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01B1 -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01B1
KR102565301B1 KR1020220102483A KR20220102483A KR102565301B1 KR 102565301 B1 KR102565301 B1 KR 102565301B1 KR 1020220102483 A KR1020220102483 A KR 1020220102483A KR 20220102483 A KR20220102483 A KR 20220102483A KR 102565301 B1 KR102565301 B1 KR 102565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etection
detection signal
information
sensor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장열
Original Assignee
엠피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피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피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이 제공된다.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은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비상 입력을 제공받거나 활동 및 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으로 제공된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센서 허브. 및 상기 센서 허브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SMART SAFETY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독거노인, 1인가구, 장애인 등 관리가 필요한 가정이나 소형매장, 소형 무인시설 등에 배치된 각종 센서 등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연락처를 대상으로 센서 동작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보호자 및 관리자가 안심하고 이들의 안전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한국 사회는 위생 환경의 개선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 추세에 대한 사회적 대비는 미흡한 편이어서 혼자 사는 노인, 장애인 등을 상대로 하는 복지 서비스의 혜택은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노인 및 장애인 등 돌봄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보호 대상자들이 혼자 생활하는 경우 가족들은 수시로 연락을 하여 안부를 확인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길게는 수일 이상 소식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대상자들이 가정 내에서 생활하면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는 않았는지, 또는 기타 활동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알림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형 업체 및 소형 프렌차이즈 업체가 늘어나면서 이들 매장의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출입관리, 비상상황감지, 화재감지, 등의 시스템 관리가 요구되지만 고비용으로 시설물 관리를 포기하거나 cctv 연동 및 대형 방범업체등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호 대상자들이 생활하는 가정이나 시설물 등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비상 입력을 제공받거나 활동 및 환경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생성된 감지 신호를 미리 등록된 수신자의 연락처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은,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비상 입력을 제공받거나 활동 및 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으로 제공된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센서 허브, 및 상기 센서 허브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 호출벨, 사용자의 도어 조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감지 센서, 사용자의 버튼 입력으로부터 연결된 조명의 전원을 턴 온/턴 오프하는 전등 스위치, 및 대기 중에 발생한 열, 연기로부터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감지 정보는, 상기 센서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상기 센서 허브에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허브는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서 생활 활동 감지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센서 허브는 상기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비상 상황을 인지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의 단말로 비상 감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허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 상황 정보는 상기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상기 센서 허브에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감지 신호의 강도를 증폭하여 상기 센서 허브에 제공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상기 센서 허브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작은 제2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920.7M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447.9MHz 대역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은 가정 또는 시설 내 설치된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 허브가 관리 서버에 센서 감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연락처에 센서 감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노인 및 장애인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 또는 기타 활동을 미리 저장된 연락처의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가정 또는 시설 내 설치된 센서들은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됨으로써 전력 공급 또는 사후 관리의 요구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에 포함된 센서 허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이 생활 활동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 센서 허브(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는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비상 입력을 제공받거나 활동 및 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감지 신호는 센서 허브로 무선 전송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 호출벨(110), 사용자의 버튼 입력으로부터 연결된 조명의 전원을 턴 온/턴 오프하는 전등 스위치(120), 사용자의 도어 조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감지 센서(130) 및 대기 중에 발생한 열, 연기로부터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일정 조건하에 작동하면서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RF 무선 통신 등의 방법을 통해 센서 허브(200)에 송신할 수 있다.
비상 호출벨(110)은 외부에 사용자가 눌러 비상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고, 해당 버튼이 눌러지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센서 허브(200)로 송신할 수 있다. 비상 호출벨(110)은 버튼의 기계적 변위를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발전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건전지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원 입력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상 호출벨(110)이 설치되는 장소는 전원선과의 연결을 고려할 필요 없이 예를 들어 화장실 벽과 같은 사용자가 일상 생활 중 응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비상 호출벨(110)을 부착 설치할 수 있다.
