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800B1 -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800B1
KR101782800B1 KR1020150110436A KR20150110436A KR101782800B1 KR 101782800 B1 KR101782800 B1 KR 101782800B1 KR 1020150110436 A KR1020150110436 A KR 1020150110436A KR 20150110436 A KR20150110436 A KR 20150110436A KR 101782800 B1 KR101782800 B1 KR 101782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anagement
terminal
pers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075A (ko
Inventor
문기영
Original Assignee
시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8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H05B37/02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변환에 따라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홈 모듈(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애플리케이션(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관리모드인 경우, (a)상기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방범모드인 경우, (a)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10, 20) 간에 통화의 연결시도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통화 연결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10, 20) 등과 같은 통화수단을 통해 홈 모듈(100)에 전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연결된 전화의 횟수 또는 별도의 비밀번호에 따라 원격지에서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DUAL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 MANAGING OF ALIENATED PEOPLE LIVING ALONE}
본 발명은 모드변환에 따라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댁내에 설치되어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댁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고 관리모드 및 방범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변환 가능한 홈 모듈(100);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제어가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200);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및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되어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사용하는 사용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모드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범모드인 경우 침입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고, 위급상황이거나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 및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인 비음성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관리모드인 경우, (a)상기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방범모드인 경우, (a)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내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의 단말기(20)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와 전화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통화의 연결시도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보호자의 단말기(20)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될 수 있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10, 20) 등과 같은 통화수단을 통해 홈 모듈(100)에 전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전화 연결을 소정의 횟수만큼 수행하거나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와 사회적 불경기 흐름 속에서 사회적으로 소외받는 계층의 사람들이 더욱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정부에서는 혼자서 삶을 영위하면서도 경제적 형편이 열역한 노인 및 장애인 등과 같은 소외받은 계층에게 최저 생계비용과 인적 관리를 제공하는 등의 복지 정책을 펴고 있으나 관리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독거 관리대상자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 증대와 함께, 일상 생활에 있어서 독거 관리대상자에 대한 안부를 확인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독거 관리대상자 중에서는 특히 독거노인들의 관리가 절실한 상황인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2000년에 들어서면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다. 2011년 고령화율은 11.4%였으며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총 6백여만여 명에 근접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급격한 고령화는 향후에도 계속 지속되어 2017년 14.0%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나 지원 장치의 부족으로 인하여 독거노인에 대한 24시간 상주 지원이 불가한 관계로 거주상황 모니터링이 불가능하고, 심지어 사망 수개월 후 발견되는 경우가 있어 사회적 우려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독거노인은 생활형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친척 및 이웃으로부터 소외되어 방치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활환경이 열악하여 냉/난방, 연탄가스, 도난, 강도 등 비상상황에 무방비 상태인 경우가 있다.
이를 다소 해소하고자 독거노인 지원을 위한 자원봉사자의 방문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소외된 독거노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에 반해 전통적인 가족관의 변화로 독거노인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데도 불구하고 관리 인원 및 자원봉사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한편, 위와 같이 홀로 생활하는 고령대의 노인이 거주하는 곳은 빈집털이 등의 무단 침입 및 절도에 관한 범죄에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 독거노인과 같은 독거 관리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함과 동시에 독거 관리대상자가 출타 중일 경우 댁내의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어야 한다.
독거 관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선행특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공보 제10-1039626호에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었다. 상기 선행특허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독거 노인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감지센서; 상기 독거 노인이 소지하는 RFID 태그로부터 RFID 태그 정보를 수신하며, 출입 통로의 안쪽 및 바깥쪽에 이격시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RFID 리더; (i) 상기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RFID 리더로부터 각각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RFID 태그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유·무선 수신부; (ii) 상기 유·무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동작감지신호 및 상기 RFID 태그 정보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동작 정보 및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iii) PSTN 또는 인터넷을 개재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던 상기 동작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동작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독거노인의 상태를 분석하되, 상기 바깥쪽의 RFID 리더로부터 상기 안쪽의 RFID 리더의 순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독거 노인이 상기 출입 통로를 통하여 거주지 안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안쪽의 RFID 리더로부터 상기 바깥쪽의 RFID 리더의 순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독거 노인이 상기 출입 통로를 통하여 거주지 밖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중앙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1).
