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622A -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622A
KR20220050622A KR1020200134503A KR20200134503A KR20220050622A KR 20220050622 A KR20220050622 A KR 20220050622A KR 1020200134503 A KR1020200134503 A KR 1020200134503A KR 20200134503 A KR20200134503 A KR 20200134503A KR 20220050622 A KR20220050622 A KR 20220050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iot
living alone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604B1 (ko
Inventor
이영경
Original Assignee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오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6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하나의 집안에 각 위치 마다 설치된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AP(200), 네트워크(300), 안전 관리 서버(400), 빅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400)는, AP(200)로부터 제공된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적외선 감지 신호를 이용해 위치별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423); 및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인 수면,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정상, 정상 활동,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 단위 정보"에 포함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안전관리모듈(4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자사는 독거노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위급시에 바로 지정된 보호자 단말로 연락을 할 뿐만 아니라, 각 독거노인이 머무는 주거지의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특성에 따라 정밀한 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위급상황이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으로 통지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은 거주지 내의 독거노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에 따른 적외선 감지 정보를 이용해 병원으로도 직접 연락을 할 수 있고, 병원에 대해서 치료 또는 응급 처치를 위한 보조 정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독거노인에 대해서 동일한 거주환경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호간의 데이터 비교를 통해 위급 상황 정보에 대한 정밀 분석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Remot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t home}
본 발명은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혼자사는 독거노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위급시에 바로 지정된 보호자 단말로 연락을 할 뿐만 아니라, 각 독거노인이 머무는 주거지의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특성에 따라 정밀한 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위급상황이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으로 통지되도록 하기 위한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족 구성원이 함께 살고 있어 몸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한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는 1인 가족 및 결혼 기피 성향으로 인해 독거 노인의 수가 차츰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고독사하거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제때에 도움을 받지 못하는 독거노인들의 문제가 차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본다.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01208(2019.01.04)호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SMART CARE SYSTEM FOR PUBLIC WELFARE OF SOLITARY SENIOR PEOPLE LIFE MANAGER)"은 독거노인에 대한 생체정보의 감지값이 설정된 응급알림 임계값과 대응하게 되면 상기 센터단말 또는 관리사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로 응급알림 메시지가 출력되거나 자동으로 통화연결되는 안심폰단말을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38979 (2015.03.20)호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fety managing elderly by using social information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individual appliance)"은 외부요인에 따라 위기 상황임을 판별할 수 있는 가전기기의 우선순위를 조절하여 해당 수용가의 독거노인의 위기 상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50342(2016.04.25)호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using IoT)"은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해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 및 전송함으로써 독거노인을 관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50324(2016.04.25)호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은 독거노인이 신체에 착용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생체신호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기기와, 상기 웨어러블기기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관리자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획득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해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 및 전송함으로써 독거노인을 관리할 수 있는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주로 사용자에 직접 부착된 웨어러블 기기를 기반으로 하거나 각자 생활 패턴이 다른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이용해 독거노인의 위험을 감지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 웨어러블 기기를 차지 않는 경우에 대한 보안책이 미흡하고, 후자의 경우는 전력 소비를 분석하는데에는 장기간의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야하므로 즉각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고 사후적인 대처에 지나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01208(2019.01.04)호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SMART CARE SYSTEM FOR PUBLIC WELFARE OF SOLITARY SENIOR PEOPLE LIFE MANAGER)"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38979 (2015.03.20)호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fety managing elderly by using social information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individual applian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50342(2016.04.25)호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50324(2016.04.25)호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혼자사는 독거노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위급시에 바로 지정된 