전등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조명의 전원을 턴 온/턴 오프 하면서,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센서 허브(2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전등 스위치(120)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부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센서 허브(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등 스위치(120) 또한 버튼의 구동을 통해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발전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 감지 센서(130)는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로 보호 대상자의 출입 및 방범 상황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센서 허브(2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도어 감지 센서(130)는 출입문이 열리는 경우, 즉 사용자의 활동 정보로부터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 허브(200)에 송신함으로써 보호 대상자의 주거지의 출입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140)는 대기 중에 발생한 열로부터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센서 허브(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140)는 센서 주위의 온도가 지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감지하여 반응하는 정온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열에 의해 주위 온도가 올라가면 SMA(형상기억합금)스프링을 감싸고 있는 하우징, 즉 감지부가 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합금의 스프링 변형에 의해 버튼이 작동함과 동시에 자가발전에 의해 전력이 발생하는 자가발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140)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화재 감지 센서(140)와 연결된 스프링클러 또는 스피커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한편, 센서 허브(200)로 감지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연락처에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고 RF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센서 허브(200)에 대하여 감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라면 그 종류를 불문하고 시스템(1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허브(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 허브(200)의 구조 및 동작과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에 포함된 센서 허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10)에 포함된 센서 허브(200)는 제어부(210), 표시부(220), 입력부(230), 통신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센서 허브(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감지 신호에 대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메시지 및 연락처를 로드하여 관리 서버(300)를 대상으로 센서 감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센서 감지 정보는 예를 들어 센서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허브(200)의 식별 번호(센서 허브(200)가 설치된 장소의 사용자, 즉 보호 대상자의 전화 번호), 센서 허브(200)에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관리 서버(300)를 통해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센서 허브(200)의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필요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생활 활동 감지 모드는 센서 허브(2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 중 지정된 센서에 한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비상 상황에 준하는 경우임을 감지하여 관리 서버(300)에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센서 허브(200)는 입력부(23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진입 시 센서 번호 및 생활 활동 감지 시간이 함께 설정될 수 있다. 센서 번호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 중 일정 시간 동안 감지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센서를 특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 중 전등 스위치(120) 및 도어 감지 센서(130)가 지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진입하면 설정된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특정 센서 번호에 해당하는 센서의 감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해당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관리 서버(300)에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상 상황 정보는 센서 허브(200)의 식별 번호, 센서 허브(200)에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관리 서버(300)를 통해 SMS 메시지를 송신할 미리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생활 활동 감지 모드가 설정된 후 해당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된 경우, 제어부(210)는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리셋된 타이머는 다시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해당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카운트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센서 허브(200)의 설정, 특히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및 연락처 정보의 설정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센서 허브(200)의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및 연락처 정보의 설정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예를 들어 버튼식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230)는 앞서 설명한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관리 서버(300)에 대해 센서 감지 정보 및 비상 상황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이와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920.7MHz 주파수 대역으로 송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센서 허브(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를 갖는 단말들(500)을 대상으로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감지 메시지는 무선 통신사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 감지 메시지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센서 감지 메시지가 SMS 메시지의 형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별도의 문자 송신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센서 허브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110), 센서 허브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 센서 허브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S130), 관리 서버가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로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먼저 센서 허브(200)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감지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110)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생성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센서 허브(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RF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감지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호 대상자가 비상 호출벨(110)을 누르거나, 전등 스위치(120)가 턴 온 또는 턴 오프되거나, 도어 감지 센서(130)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거나 또는 화재 감지 센서(14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생성된 감지 신호가 무선으로 센서 허브(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 허브(200)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감지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110) 이전에, 센서 허브(200)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를 등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최초 본 발명의 시스템(10) 또는 추가적인 센서 설치 시 수행되는 과정으로, 센서 허브(200)의 입력부(230) 조작을 통해 센서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센서 허브(200)가 센서 등록 모드에 진입하면 등록 대상인 센서의 등록 번호를 입력하고 해당 센서의 입력을 대기한다. 이어서 센서의 버튼을 누르면 센서 허브(200)에 해당 등록 번호에 할당된 센서가 등록될 수 있다.
센서 허브(200)는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S130). 미리 저장된 정보는 예를 들어 센서 허브(200)의 식별 번호 및 메시지를 송신할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허브(200)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감지 정보는 센서 허브(200)의 식별 번호,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메시지를 수신할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300)는 센서 허브(200)로부터 수신한 센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센서 감지 메시지는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를 갖는 단말들(500)을 대상으로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송신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은 가정 또는 시설 내 설치된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 허브(200)가 관리 서버(300)에 센서 감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연락처에 센서 감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노인 및 장애인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 또는 기타 활동을 미리 저장된 연락처의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가정 또는 시설 내 설치된 센서들은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됨으로써 전력 공급 또는 사후 관리의 요구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이 생활 활동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이 생활 활동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동작 방법은 센서 허브가 생활 활동 감지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단계(S210), 센서 허브의 내부 타이머를 리셋하고 생활 활동 감지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S220),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센서 허브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40), 관리 서버가 비상 상황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로 비상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먼저 센서 허브(200)가 생활 활동 감지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S210). 센서 허브(200)는 입력부(23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 진입 시 감지 대상이 되도록 특정되는 센서의 번호 및 생활 활동 감지 시간이 함께 설정될 수 있다.