또한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능동형 적외선 센서, 광센서 등이 채용된다(식별항목 [0023] 참조). 또한 열감지센서 및 적외선센서로 인체감지센서를 추가하여,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동작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인체감지센서로부터 독거노인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식별항목 [0050] 참조).
즉 거주공간 내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 적외선센서 및 광센서와 노인이 소지한 RFID 태그로 노인의 동작을 감지하고, 일정시간내에 동작정보가 없으면 적외선 양으로 체온의 변화량을 추정함으로써 긴급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933553호에 독거노인 및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응급호출 및 다자간 통화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상기 선행특허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인터넷망과 공중선망에 접속되고,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기반으로 오디오신호 및 호 신호에 관련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마스터모듈, 브이오아이피 클라이언트 모듈로 구성되는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기반으로 무선 접속되어 오디오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단말기로 구성되어,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단말기와 종단 또는 단말기 그룹 간에 양방향 전이중 방식으로 오디오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인터넷 망과 공중선망을 통해서 바이너리 씨디엠에 이 단말기와 관련기관 간에 음성통화를 통해 응급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요약 참조). 또한 상기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단말기는 응급 호출을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되고(청구항 5 참조), 목걸이형 단말기 또는 헤드셋으로 구성되는 것(청구항 7 참조)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 기능은 수행할 수 있으나, 독거 관리대상자가 위치하는 장소에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 등에 대해서 까지는 나아가지 못하였다.
따라서, 독거 관리대상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설치되어 독거 관리대상자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면서 해당 댁내의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9626호(2011.06.01.) 등록특허공보 제10-0933553호(2009.12.15.)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댁내에 설치되어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댁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고 관리모드 및 방범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변환 가능한 홈 모듈(100);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제어가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200);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및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되어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사용하는 사용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모드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범모드인 경우 침입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고, 위급상황이거나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 및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인 비음성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관리모드인 경우, (a)상기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방범모드인 경우, (a)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내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의 단말기(20)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와 전화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통화의 연결시도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보호자의 단말기(20)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될 수 있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10, 20) 등과 같은 통화수단을 통해 홈 모듈(100)에 전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전화 연결을 소정의 횟수만큼 수행하거나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되어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댁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고 관리모드 및 방범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변환 가능한 홈 모듈(100);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제어가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200);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및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되어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사용하는 사용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모드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범모드인 경우 침입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고, 위급상황이거나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 및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인 비음성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관리모드인 경우, (a)상기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방범모드인 경우, (a)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내메시지를 수신한 보호자의 단말기(20)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와 전화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통화의 연결시도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면 보호자의 단말기(20)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10, 20) 등과 같은 통화수단을 통해 홈 모듈(100)에 전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전화 연결을 소정의 횟수만큼 수행하거나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은, 관리모드 및 방범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독거 관리대상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독거 관리대상자가 출타 중인 경우에 침입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서 관리기능과 방범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독거 관리대상자가 위급상황이어서 보호자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라도, 보호자와 독거 관리대상자 간의 통화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로 하여금 독거 관리대상자의 상태를 직접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홈 모듈에 전화통화를 연결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홈 모듈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홈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고, 조명제어가 가능하며, 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거 대상자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거 대상자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관리모드 및 방범모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되, 관리모드의 경우 사용자(이하, '독거 관리대상자'로 통칭)의 (a)움직임을 인식하여 움직임이 없거나 (b)미리 저장된 독거 관리대상자의 음성정보가 확인되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방범모드의 경우 (a)사용자의 움직임이 인식되거나 (b)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가 확인되면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독거 대상자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아래에서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거 대상자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거 대상자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은 홈 모듈(100), 리모트 컨트롤러(200), 애플리케이션(300) 및 관리서버(400)를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
홈 모듈(100)은 댁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신부(110), 제어부(120),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30), 카메라부(140), 마이크부(150), 스피커부(160) 및 경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 모듈(100)은 상기 구성들을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댁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구성들이 댁내에 분포되어 설치되고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는 결합체일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또는 애플리케이션(300)과 무선 통신하여 후술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또는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른 모드변환, 홈 모듈(100)이 설치된 댁내의 영상 전송 및 조명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모드변환제어모듈, 영상전송제어모듈 및 조명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변환제어모듈은 독거 관리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모드와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방범모드의 변환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될 리모트 컨트롤러(200) 또는 애플리케이션(3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를 변환하도록 한다.