보호자 단말로 연락을 할 뿐만 아니라, 각 독거노인이 머무는 주거지의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특성에 따라 정밀한 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위급상황이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으로 통지되도록 하기 위한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은 거주지 내의 독거노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에 따른 적외선 감지 정보를 이용해 병원으로도 직접 연락을 할 수 있고, 병원에 대해서 치료 또는 응급 처치를 위한 보조 정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독거노인에 대해서 동일한 거주환경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호간의 데이터 비교를 통해 위급 상황 정보에 대한 정밀 분석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하나의 집안에 각 위치 마다 설치된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AP(200), 네트워크(300), 안전 관리 서버(400), 빅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400)는, AP(200)로부터 제공된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적외선 감지 신호를 이용해 위치별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423); 및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인 수면,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정상, 정상 활동,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 단위 정보"에 포함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안전관리모듈(4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안전관리모듈(424)은,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 중 관리 대상 정보인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전관리모듈(424)은, 분석 정보 외에 관리 단위 정보에 해당하는 그룹 ID에 매칭되는 AP(200)의 주소 정보, 그리고,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가 설치된 집안 내의 위치 정보(방, 거실, 화장실, 주방 포함) 중 분석 정보가 발생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전 관리 서버(400)는, 분석 정보 중 관리 대상 정보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600),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에 의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드백제공모듈(425)은, IoT 손목형 리모컨(200a) 상으로 부저음을 출력하고 부저음에 대해서 독거노인이 입력버튼을 포함한 입력수단으로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 입력에 따라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피드백 정보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임계치 설정에 반영하는 조정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은, 혼자사는 독거노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위급시에 바로 지정된 보호자 단말로 연락을 할 뿐만 아니라, 각 독거노인이 머무는 주거지의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특성에 따라 정밀한 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위급상황이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으로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은, 보호자, 관할 구급대(119), 경찰서(112) 등은 거주지 내의 독거노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에 따른 적외선 감지 정보를 이용해 병원으로도 직접 연락을 할 수 있고, 병원에 대해서 치료 또는 응급 처치를 위한 보조 정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독거노인에 대해서 동일한 거주환경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호간의 데이터 비교를 통해 위급 상황 정보에 대한 정밀 분석에 대한 피드백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 중 안전 관리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 AP(200), IoT 손목형 리모컨(200a), 네트워크(300), 안전 관리 서버(400), 빅데이터 서버(500), 보호자 단말(600),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화소를 갖는 적외선 카메라이거나, 미리 설정된 개수의 적외선 감지 센서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AP(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투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지그비, UWB, Binary CDMA 등일 수 있다.
한편,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는 문이나 창 등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한 소형의 탈부착 방식의 디바이스며 자주 사용하는 거주지의 영역에 설치를 하고, 일정 시간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119와 112 그리고 직계 가족에게 바로 연락이 가는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AP(200), IoT 손목형 리모컨(200a), 안전 관리 서버(400), 빅데이터 서버(500), 보호자 단말(600), 119 서버(700), 112 서버(8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 중 안전 관리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 관리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하며, 제어부(420)는 정보수집모듈(421), 센싱모듈(422), 분석모듈(423), 안전관리모듈(424) 및 피드백제공모듈(425)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421)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보호자 단말(600)로부터 하나의 독거노인의 집안에 설치되는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와 연결된 AP(200)의 그룹 ID와, 그룹 ID에 속하는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센서 ID, AP(200)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IoT 손목형 리모컨(200a)의 리모컨 ID, 그리고 보호자 단말(600)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그룹 ID, 센서 ID, 리모컨 ID, 단말식별번호를 하나의 "관리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관리 단위 정보에는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가 설치된 집안 내의 위치 정보(방, 거실, 화장실, 주방 등), 그리고 AP(200)가 설치된 가정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모듈(422)은 보호자 단말(600) 상에서 안전 관리 앱에 대한 실행 이후, 그룹 ID에 대한 선택 이후, 안전 관리 실행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AP(200)로 액세스를 통해, AP(200)의 그룹 ID 하위에 속하는 각 센서 ID에 해당하는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에 대한 "실행 요청", 그리고 IoT 손목형 리모컨(200a)에 대한 AP(200)의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에서 동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 요청"을 AP(2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센싱모듈(422)은 AP(200)에 의해 실행 요청에 따른 실행 완료와 확인 요청에 따른 확인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AP(200)를 통해 각 센서 ID에 해당하는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 별 적외선 측정량의 변화인 제 1 센싱 정보, 적외선 도달시간 변화량인 제 2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각 센서 ID 별로 제 1 센싱 정보 및 제 2 센싱 정보를 "센싱 