溥恩睎 独居住房管控装置
KR20210110100A (ko) * 2020-02-28 2021-09-07 (주)월드정보기술 IoT 기반 모션감지센서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심지킴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0169A (ko) 2020-08-11 2022-02-18 박영진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20220050622A (ko) * 2020-10-16 2022-04-25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53587B1 (ko) *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IoT 센서를 이용한 독립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071888A (zh) * 2021-10-29 2023-05-05 青岛国创智能家电研究院有限公司 用于用户异常移动行为预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071888B (zh) * 2021-10-29 2024-05-28 青岛国创智能家电研究院有限公司 用于用户异常移动行为预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60208A (zh) * 2021-12-28 2022-04-15 广东奥莱敏控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老人摔倒的方法及装置
CN114360208B (zh) * 2021-12-28 2024-05-07 广东奥莱敏控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老人摔倒的方法及装置
KR102605691B1 (ko) 2022-08-12 2023-11-22 최종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240023011A (ko) 2022-08-12 2024-02-20 최종문 노인과 치매환자를 포함한 노약자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565301B1 (ko) * 2022-08-17 2023-08-09 엠피아주식회사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626B1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626B1 (ko)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87461B2 (en) Sensing peripheral heuristic evidence, reinforcement, and engagement system
JP2016538622A (ja) 検出イベントに対して有用なフォローアップ通信を提供す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JP4445310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041614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acting upon cumulative exposure of a building occupant to a hazardous substance
US9116515B2 (en) In-room probability estimating apparatus, method therefor and program
KR102516421B1 (ko) 경보기 및 경보기 시스템
KR102383384B1 (ko) IoT 스마트 안전 조명 및 자가 방범 시스템
KR101884862B1 (ko) 생활안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993494B1 (ko) 행동감지를 위한 지능형 센서 시스템
EP3357420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person
KR101329257B1 (ko) 공동주택 거주자의 안전관리장치 및 안전관리방법
KR102121388B1 (ko) 문 장착형 시간측정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22256B1 (ko) 독거 어르신 보살핌 장치
JP748607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411157B1 (ko) LiDAR 센서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WO202117723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276912B2 (ja) 照明装置、生体移動検出システム、生体移動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617188B2 (ja) 顧客サービスシステム
Desideri An Innovative Telemonitoring System for Older Adults Based on Low Power Wide Area Networks
KR101894038B1 (ko) 조명 시스템
Cesario et al. An Innovative Telemonitoring System for Older Adults Based on Low Power Wide Area Networks
Turner The ecology of home sensor networks for telecare
CA3211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d managing patient support apparatus in a healthcare facility
JP2023099063A (ja) 照明装置、生体移動検出システム、生体移動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