영상전송제어모듈은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홈 모듈(100)이 설치된 댁내의 영상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카메라부(14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40)를 통해 영상(또는 스틸샷)을 촬영하여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독거 관리대상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침입자가 존재하는 경우 용의자를 색출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명제어모듈은 애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조명 제어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으면 연결된 조명(lamp, 도 1 참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때 홈 모듈(100)은 조도센서를 더 마련하여 외부 조도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낮 또는 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낮/밤의 구분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lamp)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모드를 변환하는데 있어서 근거정보가 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낮인 경우 관리모드가 되도록 하고 밤인 경우 방범모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30)는 360°의 감지각도로 직하방 직경 10m 이내의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열악한 조건(열, 온도, 소음, 습기, 기류 및 먼지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오작동이 거의 없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센서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30)를 이용함으로써, 독거 관리대상자의 미세한 움직임 유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독거 관리대상자의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30)의 주파수 대역은 10.525Ghz 내지 24.525Ghz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센서(130)는 천장에 부착되면 360°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 140 내지 180°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만일 상기와 같이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이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관리모드의 경우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단위로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이 1시간 내지 2시간이고 해당 시간동안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다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된 시간의 일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되지 않음이 당연하다.
다른 일예로, 홈 모듈(100)이 방범모드인 경우,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동작 감지를 위한 시간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몸 상태에 따라 움직임이 없을 시간대를 임의로 자유 설정 및 변경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설정부(도면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 상태에 따라 설정 및 변경되는 움직임이 없는 시간대는, 독거 관리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다른 정보(의료진료정보, 센서의 감지값에 따른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 주시 등)를 기반하여 자동으로 파악되어 설정 및 변경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모드일 때, 움직임이 없을 시간대가 지났음에도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보호자에게 즉각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부(140)는 홈 모듈(100)이 설치된 댁내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마이크부(150)는 소정의 음성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스피커부(160) 및 경보부(170)는 청각 및 시각적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카메라부(140)는 지속적으로 독거 관리대상자를 관찰하거나 또는 긴급상황 이벤트에 한해서 독거 관리대상자를 관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관리서버(400)를 통해서 관리자가 직접 카메라부(140)를 상·하·좌·우로 틸트(tilt)시켜 감시(또는 촬영) 영역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상술된 홈 모듈(100)과 무선 통신하여 모드 변환을 제어하거나 소정의 음성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모드변환 인터페이스(210) 및 마이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별도의 리모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독거 관리대상자가 착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모드변환 인터페이스(210)는 독거 관리대상자가 관리모드 또는 방범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푸쉬버튼, 슬라이드버튼, 스위치버튼 등) 형식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부(220)는 소정의 음성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음성은 독거 관리대상자의 미리 정해진 음성정보 또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후술될 관리서버(400)에 미리 위급상황임을 암시하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음성정보(예를 들면, '도움', '위급', '병원', '도와주세요' 등)을 저장할 수 있는데, 마이크부(220, 또는 도면부호 150의 마이크부)에 미리 저장된 독거 관리대상자의 음성이 입력되어 관리서버(400)로 전송되면 관리서버(400)는 화자종속적인 음성인식을 통해 위급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는 유리가 깨지는 음성, 물건 파손에 따른 음성, 충격음 등일 수 있는데, 이러한 비음성정보들은 모두 평상시에 들을 수 있는 정도의 데시벨이 아니기 때문에 관리서버(400)를 통해 일정 데시벨을 설정해 놓고, 해당 데시벨보다 높은 소리가 입력되면 관리서버(400)가 응급상황(침입)임을 판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300)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및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인증부(310), 모드변환 인터페이스(320), 영상요청 인터페이스(330) 및 조명제어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인증부(310)는 애플리케이션(300)을 사용하는 대상을 인증하는 것으로, 해당 사용자가 독거 관리대상자인지 또는 보호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서는 보호자인 경우에 해당 보호자가 어느 독거 