단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430)에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동안만 저장하고 삭제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모든 정보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빅데이터 서버(50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분석모듈(423)은 센싱 단위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센서 ID의 모든 제 1 센싱 정보에서 적외선 측정량이 초기에 디폴트(default) 값이나 피드백제공모듈(425)로부터 제공된 미리 설정된 변화량 임계치(제 1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제 1 분석으로 수행하고, 제 2 센싱 정보에서 적외선 도달시간이 초기에 디폴트(default) 값이나 피드백제공모듈(425)로부터 제공된 미리 설정된 도달 시간 임계치(제 2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하는지 여부를 제 2 분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분석모듈(423)은 제 1 분석 결과 긍정에 해당하되 적외선 변화량이 음의 값으로 변화하고, 제 2 분석 결과 부정에 해당하는 제 1 종합 분석 결과의 경우, 분석의 근거가 된 제 1 센싱 정보와 제 2 센싱 정보가 수신된 센서 ID에 해당하는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분석모듈(423)은 추출된 위치 정보가 방 및 거실을 포함하는 수면이 가능한 영역 정보인 경우, 수면으로 1차적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제 1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 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 빈도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발생 빈도를 수신한 뒤,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수면"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423)은 기존의 제 1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시 후술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에 따라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가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하나의 발생 단위로 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제 1 내지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와의 총합에 대한 비율 중 발생된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괜찮음을 판단하는 수면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분석모듈(423)은 수신된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미만이고, 제 1 종합 분석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대의 길이가 기존에 위치 정보로 수면이 가능한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위치 정보에서의 시간대의 평균 길이보다 긴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모듈(423)은 추출된 위치 정보가 화장실, 주방과 같이 수면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 정보인 경우, "위험"으로 1차적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제 1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 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 빈도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발생 빈도를 수신한 뒤,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정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423)은 기존의 제 1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시 후술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에 따라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가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하나의 발생 단위로 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제 1 내지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와의 총합에 대한 비율 중 발생된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괜찮음을 판단하는 수면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분석모듈(423)은 수신된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미만이고, 제 1 종합 분석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대의 길이가 기존에 위치 정보로 수면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위치 정보에서의 시간대의 평균 길이보다 긴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분석모듈(423)은 제 1 분석 결과 긍정에 해당하되 적외선 변화량이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으로 변화하고, 제 2 분석 결과 긍정에 해당하는 제 2 종합 분석 결과의 경우, 분석의 근거가 된 제 1 센싱 정보와 제 2 센싱 정보가 수신된 센서 ID에 해당하는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분석모듈(423)은 추출된 위치 정보가 방을 포함하는 수면이 가능한 영역 정보인 경우, 도움 요청을 위한 위급 상황으로 1차적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제 2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 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 빈도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발생 빈도를 수신한 뒤,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정상 활동"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423)은 기존의 제 2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시 후술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에 따라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가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하나의 발생 단위로 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제 1 내지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와의 총합에 대한 비율 중 발생된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괜찮음을 판단하는 수면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분석모듈(423)은 수신된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미만이고, 제 2 종합 분석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대의 길이가 기존에 위치 정보로 수면이 가능한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위치 정보에서의 시간대의 평균 길이보다 긴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모듈(423)은 추출된 위치 정보가 화장실, 주방과 같이 수면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 정보인 경우, "정상"으로 1차적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제 2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 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 빈도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발생 빈도를 수신한 뒤,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정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423)은 기존의 제 2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시 후술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에 