센서 허브(200)가 생활 활동 감지 모드로 진입하면 내부 타이머를 리셋하고 입력된 생활 활동 감지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S220).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 중 미리 설정된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센서 허브(200)는 내부 타이머를 리셋하고 입력된 생활 활동 감지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 센서 허브(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 중 미리 설정된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타이머를 리셋하고 다시 생활 활동 감지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센서 허브(200)는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비상 상황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S240). 비상 상황 정보는 센서 허브(200)에 미리 저장된 센서 허브(200)의 식별 번호, SMS 메시지 및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센서 허브(200)로부터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받고, 비상 상황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의 단말(500)로 비상 감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25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와 센서 허브(200) 사이를 연결하는 중계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4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의 강도를 증폭하여 센서 허브(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가 센서 허브(200)로 송신하는 감지 신호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920.7MHz 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중계기(4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센서 허브(200)로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 예를 들어 447.9MHz 대역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중계기(400)가 센서 허브(200)로 비교적 저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의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신호의 장거리 송신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며, 넓은 공간에 이산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더 멀리 떨어진 센서 허브(200)로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자가 발전 전원에 의해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0)가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비교적 적은 강도의 신호 세기를 가져 최대 약 100m 정도의 송신 거리를 가질 수 있는 것에 반하여, 중계기(400)를 통해 주파수가 변환되고 증폭된 감지 신호는 최대 약 1km 정도 떨어진 센서 허브(200)에 대하여 무선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허브(200)는 중계기(400)로부터 제공된 제2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센서 허브(200)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시스템 100: 센서
110: 비상 호출벨 120: 전등 스위치
130: 도어 센서 140: 화재 감지 센서
200: 센서 허브 300: 관리 서버
400: 중계기 500: 단말

Claims (9)

  1.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고, 사용자로부터 비상 입력을 제공받거나 활동 및 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무선 통신으로 제공된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센서 감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센서 허브; 및
    상기 센서 허브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센서 감지 정보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에 센서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감지 신호의 강도를 증폭하여 상기 센서 허브에 제공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허브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진입된 생활 활동 감지 모드에서 생활 활동 감지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생활 활동 감지 모드 진입 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타이머를 리셋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지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운트되고, 상기 생활 활동 감지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지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비상 상황을 인지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상 상황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의 단말로 비상 감지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자가 발전 전원으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여 상기 센서 허브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작은 제2 주파수 대역의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의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비상 호출벨,
    사용자의 도어 조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감지 센서,
    사용자의 버튼 입력으로부터 연결된 조명의 전원을 턴 온/턴 오프하는 전등 스위치, 및
    대기 중에 발생한 열, 연기로부터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감지 정보는,
    상기 센서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상기 센서 허브에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 정보는
    상기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허브의 식별 번호,
    상기 센서 허브에 미리 저장된 SMS 메시지, 및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SMS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920.7M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447.9MHz 대역인,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KR1020220102483A 2022-08-17 2022-08-17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KR10256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83A KR102565301B1 (ko) 2022-08-17 2022-08-17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483A KR102565301B1 (ko) 2022-08-17 2022-08-17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301B1 true KR102565301B1 (ko) 2023-08-09

Family

ID=8756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483A KR102565301B1 (ko) 2022-08-17 2022-08-17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7A (ko) *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4862B1 (ko) * 2017-08-14 2018-08-29 한국토지주택공사 생활안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055A (ko) * 2020-06-25 2022-01-03 라인정보기술 주식회사 댁내용 비상 알람 생성기 및 생성 시스템
KR102353132B1 (ko) * 2021-05-03 2022-01-19 주식회사 로제타텍 벌크형 센서의 설치값 설정을 위한 무선처리 기술을 이용한 센서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617A (ko) * 2008-10-24 2010-05-14 (주)브이아이소프트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4862B1 (ko) * 2017-08-14 2018-08-29 한국토지주택공사 생활안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055A (ko) * 2020-06-25 2022-01-03 라인정보기술 주식회사 댁내용 비상 알람 생성기 및 생성 시스템
KR102353132B1 (ko) * 2021-05-03 2022-01-19 주식회사 로제타텍 벌크형 센서의 설치값 설정을 위한 무선처리 기술을 이용한 센서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5496B2 (en) Monitoring system
CN101946268B (zh) 报警器和报警器系统
KR20090107600A (ko) 모드전환방식의 스마트잇비상벨을 이용한 무선 방범시스템
KR101946799B1 (ko)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CN105513266A (zh) 一种监控报警系统
KR100589899B1 (ko)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차량통제 및 주차구역정보 확인시스템및 그 방법
JP6401215B2 (ja) 通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041519A (ja) 連携報知システム
KR102565301B1 (ko) 스마트 안심 알리미 시스템
JP2005056261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60022953A (ko) 가택 설치용 지능형 가택감독장치
KR102470001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송 방법
JP2008180535A (ja) 無線通信時計システム
KR102237852B1 (ko) 세대 비디오폰을 활용한 방범 방법
KR20180043227A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TWI407390B (zh) 以通訊裝置實現之保全系統
KR20090103169A (ko)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JP4747989B2 (ja) 無線警報装置
KR101871787B1 (ko)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JP2020144933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7128109B2 (ja) 警備システム
KR102279314B1 (ko) 현관입구의 위기상황 인지 알림 장치
KR101674575B1 (ko) 무인화상폴대 및 이를 이용한 조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20200053378A (ko) 비명감지기를 이용한 돌발침입범죄 대응 방범시스템과 오경보를 방지하는 방법
TWI769713B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