관리대상자의 보호자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모드변환 인터페이스(320)는 홈 모듈(100)가 관리모드 또는 방범모드로 변환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단말기(10, 20)의 화면에 터치버튼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모드변환 인터페이스(320)는 물론 후술된 영상요청 인터페이스(330) 및 조명제어 인터페이스(340)는 사용자인증부(310)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만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된 단말기(10, 20)를 통해 홈 모듈(100)로 음성통화를 걸어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 20) 등과 같은 외부전화를 통해 홈 모듈(100)에 음성통화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착신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홈 모듈(100)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예는 후술되는 영상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비밀번호 또는 착신되는 횟수에 따라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4번 착신되면 모드변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5번 착신되면 영상요청이 가능하며, 6번 착신되면 조명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비밀번호에 따른 경우 12341은 모드변환, 12342는 영상요청, 12343은 조명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영상요청 인터페이스(330)는 홈 모듈(100)의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댁내의 영상을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조명제어 인터페이스(340)는 홈 모듈(100)이 설치된 댁내의 조명(lamp)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영상요청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영상을 제공받는 경우, 댁내에 복수 개의 홈 모듈(100)이 설치되었을 때에 영상을 요청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홈 모듈(100) 중 선택적으로 영상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모듈(100)이 거실, 안방, 서재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영상요청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거실, 안방, 서재 중에서 특정장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장소에 설치된 홈 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300)은 연결시도횟수판단부(350), 자동통화연결부(360) 및 단말기통화기능연동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어 보호자가 독거 관리대상자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할 때 일정 횟수 이상만큼 독거 관리대상자와 통화 연결이 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관리서버(400)의 설명 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리서버(400)는 관리모드인 경우 독거 관리대상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거나 방범모드인 경우 침입자의 존재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300)으로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400)는 사용자정보저장부(410), 소리정보저장부(420) 및 모드판단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저장부(410)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정보 및 보호자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독거 관리대상자와 보호자 간의 관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소리정보저장부(420)는 상술된 바와 같은 음성정보와 비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음성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독거 관리대상자의 특정 음성일 수 있으며, 비음성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일 수 있다.
모드판단부(430)는 위급상황판단모듈, 침입판단모듈 및 안내메세지전송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위급상황판단모듈은 (a)홈 모듈(100)의 모드가 관리모드이고 독거 관리대상자의 미리 저장된 음성정보와 동일한 음성이 스피커부(160, 22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b)홈 모듈(100)의 모드가 관리모드인데 마이크로웨이브센서(130)에서 일정시간동안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침입판단모듈은 (a)홈 모듈(100)의 모드가 방범모드인데 마이크로웨이브센서(130)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b)홈 모듈(100)의 모드가 방범모드인데 스피커부(160, 220)를 통해 입력된 소리가 일정 데시벨 이상인 경우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홈 모듈(100)에 연결된 조명(lamp)이 빈번하게 점멸되도록 하여 침입자에게 위기감을 줄 수 있고, 외부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안내메세지전송모듈은 상술된 위급상황판단모듈 및 침입판단모듈을 통해 위급상황 또는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독거 관리대상자의 보호자의 단말기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댁내에 설치된 홈 모듈(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거나 또는 보호자가 직접 독거 관리대상자에에 통화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만일, 독거 관리대상자가 위급상황이어서 통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보호자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통화 연결은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독거 관리대상자와의 통화연결이 일정횟수만큼 초과되면 보호자의 단말기(20)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간의 통화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300)은 연결시도횟수판단부(350), 자동통화연결부(360) 및 단말기통화기능연동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시도횟수판단부(350)는 보호자의 단말기(20)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에 통화 연결을 시도한 횟수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통화연결부(360)는 연결시도횟수판단부(350)에서 판단된 연결 시도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자의 단말기(20)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일정 횟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지만, 위급상황인 경우 신속한 통화연결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3회 내지 5회가 바람직할 수 있다.