따라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가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하나의 발생 단위로 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제 1 내지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와의 총합에 대한 비율 중 발생된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괜찮음을 판단하는 수면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분석모듈(423)은 수신된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미만이고, 제 2 종합 분석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대의 길이가 기존에 위치 정보로 수면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위치 정보에서의 시간대의 평균 길이보다 긴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분석모듈(423)은 제 1 분석 결과 긍정에 해당하되 적외선 변화량이 양의 값 으로 변화하고, 제 2 분석 결과 부정에 해당하는 제 3 종합 분석 결과의 경우, 분석의 근거가 된 제 1 센싱 정보와 제 2 센싱 정보가 수신된 센서 ID에 해당하는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 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분석모듈(423)은 추출된 위치 정보가 방을 포함하는 수면이 가능한 영역 정보인 경우, 수면으로 1차적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 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 빈도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발생 빈도를 수신한 뒤,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수면"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423)은 기존의 제 2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시 후술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에 따라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가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하나의 발생 단위로 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제 1 내지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와의 총합에 대한 비율 중 발생된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괜찮음을 판단하는 수면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분석모듈(423)은 수신된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미만이고, 제 3 종합 분석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대의 길이가 기존에 위치 정보로 수면이 가능한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위치 정보에서의 시간대의 평균 길이보다 긴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모듈(423)은 추출된 위치 정보가 화장실, 주방과 같이 수면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 정보인 경우, "위험"으로 1차적으로 판단하고, 기존의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 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 빈도를 빅데이터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발생 빈도를 수신한 뒤,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정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423)은 기존의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의 동일한 위치 정보에서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 내의 시간대에 발생시 후술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에 의한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에 따라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가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하나의 발생 단위로 하여 동일한 시간대에 제 1 내지 제 3 종합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센싱 단위 정보와의 총합에 대한 비율 중 발생된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이상인 경우 괜찮음을 판단하는 수면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반대로, 분석모듈(423)은 수신된 발생 빈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빈도 미만이고, 제 3 종합 분석 결과가 발생하는 시간대의 길이가 기존에 위치 정보로 수면이 가능하지 않은 영역으로 등록된 모든 위치 정보에서의 시간대의 평균 길이보다 긴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안전관리모듈(424)은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인 수면,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정상, 정상 활동,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 단위 정보"에 포함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모듈(424)은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 중 관리 대상 정보인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되, 분석 정보 외에 관리 단위 정보에 해당하는 그룹 ID에 매칭되는 AP(200)의 주소 정보, 그리고,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가 설치된 집안 내의 위치 정보(방, 거실, 화장실, 주방 등) 중 분석 정보가 발생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제공모듈(425)은 분석 정보 중 관리 대상 정보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600),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에 의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IoT 손목형 리모컨(200a) 상으로 부저음을 출력하고 부저음에 대해서 독거노인이 입력버튼을 포함한 입력수단으로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 입력에 따라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피드백 정보로 상술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임계치 설정에 반영하는 조정 과정을 수행하고 조정된 임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관리 서버(400)는 복수의 가정에 해당하며 각각이 AP(200)가 설치된 그룹 ID에 대해서 그룹별로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빅데이터 서버(500)에 저장되는 피드백 정보인 임계치 정보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 정보와 동일한 개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가 설치된 가정에 대해서 분석 정보를 생성시 다른 가정의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100 : IoT 적외선 감지 센서 100g :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
200 : AP 200a : IoT 손목형 리모컨
300 : 네트워크 400 : 안전 관리 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21 : 정보수집모듈 422 : 센싱모듈
423 : 분석모듈 424 : 안전관리모듈
425 : 피드백제공모듈 430 : 데이터베이스
500 : 빅데이터 서버 600 : 보호자 단말
700 : 119 서버 800 : 112 서버

Claims (5)

  1.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하나의 집안에 각 위치 마다 설치된 복수의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로 이루어진 IoT 적외선 감지 센서 그룹(100g)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AP(200), 네트워크(300), 안전 관리 서버(400), 빅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400)는,
    AP(200)로부터 제공된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의 적외선 감지 신호를 이용해 위치별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423); 및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인 수면,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정상, 정상 활동,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관리 단위 정보"에 포함된 단말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 단말(6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안전관리모듈(4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관리모듈(424)은,
    분석모듈(423)에 의해 분석된 분석 정보 중 관리 대상 정보인 심장 질환 관련 관리 대상, 도움 요청 관련 관리 대상, 병환으로 인한 관리 대상에 대해서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안전관리모듈(424)은,
    분석 정보 외에 관리 단위 정보에 해당하는 그룹 ID에 매칭되는 AP(200)의 주소 정보, 그리고, 각 IoT 적외선 감지 센서(100)가 설치된 집안 내의 위치 정보(방, 거실, 화장실, 주방 포함) 중 분석 정보가 발생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안전 관리 서버(400)는,
    분석 정보 중 관리 대상 정보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600), 119 서버(700) 및 112 서버(800)에 의해 네트워크(300)를 통해 그룹 ID에 해당하는 AP(200)를 통해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 응답 요청 신호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피드백제공모듈(42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피드백제공모듈(425)은,
    IoT 손목형 리모컨(200a) 상으로 부저음을 출력하고 부저음에 대해서 독거노인이 입력버튼을 포함한 입력수단으로 괜찮음을 알리는 입력신호 입력에 따라 IoT 손목형 리모컨(200a)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피드백 정보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임계치 설정에 반영하는 조정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00134503A 2020-10-16 2020-10-16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1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03A KR102413604B1 (ko) 2020-10-16 2020-10-16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03A KR102413604B1 (ko) 2020-10-16 2020-10-16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622A true KR20220050622A (ko) 2022-04-25
KR102413604B1 KR102413604B1 (ko) 2022-06-27

Family

ID=8145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503A KR102413604B1 (ko) 2020-10-16 2020-10-16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026B1 (ko) * 2023-06-16 2024-03-06 주식회사 킨스텍 Ai 기반의 고독사 관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제어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7A (ko) *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1617A (ko) * 2016-04-25 2017-11-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20180057368A (ko) * 2016-11-22 2018-05-30 박영주 독거노인별 생활패턴을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
KR102116405B1 (ko) * 2019-01-03 2020-06-05 (주) 모인온 지능형 독거노인 안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7A (ko) *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1617A (ko) * 2016-04-25 2017-11-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20180057368A (ko) * 2016-11-22 2018-05-30 박영주 독거노인별 생활패턴을 이용한 원격 관리시스템
KR102116405B1 (ko) * 2019-01-03 2020-06-05 (주) 모인온 지능형 독거노인 안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38979 (2015.03.20)호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fety managing elderly by using social information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individual applian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50324(2016.04.25)호 "웨어러블기기를 이용한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50342(2016.04.25)호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01208(2019.01.04)호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SMART CARE SYSTEM FOR PUBLIC WELFARE OF SOLITARY SENIOR PEOPLE LIFE MANA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026B1 (ko) * 2023-06-16 2024-03-06 주식회사 킨스텍 Ai 기반의 고독사 관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제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604B1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5294B2 (en)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A2635229C (en) Rul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US8164444B2 (en) Position detection
Huo et al. An elderly health care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t home
KR101025578B1 (ko)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6652341B (zh) 一种基于体域网的老人监测救助方法及装置
KR20180106583A (ko) 노약자 관리 디바이스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KR20200056634A (ko) 초광대역(uwb) 레이더 센서 및 인공지능 기반의 독거노인 케어 서비스 관제 시스템
KR20160122470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비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13604B1 (ko)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Park et al. Self-organizing wearable device platform for assisting and reminding humans in real time
KR20200091235A (ko) 스마트 홈 관리 장치
Nag et al. Smart Home: Recognition of activities of elderly for 24/7; Coverage issues
Abubeker et al. A hand hygiene tracking system with LoRaWAN network for the aboli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KR102408306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상황 감시 및 응급 호출 시스템
CN112954597B (zh) 一种用于养老监护的室内定位方法
CN116940279A (zh) 跌倒分类设备和装置
WO2018145911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person
KR101720295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A3210928A1 (en) Generating and displaying metrics of interest based on motion data
KR20210006200A (ko) Ami 통신망을 이용하는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CN110675594A (zh) 智能灯控系统及其探测用户状态的方法
KR102172650B1 (ko) Led 조명 시스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87199B1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