단말기통화기능연동부(370)는 단말기(10, 20)의 통화기능과 연동되는 것으로, 애플리케이션(300)이 단말기(10, 20)의 영상통화, 한뼘통화(스피커통화), 일반음성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호자의 단말기(20)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가 자동으로 연결되는 경우 영상통화, 한뼘통화 및 일반음성통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자동통화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 20 : 보호자의 단말기
100 : 홈 모듈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마이크로웨이브센서
140 : 카메라부 150 : 마이크부
160 : 스피커부 170 : 경보부
200 : 리모콘 컨트롤러 210 : 모드변환 인터페이스
220 : 마이크부 300 : 애플리케이션
310 : 사용자인증부 320 : 모드변환 인터페이스
330 : 영상요청 인터페이스 340 : 조명제어 인터페이스
350 : 연결시도횟수판단부 360 : 자동통화연결부
370 : 단말기통화기능연동부 400 : 관리서버
410 : 사용자정보저장부 420 : 소리정보저장부
430 : 모드판단부

Claims (5)

  1. 댁내에 설치되어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댁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고 관리모드 및 방범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변환 가능한 홈 모듈(100);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제어가 가능하며 음성의 입력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200);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 및 보호자의 단말기(20)에 설치되어 상기 홈 모듈(100)과 무선통신할 수 있고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사용하는 사용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모드인 경우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범모드인 경우 침입자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고, 위급상황이거나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에 안내메세지를 전송하는 관리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 및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인 비음성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400)는,
    관리모드인 경우, (a)상기 화자종속적인 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상기 독거 관리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방범모드인 경우, (a)일정 데시벨 이상의 비음성정보가 입력되거나 (b)움직임이 감지되면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20)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에 착신한 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20)가 독거 관리대상자의 단말기(10)에 자동으로 통화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 모듈(100)은,
    상기 방범모드인 경우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청각 및 시각적인 경보를 출력하되,
    상기 홈 모듈(100)이 설치된 댁내의 조명이 빈번하게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 모듈(100)은,
    별도의 통화수단과 전화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전화 연결된 횟수 및 입력된 비밀번호에 따라 모드변환, 영상요청 및 조명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단말기(10, 20)의 통화기능과 연동되어, 음성통화, 스피커통화 및 일반음성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KR1020150110436A 2015-08-05 2015-08-05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KR101782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36A KR101782800B1 (ko) 2015-08-05 2015-08-05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436A KR101782800B1 (ko) 2015-08-05 2015-08-05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075A KR20170017075A (ko) 2017-02-15
KR101782800B1 true KR101782800B1 (ko) 2017-09-28

Family

ID=5811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436A KR101782800B1 (ko) 2015-08-05 2015-08-05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373B1 (ko) * 2018-06-21 2018-12-12 주식회사 씨앤더블유커뮤니케이션 거주자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978B1 (ko) * 2020-11-30 2022-11-10 주식회사 에이텍 독거노인 케어시스템에서 음성인식 오류에 따른 신고오류 방지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221A (ja) * 2003-06-20 2005-01-13 Keakomu:Kk 住宅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626B1 (ko) 2008-10-24 2011-06-08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3553B1 (ko) 2009-10-28 2009-12-23 세영정보통신(주) 독거노인 및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응급호출 및 다자간 통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221A (ja) * 2003-06-20 2005-01-13 Keakomu:Kk 住宅監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373B1 (ko) * 2018-06-21 2018-12-12 주식회사 씨앤더블유커뮤니케이션 거주자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075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3473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9108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10674119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79107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US9160987B1 (en) Doorbell chime systems and methods
CN109074035B (zh) 一种住宅自动化系统及管理方法
US10044519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96133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87029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118819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08413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937547B1 (ko) 감시 시스템
US20210083896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343142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90280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OR CHIME COMMUNICATION
KR101559682B1 (ko) 실내,외 감시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US20230306825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00364991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5071064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1184589B2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070056236A (ko) 화재 및 응급상황 대처가 용이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1782800B1 (ko) 독거 관리대상자의 관리와 방범기능이 가능한 듀얼 시스템
US20230300300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1069268A (ja) 通信装置
JP2001057600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